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uche
전승 75 七惡證(칠악증)
七惡證(칠악증) 칠악증(七惡證) 이란? 창양(瘡瘍)의 7가지 위험한 증후(證候)를 가리킨다. 이에 대하여 2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제덕(齊德)의 설(說)이요 다른 하나는 진실공(陳實功)의 설(說)이다. 그런가 하면 같은 창양(瘡瘍)에 속하는...
서선영
2. Juni 20212 Min. Lesezeit
53 Ansichten
전승 72 治心(치심)
治心(치심) 【東醫寶鑑(동의보감)】 臞仙(구선)이 가로되「옛날에 神聖(신성)한 醫員(의원)은 능히 사람의 마음을 다스려서 미리 병이 나지 않도록 하였는데, 지금 醫員(의원)은 오직 사람의 병만 다스리고 마음을 다스릴 줄 모르니 이것은...
서선영
2. Juni 20215 Min. Lesezeit
44 Ansichten
전승 71 痹證(비증)
痹證(비증) 痹(비)란 막혀서 通(통)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四肢(사지)가 몸 또는 內臟(내장)의 經絡(경락)에 막혀서 일어나는 病症(병증)을 말한다. 그러나 대체로 風, 寒, 濕(풍,한,습) 3가지 邪氣(사기)가 肌表(기표)의...
서선영
2. Juni 20216 Min. Lesezeit
157 Ansichten
전승 70 脈(맥)과 脈病處方(맥병처방)
脈(맥)과 脈病處方(맥병처방) 六腑脈(육부맥) 小腸脈(소장맥)은 微(미)하고 洪(홍)하며, 大腸脈(대장맥)은 微(미)하고 濇(색, 澁(삽))하며, 膀胱脈(방광맥)은 微(미)하고 沈(침)하며, 膽脈(담맥)은 微(미)하고 弦急(현급)하며,...
서선영
2. Juni 20213 Min. Lesezeit
44 Ansichten
전승 69 厥(궐)
厥(궐) 東洋醫學(동양의학)에서 보는 厥(궐)이란 氣血(기혈)이 順行(순행)하지 못하고 逆亂(역란)을일으켜 갑자기 졸도하고 人事不省(인사불성)이 되는 증상을 보이고 있는 일종의 病證(병증)을 말하는 것으로서 각기 그 증상에 따라 분류하였는데...
서선영
2. Juni 20215 Min. Lesezeit
33 Ansichten
전숭 73 癭(영)
癭(영) 癭(영)을 癭氣(영기)라고도 한다. 보통 목이 커지는 病(병)으로 인식하고 있는 甲狀腺腫大(갑상선종대)에 속하는 질병이다. 대부분의 환자가 情緖的(정서적)으로 憂鬱(우울)하거나 성(怒)을 잘 내거나 지나친 근심, 걱정 등의 생각에 의해...
서선영
2. Juni 20212 Min. Lesezeit
17 Ansichten
전승 74 痰(담)
痰(담) 痰(담)이란 呼吸道(호흡도)에서 분비되는 病理的(병리적) 産物(산물)인 가래를 가리키는데 여기에는 일부 病變器官組織(병변기관조직)의 내부에 축적되어 있는 粘液物質(점액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痰(담)은 津液(진액)이 변화되어 이루어진...
서선영
2. Juni 20212 Min. Lesezeit
24 Ansichten
전승 68 五臟病(오장병)
오장병 (五臟病) 金匱要略(금궤요략) 本篇(본편)은 五臟(오장)의 中風(중풍), 中寒(중한), 死臟(사장), 五臟病(오장병), 三焦病(삼초병) 및 積(적), 聚(취) 에 관해서 서술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中風(중풍), 中寒(중한)은 風寒(풍한)의...
서선영
17. März 20209 Min. Lesezeit
39 Ansichten
전숭67 飮食禁忌(음식금기)
飮食禁忌(음식금기) 이 장에서 말하는 飮食禁忌(음식금기)란 사람이 음식을 먹는대 주의해야할 점을 네 가지 특수 상황으로 분리해서 지적하고 있다. 첫째는 姙娠婦(임신부)가 禁忌(금기) 및 愼重(신중)해야 하는 飮食(음식), 둘째는 葯草(약초)와...
서선영
6. Aug. 201927 Min. Lesezeit
60 Ansichten
전승 66 奇病論(기병론)
奇病論(기병론) 본편에서는 항상 볼 수 있는 病(병)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間或(간혹) 볼 수 있는 病(병)들을 奇病(기병)이라고 한다. 즉 희귀한 병을 말하고 奇怪(기괴)한 病(병)들을 말한다. 역시 黃帝(황제)가 묻고 岐伯(기백)이 대답하는...
서선영
26. Jan. 20193 Min. Lesezeit
20 Ansichten
전승 65 刺咳論(자해론)
刺咳論(자해론) 本篇(본편)은 靈樞(령추)에 있는 咳論篇(해론편)을 인용한 것이다. 이것을 針灸大成(침구대성)에서는 刺咳論(자해론)이라고 하였다. 그 내용은 각 五臟六腑(오장육부)에서 일어나는 咳嗽(기침)과 病理(병리), 그리고...
서선영
26. Jan. 20193 Min. Lesezeit
17 Ansichten
전승 64 刺瘧論(자학론)
刺瘧論(자학론) 이편에서는 瘧疾(학질)에 의한 苦痛(고통)과 兼症(겸증)을 밝히고 있으며 치료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瘧疾(학질)은 寒熱病(한열병)이며 현대의 이름으로는 間歇熱(간헐열)이다. - 膀胱經(방광경)에서 일어나는 瘧疾(학질)은...
서선영
26. Jan. 20194 Min. Lesezeit
19 Ansichten
전승 63 刺熱論(자열론)
刺熱論(자열론) 본편에서는 五臟熱病(오장열병)의 성질과 症狀(증상) 그리고 惡化(악화)되는 시기와 위험한 시기 등과 治療方法(치료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黃帝(황제)가 岐伯(기백)이라는 선생에게 묻기를 「五臟(오장)의 熱病(열병)은...
서선영
26. Jan. 20195 Min. Lesezeit
25 Ansichten
전승 62 刺要, 刺齊, 刺志論
刺要(자요), 刺齊(자제), 刺志論(자지론) 刺要(자요), 刺齊(자제), 刺志論(자지론) 刺要論(자요론) 본편에서는 針(침)을 찌르는 중요한 방법을 밝히는 것으로 刺要(자요)라고 부른 것이다. 이하의 편에서는 刺齊(자제), 刺禁(자금),...
서선영
26. Jan. 20194 Min. Lesezeit
17 Ansichten
전승 61 刺腰痛論(자요통론)
刺腰痛論(자요통론) 본편은 內經(내경), 素問(소문)의 刺腰痛論(자요통론)을 그대로 인용한 것이다. 腰痛(요통)이 일어난 원인과 經絡關係(경락관계)를 설명하고 腰痛治療(요통치료)의 要穴(요혈)과 刺鍼(자침)의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도...
서선영
26. Jan. 20194 Min. Lesezeit
30 Ansichten
전승 60 長刺節論 및 皮部論
長刺節論(장자절론) 및 皮部論(피부론) 長刺節論(장자절론) 본편은 針(침)을 관절에 깊이 찌르는 것을 설명하는 것으로 秘結的(비결적)인 방법이라고 하고 있다. 이것은 診脈(진맥)을 하지 않고서도 가능한 것으로 病人(병인)의 증상을 듣고 질병의...
서선영
24. Jan. 20193 Min. Lesezeit
16 Ansichten
전승 59 百症賦(백증부)
百症賦(백증부) 百症賦(백증부)는 明(명)나라 때에 四明鍼灸家(사명침구가)인 高武(고무)씨의 編著(편저)로서 최초에는『針灸聚英(침구취영)』에 기록된 것이다. 이것은 百病(백병)을 치료할 수 있는 要穴(요혈)을 통속적인 의사로 표시하여 사용하고...
서선영
24. Jan. 20195 Min. Lesezeit
126 Ansichten
전승 58 蘭江賦(난강부)
蘭江賦(난강부) 蘭江賦(난강부)는 楊繼洲(양계주)가 저술한 내용으로 取穴方法(취혈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蘭江(난강)이란 이름은 中國(중국) 湖南(호남)에 있는 灃水(풍수)의 별명으로 이 이름을 따온 것이다. 取穴方法(취혈방법)에는...
서선영
24. Jan. 20193 Min. Lesezeit
35 Ansichten
전승 57 靈光賦(령광부)
靈光賦(령광부) 본편은 鍼灸大全(침구대전)에 나온 것이나 靈光(령광) 2자가 어디에서 나온 말인지 考證(고증)할 수 없으니 賢達之士(현달지사)가 보충한 내용이라고 볼 수 있다.黃帝(황제)와 岐伯(기백)의 鍼灸秘訣(침구비결)은 다른 사람에 의해서...
서선영
24. Jan. 20192 Min. Lesezeit
44 Ansichten
전승 56 流注指微賦(류주지미부)
流注指微賦(류주지미부) 본편 역시 竇漢卿(두한경)의 저서로서 氣血(기혈)이 流注(류주)하는 開闔(개합)과 補瀉法上(보사법상)의 조작법을 말하고 있다. 각종의 방법은 단른 편에서 散見(산견)되는 것이나 여기에서는 특히 중요한 사항을 설명하고...
서선영
24. Jan. 20194 Min. Lesezeit
22 Ansichten
전승 55 痛玄指要賦(통현지요부)
痛玄指要賦(통현지요부) 본편은 標幽賦(표유부)의 作者(작자) 竇漢卿(두한경)의 저서로서 經絡系統(경락계통)과 치료적인 규율을 정리하였고 특히 內經(내경)의 病機篇(병기편)을 기초로 病例(병예)를 설명하였으며 取穴(취혈)하는 데도 手足(수족)의...
서선영
24. Jan. 20194 Min. Lesezeit
42 Ansichten
전승 54 標幽賦(표유부)
標幽賦(표유부) 본편은 金, 元時代(금,원시대)의 유명한 鍼灸學者(침구학자)인 竇漢卿(두한경)의 저작으로서 針灸(침구)의 원리가 깊고 오묘하며 은밀함을 비상하게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 있는 내용은 고전에 기재된 것을 근거로 기재하였다. 이 내용은...
서선영
24. Jan. 201910 Min. Lesezeit
93 Ansichten
전승 53 席弘賦(석홍부)
席弘賦(석홍부) 본편은 원래 鍼灸大全(침구대전) 중에 있었다. - 鍼術(침술)을 연구하고자 하는 사람은 먼저 經穴學(경혈학)을 알아야 하고 다시 迎隨補瀉(영 수보사)의 手法(수법)을 밝게 알아야 하며, 胸背左右(흉배좌우)의 陰陽(음양)이 같지...
서선영
24. Jan. 20195 Min. Lesezeit
46 Ansichten
전승 52 金鍼賦(금침부)
金鍼賦(금침부) 본편은 古代(고대)의 鍼術(침술) 手技法(수기법)의 조작을 설명한 것으로 표제를 金鍼賦(금침부)라고 한 것이다. 원래 金鍼(금침)이란 純金(순금)으로 만든 鍼(침)을 뜻한다. 그러나 실제 내용에 있어서는 鍼術(침술)에 유능한...
서선영
24. Jan. 20198 Min. Lesezeit
35 Ansichte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