top of page
Suche
方劑 21. 옹양제(癰瘍劑)
21. 옹양제(癰瘍劑) ⑴ 개념(槪念) 등창, 종기, 부스럼 같이 피부가 헐은 옹저창양(癰疽瘡瘍)을 치료하기 위해 쓰이는 방제 를 옹양제(癰瘍劑)라고 한다. 이런 종류의 방제는 주로 환부의 독을 해소하고 부은 것을 내리게 하는...
서선영
9. Jan. 201918 Min. Lesezeit
89 Ansichten
方劑 20. 용토제 (湧吐劑)
20. 용토제 (湧吐劑) ⑴ 槪念 : 대체로 담연(痰涎), 숙식(宿食), 독물(毒物) 등을 용토(湧吐)하게 하는 작용을 가진 약제로 구성해서 담궐(痰厥), 식적(食積) 및 독물(毒物)을 오식(誤食)한 것 등을 치 료하는 방제를 통칭...
서선영
9. Jan. 20193 Min. Lesezeit
45 Ansichten
方劑 19. 구충제 (驅虫劑)
19. 구충제 (驅虫劑) ⑴ 槪念 대체로 구충약물(驅虫葯物)을 위주로 방이 구성되어 인체의 기생충병(寄生蟲病)을 치료 하는데 쓰이는 방제(方劑)를 가리켜서 구충제(驅虫劑)라고한다. 인체의 기생충병에는 종류가 상당히 많고 치법(治法) 또한 각기...
서선영
9. Jan. 20196 Min. Lesezeit
40 Ansichten
方劑 18. 소도화적제(消導化積劑)
18. 소도화적제(消導化積劑) 소도화적제(消導化積劑)는 주로 장도에 음식물이 적체된 것을 소화시키는 소도약(消導葯) 을 위주로 구성되는 방제로써 즉 다시 말해서 소식도체(消食導滯)하고, 화적소징(化積消癥) 하는 작용이 있어서 소화되지 못한 음식이...
서선영
9. Jan. 20196 Min. Lesezeit
67 Ansichten
方劑 17. 거담제(祛痰劑)
17. 거담제(祛痰劑) 거담약(祛痰葯)을 위주로 구성해서 담과 음(痰飮)을 제거(消除)하는 것을 목적으로 각종 담 병(痰病)을 치료하는 방제를 일반적으로 거담제(祛痰劑)라 칭한다. 담(痰)이 병(病)이 되면 미치지 않는 곳이 없듯이 흉격(胸膈),...
서선영
9. Jan. 20197 Min. Lesezeit
142 Ansichten
方劑 16. 거습제(祛濕劑)
16. 거습제(祛濕劑) 대체로 거습약물(祛濕葯物)을 위주로 조성하여 화습행수(化濕行水), 통림설탁(通淋泄濁) 작용을 하게 하여 수습병증(水濕病證)을 치료하는 방제로써 거습제(祛濕劑)라 부르는 것이 다. 습(濕)은 음사(陰邪)로써 습사(濕邪)의...
서선영
9. Jan. 201917 Min. Lesezeit
194 Ansichten
方劑 15. 치조제 (治燥劑)
15. 치조제 (治燥劑) 치조제(治燥劑)란 신산(辛散)한 약물을 사용하여 경선(輕宣)케 하거나, 감량(甘凉)한 약물을 사용하여 자윤(滋潤)케 하여 조증(燥證)을 치료하는 방제를 통칭 치조제라 한다.조증(燥證) 은 외조(外燥)와 내조(內燥)로...
서선영
9. Jan. 20197 Min. Lesezeit
91 Ansichten
方劑 14. 치풍제 (治風劑)
14. 치풍제 (治風劑) 대체로 신산거풍(辛散祛風)이나 식풍지경(息風止痙)하는 약물을 위주로 방제를 구성하여 사용하며, 소산외풍(疏散外風)과 평식내풍(平熄內風) 작용이 있고, 풍병(風病)을 치료하는 방제로서 치풍제(治風劑)라 칭하는 것이다....
서선영
9. Jan. 20198 Min. Lesezeit
137 Ansichten
方劑 13. 리혈제 (理血劑)
13. 리혈제 (理血劑) 리혈제(理血劑)는 리혈약(理血葯)을 위주로 조성된 방제로써 활혈(活血), 화어(化瘀)와 지 혈(止血) 작용이 있어 어혈(瘀血)과 출혈증(出血證)을 치료하는 방제로 통칭 리혈제(理血 劑)라 한다. 혈(血)은 인체를 영양하는...
서선영
9. Jan. 20198 Min. Lesezeit
95 Ansichten
方劑 12. 리기제 (理氣劑)
12. 리기제 (理氣劑) 리기제(理氣劑)는 리기약(理氣葯)을 위주로 구성하게 되는데 리기약은 행기(行氣)와 강기 작용(降氣作用)을 하게 된다. 때문에 기체(氣滯)와 기역(氣逆) 병증을 치료하는 방제가 되는 것이다. 기(氣)는 인체(人体)를...
서선영
9. Jan. 201910 Min. Lesezeit
75 Ansichten
方劑 11. 고삽제 (固澁劑)
11. 고삽제 (固澁劑) 고삽제(固澁劑)는 수렴(收斂)하는 작용이 있는 약들로 방제를 조성함으로써 기, 혈, 정, 진액 (氣,血,精,津液)이 어떤 이유로 소모되거나, 흩어지거나, 밀려나거나 또는 빠져나가는 증상 (耗散滑脫證)을 치료하는데 쓰이는...
서선영
9. Jan. 20198 Min. Lesezeit
59 Ansichten
方劑 10. 개규제 (開竅劑)
10. 개규제 (開竅劑) 개규제(開竅劑)란 방향개규약물(方香開竅葯物)을 위주로 구성하여 개규성신작용(開竅醒 神作用)을 하게 하여 신혼규폐증(神昏竅閉證)을 치료하는 방제를 말하는 것이다.신혼규폐 증(神昏竅閉證)은 또 허실(虛實)로...
서선영
9. Jan. 20195 Min. Lesezeit
77 Ansichten
方劑 9. 안신제(安神劑)
9. 안신제(安神劑) 안신제(安神劑)란 안신정지(安神定志) 작용을 하는 약을 위주로 조성하는 방제로써 신지불 안(神志不安)의 질환(疾患)을 치료하는 방제를 말하는 것이다.신지불안(神志不安)의 질환(疾 患)은 그 원인과 표현이 대체로 많은 편이나...
서선영
9. Jan. 20196 Min. Lesezeit
167 Ansichten

方劑 8. 보익제 (補益劑)
8. 보익제 (補益劑) 보익제란 허약(虛弱)한 신체(身體)를 보충(補充)시키는 방제(方劑)이다. 즉 각종 허증(虛證)을 치료(治療)하는 방제(方劑)로써 팔법(八法) 중에서 보법(補法)에 속한다. 고문(古文)에 의하면 《素問․三部九候論》에...
서선영
9. Jan. 201920 Min. Lesezeit
227 Ansichten
方劑 7. 표리쌍해제 (表裏雙解劑)
7. 표리쌍해제 (表裏雙解劑) 일반적으로 해표약(解表葯)에 사하약(瀉下葯) 혹은 청열약(淸熱葯)과 온리약(溫里葯)등을 위 주로 배합하여 구성하였으며, 표리(表裏)를 함께 치료하는 작용이 있음으로 표리동병(表裏 同病)을 치료하는 방제(方劑)라 하여...
서선영
9. Jan. 20196 Min. Lesezeit
165 Ansichten
方劑 6. 온리제 (溫裏劑)
6. 溫裏劑(온리약) 대체로 온열약(溫熱葯)을 위주로 구성하여 양기(陽氣)를 도와 체내를 따뜻하게(溫里助陽)하 고 한사를 흩어 버리고 경맥을 소통(散寒通脈)하는 작용으로 장부(臟腑)와 경락(經絡)간에 한사(寒邪)를 물리침으로 리(里)에 있는...
서선영
9. Jan. 201910 Min. Lesezeit
88 Ansichten
方劑 5. 거서제 (祛暑劑)
5. 거서제 (祛暑劑) 대체로 거서약을 위주로 구성되어 서사(暑邪)를 제거(除去)하는 작용을 하므로 서병(暑病)을 치료하는 방제(方劑)로 쓰이므로 거서제(祛暑劑)라 일컫는다.서사(暑邪)는 육음(六淫)중에 하나다 이용졸(李用椊)이 말하기를...
서선영
9. Jan. 20196 Min. Lesezeit
66 Ansichten
方劑 4. 청열제(淸熱劑)
4. 청열제(淸熱劑) 청열약(淸熱葯)을 위주로 구성되는 청열제(淸熱劑)는 청열(淸熱), 사화(瀉火), 양혈(凉血), 해 독(解毒), 자음투열(滋陰透熱)의 치료효과(治療效果)를 목적으로 하는 방제(方劑)로써 팔법 (八法) 중에서「청법(淸法)」에...
서선영
9. Jan. 201915 Min. Lesezeit
252 Ansichten
方劑 3. 화해제(和解劑)
3. 和解劑 화해제(和解劑)란 조화(調和)의 방법으로써 족소양경(足少陽經)에 반표반리(半表半裏)의 사 기(邪氣)를 다스리는 것과 간(肝)과 비(脾)의 기능(機能)이 실조(失調)된 간비불화(肝脾不和), 그리고 상하의 한열(寒熱)이 호결(互結)된...
서선영
9. Jan. 20197 Min. Lesezeit
131 Ansichten
方劑 2. 사하제 (瀉下劑)
2. 사하제 (瀉下劑) 대체로 瀉下葯을 위주로 造成됨으로써 大便을 通하게 하고, 胃腸의 積滯를 排除토록 하며 實熱을 除祛한다. 혹은 水飮(주로 胃內停水)과 寒積 등을 몰아내는 작용을 함으로써 裏實證 을 치료하는 方劑라고 해서 瀉下劑라고 通稱하며...
서선영
9. Jan. 201911 Min. Lesezeit
75 Ansichten
方劑 1. 해표제(解表劑)
1. 해표제(解表劑) 해표약(解表葯)을 위주로 구성되어 발한(發汗), 해기(解肌), 투진(透疹) 등의 작용으로 표증 (表證)을 해제(解除)할 수 있는 방제이며 팔법(八法)중에 한법(汗法)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외 감육음(外感六淫 - 風, 寒,...
서선영
9. Jan. 201910 Min. Lesezeit
200 Ansichten
방제(方劑) - 목록(目錄)
목록(目錄) 1. 해표제(解表劑) 1) 신온해표제(辛溫解表劑) 2) 신량해표제(辛凉解表劑) 3) 부정해표제(扶正解表劑) 2. 사하제(瀉下劑) 1) 한하제(寒下劑) 2) 온하제(溫下劑) 3) 윤하제(潤下劑) 4) 축수제(逐水劑) ...
서선영
9. Jan. 20192 Min. Lesezeit
36 Ansichte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