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uche
침전73 / 활육문 (滑肉門) - 흠침 (欽針)
활육문 (滑肉門)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24 定位 : 배꼽위(臍上) 1寸, 전정중선(前正中線) 좌우 2寸. 主治 : 구토(嘔吐), 위통증(胃痛症), 급만성위장염(急慢性胃腸炎), 신장 염(腎 臟炎), 자궁내막염(子宮內膜炎),...
서선영
7. Jan. 20197 Min. Lesezeit
43 Ansichten

침전72 / 현추 (懸樞) - 환도 (環跳)
현추 (懸樞) : 독맥(督脈) GV-5 定位 : 제1 요추(腰椎) 극돌(棘突)아래. 主治 : 요척견통(腰脊堅痛), 복창(腹脹), 복통(腹痛), 설사(泄瀉), 이질(痢疾), 탈항 (脫肛), 위하수(胃下垂), 요척강통(腰脊强痛),...
서선영
7. Jan. 20198 Min. Lesezeit
58 Ansichten
침전71 / 합곡자 (合谷刺) - 현종 (懸鍾)
합곡자 (合谷刺) : 【령추․관침편】에 “비병(脾病)에 응용하는 고대(古代)의 침법(針法)이다.”라고 한 오자법(五刺法)의 일종으로써 기비(肌痹)를 치료하는데 쓴 다. 자법(刺法) 은 환부(患部)의 좌우 양쪽 외면으로부터 직접 근육(筋 肉)...
서선영
7. Jan. 20195 Min. Lesezeit
65 Ansichten
침전70 / 하관 (下關) - 합곡 (合谷)
하관 (下關)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7 【甲乙】에 족양명(足陽明), 족소양(足少陽)의 會 定位 : 권골궁(顴骨弓)과 하합골(下頜骨) 사이의...
서선영
7. Jan. 20197 Min. Lesezeit
23 Ansichten
침전69 / 풍지 (風池) - 하거허 (下巨虛)
풍지 (風池) :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 - 옛 담경(膽經) GB-20 【甲乙】에 족소양(足少陽), 양유(陽維)의 會 【奇經八脈考】에 수족소양(手足少陽),...
서선영
7. Jan. 20196 Min. Lesezeit
24 Ansichten

침전68 / 포문 (胞門) - 풍시 (風市)
포문 (胞門) : 기혈(寄穴) - 하복부(下腹部) 定位 : 관원혈(關元穴) 좌측(左側) 2寸 效能 : 익신기(益腎氣), 이방광(利膀胱), 조포궁(調胞宮). 主治 : 불임증(不姙症)(infertilitas), 복강내(腹腔內) 적취(積聚),...
서선영
7. Jan. 20195 Min. Lesezeit
13 Ansichten

침전67 / 퇴열점 (退熱点) - 폐수 (肺兪)
퇴열점 (退熱点) : 수침혈(手針穴) 定位 : 수배(手背), 중지요측(中指橈側) 손가락 사이 主治 : 발열(發熱), 안병(眼病). 투천량법 (透天凉法) 고대 침자수법의 일종이다. 이는 열증치료(熱證治療)에 쓰이는 방법으로 사법(瀉法) 에 속한다....
서선영
7. Jan. 20195 Min. Lesezeit
20 Ansichten
침전66 / 태백 (太白) - 통천 (通天)
태백 (太白) :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 오수혈(五輸穴)의 수혈(輸穴)(土), SP-3 원혈(原穴)(락혈(絡穴)은 공손(公孫)) 定位 : 제 1척골(尺骨)...
서선영
7. Jan. 20196 Min. Lesezeit
26 Ansichten
침전65 / 침구치료원리 (治療原理) - 태단 (兌端)
침구치료원리 (針灸治療原理) 1) 陰陽調和 음양학설(陰陽學說)이 동의학(東醫學) 영역(領域)에서는 그 응용(應用)이 아주 광범위(廣範 圍)하다. 경락(經絡), 장부(臟腑)는 물론이고 병인(病因), 병기(病機) 또 변증시치(辨證施治)까 지...
서선영
7. Jan. 20198 Min. Lesezeit
28 Ansichten
침전64 / 충문 (冲門) - 침구치료법칙 (針灸治療法則)
충문 (冲門) :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SP-12 족태음(足太陰), 궐음(厥陰)의 會 定位 : 치골연합(耻骨聯合) 상연 중점 좌우 3.5寸, 고동맥(股動脈) 외측....
서선영
7. Jan. 201911 Min. Lesezeit
16 Ansichten
침전63 / 천천 (天泉) - 충맥 (衝脈)
천천 (天泉) : 수궐음격경(手厥陰膈經) - 옛 심포경(心包經) PC-2 定位 : 액와(腋窩) 주름끝 아래 2寸, 굉이두기(肱二頭肌)의 장, 단두(長, 短頭) 사이. 主治 : 심교통(心絞痛), 심계항진(心悸亢進,怔忡), 흉협창만(胸脇脹滿),...
서선영
7. Jan. 20196 Min. Lesezeit
17 Ansichten
침전62 / 천돌 (天突) - 천창 (天窗)
천돌 (天突) : 임맥(任脈) CV-22 음유맥(陰維脈) 임맥(任脈)의 會 定位 : 흉골(胸骨)위 함요부(陷凹部) 중간, 정좌(正坐)후 머리를 약간 뒤로 한후 취 혈(取穴)한다. 效能 : 선폐조기(宣肺調氣),...
서선영
7. Jan. 20196 Min. Lesezeit
14 Ansichten
침전61 / 진침법 (進針法) - 천계 (天溪)
진침법 (進針法) 1. 단수진침법(單手進針法) 母指(모지) 食指(식지)로 針(침)을 쥔 刺手(자수)의 中指(중지)끝을 穴(혈)위에 대고 中指 중지) 前面(전면)은 침 하단을 부축하여 針(침)을 찌를 때 중지를 굽히면서 要求(요구)되 는 깊이에...
서선영
7. Jan. 20196 Min. Lesezeit
74 Ansichten
침전60 / 지구 (支溝) - 진기법 (進氣法)
지구 (支溝) :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 TE-6 오수혈(五輸穴)의 경혈(經穴)(火) 定位 : 수배(手背) 횡문(橫紋) 위 3寸, 척골(尺骨)과...
서선영
7. Jan. 20196 Min. Lesezeit
14 Ansichten
침전59 / 중료 (中髎) - 지구 (止嘔)
중료 (中髎)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BL-33 【素問】 자요통론(刺腰痛論)에 족태양(足太陽), 궐음 (厥陰), 소양(少陽) 3 맥이 좌우로 중간에...
서선영
7. Jan. 20197 Min. Lesezeit
14 Ansichten

침전58 / 주치규률 (主治規律) - 중려수 (中膂兪)
주치규률 (主治規律) : 십사경(十四經) 수혈(腧穴)의 분경주치(分經主治)는 본경(本經)의 병증(病證)도 치료 하고 이경(二經) 혹은 삼경(三經)의 서로 같은 병증(病症)을 치료할 수 있는 것을 말 한다. 主治規律的 腧穴主治의 異同分經 주치범위...
서선영
7. Jan. 20194 Min. Lesezeit
26 Ansichten
침전57 / 족양명위경 (足陽明胃經) - 주첨 (肘尖)
족양명위경 (足陽明胃經)(ST) 穴名 : 承泣 → 廬兌 45個穴 : 承泣(승읍)ST1, 四白(사백)ST2, 巨髎(거료)ST3 地倉 (지창)ST4, 大迎(대영)ST5, 頰車(협거)ST6, 下關(하 관)ST7, 頭維(두 유)ST8,...
서선영
7. Jan. 201911 Min. Lesezeit
20 Ansichten
침전56 / 족삼리(足三里) - 족소음신경 별락 (足少陰腎經 別絡)
족삼리 (足三里)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36 오수혈(五輸穴)의 합혈(合穴)(土), 위(胃)의 하합혈(下合穴) 定位 : 독비혈(犢鼻穴)아래 3寸, 경골(脛骨)앞...
서선영
7. Jan. 20196 Min. Lesezeit
22 Ansichten
침전55 / 제탁 (提托) - 족림읍 (足臨泣)
제탁 (提托) : 기혈(寄穴) - 흉복부(胸腹部) 定位 : 배꼽아래(臍下) 3寸에서 좌우 4寸. 主治 : 자궁탈수(子宮脫垂), 하복부통증(下腹部痛症), 산기(疝氣), 월경통(月 經痛), 복창(腹脹), 신하수(腎下垂). 臨床 : ①...
서선영
7. Jan. 20195 Min. Lesezeit
25 Ansichten
침전54 / 전중 (膻中) - 제중사변 (臍中四邊)
전중 (膻中) : 임맥(任脈) CV-17 격(膈)의 모혈(募穴)(수혈(兪穴)은 궐음수(厥陰兪)), 팔회혈(八會穴)의 기회(氣會). 족태음경(足太陰經), 족소음경(足少陰經), 수태양경(手太 陽經), 수소...
서선영
7. Jan. 20196 Min. Lesezeit
28 Ansichten
침전53 / 장요 (腸遶) - 전정 (前頂)
장요 (腸遶) : 기혈(寄穴) 定位 : 옥천혈(玉泉穴)을 사이에 두고 좌우 각 2寸 主治 : 변비(便秘). 治法 : 구법(灸法)은 나이 수만큼 뜬다. 적주법 (滴酒法) : 부항단지 속 중간쯤 95% 알콜 1-2 방울 떨어드린 후 단지를 옆으로 ...
서선영
7. Jan. 20195 Min. Lesezeit
12 Ansichten

침전52 / 자궁 (紫宮) - 장문 (章門)
자궁 (紫宮) : 임맥(任脈) CV-19 定位 : 전정중선(前正中線) 제 2 늑간극(肋間隙)과 평행(平行). 主治 : 해수(咳嗽), 기천(氣喘), 천식(喘息), 기관지확장(氣管支擴張), 흉통(胸 痛), 폐 결핵(肺結核), 인염(咽炎),...
서선영
7. Jan. 20196 Min. Lesezeit
25 Ansichten
침전51 / 이혈 진단법 (耳穴) - 자궁 (子宮)
이혈진단법 (耳穴診斷法) 귀혈(耳穴)은 치료에 사용할 뿐만 아니라 진단(診斷)에도 의의(意義)가 있다. 인체 에 병리변화(病理變化)가 생기면 때때로 귀곽(耳廓)의 상응구역에 이상반응(異常 反 應)이 생긴다. 예를 들면 간(肝)에 병리변화가 생기면...
서선영
7. Jan. 20197 Min. Lesezeit
24 Ansichten
침전50 / 이침조작방법(耳針)- 이주(耳舟)
이침조작방법 (耳針操作方法) 귀침(耳針)의 조작(操作)은 기본상 체침(體針)과 같으며, 임상(臨床)의 광범한 응 용에 따라 침자법(針刺法), 전기침(電氣針), 매침(埋針), 압환(壓丸) 등의 조작이 있음을 다음과 같이 나누어 서술한다. 1....
서선영
7. Jan. 20197 Min. Lesezeit
35 Ansichte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