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臨床 70 /月經 經間期出血(경간기출혈)


經間期出血(경간기출혈)

무릇 月經(월경)과 月經(월경) 사이에 있는 즉 그 기운이 縕全(온전)하고 풍부한 때에(卽絪

縕之時) 주기성을 가지고 출혈하는 사람을 經間期出血(경간기출혈)이라 칭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1) 腎陰虛 : 선천적으로 타고난 품부가 부족(禀賦不足)하거나 혹은 방노가 과극하고 출산을

많이 하게 되어 신을 상하였거나(房勞多産傷腎), 신음이 부족(腎陰不足)하고, 정

이 줄고 혈을 손상하면(精虧血損), 천지의 기운이 풍부하고 왕성한 때에(于絪縕

之時), 양기가 내동(陽氣內動)하여, 음락을 손상하고(損傷陰絡), 충임이 견고하지

못함으로(冲任不固), 인해서 출혈(因而出血) 한다.

2) 濕熱 : 마음에 품은 뜻을 펼치지 못하며(情懷不暢), 간기가 울체되니(肝鬱氣滯), 木克土(목

극토)인 지라 肝木(간목)의 相克(상극)인 脾土(비토 脾胃)를 克伐(극벌)하게 되어,

水谷精微(수곡정미)의 淸血(청혈) 산생이 불가능 하고, 成濕(성습)을 聚(취)하게 되

며, 습사가 아래로 내려가(濕邪下注) 쌓여서 生熱(생열)하고, 絪縕之時(인온지시)에

양기가 내동(陽氣內動)함으로 내열을 일으켜서(引動內熱) 충임맥을 열상(熱傷冲

任)하는 고로 출혈(故出血)을 한다.

3) 血瘀 : 체질이 부족(體質不足)한데다가 해산으로 인하여 어혈이 체류되어(復因經産留瘀)

포락에 어혈이 조체되고(瘀阻胞絡), 혹은 칠정내상(或因七情內傷)으로 충임맥의

기체로(氣滯冲任) 오래 어혈를 형성하고 있으면(久而成瘀) 기운이 온전(縕全)하고

풍부한 때에(絪縕之時) 양기가 내동(陽氣內動)하여, 이것이 어혈로 되고(動乎瘀血)

포락을 손상(損傷胞絡)함으로 출혈하게 되는 것이다(以致出血).

辨證施治(변증론치)

1) 腎陰虛(신음허)

證狀 : 經間期(경간기)에 出血(출혈)을 하는데 량이 적거나 혹은 약간 많은 편이고(稍多)

色鮮紅(색선홍) 質稠(질조)하고, 无血塊(무혈괴)에, 腹不痛(복불통)하며 頭暈腰酸

(두운요산)하고, 耳鳴(이명), 手足心熱(수족심열), 夜寐不寧(야매불녕), 便艱(변간),

尿黃(뇨황), 舌紅(설홍), 苔少(태소) 脈細數(맥세삭).

分析 : 신음이 휴손되어(腎陰虧損) 경간기에(在絪縕之時) 양기가 내동(陽氣內動)하고, 음

락이 손상되어(損傷陰絡), 충임이 견고하지 못함으로(冲任不固) 인하여 출혈한다

(因而出血). 다만 사열이 전박(邪熱煎迫)하지 않지만 혈량이 많이 않아(血量不多),

음허양동(陰虛陽動)하는 고로 색이 선홍(色鮮紅)하다.

신음이 허(腎陰虛)한 고로 두운요산(頭暈腰酸)하고 잠들기 어려운 것이다(難寐). 음

액이 부족(陰液不足)한 고로 대변을 보기 어렵고 오줌색이 진하며(便難而尿黃). 설

홍(舌紅), 태소(苔少)하고 맥은 세삭(脈細數)하다. 혹은 脈細弦略數(맥세현약삭)을

위주로 하는 것은 腎陰虛損(신음허손)의 징후를 가리키는 것이다.

治法 : 滋腎益陰(자신익음), 固冲止血(고충지혈).

方葯 : 加减一陰煎(가감일음전)《景岳全書(경악전서)》

≒ 生地(생지), 白芍(백작), 麥冬(맥동), 熟地(숙지), 甘草(감초), 知母(지모),

地骨皮(지골피).

方解 - ① 生地(생지), 熟地(숙지), 知母(지모) : 滋腎益陰(자신익음).

② 地骨皮(지골피) : 瀉陰火(사음화)

③ 白芍(백작) : 和血斂陰(화혈렴음).

④ 麥冬(맥동) : 養陰淸心(양음청심).

⑤ 甘草(감초) : 調和諸葯(조화제약).

만일 :① 頭暈耳鳴者(두운이명자) : 酌加 珍珠母(진주모), 生牡蠣(생모려).

② 夜寐不寧者(야매불녕자) : 酌加 遠志(원지), 夜交藤(야교등).

③ 出血期(출혈기) : 酌加 旱蓮草(한련초), 炒地楡(초지유), 三七(삼칠)

2) 脾氣虛(비기허)

證狀 : 經間期出血(경간기출혈), 量少(량소), 色淡(색담), 質稀(질희), 神疲体倦(신피체권),

氣短懶言(기단나언), 食少腹脹(식소복창), 舌淡(설담), 苔薄(태박), 脈緩弱(맥완약).

分析 : 비기가 허약(脾氣虛弱)하고, 충임이 견고하지 못하여(冲任不固), 경간기에(于絪縕

期), 양기가 부족(陽氣不足)하여, 기혈을 통섭하지 못하므로(不能統攝氣血) 인해서

출혈(出血)을 한다. 비가 허하여 생화의 원천이 부족(脾虛化源不足)한 고로 월경량

이 적고(故經量少), 색이 담담하고 질이 묽다(色淡質稀); 비기허약(脾氣虛弱)하여

중양불진(中陽不振)한 고로 신피체권(神疲体倦)하고, 숨이 차며 말할 의욕이 없다

(氣短懶言); 소화 기능을 실직(運化失職)한즉 소식하고 배가 창만하다(食少腹脹).

설담(舌淡), 태박(苔薄), 맥세약(脈細弱)은 비기허(脾氣虛)의 징후(徵候)이다.

治法 : 健脾益氣(건비익기), 固冲攝血(고충섭혈).

處方 : 歸脾湯(귀비탕)

≒ 인삼(人蔘)15, 백출(白朮), 황기(黃芪), 복령(茯苓), 용안육(龍眼肉), 산조인

(酸棗仁) 각30, 목향(木香)15, 당귀(當歸)3, 원지(遠志)3 감초(甘草)8, 생강

(生姜)5편(片), 대조(大棗)1매(枚).

3) 濕熱(습열)

證狀 : 經間期出血(경간기출혈), 血色深紅(혈색심홍), 質稠(질조), 평상시에 帶下量(대하

량)이 많고 色黃(색황)하며 아랫배가 때로는 아프고(小腹時痛), 마음이 괴로우며 구

갈이 나고(心煩口渴), 입이 쓰고 목구멍이 마르며(口苦咽干), 舌紅(설홍), 苔黃膩(태

황니), 脈滑數(맥활삭).

分析 : 습열이 안에 쌓이어(濕熱內蘊), 경간기에(于絪縕期) 양기가 내동하는 때는(陽氣內

動之時), 습열을 끌어 당겨(引動濕熱), 충임을 손상시키고(損傷冲任), 혈을 다그쳐

허망하게 돌아다니게(迫血妄行) 함으로 출혈(出血)이 된다. 습열이 혈을 결박하는

(濕熱與血搏結) 고로 혈색이 심홍(血色深紅)하고, 질이 빽빽하게 되다(質稠); 습열

이 박결(濕熱搏結)하여 어체 되고 불통(瘀滯不通)하여 아랫배가 아프다(小腹作痛);

습열이 하초로 흘러 내려가(濕熱流注下焦), 대맥이 약속을 실직(帶脈失約)하는 고

로 대하량(帶下量)이 많고 색이 누렇다(色黃); 습열이 훈증(濕熱薰蒸)하는 고로 입

이 쓰고 목구멍이 마르며(口苦咽干), 마음이 괴롭고 구갈이 나며(心煩口渴), 설홍

(舌紅)에 태는 누렇고 미끈거리며(苔黃膩), 맥활삭(脈滑數)한 것은 습열(濕熱)의 상

(象)이다.

治法 : 淸利濕熱(청리습열)

方葯 : 淸肝止淋湯(청간지림탕)《傳靑主女科(전청주여과)》

去 阿膠(아교), 紅棗(홍조).

加 茯苓(복령), 炒地楡(초지유).

≒ 當歸(당귀), 白芍(백작), 生地(생지), 阿膠(아교), 丹皮(단피), 黃柏(황백),

牛膝(우슬), 香附(향부) 小黑豆(소흑두), 紅棗(홍조). 黃柏(황백), 黑豆

(흑두), 茯苓(복령) : 淸熱解毒(청열해독), 利水除濕(이수제습)

方解 - ① 香附(향부), 丹皮(단피), 牛膝(우슬) : 理氣 活血 止痛.

② 當歸(당귀), 白芍(백작) : 養血柔肝, 緩急止痛.

③ 生地(생지), 炒地楡(초지유) : 凉血止血(량혈지혈)

加减 - ① 出血期間(출혈기간)- 去 當歸(당귀), 香附(향부), 牛膝(우슬).

加 茜草根(천초근), 烏賊骨(오적골).

② 帶下量多(대하량다)- 酌加 馬齒莧(마치현), 土茯苓(토복령).

③ 食欲不振(식욕부진) 혹 食后腹痛(식후복통) 去 生地(생지), 芍葯(작약).

酌加 厚朴(후박), 麥芽(맥아),

④ 大便不爽(대변불상)- 去 當歸(당귀), 生地(생지).

酌加 薏苡仁(의이인), 白萹豆(백편두).

4) 瘀血(어혈)

證狀 : 經間期出血(경간기출혈), 量少或多(량소혹다), 色紫黑(색자흑), 或有血塊(혹유혈

괴), 少腹兩側소복양측) 脹痛或刺痛(창통혹자통) 拒按(거안), 情緖抑鬱(정서억울),

胸悶煩躁(흉민번조) 舌紫暗(설자암) 或有瘀点(혹유어점), 脈細弦(맥세현) 혹 脈澁

有力(맥삽유력)

分析 : 血瘀(혈어)이 冲任(충임) 胞絡(포락)에 阻滯(조체)되어 경간기에(于絪縕 期) 양기가

내동(陽氣內動)하면 어혈을 끌어당겨(引動瘀血), 혈이 경락을 순행하지 못하며(血

不循經) 출혈(出血)을 하게 되고, 혈색이 자암(血色紫暗)하며, 혈괴가 섞여 있다(挾

有血塊); 포맥에 어혈이 조체되며(瘀阻胞脈), 기기가 불창(氣機不暢)하는 고로 정지

가 억울(情志抑鬱)하다. 설자암(舌紫黯)하거나 혹은 어점(瘀点)이 있으며, 맥삽유력

(脈澁有力) 혹은 細弦(세현)을 위주로 하는 것은 血瘀(혈어)의 徵候(징후)이다.

治法 : 化瘀止血(화어지혈) - 活血散瘀(활혈산어), 養陰止血(양음지혈).

方葯 : 逐瘀止血湯(축어지혈탕)

≒ 生地(생지), 大黃(대황), 赤芍(적작), 丹皮(단피), 歸尾(귀미), 枳殼(지각),

桃仁(도인), 龜板(구판).

方解 - ① 生地(생지), 歸尾(귀미), 赤芍(적작) : 養血活血(양혈활혈).

② 桃仁(도인), 大黃(대황), 丹皮(단피) : 活血祛瘀(활혈거어).

③ 枳殼(지각) : 行氣散瘀(행기산어).

④ 龜板(구판) : 養陰止血(양음지혈).


2. 임상 (臨床)

1) 경간기출혈(經間期出血).- 인습열자(因濕熱者), 색홍질점니(色紅質粘膩) 무혈괴 (无血塊)

여적대(如赤帶) 신피핍력(神疲乏力) 골절산초(骨節痠楚) 흉민번조(胸悶煩躁)

납매(納呆) 소변단적(小便短赤) 대하역다(帶下亦多) 질점니(質粘膩) 설태황

니(舌苔黃膩)설근부태교후(舌根部苔較厚) 맥세현(脈細弦).

방 : 청간지림탕(淸肝止淋湯)《傳靑主女科》경산제(經産劑)

≒ 우슬(牛膝), 향부(香附), 흑두(黑豆), 홍조(紅棗), 당귀(當歸), 주초생지(酒炒

生地), 단피분(丹皮酚), 초초백작(醋炒白芍), 아교(阿膠), 황백(黃柏).

2) 경간기출혈(經間期出血) 인혈어자(因血瘀者).- 경량(經量) 혹다혹소(或多或少) 색자흑(色

紫黑) 혹유혈괴(或有血塊) 소복양측(少腹兩側) 창통(脹痛) 혹자통(或刺痛), 흉

민번조(胸悶煩躁) 설질암홍(舌質暗紅) 혹유자점(或有紫点) 맥세현(脈細弦)

방 : 축어지혈탕(逐瘀止血湯)《傳靑主女科》경산제(經産劑)

≒ 대황(大黃), 당귀미(當歸尾), 적작(赤芍), 구판(龜版), 도인(桃仁), 지각(枳

殼), 생지황(生地黃), 모단피(牡丹皮).

方解 - ① 생지(生地), 귀미(歸尾), 적작(赤芍) : 양혈활혈(養血活血)

② 도인(桃仁), 대황(大黃), 단피(丹皮) : 활혈거어(活血祛瘀)

③ 지각(枳殼) : 행기산어(行氣散瘀)

④ 구판(龜板) : 양음지혈(養陰止血)

3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Comentarios


Los comentarios se han desactivado.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