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침구법 6 第三章 其他針法(기타침법)

Aktualisiert: 9. Apr. 2022


第三章 其他針法(기타침법)

第一節 三稜針(삼릉침)

第二節 皮膚針(피부침)

1. 造作方法(조작방법)

2. 使用範圍(사용법위)



第三章 其他針法(기타침법)

第一節 三稜針(삼릉침)

三稜針(삼릉침)은 고대에는 鋒針(봉침)이라 불렀으며 자루는 굵고 둥글며 침체는 三稜

形(삼릉형)으로 침끝은 예리하다.

1. 造作方法(조작방법)

오른손 즉 刺手(자수)의 母(모), 食指(식지)로 침자루 즉 針柄(침병)을 쥐고 中指(중지)는

침끝 즉 針尖(침첨)을 부축해서 피부를 控除(공제) 즉 깊게 찌르거나 두드려서 出血(출

혈)을 시키는데 이 같은 手法(수법)에는 다음 몇 가지의 침자방법이 있다.

圖(도) 228 三稜針持針法(삼릉침지침법)

1) 点刺法(점자법)

왼손 즉 押手(압수)의 母(모), 食指(식지)로 針刺部位(침자부위)의 상하를 밀착 시켜서

血液(혈액)이 몰리게 한후 消毒(소독)한 다음 押手(압수)의 母(모), 食(식), 中指(중지)

로 針刺(침자)할 부위를 꼭 쥐고 刺手(자수)의 母(모), 食指(식지)는 침자 루를 쥐고 中

指(중지)는 침체를 부축하여 침 끝을 짧게 아래로 숙여 소독한 부위를 신속히

0.1∼1cm 찌르고 뽑은 후 침구멍 주위를 경하게 눌러서 出血(출혈) 시킨다. 이 방법은

手指(수지) 또는 足指(족지) 끝에 주로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十宣穴(십선혈), 十二井

穴(십이정혈) 등이다.

2) 散刺法(산자법)

고대에 “豹文刺(표문자)”라 불렀고 근대에 “圍刺(위자)” 라 부른다. 먼저 病部位(병부

위)와 針刺部位(침자부위)를 소독한 후 병부위의 바깥쪽에서 중심으로 둥글게 点刺

(점자)하며 병부위의 大小(대소)에 따라 点刺(점자)의 대소를 결정한다.

이 방법은 국부의 瘀血(어혈) 혹은 水腫(수종)에 주로 응용한다.


圖(도) 229 三稜針散刺法(삼릉침산자법)

3) 瀉血法(사혈법)

우선 침자부위로부터 心臟(심장) 쪽을 止血帶(지혈대)로 졸라매고 소독한 후 押收(압

수) 母指(모지)로 針刺(침자)할 부위의 아래쪽을 누르고 刺手(자수)로 쥔 針(침)으로

靜脈(정맥)을 0.5∼1寸 좌우의 깊이로 찌른 후 약간의 血(혈)이 나오기까지 기다리는

데 피가 검붉은 색으로부터 선홍색으로 변하면 지혈대를 풀어 놓는다. 만약 止血(지

혈)되지 않으면 소독한 마른 솜으로 침구멍을 눌러 지혈시킨다.

이방법은 오금에 많이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曲澤(곡택), 委中(위중) 등이다. 이는

2∼3일에 한법씩 사영하는데 만약 출혈량이 비교적 많을 때는 1∼2 주일에 한법씩 사

용한다.


圖(도) 230 三稜針瀉血法(삼릉침사혈법)

4) 挑刺法(도자법)

소독한 후 押手(압수)의 母(모), 食指(식지)로 침자부위의 양쪽을 누르거나 쥐어서 고

정시킨후 오른(刺手)손에 침을 쥐고 針穴(침혈) 혹은 침혈부위의 점을 挑破(도파)하

여 出血(출혈) 혹은 體液(체액)이 나오게 한다.또한 針(침)을 皮下(피하)에 0.5cm 좌

우의 깊이로 刺入(자입)시킨 후 針(침)을 눕혀서 침끝을 가볍게 들어 부분의 섬유조

직을 끊어버린 후 국부를 소독하고 가제천으로 덮는다. 이 방법은 등어리의 背輸穴

(배수혈), 夾脊穴(협척혈) 혹은 흉부의 痛点(통점), 反應点(반응점), 돋은점에 주로 사

용 한다. 이는 3∼5 일에 한번씩 3∼5 차를 한 료정으로 하며 10∼15 일 후

다음료정의 치료를 시작한다.

2. 使用範圍(사용범위)

三稜針法(삼릉침법)은 血(혈)을 빼서 絡脈(락맥)을 瀉(사)할 때 사용함으로 모든 凝滯(응

체), 瘀血不通(어혈불통)의 질병 및 음양의 气(기)가 壅遏(옹알)되고 邪气(사기)가 盛(성)

한 實證(실증)에 사용한다.

点刺法(점자법)은 高熱(고열), 驚風(경풍), 中風昏迷(중풍혼미), 中暑(중서), 急性腰扭傷

(급성요뉴상) 등에 사용하고

散刺法(산자법)은 丹毒(단독), 각종 腫氣(종기)의 초기, 완고한 버짐, 국부의 瘀血(어혈),

血腫(혈종), 水腫(수종) 등에 사용하며

瀉血法(사혈법)은 急性吐瀉(급성토사), 中暑(중서), 發熱(발열) 등에 사용하고

挑刺法(도자법)은 目赤腫痛(목적종통), 丹毒(단독), 痔疾(치질), 血管神經性頭痛(혈관신

경성두통), 견주염, 失眠(실면), 胃腸痛(위장통), 咳嗽(해수), 喘息(천식)등에 사용한다.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병증 및 放血(방혈) 부위와 침자방법은 다음 료 12에 소개한다.

3. 注意事項(주의사항)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독을 엄격히 하고 手法(수법)은 輕(경)하게 속히 출혈시키되

절대 깊은 곳의 動脈(동맥)을 손상하지 않도록 해야 하고 体質(체질)이 약한 자와 貧血

(빈혈), 姙娠婦(임신부), 産婦(산부)는 신중히 사용하며 出血(출혈) 현상이 있는 환자는

금지해야 한다.

常見(상견) 병증 방혈부위 및 자법표

-----------------------------------------------------------------------------------------------------------------------------

病證(병증) 放血部位(방혈부위) 刺法(자법) 備考(비고)

------------------------------------------------------------------------------------------------------------------------------

發熱(발열) 大椎, 十宣, 委中, 曲澤, 尺澤 点刺 瀉血

------------------------------------------------------------------------------------------------------------------------------

中暑(중서) 水溝, 十宣, 委中, 尺澤 点刺 瀉血

------------------------------------------------------------------------------------------------------------------------------

吐瀉(토사) 十二井穴, 委中, 曲澤, 尺澤 点刺 瀉血

------------------------------------------------------------------------------------------------------------------------------

中風閉證 十二井穴, 水溝, 金津 玉液 点刺(점자) 혀가 굳어 말을 못할 때

-------------------------------------------------------------------------------------------------------------------------------

頭痛(두통) 太陽, 印堂, 百會 点刺(점자) 毫針(호침) 사용도 된다.

-------------------------------------------------------------------------------------------------------------------------------

瘧疾(학질) 大椎, 陶道, 后溪 点刺(점자) 毫針(호침) 사용도 된다.

-------------------------------------------------------------------------------------------------------------------------------

精神病 水溝, 大陵, 少商, 湧泉, 長强 点刺(점자) 長强穴(장강혈) 근처에는 散刺(산자)

癎疾病 散刺(산자) 하고 나머지 혈은 점자한다.

-------------------------------------------------------------------------------------------------------------------------------

腰痛(요통) 委中 点刺(점자)

------------------------------------------------------------------------------------------------------------------------------

熱痹(열비) 委中, 曲澤 点刺(점자)

------------------------------------------------------------------------------------------------------------------------------

手足痲木 十宣 点刺(점자) 毫針(호침) 사용도 된다.

-------------------------------------------------------------------------------------------------------------------------------

丹毒(단독) 局部 및 周圍, 点刺, 散刺, 국부에 산자, 척택, 위중은 점자

尺澤, 委中 挑刺 혹 挑刺(도자)

-----------------------------------------------------------------------------------------------------------------------------

風癬(풍선) 耳后 靜脈, 局部 点刺, 散刺 귀 뒤 靜脈(정맥)에 点刺(점자)

극부에 매화침으로 散刺(산자)

-----------------------------------------------------------------------------------------------------------------------------

鼻齄症(비사증) 素髎 및 양쪽 붉은 곳,

尺澤 点刺, 散刺 素髎, 尺澤은 点刺, 붉은 곳은 散刺

-----------------------------------------------------------------------------------------------------------------------------

濕疹(습진) 委中 点刺 毫針으로 曲池, 足三里에 針刺

-----------------------------------------------------------------------------------------------------------------------------

痔疾(치질) 윗입술내측과 윗잇몸 교제처 挑刺

-----------------------------------------------------------------------------------------------------------------------------

急驚風(급경풍) 攢竹, 水溝, 十宣, 督脈連線 点刺 毫針(호침) 사용도 된다.

-----------------------------------------------------------------------------------------------------------------------------

疳積(감적) 四縫 点刺 毫針(호침)을 찔러 황색점액을 뽑는다.

-----------------------------------------------------------------------------------------------------------------------------

急性結膜炎 귀끝 屛尖(병첨) 点刺

-----------------------------------------------------------------------------------------------------------------------------

인영 少商, 商陽, 魚際 点刺, 散刺 少商, 商陽穴 点刺, 魚際穴 散刺

-----------------------------------------------------------------------------------------------------------------------------

口瘡(구창) 患處周圍(환처주위) 散刺

-----------------------------------------------------------------------------------------------------------------------------

頭瘡(두창) 등어리에 작고 붉은 점, 委中 点刺, 散刺 背部(배부)는 挑刺, 委中穴은 点刺

-----------------------------------------------------------------------------------------------------------------------------

第二節 皮膚針(피부침)

皮膚針(피부침)을 또한 “梅花針(매화침)” “七星針(칠성침)” “라환침” 이라고도 부른다.

이들의 별칭은 모두 침을 한데 고정하여 만든 형태를 이르는 말이다.

造作方法(조작방법), 使用範圍(사용범위) 및 注意事項(주의사항)은 아래에 서술한 바와

같다.

1. 造作方法(조작방법)

오른손 즉 刺手(자수)의 母指(모지), 中指(중지), 无名指(무명지), 小指(소지)로 침자루를

쥐고 食指(식지)는 곧게 펴서 침자루 앞 중간에 놓고 침자루 끝은 小魚際(소어제)에 고

정한다.

圖(도) 231 皮膚針(피부침)의 持針法(지침법)

造作(조작)할 때 손목의 힘으로 침끝은 똑바르게 皮膚(피부)를 두드리며 속도는 고르고

빠르며 힘은 적합하게 부위는 정확하게 정한 후 반복적으로 두드린다. 환자의 고통을

避免(피면)하기 위해서는 두드림과 동시에 針(침)끝을 비뚤게 하거나 또는 뒤로 당기는

동작을 취하지 말아야 한다.

刺戟(자극)의 강도는 병세의 輕重(경중), 部位(부위), 환자의 体質(체질) 및 年齡(연령)에

의하여 輕刺(경자), 重刺(중자), 中等刺法(중등자법) 등 세가지로 나눈다.

輕刺(경자)는 힘을 적게 주며 침 끝이 피부에 닿는 시간이 짧을수록 좋고 국부의 피부가

붉게 充血(충혈)하면 된다.

重刺(중자)는 힘있게 두드리며 침끝이 피부에 닿는 시간이 좀은 길고 피부에 약간 出血

(출혈)할 정도이면 족하다.

中等刺(중등자)는 힘을 輕(경)하지도 重(중)하지도 않게 국부는 비록 현명하게 붉지만

출혈하지 않는 정도이다.


皮膚針(피부침)을 두드리는 부위는 일반적으로 循經叩刺(순경고자), 穴位叩刺(혈위고

자), 局部叩刺(국부고자) 세가지로 나눈다.

循經叩刺(순경고자)는 經絡(경락) 노선을 따라 두드리는 방법을 말한다.

이 방법은 주로 督脈(독맥)과 膀胱經(방광경)에 많이 사용되며

기타 經絡(경락)도 모두 經(경)에 따라 두드린다.

穴位叩刺(혈위고자)는 病(병)을 치료하는 주요 穴位(혈위)를 두드리는 일종의 방법이

다. 특정혈 華陀夾脊(화타협척), 阿是穴(아시혈)에 많이 사용된

다.

局部叩刺(국부고자)는 직접 환부를 두드리는 일종의 방법이다.

붓거나 아픈 곳과 저린 곳에 주로 사용한다.

상술한 세 가지 叩刺方法(고자방법)은 단독 혹은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叩刺(고

자) 시에 일정한 선후순서가 있어야 한다.

頭部(두부) : 督脈(독맥), 膀胱經(방광경), 膽經(담경)의 순행에 따라 앞머리 주변에서 뒷

머리 주변의 腦戶(뇌호), 玉枕(옥침), 風池穴(풍지혈)까지 叩刺(고자)하고

양쪽의 엽골부위는 上(상)에서 下(하)로 叩刺(고자)한다.

項部(항부) : 腦戶穴(뇌호혈)부터 大椎穴(대추혈)까지 風池穴(풍지혈), 天柱穴(천주혈)

부터 崇骨穴(숭골혈) 양옆까지 두드린다.

頸部(경부) : 胸鎖乳突肌(흉쇄유돌기) 뒷면 및 앞면 위로부터 아래로 두드린다.

肩胛部(견갑부) : 肩胛骨(견갑골) 내면의 위에서 아래로 두드리고 다음은 견갑강 상면

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두드리고 마지막 견갑강 하면의 내측에서 외측

까지 두드린다.

만약 완자가 팔을 들지 못하면 견관절 주위를 두드린다.

脊背部(척배부) : 먼저 脊柱(척주) 양옆 膀胱經(방광경)의 제일측선을 두드리고 다음은

방광경의 제이측선을 두드린다. 혹은 먼저 督脈(독맥)을 두드리고 담

음 脊柱(척주) 양면의 夾脊穴(협척혈)을 두드린다.

骶部(저부) : 꼬리뼈에서 외측 상방으로 두드리며 한쪽에 세줄씩 두드린다.

胸部(흉부) : 肋間隙(륵간극)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두드린다.

四肢部(사지부) : 手足三陰(수족삼음), 手足三陽(수족삼양)에 따라 두드리고 관절주위

는 둥근형으로 두드린다.

面部(면부) : 눈 부위는 눈썹 머리부터 아래 눈시울 거쳐 瞳子髎穴(동자료혈)까지 두드

리고 코는 코구멍옆 양쪽위에 軟骨(연골)을 중심으로 두드리고 귀(耳)는

귓밥 뒤와 앞을 중점으로 두드린다.

2. 使用範圍(사용법위)

피부침 叩刺(고자)는 皮部(피부) 經脈(경맥) 臟腑(장부) 사이의 연계를 통하여 經絡臟腑

(경락장부)의 气(기)를 조절하는 작용이 있기에 임상에서 각종 病證(병증)에 모두 사용

할 수 있다. 경상적으로 사용되는 病(병)과 部位(부위)를 아래에 소개한다.

頭痛(두통) : 뒷머리, 목, 국부, 유관되는 먼곳의 경맥순행선, 민감 부위를 두드리며

頭痛(편두통)은 膽經(담경), 局部(국부), 유관되는 먼곳의 경맥순행선 민감

부위를 두드리고, 前頭痛(전두통)은 督脈(독맥), 膀胱經(방광경), 局部(국

부), 유관되는 먼 곳의 경맥순행선 민감 부위를 두드린다.

胸痛(흉통) : 제1∼12 흉추의 양측을 취하는데 膈兪(격수), 肝兪(간수)를 중점 자극부위

로 하며 또 疼痛部位(동통부위) 및 肋骨(늑골)의 내측부터 외측으로 肋間

隙(륵간극)을 두드린다.

脇痛(협통) : 胸痛(흉통)과 같은 방법으로 치료하되 支溝(지구), 太冲(태충) 등 穴(혈)과

배합해여 두드린다.

失眠(실면) : 脊椎(척추) 양측을 취하되 心兪(심수), 肝兪(간수)를 중점으로 두드리고 手

少陰(수소음), 手厥陰(수궐음)은 經脈(경맥)을 따라 두드리며 잠잘 때 꿈이

많고, 가슴이 두근거리면 風池(풍지), 三陰交(삼음교), 太溪穴(태계혈) 및

부근의 敏感部位(민감부위)를 두드린다.

四肢痛(사지통) : 上肢痛(상지통)은 胸椎(흉추) 양측과 疼痛部位(동통부위) 및 督脈(독

맥)의 민감점을 두드리고 下肢痛(하지통)은 腰椎(요추) 양측과 동통부

위 및 督脈敏感点(독맥민감점)을 두드린다.

腰扭傷(요뉴상) : 腰骶部(요저부)와 腰部(요부) 양측 밑 膀胱經(방광경)이 下肢(하지)에

순행되는 민감점 예를 들면 委中穴(위중혈) 등을 두드린다.

口眼喎斜(구안괘사) : 面部(면부)의 攢竹(찬죽), 瞳子髎(동자료), 地倉(지창), 頰車(협거)

를 중점으로 두드리고 手陽明經(수양명경)의 合谷(합곡) 및 敏感

点(민감점)을 두드린다.

痹證(비증) : 上肢痛(상지통)은 胸椎兩側(흉추양측), 肩關節(견관절), 肘關節(주관절)등

부위를 취하며下肢痛(하지통)은 腰椎兩側(요추양측), 곤관절, 膝關節(슬관

절) 및 동통부위를 취하고 熱痹(열비)로 벌겋게 부은 곳은 국부를 깊이 두

드려 피가 나도록 하며 국부가 붓고 액체가 있을 때는 三稜針(삼릉침)의 점

자 출혈법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呃逆(애역,딸꾹질) : 제 9∼12 흉추 및 복부정중선을 취하며 따라서 膈兪(격수), 胃兪(위

수), 천수, 大橫(대횡)등 穴(혈)과 배합하여 두드린다.

痿證(위증) : 上肢(상지)는 주로 제 1∼7 흉추양측을 취하며 또 手三陰(수삼음), 手三陽

(수삼양)과 配合(배합)하여 두드릴수 있고 下肢(하지)는 주로 腰椎(요추),

骶椎(저추) 양측을 취하며 또 足三陰(족삼음), 足三陽(족삼양)과 배합하고

關節形態(관절형태)가 變(변)한 환자는 局部(국부)를 중점으로 두드린다.

胃痛(위통) : 脾兪(비수), 胃兪(위수), 肝兪(간수), 中脘(중완), 建里(건리)를 중점으로 孔

孫(공손), 足三里(족삼리) 등혈과 배합한다.

嘔吐(구토) : 脾兪(비수), 胃兪(위수), 肝兪(간수), 中脘(중완), 上脘穴(상완혈)을 중점으로

두드리며 內關穴(내관혈)과 배합한다.

泄瀉(설사) : 脾兪(비수), 胃兪(위수), 大腸兪(대장수), 小腸兪(소장수), 下脘穴(하완혈)을

중점으로 足三里(족삼리), 上巨虛(상거허), 下巨虛(하거허) 등 穴(혈)과 배

합한다.

腹痛(복통) : 上腹痛(상복통)은 제 6∼12 胸椎(흉추) 양측을 중점으로 上脘(상완), 中脘

(중완), 幽門穴(유문혈)과 배합하며

下腹痛(하복통)은 제 1∼5 腰椎(요추) 양측을 중점으로 關元(관원), 气海(기해) 등 穴(혈)

과 배합한다.

喘息(천식) : 胸椎(흉추) 양측과 肺兪(폐유), 膻中(전중)을 중점으로 天突(천돌), 天牖穴

(천유혈) 등과 배합한다.

咳嗽(해수) : 胸椎(흉추) 양측과 肺兪(폐유), 膻中(전중)을 중점으로 尺澤穴(척택혈)과 배

합하며 가래(痰)가 많으면 豊隆穴(풍륭혈)과 배합한다.

遺精(유정) : 腰椎(요추), 骶椎(저추) 양측 및 腹部正中線(복부정중선) 關元穴(관원혈) 등

을 중점으로 두드리며 失眠(실면)에는 三陰交穴(삼음교혈)과 배합한다.

遺尿(유뇨) : 腰椎(요추)와 骶椎(저추) 양측을 중점으로 하고

成人(성인)은 气海(기해), 大赫穴(대혁혈), 小兒(소아)는 三陰交穴(삼음교

혈)과 배합한다.

眩暈(현운) : 頭部(두부)와 肝兪(간유), 腎兪(신수) 및 太陽穴(태양혈)을 중점으로 遠穴

(원혈) 太冲(태충), 行間(행간), 水泉(수천), 太溪穴(태계혈) 등과 배합한다.

心悸(심계) : 心兪(심유), 肝兪(간유)를 위주로 神門(신문), 三陰交(삼음교), 太溪(태계) 등

혈과 배합한다.

月經痛(월경통) : 腰椎(요추), 骶椎(저추) 양측 및 任脈(임맥)과 腎經(신경) 순행부위의

气海(기해), 關元穴(관원혈)을 중점으로 肝兪(간수), 三陰交穴(삼음교

혈) 등과 배합한다.

小兒驚風(소아경풍) : 十宣(십선), 風池(풍지), 大椎(대추), 身柱(신주), 印堂穴(인당혈) 등

을 취한다.

眼疾病(안질병) : 眼周圍(안주위)와 肝兪(간수), 膽兪(담수), 腎兪(신수)를 취하며

綠內障(녹내장)은 風池(풍지), 瞳子髎(동자료)와 배합하며

結膜炎(결막염)은 太陽(태양), 瞳子髎(동자료), 攢竹穴(찬죽혈) 등과 배

합 한다.

鼻疾病(비질병) : 鼻部位(비부위) 및 肺兪(폐수), 風池(풍지), 迎香穴(영향혈)을 취하며

비두염은 合谷(합곡), 魚際(어제) 등 穴(혈)과 배합하다.

連珠瘡(연주창) : 제 5∼10 흉추 양측을 중점으로 해서 病部位(병부위)를 배합하여 重

(중)하게 두드린다.

疳積(감적) : 등어리 하부 즉 腰椎(요추) 좌우와 꽁무니 부위 즉 骶椎(저추) 양측을 위주

로 합당한 四肢(사지)의 穴(혈)과 배합한다.

두드러기 : 夾脊(협척), 제 2∼5 흉추, 제 1∼5 骶椎(저추), 風池(풍지), 血海(혈해)를 위주

로 曲池(곡지), 風門(풍문), 風府(풍부), 委中(위중), 三陰交(삼음교), 太溪(태

계)등 穴(혈)과 배합한다.

3. 注意事項(주의사항)

침두드리기 전애 공구를 검사하되 침 끝이 굽히거나, 침면이 일정 한가, 침자루와 침머리

연결처가 든든해야 한다. 조작시 동작은 민첩해야 하고 환자의 통증을 면하기 위하여 침

끝이 비뚤어 진 상태로 두들겨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치료 시에는 잘 소독하여 감염을 방지해야 하고 출혈하지 않을 정도로 두드려

야 한다.

그리고 두드리는 일정한 순서가 있는데 보통 위로부터 아래로, 內側(내측)으로부터 外側

(외측)으로 經絡(경락)의 순행을 따라 두드릴 때는 1c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진행한다. 局

部(국부)의 피부가 헐었거나 損傷(손상)된 환자는 이와 같은 치료방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56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법 16 第六章 附缸法(부항법)

第六章 附缸法(부항법) 第一節 附缸法(부항법)의 意義(의의) 第二節 附缸(부항)의 작용과 종류 1. 附缸(부항)의 作用(작용) 2. 附缸(부항)의 種類(종류) 第三節 부항대는 방법 ...

침구법 15 第五章 灸法(구법)

第五章 灸法(구법) 第一節 灸法(구법)의 特徵(특징)과 作用(작용) 2. 灸法(구법)의 作用(작용) 1) 溫經散寒(온경산한) 2) 扶陽固脫(부양고탈) 3) 行氣活血(행기활혈) 4) 預防(예방)과 保健(보건) 第二節 시구의 재료 (施灸的材料)...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