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臨床 110 / 瞳神 6. 白內障(백내장)



백내장(白內障)

변증시치(辨證施治)

① 노인성(老人性) 백내장(白內障)과 당뇨(糖尿)로 인한 백내장(白內障)에 효과적(效果

的)인 처방으로 손발이 차고, 소변장애(小便障碍, 不利, 尿漏, 尿閉)가 있으며 위장

(胃腸)이 비교적 튼튼한 사람에게 쓴다.

팔미환(八味丸)

≒ 숙지황(熟地黃)320,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各150, 모단피(牡丹皮), 백복

령(白茯苓), 택사(澤瀉) 各120, 계지(桂枝), 부자(附子) 各40.

- 가루 내어 꿀로 반죽해서 0.3g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0~70 알씩

하루에 2~3 번 공복(空腹)에 온주(溫酒)나 염탕(鹽湯)으로 송하(送下)한

다.

- 혹 제량(劑量)을 탕제(湯劑)에 맞게 20첩으로 만들어 수전복(水煎服)한다.

② 백내장(白內障) 환자(患者)중에 위장(胃腸)이 약한 사람에게 맞는 처방으로 특히 백

내장(白內障)과 함께 빈혈(貧血) 기가 있고 안색(顔色)이 좋지 않은 사람에게 쓰면 효

과적이다.

인삼탕(人參湯)

≒ 인삼(人參), 강활(羌活), 독활(獨活), 시호(柴胡), 전호(前胡), 천궁(川芎), 적복령(赤茯苓), 지각(枳殼), 길경(桔梗), 감초(甘草) 各4, 생강(生姜)3片, 반하(半夏)미량(微量). - 수전복(水煎服)

③ 백내장(白內障) 환자(患者)중에 비교적 체력이 받쳐주는 사람에게 쓰는 처방으로 비

만(肥滿)하거나 변비(便秘)가 있는 사람에게 특히 잘 맞는다.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 활석(滑石)7, 감초(甘草)5, 석고(石膏), 황금(黃芩), 길경(桔梗)各3, 방풍(防風), 천궁(川芎), 당귀(當歸), 적작(赤芍), 대황(大黃), 마황(麻黃), 반하(半夏), 연교(連翹), 망초(芒硝) 各2, 형개(荊芥), 백출(白朮), 치자(梔子) 各1.5. 생강(生姜)3片. - 수전복(水煎服)

④ 체력(体力)이 강(强)한 백내장(白內障) 환자(患者)에게 쓰이는 처방으로 변비(便秘)

가 있거나 두통(頭痛), 불면증(不眠症)이 있는 경우

삼황사심탕(三黃瀉心湯)

≒ 대황(大黃), 황련(黃連), 황금(黃芩) 各1.

600cc의 물로 달여 반으로 줄인 후 100cc씩 3회 분복(分服)한다.

⑤ 체력(体力)이 약(弱)하고 빈혈(貧血)과 냉증(冷症)이 있는 여자(女子)의 백내장(白內

障) 환자(患者)에게 합당한 처방

당귀작약산(當歸芍葯散)

≒ 당귀(當歸), 천궁(川芎) 各3, 복령(茯苓), 작약(芍葯), 백출(白朮), 택사(澤

瀉) 各4.- 600cc의 물로 달여 반으로 줄인 후 100cc씩 3회 分服한다.

⑥ 체력(体力)이 좋은 백내장(白內障) 환자(患者)에게 효과적인 처방으로 심계(心悸), 두

통(頭痛), 현운(眩暈), 불면(不眠) 등의 증상이 있고 신경(神經)이 불안정(不安定)하며

변비(便秘)가 있는 사람에게 좋다.

시호가용골모려탕(柴胡加龍骨牡蠣湯)

≒ 시호(柴胡)5, 용골(龍骨), 모려(牡蠣), 황금(黃芩), 인삼(人參), 대

조(大棗) 各2.5, 반하(半夏)4, 계지(桂枝), 복령(茯苓) 各3, 대황(大

黃), 생강(生姜) 各1.

600cc의 물로 달여 반으로 줄인 후 100cc씩 3회 分服한다.

⑦ 비장(脾臟)의 기능(機能)이 허(虛)한 경우에 쓰이는 처방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 황기(黃芪)5.62, 인삼(人參), 백출(白朮), 감초(甘草) 各3.75, 당귀신(當歸

身), 진피(陳皮) 各1.87, 주세승마(酒洗升麻),주세시호(酒洗柴胡)各1.12.

500cc의 물로 달여 반으로 줄인 후 한 번에 마신다.

⑧ 음허(陰虛)의 백내장(白內障) 환자(患者)

기국지황탕(杞菊地黃湯)

≒ 숙지황(熟地黃)12, 산약(山葯), 산수유(山茱萸) 各8, 모단피(牡丹皮), 택

사(澤瀉), 복령(茯苓), 구기자(枸杞子), 감국(甘菊) 各6.

- 500cc의 물로 닳여 반으로 줄인 후 한 번에 마신다.

⑨ 열화(熱火)가 극성(極盛)하여 백내장(白內障)이 악화(惡化)되는 것을 막아주는 처방

자음지황탕(滋陰地黃湯)

≒ 숙지황(熟地黃)30, 시호(柴胡)24, 주침초건지황(酒浸炒乾地黃) 22.5, 주

세당귀(酒洗當歸), 황금(黃芩) 各15, 천문동(天門冬), 지골피(地骨皮), 오

미자(五味子), 황련(黃連)各9, 인삼(人參), 지각(枳殼),자감초(炙甘草)各6.

가루 내어 0.15g의 무게로 꿀에 반죽해서 알약을 만든다. 매회 10 알씩

찬물로 복용하는데 이때 정지환(定志丸)을 함께 복용하면 효과가 더 좋

다. 정지환(定志丸) ≒ 遠志(원지), 菖蒲(창포), 黨參(당삼), 茯神(복신).

⑩ 외상(外傷)을 입은 후 백내장(白內障)이 악화(惡化)된 때

경호탕 ≒ 시호(柴胡)40, 서각(犀角)12, 적작(赤芍), 당귀(當歸), 대황(大黃) 各20, 연교

(連翹), 자감초(炙甘草) 各10.

- 가루 내어 12g을 물 300cc로 끓여 반으로 줄인 후 한 번에 마신다.

⑪ 오래 되었거나 갓 생기었거나 관계없이 모든 눈병과 내장(內障), 외장(外障)으로 생

긴 예막(翳膜)과 노육반정(胬肉攀睛), 란현풍(爛弦風) 및 나이가 많아 허약(虛弱)해

져 눈이 잘 보이지 않으며 안화(眼花)가 나타나다가 오래되면 내장(內障)이 되는 것

을 치료할 때 쓴다. 이 약은 화기(火氣)를 내리고 수기(水氣)를 끌어 올리므로 오랫동

안 먹는 것이 좋다. 오랫동안 먹으면 밤에 작은 글자까지도 볼 수 있게 된다고 한다.

환정환 ≒ 천문동(天門冬), 맥문동(麥門冬),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各120,

주초지모(酒炒知母)80, 인삼(人參), 지골피(地骨皮), 주침육종용(酒浸肉蓗

蓉), 우슬(牛膝), 주초두중(酒炒杜仲), 석곡(石斛), 행인(杏仁) 各60, 주세당

귀(酒洗當歸), 백복령(白茯苓), 증산약(蒸山葯), 주제토사자(酒製兎絲子),

주초황백(酒炒黃柏), 지각(枳殼), 주세감국(酒洗甘菊), 청상자(靑霜子), 결

명자(決明子), 백질려(白蒺藜), 영양각분(羚羊角粉) 各40, 방풍(防風). 서각

(犀角) 各32, 천궁(川芎). 오미자(五味子). 황련(黃連). 초감초(炒甘草) 各28.

가루 내어 꿀에 반죽해서 0.3g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서 한번에 100 알씩

식후에 鹽湯으모 먹는다.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Comments


Commenting on this post isn't available anymore. Contact the site owner for more info.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