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和解劑
화해제(和解劑)란 조화(調和)의 방법으로써 족소양경(足少陽經)에 반표반리(半表半裏)의 사
기(邪氣)를 다스리는 것과 간(肝)과 비(脾)의 기능(機能)이 실조(失調)된 간비불화(肝脾不和),
그리고 상하의 한열(寒熱)이 호결(互結)된 위장불화(胃腸不和)를 해제(解除)시키는 방약(方
葯)이다. 화해제(和解劑)는 팔법(八法) 중에서 화법(和法)의 범주에 속한다. 간췌(肝膵)가 사
기(邪氣)의 침습을 받거나 혹은 자체의 기능이 실조되면 항상 서로 영향을 주며, 이로 인하여
비위(脾胃)까지 미침으로 간비실조(肝脾失調), 상하한열(上下寒熱)의 호결(互結)과 기기승강
(氣機升降)이 실상(失常)되는 경우에는 모두 화해제(和解劑)로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말한 바와 같이 소양경(少陽經)을 화해(和解)하는 외에 간비조화(肝脾調和)와 위장
조화(胃腸調和)의 두 종류를 함께 다루고 있다. 그러나 치법(治法)과 방약(方葯)에서 화해제
(和解劑)를 사용하고 있는 학질(瘧疾) 치료는 이 장에 포함하지 않고 있다. 그 것은 학질(瘧
疾)에는 여러 가지 증후(證候)가 많기 때문이다.
주의(注意)를 요(要)하는 점은 화해제(和解劑)는 비교적(比較的) 평온(平穩)한 약이라 하더라
도 궁극적으로 객사(客邪)를 제거(除祛)하고 그 편파적으로 왕성한(偏盛)것을 조절(調節)하
는 방제(方劑)이다. 만약 사기(邪氣)가 반표반리(半表半裏)에 없거나, 혹은 허실(虛實)이 각각
급(急)한 탓에 화해제를 오용(誤用)하게 되었을 때는 신속한 조치를 취한다 해도 병정(病情)
에 오점(誤点)으로 남을 것이고, 더욱이 시간을 지연시키면 치유(治愈)가 어려워지고, 심지어
는 사기(邪氣)가 리(里)로 들어가서 다른 증(證)으로 변화(變化), 발생(發生)하게 된다. 그러므
로 화해제가 비록 평온한 약제라 할지라도 유사(類似)한 병증(病症)에 남용(濫用)해서는 안
된다.
1) 화해소양(和解少陽)
⑴ 槪念 : 사기(邪氣)가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에 있어서 추웠다 더웠다하는 한열왕래
(寒熱往來)가 있고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며 괴로워하고(胸脇苦滿), 마음이 괴
롭고 잘 토하며(心煩喜嘔), 말이 없고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고(黙黙不欲食), 입
안이 쓰고 목구멍이 마르며(口苦咽乾), 눈앞이 캄캄해지는(目眩) 등의 증상이 있
다. 사기(邪氣)가 반표반리(半表半裏)에 있으므로 반표(半表)의 사기(邪氣)를 투
해(透解)해야 하고, 또한 반리(半里)의 사기(邪氣)를 청설(淸泄) 해야 할 뿐만 아
니라 사기(邪氣)가 깊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야 하므로 시호(柴胡)를 첨가 하거나
청호(靑蒿)와 황금(黃芩)을 배합하여 익기부정(益氣扶正)케 하고, 혹은 행기분리
(行氣分利)의 약을 써서 사기(邪氣)를 모조리 제거하도록 하여 후환(後患)을 없
애도록 한다.
⑵ 常用葯 : 시호(柴胡)(苦辛寒), 청호(靑蒿)(苦辛寒), 황금(黃芩)(苦寒).
⑶ 葯의 歸經 肝經 : 시호(柴胡), 청호(靑蒿).
膽經 : 시호(柴胡), 청호(靑蒿), 황금(黃芩).
脾經 : 시호(柴胡). 胃經 : 시호(柴胡), 황금(黃芩).
三焦 : 시호(柴胡).
大腸 : 황금(黃芩).
腎經 : 청호(靑蒿).
⑷ 代表方
① 소시호탕 (小柴胡湯)
≒ 시호(柴胡)12, 황금(黃芩)9, 인삼(人參)6, 세반하(洗半夏)9, 자감초(炙甘
草)5, 절생강(切生薑)9, 대조(大棗)4~12枚.
上七味를 물 一斗二升으로 달여 六升에서 去滓한 후 다시 달여 三升에서
取하여 一升씩 一日三服 溫服한다.
效能 : 화해소양(和解少陽) - 소양증(少陽證)을 화해(和解)
主治 : ㉠ 소양증(少陽證)의 상한(傷寒)으로 한열(寒熱)이 왕래(往來)하 고, 가슴
과 옆구리가 그득하고 고통스러우며(胸脇苦滿), 쌀쌀 하고 찬 안색으
로 히죽히죽 비웃듯 냉소(冷笑)를 짖고,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고, 마
음이 답답하기도 하고 괴로우며 잘 토하 고(心煩喜嘔), 입 안이 쓰고 목
구멍이 마르며(口苦咽乾), 눈앞 이 갑자기 아찔하고 캄캄해지기도(目
眩)하고, 설태(舌苔)는 희 고 엷으며(薄白), 맥(脈)은 현(弦)한 증상을 治
療한다.
㉡ 부인상한(婦人傷寒) - 사열(邪熱)이 자궁(子宮)을 심습한 열입혈실(熱
入血室), 학질(瘧疾), 황달(黃疸)과 잡병(雜病)의 내상을 받은 소양증
(少陽證) 등이다.
※ 양(少陽)은 삼양(三陽)의 중추(中樞)이므로 일단 소양(少陽) 에 사기(邪
氣)가 침범(侵犯)하면 반표(半表) 반리(半里)를 배 회하며 외(外)와 양
(陽)의 싸움으로 한(寒)이 되고, 내(內)와 음(陰)의 싸움으로 열(熱)이
되는 까닭에 한열(寒熱)이 왕래 (往來)하게 된다.
② 고금청담탕 (蒿芩淸膽湯)
≒ 청호(靑蒿)6, 담죽여(淡竹茹)9, 선반하(仙半夏)5, 적복령(赤茯苓)9, 황
금(黃芩)6, 생지각(生枳殼)5, 진광피(陳廣皮)5, 벽옥산(碧玉散) (滑石, 甘
草, 靑黛)9.
- 水煎服
效能 : 청담이습(淸膽利濕), 화위화담(和胃化痰)
主治 : 학질병(虐疾病)처럼 한열(寒熱)이 있는데, 한증(寒症)은 경(輕)하 고, 열
증(熱症)이 중(重)하며, 입 안이 쓰고 가슴이 답답하며(口 苦胸悶), 시큼
하고 쓴물을 토하고(吐酸苦水), 또는 끈끈하고 누 런 침을 토하는(吐粘
性黃涎)것이 심하며, 요란한 헛구역질을 하 기도(乾嘔呃逆)하고, 가슴
과 옆구리가 그득하고 아프다, 설질(舌 質)은 붉고, 설태(舌苔)는 희며,
가끔 잡색이 나타나기도 한다. 맥(脈)은 삭(數)한데 오른쪽은 활맥(滑
脈)이고 왼쪽은 현맥(弦 脈)이다.
2) 조화간비(調和肝脾)
⑴ 槪念 : 간비조화(肝脾調和)는 간기(肝氣)가 울결(鬱結)된 나머지 비위(脾胃)를 횡범(橫
犯)하는 목극토(木克土) 또는 비장(脾臟)이 허(虛)한 탓으로 운화기능(運 化機能)
이 여의치 못한 비허불운(脾虛不運)이 있고, 간(肝)의 소설기능(疏泄機能)이 여
의치 못한 탓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옆구리가 아픈 흉민협통(胸悶脇痛), 완복창
통 (脘腹脹痛)이 있으며, 음식생각이 없고, 대변을 설사하며, 심하면 한열왕래
(寒熱往 來)등을 하는 간비불화(肝脾不和)를 말한다.
⑵ 常用葯
① 리기서간(理氣舒肝)과 양혈화혈약(養血和血葯)으로는 시호(柴胡)(苦辛寒), 지각(枳
殼)(苦辛微寒), 진피(陳皮)(辛苦溫), 당귀(當歸)(甘辛溫), 백작(白芍)(苦酸甘微寒), 향
부자(香附子)(辛微苦微甘平).
② 건비약(健脾葯)으로 백출(白朮)(苦甘溫), 감초(甘草)(甘平), 복령(茯苓)(甘淡平).
⑶ 葯의 歸經 肝經 : 시호(柴胡), 당귀(當歸), 백작(白芍), 향부자(香附子).
膽經 : 시호(柴胡).
心經 : 당귀(當歸), 감초(甘草), 복령(茯苓).
脾經 : 시호(柴胡), 지각(枳殼), 진피(陳皮), 당귀(當歸), 백작(白芍), 백출(白
朮), 감초(甘草), 복령(茯苓).
胃經 : 시호(柴胡), 지각(枳殼), 백출(白朮), 감초(甘草).
三焦 : 시호(柴胡), 향부자(香附子).
肺經 : 진피(陳皮), 감초(甘草).
大腸 : 지각(枳殼).
腎經 : 복령(茯苓).
⑷ 代表方 ① 사역산(四逆散), ② 소요산(逍遙散), ③ 통사요방(痛瀉要方) 등이 있다.
① 사역산 (四逆散)
≒ 자감초(炙甘草)6, 자지실(炙枳實)6, 시호(柴胡)6, 작약(芍葯)9.
上四味를 곱게 찧고 채로 쳐서 一方寸匕(1g)를 白湯(맑은물)로 一日三服한
다.
現代 用法은 水煎服한다.
效能 : 투사해울(透邪解鬱), 소간리비(疏肝理脾)
主治 : 소음병(少陰病), 사역증(四逆證)으로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소변불 리(小便
不利), 혹은 복중통(腹中痛), 혹은 설리하중증(泄利下重證) 등이다.
② 소요산 (逍遙散)
≒ 시호(柴胡) 초당귀(炒當歸) 백작(白芍) 백출(白朮) 복령(茯苓) 각 일량(各一
兩), 자감초(炙甘草)5전(錢).
上六味를 粗末로 갈아서 매번 二錢(6~9g)씩 복용하는데, 물200~350ml
에 燒生 姜一塊를 썰은 것과 薄荷3g을 넣고 달여 七分에서 去滓하고, 갈아
놓았던 약을 타서 熱服한다.
效能 : 소간해울(疏肝解鬱) 건비화영(健脾和營)
主治 : 간혈이 부족하고 간기가 울결되어(肝鬱血虛)와 양쪽 옆구리가 아 파오고
(兩脇作痛), 추웠다 더웠다 를 반복하며(寒熱往來), 두통이 있고 눈앞이 앗
찔 하면서 캄캄해지기도 하고(頭痛目眩), 입과 목 구멍이 건조해지고(口燥
咽乾), 정신적으로 피로하고(精神疲勞), 소 식하며(食少), 월경불순(月經不
順), 유방이 팽팽하게 붓고(乳房作 脹), 맥현(脈弦) 혹은 맥허(脈虛) 등을 다
스린다.
※ 신(神)이란 수곡(水穀)의 정기(精氣)이다. 『靈樞․平人絶谷篇』에 정신피 로
(精神疲勞)와 식소(食少)는 비허(脾虛)로 운화력(運化力)이 없기 때문이 라
고 했다. 비허기약(脾虛氣弱)이면 통혈력(統血力)이 없어지고, 간울혈허
(肝鬱血虛)이 면 소설불리(疏泄不利)로 되는 까닭에 월경불순(月經不順),
유방창통(乳房 脹痛)이 된다. 이럴 때 소간(疏肝)시키고 해울(解鬱)하게 하
는 것은 당면 한 급선무이고, 양혈(養血)하고 유간(柔肝)하는 것 역시 어느
한 쪽도 소 홀히 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③ 통사요방 (痛瀉要方)
≒ 토초백출(土炒白朮)90, 초백작(炒白芍)60, 초진피(炒陳皮)45, 방풍(防
風)60. 煎하거나 혹은 丸, 혹은 散으로 하든지 모두가 좋다.
오랜 동안 泄瀉를 한 患者 : 加 炒升麻19g
效能 : 보비사간(補脾瀉肝)
主治 : 배에서 소리가 나며 배가 아프고(腸鳴腹痛), 설사하고, 설사 후 에 배가
아프기도 하고, 설태(舌苔)는 희고 얇으며(薄白) 양관 (兩關)의 맥(脈)이
조화롭지 못하여(不調) 현맥(弦脈)과 완맥 (緩脈)이 나타난다. § 만약 설
사(泄瀉)가 오래된 환자는 비기익허(脾氣益虛) 청양함 하(淸陽陷下)하므
로 승마(升麻)를 첨가하면 청양(淸陽)과 지사 (止瀉)의 효능이 더하여진
다.
3) 조화장위(調和腸胃)
⑴ 槪念 : 사기(邪氣)가 장(腸)과 위(胃)를 침범(侵犯)하여 한열(寒熱)이 래염(來染)되 였음
으로 승강실상(升降失常)으로 심하(心下)가 비만(痞滿)되고, 속이 울렁거리면서
구토하며(惡心嘔吐), 위완부(胃脘部)가 그득 차고 아르고(脘腹脹痛), 배속에서
소리가 나고 설사를 하는(腸鳴下痢) 등의 증상(症狀)이 있다.
⑵ 常用葯으로는 신개고강(辛開苦降)과 보기화중(補氣和中)을 위주로 하는 약(葯) 두 가
지를 들 수 있다.
① 신개고강약 (辛開苦降葯) : 건강(乾姜)(辛熱),황금(黃芩)(苦寒),황련(黃連)(苦寒),반하
(半夏)(辛溫)
② 보기화중약 (補氣和中葯) : 인삼(人參)(甘微苦微溫), 감초(甘草)(甘平).
⑶ 葯의 歸經 肝經 : 황연(黃連).
膽經 : 황금(黃芩).
心經 : 건강(乾姜), 황연(黃連), 감초(甘草).
脾經 : 건강(乾姜), 반하(半夏), 인삼(人參), 감초(甘草).
胃經 : 건강(乾姜), 황금(黃芩), 황연(黃連), 반하(半夏), 감초(甘草).
肺經 : 건강(乾姜), 황금(黃芩), 반하(半夏), 인삼(人參).
大腸 : 황금(黃芩), 황연(黃連).
⑷ 代表方
반하사심탕 (半夏瀉心湯)
≒ 반하(半夏)9, 황금(黃芩)6, 건강(乾姜)6, 자감초(炙甘草)6, 황련(黃 連)3, 인
삼(人參)6, 대조(大棗)十二枚.
上七味를 물 一斗로 달여 六升에서 去滓하고 다시달여 三升에서 취한다.
一升씩 一日三回 溫服한다.
效能 : 화위강역(和胃降逆), 개결제비(開結除痞)
主治 : 위기불화(胃氣不和)로 심하(心下)가 비만(痞滿)하지만 불통(不通)하 고, 건
구(乾嘔) 혹은 구토(嘔吐)하며, 장명하리(腸鳴下痢)하고, 설태 박황(舌苔薄
黃)과 니(膩)하고 맥(脈)은 현삭(弦數)한 것을 다스린다.
註 ① 사역(四逆) : 수족(手足)이 불온(不溫)한 것과 사지궐역(四肢厥逆)이란 것이 있는데
이는 양기(陽氣)가 사지(四肢)에 이르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병이다.
② 사역증(四逆證)이란 사지궐역(四肢厥逆)의 약칭으로 한증(寒症)이 사지말단(四肢
末端)으로부터 상역(上逆)하며 냉각(冷却)되는 증(症)을 가리킨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