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三節 皮內針(피내침)
第四節 火針(화침)
第五節 溫針(온침)
第六節 電氣針(전기침)
第七節 芒針(망침)
第八節 水針(수침)
第三節 皮內針(피내침)
皮內針(피내침)은 또한 “埋針(매침)”이라 부르는데 쌀알(보리알)과 못(머리가 큰못)식의
두 가지가 있다. 圖(도) 232 釘型和麥粒型皮內針(정형화맥립형피내침)
1. 造作方法(조작방법)
麥粒型皮內針(맥립형피내침) : 인체의 대부분 수혈에 사용된다. 피부를 소독한 후 왼손
母(모), 食指(식지)로 腧穴(수혈)의 上(상), 下皮膚(하피부)를 눌러 고정시키고 오른손(刺
手)은 집게로 침자루를 집어 0.5∼1cm 沿皮刺(연피자) 한다. 침자루는 皮外(피외)에 고
정하고 반창고를 붙여서 안전하게 보정한다.
釘型皮內針(정형피내침) : 얼굴과 귀 부위의 수혈에 사용된다. 피부소독 후 집게로 침자
루를 집어 穴(혈)에 곧게 자입한 후 반창고를 붙이어서 고정시킨다.
2. 使用範圍(사용범위)
완고한 두통, 만성질병에 주로 사용한다. 예를 들면 頭痛(두통), 胃痛(위통), 膽結石(담결
석), 담교통, 喘息(천식), 不寐(불매), 高血壓(고혈압), 面筋肉痙攣(면근육경련), 遺尿(유
뇨), 月經不調(월경불조), 月經痛(월경통), 關節炎(관절염) 등이다.
3. 注意事項(주의사항)
활동으로 발생되는 疼痛(동통)과 折針(절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埋針(매침)은 禁(금)해
야 한다. 피부의 화농성염증, 潰瘍(궤양)에는 埋針(매침)을 禁(금)해야 한다. 埋針(매침)
기간 국부에 水(수)를 避免(피면)하며 무더운 날씨에 汗出(한출) 인한 감염 발생이 용이
하므로 埋針(매침) 시간을 짧게 조정해야 한다. 埋針(매침) 후 痛症(통증)이 있거나 활동
에 장애 되면 침을 뺀 후 재차 埋針(매침)을 교정해야 한다.
第四節 火針(화침)
火針(화침)은 고대에 燔針(번침)이라 불렀다. 특별히 제조된 굵은 침인데 불에 달군 후
일정한 부위에 刺入(자입) 시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內經》 에 “焠刺(쉬자)라 불
렀다.
圖(도) 233 火針針具(화침침구)
1. 造作方法(조작방법)
針穴(침혈)부위를 서독한 후 왼손으로 押收(압수,왼손)으로 침혈 주위를 고정시키고 刺
手(자수,오른손) 針(침) 알콜 등불에 벌겋게 달군 후 신속히 刺入(자입)시켜 즉시로 뽑으
며 소독된 솜으로 침구멍을 막는다. 만약 깊이 꽂아야 할 때는 반드시 한 번에 요구되는
깊이까지 도달하며 낮게 꽂을때는 피부표면에 輕(경)하게 찌른다.
2. 使用範圍(사용범위)
溫經散寒(온경산한), 通經活絡(통경활락)의 작용을 하므로 주로 虛寒性(허한성) 병증에
주로 사용한다. 예를 들면 痹證(비증), 胃痛(위통), 虛寒性泄瀉(허한성설사), 陽萎(양위),
月經不調(월경불조), 月經痛(월경통), 連珠瘡(연주창), 各種腫氣(각종종기), 완고한 뷰스
럼, 扁平疣(편평우,사마귀), 검은 사마귀 등이다.
3. 注意事項(주의사항)
火針(화침) 사용시 반드시 신중해야 하며 동작은 민첩하고 정확해야 한다. 血管(혈관),
筋腱(근건,힘줄), 神經干(신경간), 內臟(내장)에 찌르지 말고 面部(면부)의 扁平疣(편평
우), 사마귀 치료외에 面部(면부)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체질이 허약한자, 임신부는 신중히 사용해야 하며, 환자의 몸에 熱(열)이 나는 病證(병
증)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感染(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針刺(침자) 후에는 침구멍을
소독된 가제 등으로 덮어야 한다.
第五節 溫針(온침)
溫針(온침)은 毫針(호침)을 穴(혈)에 刺入(자입)한 후 침자루에 乾草(건초) 艾葉(애엽) 뭉
치를 달은 후 불을 붙여서 針(침)을 뜨겁게 한여 치료하는 방법이다. 近代(근대)에 電熱
針(전열침)으로 발전되었는데 역시 溫針類(온침류)에 속한다.
1. 造作方法(조작방법)
毫針(호침)을 꽂은 후 질병의 虛實(허실)에 따라 일정한 補瀉手法(보사수법)을 진행한
후 대추씨 만한 쑥(艾) 혹은 길이 2cm 되는 艾條(쑥뭉치)를 침자루 끝에 꼽아 놓고 밑
끝에 불을 붙이면 금속침을 따라 熱傳導(열전도)로 서서히 피부와 근육 속으로 溫氣(온
기)가 스며드는데 다 탄 후 재를 털어 버리고 침을 뽑는다.
2. 使用範圍(사용범위)
溫針(온침)은 氣血(기혈)을 통하게 하고 또 溫通經絡(온통경락) 하므로 經絡(경락)에 寒
氣(한기)가 停滯(정체)한 病症(병증)에 사용한다. 예를 들면 腰痛(요통), 脊椎痛症(척추
통증), 四肢寒痹痛(사지한비통), 胃寒腹痛(위한복통), 寒泄(한설), 腹脹(복창) 등 증상에
사용한다.
3. 注意事項(주의사항)
溫針(온침) 사용시 쑥을 든든히 꼽고 쑥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꺼운 종
이에 穴處(혈처)에 맞추어 구멍을 뚫어서 침체를 통과해서 피부를 덮어 화상을 예방해
야 하며 환자는 시술 하는 동안 크게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
風症(풍증), 痙攣(경련), 熱性病(열성병), 高血壓(고혈압)은 溫針(온침)을 사용하지 않는
다.
第六節 電氣針(전기침)
電气針(전기침)은 毫針(호침)을 꽂아 得气(득기)된 후 침 자루에 소량의 전원을 통하게
하여 針(침)과 電流(전류)의 합작된 작용을 이용해서 치료목적을 달성하는 일종의 방법
이다. 이 방법은 치료에 사용할 뿐만 아니라 침구마취에도 사용한다.
1. 造作方法(조작방법)
두 개이상의 穴(혈)을 선택하는데 보통 同側(동측)의 肢体(지체)에 1∼3 짝의 穴(혈)을
취하는 것이 좋다. 자극이 강하기 때문에 너무 많은 穴(혈)을 취하지 말아야 한다.
針穴(침혈)에 득기 되면 수출 전위기를 “0”에 조절한 후 음극은 主穴(주혈)에 양극은 配
穴(배혈)에 접해놓고(陰(음), 陽極(양극)을 나누지 않고 두 개 導線(도선)을 마음대로 접
해도 된다.) 전원개관을 열어 파형을 선택하여 천천히 수요되는 수출전류량에 조절시
킨다. 電气(전기)가 통하는 시간은 보통 5∼20 분 좌우이고 침구마취는 긴 시간을 계속
한다.
만약 病勢(병세)에 의하여 오직 한 穴(혈)만 취할 때는 導線(도선) 하나는 침자루에 접하
고 다른 하나는 25cm 크기의 알미늄 판을 젖은 가제천으로 싸서 針(침)과 멀지 않은 피
부위에 놓고 끈으로 고정시킨다. 이렇게 하면 針刺(침자) 부위의 전기자극의 감응은 현
명하고 비교적 집중적이며 알미늄판의 전류는 분산되어 감응이 약하며 작용 또한 아주
작다.
치료가 끝나면 먼저 수출 전위를 “0"으로 돌린 후 전원을 끄고 導線(도선)을 거둔 후 침
을 뽑는다.
전류가 일정한 정도에 도달하면 환자는 저리며 찌르는 감각이 있는데 이때의 電流强度
(전류강도)를 感覺閾(감각역)이라 부른다.
만약 전류강도를 좀 증가시키면 환자는 돌연적으로 자통감을 느끼는데 이 電流强度(전
류강도)를 전류의 “통역” 이라 부른다. 맥충전류의 “통역” 강도는 사람에 따라 부동하며
각종 병태의 정황에 따라 차이도 비교적 크다. 보통 감각역과 痛閾(통역) 지간의 電流强
度(전류강도)는 치료에 제일 적합한 강도이다. 그러나 이 區間(구간)의 범위는 비교적
좁기 때문에 반드시 세심히 조절해야 한다. 전류강도가 “통역”을 초과하면 환자는 접수
하기 힘들기 때문에 마땅히 환자가 받을 수 있는 강도를 택해야 한다.
2. 脈冲(맥충) 電流(전류)의 作用(작용)
빈율이 빠른 것을 密波(밀파, 혹은 高頻(고빈))이라 부르는데 보통 50∼100 차/초 이고,
빈율이 늦은 것은 수파(혹은 底頻(저빈)) 이라 부르는데 보통 2∼5 차/초 이다.
1) 密波(밀파) : 神經應激(신경응격) 공능을 강화시킨다. 먼저 感覺神經(감각신경)을 억
제작용하며 따라서 운동신경도 억제작용을 한다.
止痛(지통), 鎭靜(진정), 筋肉(근육)과 血管痙攣(혈관경련), 針灸痲醉(침
구마취) 등에 주로 사용한다.
2) 疏波(소파) : 자극작용이 비교적 강하므로 근육을 收縮(수축)시키며 근육인대의 張
力(장력)을 提高(제고)시킨다. 그러나 感覺(감각)과 운동신경의 억제작
용은 비교적 더디다.
痿證(위증), 각종 筋肉(근육), 關節(관절) 靭帶(인대), 힘줄의 손상에 주로
사용한다.
3) 疏密波(소밀파) : 疏波(소파), 密波(밀파)가 자동적으로 교체되어 나타나는 일종의
파형이다. 疏(소), 密波(밀파) 교체의 시간은 약 각기 1.5초이며 한
개 파형이 쉽게 적응성이 생기는 결점을 방지한다. 동력작용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치료시 흥분효응이 확고히 우세하다.
新陳代謝(신진대사), 氣血順換(기혈순환)을 촉진시키며 조직영양을 개선시켜 엄중
성수종을 제거한다. 疼痛(동통), 打撲傷(타박상), 關節周圍炎(관절주위염), 氣血運行
障碍(기혈운행장애), 鎖骨神經痛(쇄골신경통), 面神經麻痹(면신경마비), 筋肉无力
(근육무력), 筋肉凍傷(근육동상)에 주로 사용한다.
4) 斷續波(단속파) : 규율적으로 時斷時續波(시단시속파)가 자동적으로 나타나는 일종
의 疏波(소파)이다. 1.5 초 정지될 때 맥충전류 수출리없으며 계속
될 때는 밀파가 연속적으로 1.5초 동안 나타난다. 斷續波型(단속파형)은 機体(기체)
가 쉽게 적응되지 않으며 동력작용이 매우 강하다. 근육조직의 흥분성을 제고시키
며 횡문기에 양호한 자극의 수축작용을 한다.
痿證(위증), 下肢不遂(하지불수)에 주로 사용한다.
5) 鋸齒波(거치파) : 맥충파폭이 齒型(치형)인데 자동적으로 개변되는 起伏波(기복파)
이며 每分(매분) 16∼25 次(차) 인데 이 빈율은 인체의 호흡규율과
유사하기에 격신경(天鼎穴 부위) 자극과 인공전동호흡에 사용하여 呼吸衰竭(호흡
쇠갈)(아직 심장이 미약하나마 뛸때)을 구급하기 때문에 또한 呼吸波(호흡파)라 부
른다. 따라서 신경근육흥분성을 提高(제고)시키며 經絡功能(경락공능)을 조절하여
인체의 기혈순환을 개선하는 등의 작용을 한다.
3. 使用範圍(사용범위)
電針(전침)의 사용범위는 毫針(호침) 치료 병증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광범위하다 할
것이다. 각종 痛證(통증), 痹證(비증), 痿證(위증), 心臟(심장), 胃(위), 大小腸(대소장), 膽囊
(담낭), 膀胱(방광), 子宮(자궁) 등 기관의 功能失調(공능실조) 와 精神病(정신병), 筋肉(근
육), 靭帶(인대), 關節(관절)의 損傷(손상) 등과 針灸痲醉(침구마취)에도 사영한다.
4. 注意事項(주의사항)
전기침 성능을 검사하되 만약 전류수출이 때로 정지되면 도선접촉의 여부를 검사하고 건
전지 사용시 전류수출이 미약하면 제때에 새 건전지를 바꾸어야 한다. 電气針(전기침)의
刺戟量(자극량)이 비교적 강하기 때문에 체질이 허약하거나 정신이 긴장된 환자는 전류량
을 비교적 약하게 하여 침 멀미를 방지해야 한다. 전류량 조절시 근육의 강렬한 수축으로
침이 굽히거나 끈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연적으로 크게 하지 말아야 한다.
電气針(전기침) 최대 수출전압이 40볼트 이상이면 최대 전류수출은 1미리암페어 이내로
제한하여 접전사고 발생을 방지해야 한다. 直流電(직류전)은 전해작용이 있어 침이 끊어
지거나 機体(기체,有機体, 人体)에 火傷(화상)을 줄수 있기 때문에 電气針(전기침)의 수출
전류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溫針(온침)으로 침자루 표면이 양화되면 도전되지 않으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만약
사용하려면 집게를 이용해야할 것이다.
심장병환자는 반드시 전류회로의 심장통과를 피하여야 하고 脊椎延髓(척추연수) 부위에
전기침을 사용할 때는 전류수출을 적게 하며 절대로 크게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우를 범하
지 말아야하겠고 姙娠婦(임신부)는 愼重(신중)해야 한다.
第七節 芒針(망침)
芒針(망침)은 특별히 제조된 일종의 긴침인데 고대 九針(구침) 중의 長針(긴침)이 발전
되어 온 것이다. 針体(침체)가 특별히 긴 長針(장침)으로써 조작수법도 毫針(호침) 즉 보
통침법과는 다르다.
1. 造作方法(조작방법)
芒針(망침)을 쥐는 자세는 오른손(刺手)의 母(모), 食(식), 中(중) 三指(삼지)로 針体(침체)
의 밑부분(침끝 가까운곳)을 쥐며 針体(침체)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침체는 중지
에 협착하고 침 자루를 돌리면서 동시에 왼손(押收)의 母(모), 食指(식지)는 아래로 냑간
힘주어 천천히 눌러 進針(진침) 시키고 出針時(출침시) 押收(압수)는 천천히 눌렀던 피
부를 올리며 오른손 刺手(자수)는 針(침)을 돌리며 뽑는다.
針刺(침자)의 방향은 주로 침자부위에 의하여 결정하는데 예를들면 直刺(직자)는 腹部
(복부) 아래 복부 측면의 깊은 부위에 사용되고 斜刺(사자)는 腰部(요부), 背部(배부) 및
上腕(상완) 근육이 풍부한 부위와 肘膝關節(주슬관절) 상하애 사용되고 橫刺(횡자)는
頭部(두부), 面部(면부) 및 背部(배부), 胸部(흉부)에 사용된다.
針刺(침자) 깊이는 患者(환자)의 몸집, 수혈부위에 의하여 결정한다. 針(침)이 일정한 깊
이에 刺入(자입)되면 患者(환자)의 感覺(감각)이 시고 저리며 팽창하고 무거운 감 혹은
觸電(촉전,감전)된 감각이 생기는데 사면으로 확산되거나 혹은 먼 곳으로 전도되면 곧
針(침)을 뽑는다.
2. 使用範圍(사용범위)
芒針(망침)은 깊이 침자할 만성병 예를 들면 精神病(정신병), 胃腸病(위장병), 水腫(수
종), 喘息(천식), 月經不調(월경불조), 風濕性關節炎(풍습성관절염), 일체 痛證(통증)에
사용한다. 이외에 짧은 침으로 효과 없을 때 망침으로 치료해 볼 수 있다.
3. 注意事項(주의사항)
針(침)을 곧바르게 천천하 침자하며 막히는 감과 통감이 있으면 즉시로 침을 위로 올린
후 방향을 개변하되 수시로 환자의 표정을 관찰하며 감각을 파악해야 한다. 內臟(내장)
혹은 大血管(대혈관)의 刺傷(자상)을 避免(피면)해야 한다.
針刺(침자) 전에 환자에게 필요한 이해를 인식시켜서 長針(장침)에 관한 공포감을 없애
고 환자의 자세는 바르고 편안해야 한다.
貧血(빈혈), 姙産婦(임산부), 体質虛弱者(체질허약자), 精神的(정신적)으로 緊張(긴장)
한 환자는 施術(시술)에 愼重(신중)해야 하거나 혹은 시술에 무리해서는 안 된다.
第八節 水針(수침)
水針(수침)은 침과 약물을 결합한 일종의 치료방법으로써 또한 穴位注射(혈위주사)라
부른다.
1. 針具(침구)와 常用葯物(상용약물)
針具(침구)는 즉 注射器(주사기)인데 1, 2, 5, 10, 20 ml 의 5 종류가 있고 注射針(주사
침)은 5, 6.5号(호)를 위주로 사용하며 때로 齒科(치과)의 針(침) 5 号나 封閉(봉폐)에 사
용하는 長針(장침)을 사용한다.
葯物(약물)은 筋肉注射(근육주사)의 中國(중국)과 西洋(서양)의 약물제품을 모두 사용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북방단삼주사액, 단삼주사액, 서장향주사액, 판람근주사액, 당귀주사액, 어
성초주사액, 위령선주사액, 25% 류산마그네슘, 비타민B1, B6, B12, C, K, D 교성칼슘,
0.25 - 2%염산노브카인, 아트로핀, 리혈평, 생리염수 등이 있다.
2. 造作方法(조작방법)
수침응용은 반드시 각기 다른 病證(병증)에 有效(유효)한 主治穴(주치혈) 2∼4 穴(혈)이
적합하며 될수록 근육이 풍부한 곳에 穴(혈)을 취하고 또한 阿是穴(아시혈), 結節(결절),
長帶型(기 대형)의 陽性反應点(양성반응점)을 취해도 된다.
針刺部位(침자부위) 및 注射器(주사기)를 소독하고 주사약물을 뽑은 후 해당 穴處(혈
처)에 급속한 進針法(진침법)으로 刺入(자입)시키고 서서히 해당 깊이를 향해 刺入(자
입)해서 針感(침감)을 얻은 후 注射器內(주사기내)에 回血(회혈)이 없으면 곧 약물을 주
입시킨다.
만약 주입해야할 약물이 많은 경우 깊은 곳으로부터 낮은 곳으로 이동해 가며 주입시
키거나 혹은 주사방향을 개변해서 약물을 주입시킨다. 주입속도는 치료 수요에 의하여
결정한다. 즉 實熱證(실열증)은 좀 빠르게 주입시키고, 虛寒證(허한증)은 천천히 주입
시킨다.
急性病(급성병)은 매일 1∼2 次. 慢性病(만성병)은 매일 1 次, 혹은 2 일에 1 次 씩, 6∼10
次를 한 료정으로 한다.
3. 使用範圍(사용범위)
水針治療(수침치료)의 사용범위는 비교적 광범위 하다. 腰部(요부), 下肢部(하지부), 肩
部(견부), 背部(배부)의 痛證(통증), 연조직손상, 섬유직염에 많이 사용되고 기관염, 폐
결핵, 고혈압, 胃(위), 肝(간), 담낭질환 및 일반 침치료에 사영되며 만성질병에도 사용
된다.
4. 注意事項(주의사항)
水針治療(수침치료)시 반드시 약물의 성능, 약리작용, 약물의 질량, 유효기간 및 배합금
지, 부작용, 과민반응 등을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모브카인 등은 반드시 과민실험을
해서 양성 인자와 부작용이 엄중한 약물은 사용하지 말아야 하고 자극성이 강한 약물
은 심중히 사용해야 한다.
頸部(경부), 胸部(흉부), 背部(배부)에는 水針(수침)을 깊게 놓지 말아야 하고 또한 부득
이한 이유로 手針(수침)을 사용할 경우 적은 량으로 천천히 놓아야 한다.
神經干(신경간) 부근은 반드시 신경간을 피하거나 혹은 신경간에 도달하지 않도록 낮
게 놓아야 한다. 혈관, 관절강, 척수강에 약물을 주입하지 말아야 한다.
임신부의 下肢(하지), 腰部(요부), 尾骨部位(미골부위, 꽁무니) 및 三陰交(삼음교), 合谷
穴(합곡혈)에는 水針(수침)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年老(연노)한 사람 또는 虛弱(허약)
한 사람은 穴(혈)을 되도록 적게 취하고 약물도 적은 량을 주입시켜야 한다.
注射器(주사기), 注射針(주사침), 注射部位(주사부위)는 반드시 엄중히 소독해야 한다.
침멀미와 침이 굽히거나 끊어지는 등 현상의 발생을 주의해야 하며 만약 이 같은 사고
가 발생되면 마땅한 방법(이미 소개한 방법)으로 신속히 처리해야 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