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uche
기초55 第八章 防治原則(방치원칙)
第八章一節 預防(예방) 豫防(예방)이란 일정한 조치를 취하여 질병의 발생과 발전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예방을 위주로 하는 것은 보건위생업무의 4대 방침의 하나다. 동서의학에서는 예방을 중시해 왔다. 일찍 《內經》에서 “병에 걸리기 전에...
서선영
16. Dez. 201823 Min. Lesezeit
217 Ansichten
기초54 第七章七節 장부병기 3) 기항지부 공능실조
第七章七節 臟腑病機(장부병기) 3) 奇恒之腑的功能失調(기항지부적공능실조) ⑴ 腦的功能失調(뇌적공능실조) 腦(뇌)는 인체의 극히 중요한 기관으로써 인간의 精神(정신), 意識(의식), 思維活動(사유활 동)과 눈(眼)으로 보고, 귀(耳)로 듣고,...
서선영
16. Dez. 20185 Min. Lesezeit
121 Ansichten
기초53 第七章七節 장부병기 2) 육부적 공능실조
第七章 病機(병기) 7. 臟腑病機(장부병기) 2) 六腑的功能失調(육부적공능실조) 1) 膽的功能失調(담적공능실조) 膽囊(담낭)의 주요 생리적 기능은 膽汁(담즙)을 저장하고 排泄(배설)하여 脾(비)와 胃(위)의 運化機能(운화기능)을 돕는 것이다....
서선영
16. Dez. 20186 Min. Lesezeit
129 Ansichten
기초52 第七章七節 臟腑病機(장부병기)
臟腑(장부)의 病機(병기)란 질병이 발생, 발전하는 과정에 臟腑(장부)의 정상적인 생리공능조화를 잃게 되는 내재적 機理(기리)를 말한다. 疾病(질병)이 발생하면 그것이 外感(외감)에 의한 것이든 內傷(내상)에 의한 것이든 모두 臟腑(장부)의...
서선영
16. Dez. 201828 Min. Lesezeit
327 Ansichten
기초51 第七章六節 經絡病機(경락병기)
經絡(경락)은 人体(인체)의 臟腑(장부)와 体表(체표)의 筋肉(근육)과 皮膚(피부), 四肢(사지), 五官(오관) 및 九竅(구규)를 서로 연결하는 통로로서 氣血(기혈)을 운행하고 有機體(유기체)의 表裏(표리), 上下(상하), 內外(내외)를...
서선영
16. Dez. 20185 Min. Lesezeit
69 Ansichten
기초50 第七章五節 내생오사
第七章五節 內生五邪(내생오사) 內生(내생)“五邪(오사)”란 것은 질병이 발전하는 과정에 气血(기혈), 津液(진액)과 臟腑(장부) 등 생리기능의 이상으로 인하여 風, 寒, 濕, 燥火(풍,한,습,조,화)의 六淫外邪(육음외사)에 의하여 질병이 야기되는...
서선영
16. Dez. 20189 Min. Lesezeit
242 Ansichten
기초49 第七章四節 진액대사실상
第七章四節 津液代謝失常(진액대사실상) 진액대사란 실질로 진액이 끊임없이 생성되고, 끊임없이 輸送(수송), 輸布(수포) 分布(분포)와 排泄(배설) 과정이다. 진액의 정상적인 代謝(대사)는 체내 진액의 수송과 분포 생성 배설간의 상대적인...
서선영
16. Dez. 20187 Min. Lesezeit
86 Ansichten
기초48 第七章三節 氣血失常(기혈실상)
氣血失常(기혈실상) 氣血(기혈)이 비정상적이라고 하는 것은 氣(기)와 血(혈)이 부족한 것, 그리고 그 생리기능이 비정상적인 것, 氣血(기혈)의 互根互用(호근호용)의 기능이 비정상적인 것 등의 病理變化(병리변화)를 槪括(개괄)한...
서선영
16. Dez. 20189 Min. Lesezeit
96 Ansichten
기초47 第七章 병기 二節 음양실조
第七章 病機(병기) 第七章二節 陰陽失調(음양실조) 陰陽(음양)의 不調和(부조화)란 陰陽(음양)의 消長(소장)이 조화로운 균형이 파괴되었음을 말하는 것이다. 이로서 유기체의 질병이 발생하고 발전하는 과정에 병을 초래하는 각종 요인의 영향으로...
서선영
16. Dez. 201810 Min. Lesezeit
125 Ansichten
기초46 第七章 병기 一節 사정성쇠
第七章 病機(병기) 一節 邪正盛衰(사정성쇠) 病機(병기)란 질병이 발생, 발전, 변화하는 매카니즘을 말한다. 이같은 질병의 발생, 발전, 변화는 환자의 체질 및 질병을 초래한 사기의 성질과 밀접히 관계된다. 病魔(병마)가 인체에 작용하면...
서선영
16. Dez. 20186 Min. Lesezeit
68 Ansichten
기초45 第六章二節 發病原理(발병원리)
第六章 病因(병인)과 發病(발병) 第六章二節 發病原理(발병원리) 疾病(질병)과 健康(건강)은 상대적인 개념이다. 인체의 臟腑(장부), 經絡(경락)의 生理活動(생리활동)이 정상적이고 氣血(기혈)의 陰陽(음양)이 調和(조화)되고 均衡(균형)이 잡히면...
서선영
16. Dez. 20188 Min. Lesezeit
57 Ansichten
기초44 第六章一章 병인 6. 담음, 어혈
第六章一章 病因(병인)과 發病(발병) 6. 痰飮(담음), 瘀血(어혈) 6. 痰飮(담음), 瘀血(어혈) 痰飮(담음)과 瘀血(어혈)은 인체가 그 어떤 발병인소의 감수로 인한 疾病過程(질병과정)에서 형성된 病理的産物(병리적산물)이다. 이 같은...
서선영
16. Dez. 20184 Min. Lesezeit
99 Ansichten
기초43 第六章一章 4. 음식, 노일 5. 외상
第六章一章 病因(병인)과 發病(발병) 4. 飮食(음식), 勞逸(노일), 5. 外傷(외상) 4. 飮食(음식), 勞逸(노일) 飮食(음식), 勞動(노동), 休息(휴식)은 인류가 생존하고 건강을 유지하 는 필수조건이다. 그러나 음식은 일정하게 절제되어야...
서선영
16. Dez. 20188 Min. Lesezeit
95 Ansichten
기초42 第六章一節 2. 역려 3. 내상칠정
第六章一節 病因(병인) 2. 疫癘(역려) 3. 七情內傷(칠정내상) 2. 疫癘(역려) 癘氣(려기)는 강한 전염성을 띤 病邪(병사)이다. 中醫文獻(중의문헌)에 記載(기재)에 의하면 이를 溫疫(온역), 疫毒(역독), 癘氣(려기),...
서선영
16. Dez. 20187 Min. Lesezeit
144 Ansichten
기초41 第六章一節 병인 1. 육음
第六章一節 病因(병인) 1. 六淫(육음) 東醫學(동의학)은 人体(인체)의 각 臟腑組織(장부조직)사이 및 人体(인체)와 外部環境(외부환경)사이에 對立(대립)도 되고 統一(통일)도 되는 矛盾(모순)이 끊임없이 産生(산생)되고 解結(해결)되는...
서선영
16. Dez. 201818 Min. Lesezeit
442 Ansichten
기초40 第五章六節 경락의 생리, 경락학설응용
第五章六節 1) 經絡(경락)의 生理(생리) 2) 經絡學說應用(경락학설응용) 1) 經絡(경락)의 生理機能(생리기능) 經絡(경락)의 機能活動(기능활동)을 經氣(경기)라고 한다. 그 經氣(경기)의 생리적 기능이란 表裏(표리)와 上下(상하)를...
서선영
16. Dez. 20187 Min. Lesezeit
76 Ansichten
기초39 第五章五節 경별, 별락, 경근, 피부
第五章五節 經別(경별), 別絡(별락), 經筋(경근), 皮部(피부) 1) 經別(경별) 十二經別(십이경별) 十二正經(십이정경)에서 갈라져 나와 胸部(흉부), 腹部(복부)와 頭部(두부)에 분포되었는데 그와 같이 正經(정경)으로부터...
서선영
16. Dez. 201817 Min. Lesezeit
314 Ansichten
기초38 第五章四節 기경팔맥
第五章四節 奇經八脈 奇經八脈(기경팔맥)은 任脈(임맥), 督脈(독맥), 冲脈(충맥), 帶脈(대맥), 陰蹺脈(음교맥), 陽蹺脈(양교맥),陰維脈(음유맥), 陽維脈(양유맥) 등 8 脈(맥)을 일컫는다. 이 8 맥은 12 경맥과는 달리 그 분포가...
서선영
16. Dez. 201810 Min. Lesezeit
203 Ansichten
기초37 第五章三節 경락의 순행부위
第五章三節 經絡(경락)의 순행부위 1)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 穴名(혈명) : 中府 → 小商 11個穴 中府(중부, 募(모)), 云門(운문), 天府(천부), 俠白(협백), 尺澤(척택),...
서선영
16. Dez. 201819 Min. Lesezeit
219 Ansichten
기초36 第五章二節 經脈(경맥)
1) 名稱(명칭) 12 經脈(경맥)은 인체의 좌우 양측으로 對稱(대칭)되어 있으며 각기 上肢(상지)와 下肢(하지) 의 內側(내측)과 外側(외측)으로 循行(순행)하며 12 經脈(경맥)은 각기 하나의 臟(장) 또는 腑 ...
서선영
16. Dez. 20184 Min. Lesezeit
147 Ansichten
기초35 第五章一節 경락의 개념,경락계통의 구성
第五章 經絡學說(경락학설) 第五章一節 經絡(경락)의 개념과 경락계통의 구성 經絡學說(경락학설)은 經絡(경락)의 생리적 기능과 병리적 변화 및 有機體(유기체)의 內, 外(내외) 즉 體表(체표)와 臟腑(장부)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설로서...
서선영
16. Dez. 20188 Min. Lesezeit
262 Ansichten
기초34 第四章四節 3) 血과 津液과의 관계
第四章四節 氣血津液(기혈진액)의 相互關係(상호관계) 3) 血과 津液과의 관계 血(혈)과 津液(진액)은 液體狀態(액체상태)의 물질로써 滋潤(자윤, 습윤 시키고)과 濡養(유양, 촉촉이 적시어) 작용을 한다. 氣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血과 津液은 모두...
서선영
16. Dez. 20184 Min. Lesezeit
93 Ansichten
기초33 第四章四節 2) 기와 진액 관계
第四章四節 2) 氣(기)와 津液(진액)과의 관계 氣는 陽(양)에 속하고, 津液(진액)은 음에 속한다. 氣와 津液과의 관계는 氣와 血과의 관계와 유사 하다. 津液의 生成(생성), 輸布(수포), 排泄(배설)은 氣의 升降出入(승강출입) 운동 및...
서선영
16. Dez. 20186 Min. Lesezeit
77 Ansichten
기초32 第四章四節 1) 氣와 血의 관계
第四章四節 氣血津液의 相互關係 氣血津液(기혈진액) 간의 相互關係(상호관계)는 性質(성질), 狀態(상태), 機能(기능)면에서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 삼자는 모두 脾胃(비위)의 運化機能(운화기능)에 의하여 생성된 水谷(수곡)의...
서선영
16. Dez. 20184 Min. Lesezeit
90 Ansichte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