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耳針(이침)의 사용범위 및 혈선택과 처방원칙
5. 조작방법
6. 注意事項(주의사항)
7. 耳穴(이혈)의 診斷法(진단법)
4. 耳針(이침)의 사용범위 및 혈선택과 처방원칙
耳針(이침)은 臨床(임상)에서 매우 광범히 사용되는데 문헌의 통계에 의하면 약 200 여종의
病證(병증)을 치료하며 또 일부 急性病(급성병)에도 상당한 좋은 효과가 있다. 耳針(이침)의
이 같은 배경에는 穴選擇(혈선택)이 합당하고, 합리적인 穴配合(혈배합)과 處方(처방)이 가
능함으로 좋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1) 사용범위
⑴ 各種(각종) 疼痛性疾病(동통성질병)
各種外傷(각종외상) 즉 打撲傷(타박상), 骨折(골절), 刀傷(도상) 및 落枕(락침) 등으로 인
한 疼痛(동통)과 頭痛(두통), 偏頭痛(편두통), 三叉神經痛(삼차신경통), 肋間神經痛(늑간
신경통), 帶狀疱疹(대상포진), 坐骨神經痛(좌골신경통) 등 神經性疼痛(신경성동통), 五
官(오관), 顱腦(로뇌), 胸腹(흉복), 四肢(사지)의 각종 手術(수술) 후에 생기는 상처의 통
증 또한 마취 후의 頭痛(두통), 腰痛(요통) 등 手術后有痛(수술후유통)에 비교적 좋은
止痛作用(지통작용)이 있다.
⑵ 各種(각종) 炎症性疾病(염증성질병)
急性結膜炎(급성결막염), 中耳炎(중이염), 咽喉炎(인후염), 扁桃腺炎(편도선염), 耳下腺
炎(이하선염), 气管炎(기관염), 腸炎(장염), 面神經炎(면신경염), 風濕性關節炎(풍습성관
절염) 등에 消炎(소염), 止痛(지통) 작용이 있다.
⑶ 功能紊亂性疾病(공능문란성질병)
眩暈症(현운증), 心率不齊(심율불제), 高血壓(고혈압), 多汗症(다한증), 臟功能紊亂(장
공능문란), 月經失調(월경실조), 遺尿(유뇨), 神經衰弱(신경쇠약), 히스테리, 性功能紊
亂(성공능문란) 등에 調整作用(조정작용).
⑷ 過敏性(과민성)과 変態反應性疾病(변태반응성질병)
過敏性鼻炎(과민성비염), 喘息(천식), 過敏性結腸炎(과민성결장염), 두드러지 등에 消
炎(소염), 免疫功能(면역공능)을 改善(개선)하는 작용이 있다.
⑸ 內分泌代謝性疾病(내분비대사성질병)
單純性甲狀腺腫(단순성갑상선종),甲狀腺機能亢進(갑상선기능항진), 更年期綜合症(갱
년기종합증), 등에 보조치료 자용이 있다.
⑹ 一部分傳染性疾病(일부분전염성질병)
流行性感氣(유행성감기), 細菌性痢疾(세균성이질), 瘧疾(학질), 청년편평사마귀 등에
免疫功能(면역공능)을 높이고, 질병의 회복을 가속화한다.
⑺ 各種(각종) 慢性疾病(만성질병)
下肢痛(하지통), 腰痛(요통), 肩關節周圍炎(견관절주위염), 消化不良(소화불량), 四肢痲
木(사지마목) 등에 치료작용이 있다.
상술한 질병치료 이외에도 婦産科(부산과)에서 催産(최산), 催乳(최유)에도 사용하며
또한 感氣(감기), 차멀미, 배멀미 처리에도 사용되고 戒烟(계연), 戒毒(계독), 减肥(감비),
경기종합증에도 사용된다.
2) 혈선택과 처방원칙
耳針應用(이침응용)이 임상에서 효과있는 관건은 穴選擇處方(혈선택처방)이다.
⑴ 病理變化(병리변화) 相應部位(상응부위)에 穴選擇(혈선택)
임상진단에 근거하여 속하는 病(병)에 상응되는 耳穴(이혈)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肝
病(간병)은 肝穴(간혈)을 취허고, 胃病(위병)은 胃穴(위혈)을 취하고 泄瀉(설사)는 大腸
穴(대장혈)을 취하고, 眼病(안병)은 眼穴(안혈), 目1, 木2,를 취하고 腎病(신병)은 腎穴
(신혈)을 취한다.
⑵ 中醫(중의) 臟腑(장부) 經絡學說(경락학설)의 基礎(기초)아래 病證(병증)에 대한 穴選
擇(혈선택)
中醫(중의) 臟腑(장부) 및 經絡理論(경락이론)의 지도에 근거하여 疾病(질병)을 辨證分
析(변증분석) 한 후 상관되는 耳穴(이혈)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피부병은 《肺(폐)는 피
모를 주재한다.》 (肺主皮毛(폐주피모)는 이론에 근거하여 肺穴(폐혈)을 취하고 《腎(신)
은 뼈를 주재 한다》 (腎主骨(신주골) 는 이론에 근거하여 腎穴(신혈)을 취하고 안질 환
자는 《기는 눈에 통한다.》 (肝開竅於目(간개규어목))는 이론에 근거하여 肝穴(간혈)을
취한다.
⑶ 現代醫學(현대의학)의 生理(생리)와 病理證狀(병리증상)에 의한 穴選擇(혈선택)
현대의학의 생리 및 병리지식을 기반으로 상관되는 耳穴(이혈)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① 月經不調(월경불조)는 內分泌穴(내분비혈)을 취하고,
② 胃腸疾患(위장질환)은 交感穴(교감혈)을 취하고,
③ 水液反應(수액반응)에는 腎上腺穴(신상선혈)을 취하고,
④ 神經衰弱(신경쇠약)에는 皮質下穴(피질하혈)을 취하는 등이다.
⑷ 臨床經驗(임상경험)에 의한 穴選擇(혈선택)
임상실천 경험에 의하여 有效(유효)한 穴(혈)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면
① 耳中穴(이중혈)은 膈肌痙攣(격기경련)에 사용하며,
② 耳尖穴(이첨혈)은 目赤腫痛(목적종통)에 사용하고,
③ 昇壓点(승압점)은 低血壓(저혈압)에 사용된다.
상술한 穴選擇(혈선택) 處方原則(처방원칙)에 근거하여 臨床實踐(임상실천)과 결합되
는 각계통의 일반혈 선택을 다음과 같이 분류 서술 하였다.
① 消化系統(소화계통) : 交感(교감), 神門(신문), 胃(위), 大腸(대장), 小腸(소장), 膵臟(췌
장), 膽囊(담낭), 肝(간), 脾(비), 腹(복) 등이다.
② 呼吸系統(호흡계통) : 神門(신문), 交感(교감), 大腸(대장), 平喘(평천), 气管(기관), 肺
(폐), 胸(흉), 枕(침), 腎上腺(신상선) 등이다.
③ 循環系統(순환계통) : 交感(교감), 神門(신문), 心(심), 小腸(소장), 腎上腺(신상선), 肝
(간), 降壓區(강압구), 腎(신) 등 이다.
④ 神經系統(신경계통) : 心(심), 腎(신), 脾(비), 枕(침), 額(액), 胃(위), 神門(신문), 腦(뇌),
皮質下(피질하), 耳尖(이첨) 등이다.
⑤ 泌尿生殖系統(비뇨생식계통) : 腎(신), 膀胱(방광), 睾丸(고환), 卵巢(난소), 尿道(뇨도),
交感(교감), 神門(신문), 內分泌(내분비), 腎上腺(신상선) 등이다.
⑥ 內分泌系統(내분비계통) : 腎(신), 膀胱(방광), 神門(신문), 交感(교감), 睾丸(고환), 子
宮(자궁), 乳腺(유선), 腦(뇌), 內分泌(내분비) 등이다.
⑦ 運動系統(운동계통) : 相應部位(상응부위), 腎上腺(신상선), 神門(신문), 皮質下(피질
하), 枕(침), 腎(신), 內分泌(내분비) 등이다.
⑧ 婦産科(부산과) : 子宮(자궁), 卵巢(난소), 內分泌(내분비), 腎(신), 腦(뇌) 등이다.
⑨ 五官科(오관과) : 眼(안), 耳(이), 鼻(비). 喉(후), 腎(신), 枕(침), 內分泌(내분비), 腎上腺
(신상선), 心(심), 屛間(병간), 肺(폐), 肝(간), 神門(신문) 등이다.
⑩ 口腔科(구강과) : 口(구), 舌(설), 枕(침), 目(목) 등이다.
⑪ 皮膚科(피부과) : 內分泌(내분비), 肺(폐), 枕(침), 神門(신문), 下耳背(하이배), 腎上腺
(신상선), 相應部位(상응부위) 이다.
⑫ 退熱(퇴열) : 耳尖(이첨), 屛尖(병첨), 腎上腺(신상선), 輪1(륜1) ∼ 륜6. 이다.
⑬ 抗(항) 쇼크 : 腎上腺(신상선), 枕(침), 心(심), 皮質下(피질하) 등이다.
⑭ 升血壓(승혈압) : 心(심), 腎上腺(신상선), 肺(폐), 교장, 皮質下(피질하), 昇壓点(승압
점) 등이다.
⑮ 止痛(지통) : 神門(신문), 皮質下(피질하), 相應部位(상응부위) 등이다.
5. 조작방법
耳針(이침)의 조작은 기본상 体針(체침)과 같은데 임상의 광볌한 응용에 따라 針刺法(침자
법) 이외에 電气針(전기침), 埋針(매침), 壓丸(압환) 등의 조작이 있는데 다음과 같이 분리하
고 있다.
1) 針刺法(침자법)
병진단에 의하여 처방을 확정한 후 穴區(혈구) 안애서 反應点(반응점)을 찾아 치료의 刺
戟点(자극점)으로 정한다. 만약 반응점을 찾지 못하면 耳穴(이혈)에 針刺(침자)한다.
침기구, 혈부위 및 의사의 손가락 등 요구되는 부위를 염격히 소독한다. 그리고 患者(환
자)의 적당한 座位(좌위) 혹은 臥位(와위)를 선택한 후 수요에 따라 26∼30호의 0.3∼1촌
길이 침으로 침자한다. 보통 28호에 0.5촌 길이를 주로 사용한다.
조작방법은 다음과 같다.
⑴ 進針(진침)
의사는 왼손의 母食二指(모식이지)로 耳廓(이곽)을 고정시키고 中指(중지)롤 침놓을
부위의 뒤등을 받치면 針刺(침자) 깊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며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오른손의 母(모), 食(식), 中(중) 三指(삼지)는 針(침)을 쥐고
敏感点(민감점)에 찌른다.
구체적 진침법은 두가지가 있다.
① 速刺法(속자법) : 敏感点(민감점)에 지력과 완력으로 급속히 수직으로 졸리며 耳廓
軟骨(이곽연골)에 자입시키되 절대 연골을 꿰뚫지 말아야 한다.
痛感(통감)을 감소하기 위하여 환자에게 입을 벌리고 큰 숨을 쉬
게 한다.
② 慢刺法(만자법) : 耳穴(이혈)에 천천히 자입 시키는데 針(침)을 돌리면서 進針(진
침)하는데 힘은 반드시 고르게 써야한다. 침을 돌리는 동시에 증
상의 개선정황을 물어보며 적당한 깊이에 도달하면 침을 돌리지
말아야 한다.
⑵ 行針(행침)
針(침)을 耳穴(이혈)에 刺入(자입)한 후 실행하는 침자수법으로서 경상적으로 사용되
는 세 가지가 있다.
① 單刺法(단자법) : 敏感点(민감점)에 자입한 후 다시 手法(수법)을 사용하지 않고 다
만 적당한 시간까지 留針(류침) 한다. 年老(연노)하고 신체가 허약
한자 또는 오랜병 및 아동 환자에게 주로 사용된다.
② 捻轉法(념전법) : 耳穴(이혈)에 침을 刺入(자입)한 후 다시중등 자극수법으로 작은
폭도로 비틀러 돌리며 계속 1∼2분간 자극시킨다. 이는 주로 만성
병 환자에게 사용 한다.
③ 提揷法(제삽법) : 耳廓(이곽)에 刺入(자입)한 후 힘있게 침을 수직으로 1∼2분간 상
하로 오르내리며 움직인다. 이는 급성병과 疼痛性病證患者(동통
성병증환자)에게 주로 사용한다.
⑶ 深度(심도, 깊이)
耳針(이침)의 침자깊이는 환자의 耳廓(이곽) 두께에 따라 결정하게 되는데 보통 2∼3
푼 자입시켜서 軟骨膜(연골막)에 도달하되 절대로 연골을 뚫지 말아야 한다.
⑷ 留針(류침)
보통 20∼30분 留針(류침)한다. 慢性病(만성병), 疼痛性疾病(동통성질병) 患者(환자)
는 留針時間(류침시간)을 적당히 연장한다. 아동과 연로한 환자는 장시간 류침하지
말아야 한다. 혀과를 높이기 위하여 留針(류침)시에 십 분에 한 번씩 手法(수법)을 운
용하여 자극을 준다.
⑸ 起針(기침)
針(침)을 뺄 때 왼손을 귀등에 받치고 오른손으로 침을 뽑는데 조작법은 두 가지가 있
다.
① 急速起針法(급속기침법) : 즉 침을 신속히 수직으로 빼는데 이 방법은 환자의 痛感
(통감)이 적기 때문에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침을 뽑은 후
소독된 마른솜으로 침구멍을 눌러 준다.
② 捻轉起針法(념전기침법) : 針(침)을 뺄 때 환자에게 일시 자극을 주어 효과를 제고
시키는 방법으로써 효과가 좋이 않은 환자에게 사용한다. 침을 뽑은
후 소독된 마른솜으로 침구멍을 눌러서 막는다.
2) 電針法(전침법)
電針法(전침법)은 상술된 毫針刺法(호침자법)과 맥충전류자극을 결합한 일종의 방법이
다. 이 같은 부동한 波型(파형) 즉 針刺耳穴(침자이혈)에 波及(파급)되는 刺戟(자극)을 調
節功能(조절공능)을 이용해서 보다 강화된 치료효과를 높이는 목적에 도달 한다.
耳針治療(이침치료)에 적용되는 病症(병증)은 모두 채용되는데 그중에 神經系統疾病(신
경계통질병),
內臟痙攣(내장경련), 喘息(천식) 등 병증에 많이 사용된다. 이는 鎭痛(진통)과 止痛效果
(지통효과)가 좋기 때문이다. 이 외에 針刺麻醉(침자마취)애도 광범히 사용된다.
3) 埋針法(매침법)
埋針法(매침법)은 皮內針(피내침, 머리가 넓적한 못형)을 耳穴(이혈)에 埋入(매입)하여
치료하는 방법이다. 慢性病(만성병)과 疼痛性疾病(동통성질병)에 적용된다. 자극을 지
속하여 치료효과를 공고히 하는 등 작용이 있다. 施術(시술)은 일반 규정상 소독한 후 왼
손은 耳廓(이곽)에 매침자리를 고정시키고 오른손은 집게로 소독된 피내침 자루를 집어
가볍게 刺入(자입)시키되 보통 2/3 를 刺入(자입)시키고 반창고를 붙여서 고정시킨다.
病側(병측)에 埋入(매입)하는데 필요시에는 兩側(양측) 耳穴(이혈)에 매침 한다.
매일 3번씩 누르고(指壓), 류침시간은 3∼5 일 이다.
4) 壓丸法(압환법)
耳穴(이혈) 표면에 壓丸(압환)을 붙여서 埋針(매침)을 대체하는 일종의 簡易(간역) 방법
이다. 이 방법은 毫針(호침), 皮內針(피내침)과 같은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安全
(안전), 无痛(무통)이며 부작용이 적고 軟骨膜炎(연골막염)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優點
(우점)이 있다. 때문에 노인, 아동 및 침을 두려워하는 환자에게 적합하다.
이 방법에 적용되는 병증은 대체로 많은데 예를 들면 慢性气管炎(만성기관염), 高血壓
(고혈압), 膽石症(담석증), 遺尿症(유뇨증), 神經衰弱(신경쇠약) 등이다.
壓丸法(압환법)에 이용되는 재료는 油菜子(유채자), 綠豆(녹두), 萊菔子(래복자), 王不留
行(왕불류행) 등이다. 사용하기 전에 끓는 물에 씻은 후 말려서 보관하고 사용한다.사용
할 때 種子(종자)를 반탕고(6x6mm) 중앙에 붙인 후 耳穴(이혈)에 붙인 후 환자는 매일
몇 차례씩 指壓(지압)을 가하며 3∼5 일에 교환한다. 5차래 교환을 한 개 료정으로 하는
데 필요시에는 연속 제이 료정의 치료를 할 수 있다.
炎症(염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습하거나 汚染(오염)된 반창고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환자 개중에는 반창고에 과민할 수 있는데 붉게 쌀알처럼 돋거나 가려운 증상이 있으면
下屛尖穴(하병첨혈)에 더 붙이거나 아니면 毫針治療(호침치료)로 치료방법을 변경해야
한다.
여름에는 땀이 많이 나기 때문에 반창고 사용일정이 너무 길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곽
피부에 염증동창이 있으면 이 방법을 채용하지 말아야 한다.
5) 耳灸法(이구법)
耳灸法(이구법)이란 耳穴(이혈)에 뜸을 뜨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써 溫熱(온열)의 刺戟
(자극)으로 疾病(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灸法(구법)이 인체에 미치는 특수한 작용이
란 溫經散寒(온경산한)하고, 疏通經絡(소통경락) 등을 말한다. 따라서 虛症(허증), 寒症
(한증), 痹痛(비통)에 주로 사용하는데 경상적으로 아래에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⑴ 線香灸(선향구) : 위생향에 불을 달아 耳穴(이혈)에 뜸질한다. 보통 2∼3개 穴(혈)을 취
하며 5∼10분간 뜨는데 2일에 한차례씩 좌우 한 측 혹은 양측에 뜸을 뜨며
5∼10차를 한 료정으로 한다.
⑵ 燈草灸(등초구) : 燈心草(등심초)를 1cm 길이로 자른 후 참기름을 발라서 耳尖(이첨)
혹은 耳穴(이혈)에 놓고 불을 달면 다 탈때에 약한 폭성을 들을 수 있기에 또
“爆聲(폭성)” 법이라 부른다.
角膜炎(각막염), 結膜炎(결막염), 耳下腺炎(이하선염) 등에 많이 사용한다.
뜸 뜰 때 화상을 주의하며 감염으로 인한 耳軟骨膜炎(이연골막염)을 방지하고 작은 물집
은 자연히 흡수될 수 있으며 재차 뜸 뜰 때에는 穴位(혈위)를 바꾸어 뜨고 정신
이 긴장한 환자, 엄중한 심장병환자, 임신부는 愼重(신중)히 사용해야 한다.
6) 刺血法(자혈법)
刺血法(자혈법)은 굵은 호침 혹은 三稜針(삼릉침)으로 耳穴(이혈)을 찔러 출혈시키는 방
법이다.
邪熱(사열)이 甚(심)한 高熱(고열), 痙攣(경련), 瘀血(어혈)로 인한 痛症(통증), 肝陽上亢
(간양상항)으로 인한 頭暈(두운), 目眩(목현), 眼結膜腫痛(안결막종통) 등에 모두 사용하
며 泄熱鎭靜(설열진정), 祛瘀生新(거어생신), 瀉火止痛(사화지통) 작용이 있다.
刺血(자혈) 전에 耳廓(이곽)을 반드시 엄격히 소독해야 하며 안마하여 출혈 시켜야 한다.
2일에 한번씩 급성병은 하루에 두 번씩 치료할 수 있다. 年老(연노)한 환자, 임신부 및 출
혈성질병, 응혈기제장애의 환자는 이법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6. 注意事項(주의사항)
耳針治療時(이침치료시)에 感染(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엄격한 소독을 해야 하며
耳廓(이곽)에 炎症(염증) 혹은 凍傷(동상)이 있을 경우에는 耳針(이침)을 禁(금)해야 하고,
輕(경)한 感炎(감염)이 생기면 제때에 처리 해야 한다. 심장병환자는 신중히 사용해야 하며
습관성류산환자는 耳針(이침)을 禁(금)해야 하고, 年老(연노)한 환자, 체질이 약한자, 고혈
압, 동맥경화 환자는 針治療(침치료) 전후에 반드시 적당한 휴식을 취해야 한다. 耳針(이
침)에도 침멀미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반드시 주의하여 제때에 처리해야 한다.
7. 耳穴(이혈)의 診斷法(진단법)
耳穴(이혈)은 치료에 사용할 뿐만 아니라 診斷(진단)의 작용도 있다. 인체에 병리변화가 생
기면 때때로 耳廓(이곽)의 상응구역에 이상반응이 생긴다. 예를 들면 肝(간)에 病理變化(병
리변화)가 생기면 肝區(간구)에, 腎(신)에 병리변화가 생기면 腎區(신구)에 반응점이 생긴
다. 때문에 耳穴(이혈)의 진찰은 診斷(진단)에 응용되는 임상의의를 갖고 있다. 진찰법은
아래의 몇 가지로 나눈다.
1) 視診法(시진법)
視診法(시진법)은 눈으로 耳廓(이곽)의 외형과 색깔을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 방법은 관찰하기 전에 이곽을 씻거나 딱지 말아야 하며 이곽의 원래형태와 색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주무르거나 심하게 당기지 말아야 한다. 관찰자는 母,食指
(모,식지)로 귀 바퀴를 가볍게 당긴 후 耳廓(이곽)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관찰하고 내측
으로부터 외측으로 관찰한다. 이에 따라 경상적으로 나타나는 각이한 변화는 다음과 같
다.
⑴ 辨色(변색) : 점 혹은 넓적한 형상의 흰색, 充血(충혈)되거나 불그스레한 색 혹은 원형
변두리는 불그스레하며 중간은 흰색, 진한 회색 등인데 그 부분을 누르
면 색깔이 사라진다.
만약 눌러도 색깔이 사라지지 않는 것은 이는 양성반응점이 아니라 表
皮色素(표피색소)가 몰린 것이다.
⑵ 辨型(변형) : 알맹이 혹은 능형, 갈고 두드러진 것, 点(점) 혹은 針尖(침첨) 형상의 오복
한 곳이다.
⑶ 丘疹(구진) : 붉은 색 혹은 흰색의 좁쌀알 형인데 혹 단단하며 탄력이 있다.
⑷ 皮屑(피설) : 쌀겨모양으로 耳皮膚(이피부)에 생긴 비늘인데 닦아도 잘 떨어지지 않
는다. 만약 닦으면 떨어지는 것은 정상적 피부의 비늘이다.
진찰시 좌우 양쪽 귀를 모두 보되 좌우를 대비하는 방법으로 그 차별을 찾아서 분석해
야 한다.
예를 들어 어느 부분은 두꺼우며 변두리 계선이 분명하지 않기에 눈으로 발견하기 어려
운데는 손으로 만져보는 방법과 결합해서 母,食指(모,식지)로 耳廓(이곽)을 쥐고 자세히
양귀의 차별을 비교해야한다. 동시에 개체의 차이와 氣候(기후), 季節(계절) 등 변화가
耳廓(이곽)에 대한 영향적 인소를 고려해야한다.
2) 壓痛法(압통법)
壓痛法(압통법)은 압통막대기(나무막대기 금속막대기로써 끝쪽은 원활하며 크기는 성
냥가치만하다.
또는 성냥가치나 호침자루 끝으로 대체하여도 된다.) 耳廓(이곽)의 반응점 혹은 통점을
찾는다. 일반적으로 疾病(질병)과 상응된 이곽부위의 주위로부터 중심으로 점차적으로
누르면서 찾는다. 반드시 輕(경)하고 천천히 고르게 눌러야 한다.
경하게 정상부위를 누르면 통증을 모르거나 혹은 매우 아르지 않으며 누른 자리가 耳廓
(이곽)에 경한 흔적으로 남는다. 천천히 누르면 환자의 자각을 물으며 아픈 통점을 찾아
야 하고 또한 間隔(간격)이 크면 양성반응점을 지나칠 우려가 있고, 누르는 힘의 경중이
고르지 않으면 거짓 압통점이 생길 우려가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병리적 압통점은 참기 어려운 통증으로서 속으로부터 밖으로 방사되는 찌르는듯한 통
증, 시큼한 통증, 팽창하는 통증, 마목감 혹은 熱痛(열통) 등이다.
경상적인 가성 압통점은 일반적으로 둔한 통증으로 낮게 표면이 아프고 참을 수 있는
것이므로 영활히 잘 감별해야 한다. 때로는 압통범위가 넓어 주위의 耳穴(이혈)까지 미
치므로 반드시 비교적 제일 민감한 점(穴)을 찾아야 한다. 압력의 경중은 또한 부동한 年
齡(연령), 性別(성별), 職業(직업)에 따라 구별해야 마당하다.
3) 電測法(전측법)
電測法(전측법)은 특별히 제조된 전자기로 耳穴(이혈)에 皮膚電阻(피부전조), 電位(전
위), 電容(전용) 등 변화에 의하여 민감점을 찾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穴位(혈위) 혹은
민감점의 電阻(전조)가 낮고 도전성이 높은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기를 만들어 검사하는
것이다.
참측시 환자는 한손에 電極(전극)을 쥐고 의사는 탐측대를 쥐고 耳廓(이곽) 위를 탐사하
는데 민감점에 닫게 되면 측정기는 지시신호 혹은 음향을 통하여 반응을 알린다. 이 방
법은 조작이 간편하고 정확성이 비교적 높은 우점이 있다.
탐측의 순서는 일반적으로 耳甲腔(이갑강), 耳甲艇(이갑정), 對耳輪(대이륜), 三角窩(삼
각와), 耳舟(이주), 耳輪(이륜), 耳垂(이수) 등 위로부터 아래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빠짐없이 세심히 탐사해야 한다.
이외에 탐사시 누르는 손의 輕重(경중)은 일정해야 하며 피부가 연한 부위는 힘을 적게
주고 피부가 들어난 표면은압력을 적당히 중하게 한다. 또 개체의 차이 및 부동한 부위
의 이침혈 電阻(전조) 사이의 생리성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4) 기타방법
耳穴診斷(이혈진단)은 상술한 視診法(시진법), 壓痛法(압통법), 電測法(전측법) 이외에
耳穴(이혈)의 知熱感度(지열감도) 측정법, 耳溫(이온) 측정법, 耳穴(이혈) 압혼법, 耳廓
(이곽) 염색법 등을 응용하여 耳穴診斷(이혈진단)을 진행하는데 각기 특점이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