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침구법 16 第六章 附缸法(부항법)

Aktualisiert: 19. Okt.

第六章 附缸法(부항법)

第一節 附缸法(부항법)의 意義(의의)

第二節 附缸(부항)의 작용과 종류

1. 附缸(부항)의 作用(작용)

2. 附缸(부항)의 種類(종류)

第三節 부항대는 방법

1. 投火法(투화법)

2. 閃火法(섬화법)

3. 貼棉法(첩면법)

4. 架火法(가화법)

5. 滴酒法(적주법)

第四節 附缸法(부항법)의 分類(분류) 및 造作(조작)

1. 보통부항 대는 법

2. 자락 부항대는법(刺絡拔罐法)

3. 煮葯(자약) 부항대는 법

4. 針罐法(침관법)

5. 抽气罐法(추기관법)

6. 葯水罐法(약수관법)

第五節 부항의 사용법위 및 주의사항






第六章 附缸法(부항법)

第一節 附缸法(부항법)의 意義(의의)

附缸法(부항법)은 盞(잔)이나 항아리 모양의 작은 단지를 공구로 삼아 熱(열)로써 공구

중의 공기를 배제한 후 피부에 附着(부착) 시키어 피부의 표면이 공구 안의 진공으로 빨

려들게 하는 일종의 치료방법이다. 조작법이 간단하고 효과가 좋으며 구법작용과 근사

한 특이점이 있는 침구치료의 중요한 보조방법이다. 부항은 초기에 짐승의 뿔로 盞(잔)

을 만들어 사용했기 때문에 角法(각법)이라 불렀는데 외과에서 독을 빼고 고름과 피를

빼는데 사용하였다. 이후 부단히 개진되어 선후로 죽단지(竹罐), 동단지, 사기단지, 철

단지 및 현금에 광범하게 사용하는 유리단지 등이 있다.

사용방법도 부단히 개선되어 불로 공기를 배제하여 피부에 대는 부항은 “불단지” 라 부

르고 물에 삼마서 공기를 배제하여 피부에 붙이는 부항은 “물단지” 라 부르며 주사기로

공기를 빼서 피부에 대는 부항은 “추기단지”라 부른다. 비록 방법은 다르나 원리는 같

다. 치료범위도 외과로부터 내과의 일부분 병증에 점차 확대 되였다.

第二節 附缸(부항)의 작용과 종류

1. 附缸(부항)의 作用(작용)

附缸法(부항법)은 加熱(가열)로 단지내에 공기를 부풀려 흩어지게 한 후 부항단지를 피

부에 대면 단지속의 온도는 내려가서 공기가 희박하여 負壓(부압)이 생기고 吸力(흡력)

을 증강시켜 피부는 吸入力(흡입력)에 불어 오르고 모세혈관은 확장되여 국부가 充血(충

혈)되며 기체의 조정공능을 통하여 혈맥은 通暢(통창)되므로 風寒濕邪(풍한습사)는 흩

어져 직접 국부의 증상을 개신시킨다.

2. 附缸(부항)의 種類(종류)

1) 竹罐(죽관)

견고한 참대로 만든 부항단지를 竹罐(죽관)이 이라 부른다. (圖 227)

竹罐(죽관)의 장점은 재료를 구하기 쉽고 제조하기도 간편하며 값이 헐하고 견고여

잘 손상되지도 않으며 가볍고 끓는 약물에 소독할 수 있어 간편하다. 결점은 쉽게 잘

말라 터져서 공기가 새는 점이다.

2) 陶罐(도관)

陶土(도토)를 태워서 만든 부항단지를 陶罐(도관)이라 부른다. (圖 222)

장점은 吸力(흡력)이 세지만 결점은 무거워 떨어지면 부서지는 점이다.

圖 222 玻璃罐(파리관, 유리관), 竹罐(죽관), 陶罐(도관)

3) 玻璃罐(파리관, 유리관)

유리로 제조된 부항단지이다. (圖 222)

장점은 투명해서 사용할 때 국부의 피부변화를 직접 관찰할 수 있으므로 부항시간을

조절하기 쉬워서 보편적으로 사용한다. 絡脈(락맥)을 찔러 부항대기에 제일 적합하

다.

결점은 떨어지면 부서지는 점이다.

第三節 부항대는 방법

1. 投火法(투화법)

알콜솜 혹은 종이에 불을 단후 단지 안에 넣어 신속히 피부에 올려 댄다. 이 방법은 단

속에 타고 있는 물질이 있으므로 단지를 피부에 올릴 때 측면에서 옆으로 피부에 올려

야 한다.

이때에 주의할 점은 피부나 옷을 태우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見圖 223)

圖 投化拔罐法(투화발관법)

2. 閃火法(섬화법)

집게로 알콜솜을 집어 불을 붙인 후 신속히 단지 속 벽에 한번 돌린 후 집게를 빼고 신

속히 피부에 부친다. 이 방법은 화상입을 염려는 없으나 흡입력이 약하다. (見圖 224)

圖 閃火拔罐法(섬화발관법)

3. 貼棉法(첩면법)

알콜솜을 단지 속 옆 중간이나 밑굽에 붙인 후 불을 붙여 신속히 부위에 붙인다.

피부화상을 면하기 위해서는 솜에 알콜 량을 너무 많이 해서는 않된다. (見圖 225)

4. 架火法(가화법)

불 잘 붙는 부드러운 천으로 작은 동전 하나를 싸되 천의 사각을 약 한초가량 접쳐 위로

향하여 뜸 부위에 놓고 천 끝에 불을 붙인 후 신속히 부항단지를 붙인다. (見圖 226)

5. 滴酒法(적주법)

부항단지속 중간쯤 95% 알톨 1∼2 방울 떨군 후 단지를 옆으로 몇 번 돌려 내면에 고르

게 뭍힌 후 불을 붙여 신속히 부위에 붙인다. 피부의 화상을 면하기 위하여 절대로 단지

아귀에 알콜이 흐르지 않도록 한다.

圖 225 貼棉拔罐法(첩면발관법) 圖 226 架火拔罐法(가화발관법)

第四節 附缸法(부항법)의 分類(분류) 및 造作(조작)

1. 보통부항 대는 법

보통부항대는 법은 주요로 부항단지를 위주로 부치는 형식에 따라 아래에 몇 가지가 있

다.

1) 單罐(단관)

부항단지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다. 아픈 범위가 작은 부위 혹은 압통점에 사용한다.

예를 들면 胃病(위병)은 中脘穴(중완혈)에 부항을 붙이고, 어깨가 아플 때는 어께의

모혈에 부항을 붙인다.

2) 多罐(다관)

여러개의 부항단지를 함께 붙이는 것이다. 병범위가 넓은 부위에 사용하는데 통증부

위에 의하여 몇 개 심지어 열몇개씩 붙인다. 예를 들면 근육손상은 근육의 위치에 따

라 차례로 줄을 세워 많이 붙이고 臟腑(장부)의 병증은 상응된 체표의 부위에 여러

개 붙인다.

3) 留罐(류관)

또 坐罐(좌관)이라 부르는데 즉 부항을 붙인 후 10∼15분 留持(류지) 시키는 것이다.

날씨가 무더우면 근육이 엷으며 큰 부항단지는 吸入力(흡입력)이 강하기 때문에 留持

(류지)시키는 시간이 너무 길어서는 않된다.

4) 走罐(주관)

피부에 우선 와세린을 바른 후 부항단지에 불을 붙인 후 피부표면에 올린 후 밀어 올

리고 내리 당기며 움직이는 것이다. 즉 손으로 단지 말급을 쥐고 약간 비뚤게 단지 절

반에 힘을 주며 절반은 약간 들어 천천히 뒤로 미는데 피부색이 붉어지면 되었다는

표시가 된다.

이 방법은 면적이 크고 근육이 풍부한 부위에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背部(배부. 등어

리), 脊椎(척추), 大腿(대퇴) 등에 사용한다. (見圖 227)

圖 227 走罐法(주관법)

5) 閃罐(섬관)

부항단지를 피부위에 올려 댄 후 즉시로 떼어 내눈 것이다. 즉 부항단지를 피부위에

댄 후 신속히 떼내는 동작을 여러 차례 반복하는 동안에 피부색이 붉게 변한다.

이 방법은 기능이 쇠약하거나 피부 감각이 마목된 병증에 많이 사용한다.

2. 자락 부항대는법(刺絡拔罐法)

부항대 부위에 먼저 삼능침 혹은 굵은 毫針(호침)으로 몇 곳을 찌른 후 부황을 대에 피가

나오도록 한다. 보통 10∼15분 후 부항을 떼고 피를 깨끗이 닦는다.

이 방법은 각종 實熱瘀滯(실열어체) 및 急性(급성) 慢性筋肉損傷(만성근육손상), 神經性

皮炎(신경성피염), 皮膚瘙痒症(피부소양증), 神經衰弱(신경쇠약), 위장신경관능증 등에

사용한다.

3. 煮葯(자약) 부항대는 법

약가루를 천주머니에 넣어 싸맨 후 끌는 물에 합당한 농도로 삶은 후 竹罐(죽관)을 끓는

葯物(약물)에 15분 삶은 후 집게로 竹罐(죽관)을 집어 올려 물을 빼고 건조한 수건으로

竹罐(죽관) 입구를 건조 시키고 뜨거울 때 신속히 피부에 올려 댄다.

보통 10∼15분 죽관을 滯留(체류)시킨다.

이 방법은 風濕痛症(풍습통증)에 많이 사용한다.

葯處方(약처방) : 麻黃(마황), 蘄艾(기애), 羌活(강활), 獨活(독활), 防風(방풍), 秦艽木(진

교목), 茜草(천초), 生烏頭(생오두), 만타라화, 劉寄奴(유기노), 乳香(유

향) 沒葯(몰약) 각6.

이외에 병정황에 따라 추가 약을 결정하여 함께 물에 삶는다.

4. 針罐法(침관법)

선택한 부위의 穴(혈)에 침을 꽃아 留針(류침)시킨 후 그 위에 부항을 댄다.만약 葯罐(약

관)과 배합하면 針葯罐(침약관)이러 한다. 이를 風濕病(풍습병)에 많이 사용한다.


5. 抽气罐法(추기관법)

고무마개가 있고 밑굽이 없는 병사리를 피부에 엎은 후 주사기로 병내의 공기를 빼내

어 부착시는 방법이다. 현재 특별히 제조된 인공추기관과 전동추기관이 있다.

이 방법은 吸入力(흡입력)이 강하여 털이 있는 부위에도 붙일 수 있다. 이 방법은 면적

이 적거나 근육이 엷은 부위에 사용한다.

6. 葯水罐法(약수관법)

추기관속에 먼저 약물을 병의 1/3 혹 1/2을 담고 사용하며 또 수요에 따라 약물을 제조

할 수 있고 抽气罐法(추기관법)처럼 附缸(부항)을 붙인다.

이 방법은 風濕痛症(풍습통증), 感气(감기), 胃病(위병) 등에 사용한다.

第五節 부항의 사용법위 및 주의사항

1. 사용범위

어깨, 背部(배부, 등어리) 통증, 腰痛(요통), 四肢痛(사지통), 胃痛(위통), 泄瀉(설사), 消

化不良(소화불량), 腹痛(복통), 肺結核(폐결핵), 咳嗽(해수, 기침), 喘息(천식), 月經異常

(월경이상), 月經痛(월경통), 丹毒(단독), 神經性皮炎(신경성피염), 各種腫氣(각종종기)

의 初期(초기), 毒蛇咬傷(독사교상), 打撲傷(타박상) 등 모두 附缸(부항)으로 치료할 수

있다.

부항을 사용하지 않는 疾病(질병)

全身(전신)의 熱(열)로 인해 생기는 頭痛(두통), 中風(중풍), 痙攣(경련), 皮膚過敏(피부

과민), 潰瘍(궤양), 目眩(목현), 頭中(두중), 근육이 엷은 곳, 뼈나온 곳, 모발이 많은 곳,

大血管部位(대혈관부위), 水腫病(수종병) 등

부항을 사용에 신중해야 할 질환과 부위

姙娠婦(임신부)의 腰部(요부, 허리), 尾骨部位(미골부위, 꽁무니), 腹部(복부)에는 부항

사용에 신중 할 것을 요구한다.

2. 주의사항

치료에 임하는 환자는 오래 유지할 수 있는 적합한 자세를 취해야 하며 의사는 附缸法

(부항법)으로 시술하기에 앞서 부위에 따라 大小(대소)에 적합한 附缸(부항)을 선택해

야 하며 동작에 민첩해야 한다. 적절한 부항시간에 시술이 이루어져야 하며 시간을 너

무 지연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특히 刺絡(자락)하여 부항을 땔 때 너무 많은 출혈을 피해야 하며 시술 중에 환자가 졸

도하면 즉시 부항을 떼고 제때에 적당한 처리를 해야 한다.

부항을 뗄 때는

가볍게 서서히 한손가락으로 부항 입구의 한쪽 근육을 눌러서 공기가 유입되면 부항 은 즉시 피부로부터 떨어진다. 이때 한손으로 부항을 보정해서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42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법 15 第五章 灸法(구법)

第五章 灸法(구법) 第一節 灸法(구법)의 特徵(특징)과 作用(작용) 2. 灸法(구법)의 作用(작용) 1) 溫經散寒(온경산한) 2) 扶陽固脫(부양고탈) 3) 行氣活血(행기활혈) 4) 預防(예방)과 保健(보건) 第二節 시구의 재료 (施灸的材料)...

침구법 13 第三節 手針(수침)

第三節 手針(수침) 手針(수침)과 足針(족침)은 손과 발의 穴位(혈위)에 침자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 로써 일찍이 《內經》 에 全身陰陽經絡(전신음양경락)과 手足(수족)의 밀접한 관계를 논 ...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