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의방 120 活血散瘀湯 - 黃芩湯

Aktualisiert: 31. Aug. 2019


醫方集成

활혈산어탕(活血散瘀湯)《外科正宗》

옹양제(癰瘍劑) - 황금탕(黃芩湯)《醫宗金鑑》

이비제(耳鼻劑)


활혈산어탕(活血散瘀湯)《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천궁(川芎), 적작(赤芍), 도인(桃仁), 괄루인(栝樓仁), 모단피(牡丹皮), 당귀(當

歸), 소목(蘇木), 지각(枳殼), 빈낭(檳榔), 대황(大黃).

주치 : 어혈인기(瘀血引起)의 위중독류주(委中毒流注) 산후오로불지(産后惡露不止) 경

후어혈작통(經后瘀血作痛) 장후어혈(杖后瘀血).- 환처청자(患處靑紫) 목경종통

(木硬腫痛) 굴신간난(屈伸艱難) 자통(刺痛).

활혈산어탕(活血散瘀湯)《醫宗金鑑》

조성 ≒ 歸尾(귀미), 赤芍(적작), 桃仁(도인), 大黃(대황, 酒炒), 川芎(천궁), 蘇木(소목), 丹

皮(단피), 枳殼(지각, 麩炒), 瓜蔞仁(과루인), 檳榔(빈낭).- 水煎服(수전복)

효용 : 活血逐瘀(활혈축어)

주치 : 瘀血流注(어혈류주) 및 委中毒(위중독) 等證.

활혈서근탕(活血舒筋湯)《中醫傷科學講義》골상제(骨傷劑)

조성 ≒ 감초(甘草), 편강황(片薑黃), 당귀미(當歸尾), 적작(赤芍), 송절(松節), 강활(羌活),

독활(獨活), 방풍(防風), 락득타(落得打), 로로통(路路通), 해동피(海桐皮), 신근

초(伸筋草), 속단(續斷).- 십삼미약(十三味葯) 조성(組成)

加減 : ① 상지(上肢) : 加 천궁(川芎), 계지(桂枝).

② 하지(下肢) : 加 우슬(牛膝), 목과(木瓜).

③ 통심(痛甚) : 加 유향(乳香), 몰약(沒葯).

주치 : 근상련통(筋傷攣痛), 관절종통(關節腫痛), 활동공능장애(活動功能障碍).

활혈소염환(活血消炎丸)

조성 ≒ 乳香(유향, 醋炙), 沒葯(몰약, 醋炙) 各18, 菖蒲膏(창포고, 乾)2.25, 黃米(황미, 蒸

熟)9, 兌硏牛黃(태연우황)0.45,.

주치 : 혈비(血痹)

활혈소풍탕(活血消風湯)《眼科纂要》

조성 ≒ 당귀(當歸), 천궁(川芎), 백작(白芍), 생지황(生地黃), 방풍(防風), 백지(白芷), 형

개(荊芥), 박하(薄荷), 세신(細辛), 길경(桔梗), 감초(甘草).

활혈윤조생진산(活血潤燥生津散)《丹溪心法》치조제(治燥劑)

조성 ≒ 천문동(天門冬), 맥문동(麥門冬), 천화분(天花粉), 당귀(當歸), 백작(白芍), 도인

(桃仁), 홍화(紅花), 숙지황(熟地黃).

주치 : 혈액고소(血液枯少) 내장건조(內臟乾燥)- 피부건삽(皮膚乾澁) 조조(粗糙), 모발

건고(毛髮乾枯) 불영(不榮),기육소수

(肌肉消瘦), 대변비결(大便秘結) 불통(不通), 설건(舌乾) 태박황(苔薄黃)

활혈윤조생진탕(活血潤燥生津湯)《醫方集解》

조성 ≒ 天門冬(천문동), 麥門冬(맥문동), 當歸(당귀), 白芍(백작), 瓜蔞(과루), 熟地(숙지),

桃仁(도인), 紅花(홍화).

활혈지통산(活血止痛散)《經驗方》

조성 ≒ 透骨草(투골초), 川楝子(천련자), 當歸(당귀), 片薑黃(편강황), 乳香(유향), 威靈仙

(위령선), 川牛膝(천우슬), 羌活(강활), 白芷(백지), 蘇木(소목), 五加皮(오가피), 紅

花(홍화), 土茯苓(토복령), 川椒(천초).- 水煎熏洗患處(수전훈세환처)

효용 : 舒筋活血(서근활혈), 消腫止痛(소종지통).

주치 : 股腫(고종)

활혈지통탕(活血止痛湯)《傷科大成》골상제(骨傷劑)

조성 ≒ 자형등(紫荊藤), 소목(蘇木), 유향(乳香), 몰약(沒葯), 당귀(當歸), 적작(赤芍), 천궁

(川芎), 홍화(紅花), 진피(陣皮), 락득타(落得打), 삼칠(三七), 지별충(地鱉虫).

- 십이미조성(十二味組成). 수주각반(水酒各半) 전복(煎服)

주치 : 골절초기(骨折初期) 종통(腫痛)

활혈지통탕(活血止痛湯)《醫方集成》

조성 ≒ 桃仁(도인)10, 紅花(홍화), 當歸(당귀), 川芎(천궁), 天麻(천마), 丹參(단삼) 各8, 乳

香(유향)10, 甘草(감초)3. 물 800ml로 달여 절반을 취해서 하루에 3등분 하여 복

용한다.

주치 : 1) 瘀血頭痛(어혈두통) - 后頭(후두) 玉枕(옥침)에서 天柱穴(천주혈) 부위가 몹시

아파서 잠을 잘 때 베개를 베지 못하고 熟眠(숙면)이 불가

한 것을 다스린다. 1 첩으로 심한 통증은 일단 사라지는데 1첩을 더 복용하고

재탕까지 해서 3 일간 복용하면 완전하다.

활혈탕(活血湯)《中醫傷科學》골상제(骨傷劑)

조성 ≒ 당귀미(當歸尾), 도인(桃仁), 홍화(紅花), 적작(赤芍), 혈갈(血竭), 계혈등(鷄血騰),

지각(枳殼), 북시호(北柴胡).- 팔미약(八味葯) 조성(組成).

주치 : 골절초기(骨折初期) 어종동통(瘀腫疼痛).

활혈통경산(活血通經散)《簡明醫彀》

조성 ≒ 白芷(백지), 肉桂(육계) 各4.5, 劉寄奴(유기노, 取穗), 赤芍葯(적작약) 各150, 凌

霄花(능소화), 蘇木(소목), 紅花(홍화), 牛膝(우슬), 甘草(감초), 香附(향부)各60,

木通(목통), 桃仁(도인)各30.

효용 : 活血通經(활혈통경), 理氣止痛(리기지통)

주치 : 氣滯血瘀(기체혈어) - 婦人氣虛留滯(부인기허류체), 瘀血不行(어혈불행), 月經過

期(월경과기) 斷斷續續(단단속속), 時作腹痛(시작복통), 漸

至閉經(점지폐경)

활혈통맥탕(活血通脈湯)《經驗方》

조성 ≒ 당귀(當歸)30, 적작(赤芍)90, 토복령(土茯苓)90, 도인(桃仁)60, 금은화(金銀

花)30, 천궁(川芎)30.- 共硏細末 水泛小丸. 每次3~6g, 每天 3 次, 水煎服

효용 : 活血化瘀(활혈화어), 淸熱散結(청열산결).

활혈화견탕(活血化堅湯)《外科正宗》

조성 ≒ 防風(방풍), 赤芍(적작), 歸尾(귀미), 天花粉(천화분), 金銀花(금은화), 貝母(패모),

川芎(천궁), 皂角刺(조각자), 桔梗(길경), 姜蚕(강잠), 厚朴(후박), 五靈脂(오령지),

陣皮(진피), 甘草(감초), 乳香(유향), 白芷(백지).- 水煎服(수전복)

효용 : 活血祛瘀(활혈거어), 化堅消腫(화견소종).

주치 : 瘰癧(라력) 及 癭瘤(영류),痰核(담핵)等 腫瘍初起(종양초기) 未潰膿者(미궤농자).

활혈화기음(活血和氣飮)《沈氏尊生書》

조성 ≒ 川芎(천궁), 靑皮(청피), 甘草(감초), 白芍(백작), 滑石(활석), 丹皮(단피), 桃仁(도

인).

활혈환(活血丸)《中醫傷科學》골상제(骨傷劑)

조성 ≒ 초쉬자연동(醋淬自然銅), 혈갈(血竭), 유향(乳香), 몰약(沒葯), 도인(桃仁), 홍화

(紅花), 우슬(牛膝), 속단(續斷), 초두중(炒杜仲), 골쇄보(骨碎補), 백지(白芷), 당귀

(當歸), 천궁궁(川芎窮), 해아차(孩兒茶), 적소목(赤蘇木), 마전자(馬前子), 대황

(大黃), 생지(生地), 토별충(土鱉虫), 주사(朱砂), 빙편(冰片).- 이십일미약(二十一

味葯).

주치 : 질타손상(跌打損傷) 어종동통(瘀腫疼痛)

활혈효령단(活血效靈丹)《醫學衷中參西彔》理血劑(리혈제)

조성 ≒ 當歸(당귀), 丹參(단삼), 乳香(유향), 沒葯(몰약).

황금가반하생강탕(黃芩加半夏生姜湯)《傷寒論》

조성 ≒ 황금(黃芩), 작약(芍葯), 감초(甘草), 대조(大棗), 반하(半夏), 생강(生姜).

황금산(黃芩散)《備急千金要方》卷三

조성 ≒ 황금(黃芩), 자위피(刺猬皮, 炙微焦), 당귀(當歸) 各15, 작약(芍葯)30, 모려(牡蠣).

죽여(竹茹) 各75, 호경(狐莖) 1 具.

효용 : 淸利濕熱(청리습열), 收斂胞宮(수렴포궁).

주치 : 婦人(부인) 陰挺脫出(음정탈출).

황금안약수(黃芩眼葯水)《臨床眼科學》치목제(治目劑)

조성 ≒ 黃芩(황금)100. 制法 : 將黃芩用蒸餾水冲洗于凈, 以適量蒸餾水煎煮 1h, 濾出葯

葯渣再加 蒸餾水煎 30 min, 濾出葯液 將兩次葯液合幷濃縮至 150~200ml 爲

止. 然后加入 95% 乙醇(約爲葯液之兩倍量), 靜放 5~6h 后, 間接加熱 蒸發乙

醇, 至无酒精味爲止, 濾出葯液 加入5% 活性炭煮沸過, 再加蒸餾水至 1000ml,

過濾后 煮沸滅菌卽可. 其 pH 値爲 6.5.

주치 : 瞳神緊小(동신긴소) 瞳神乾缺(동신건결) 花翳白陷(화예백함) 凝脂翳(응지예).

황금청담탕(黃芩淸膽湯)《通俗傷寒論》화해제(少陽和解劑)

조성 ≒ 청호(靑蒿)6, 황금(黃芩)6, 적복령(赤茯苓)9, 반하(半夏)5, 진피(陣皮)5, 벽옥산(碧

玉散 활석(滑石), 감초(甘草), 청대(靑黛))9, 지각(枳殼)5, 죽여(竹茹)9.

주치 : 소양습열담탁증(少陽濕熱痰濁證).- 한열(寒熱)중 한(寒)이 경(輕)하고 열(熱)이 중

(重)하며(寒輕熱重), 입안에 쓴맛이 돌고(口苦), 횡격(橫膈)이 답답하며(膈悶), 누

렇고 찐득찐득한 침응 뱉고, 혀는 붉고, 설태(舌苔)는 희고 찐득하며 맥(脈) 은 현

활(弦滑)한 변증(辨證)을 근거로 치료한다.

황금청폐음(黃芩淸肺飮)《證治准繩》옹양제(癰瘍劑)

조성 ≒ 황금(黃芩), 치자(梔子).- 수전복(水煎服)

효용 : 청폐설열(淸肺泄熱)

주치 : 폐기실선(肺氣失宣) 융폐(癃閉, 전열선증생증(前列腺增生症)).- 소변불창(小便不

暢) 혹 점적불통(点滴不通) 인건구조(咽乾口燥) 호흡불리(呼吸不利) 해수담천(咳

嗽痰喘) 촌맥부삭(寸脈浮數).

※ 임상응용(臨床應用) 본방을 사용할 때 상피(桑皮), 행인(杏仁), 길경(桔梗) 등을 많

이 첨가함으로써 선폐이폐지품(宣肺利肺之品)으로 치료효과를 더욱 높인다.

황금탕(黃芩湯)《傷寒論》청열제(淸熱劑)

조성 ≒ 황금(黃芩), 작약(芍葯), 감초(甘草), 대조(大棗).

효용 : 고한청해소양(苦寒淸解少陽). 주치1) 태양여소양합병(太陽與少陽合病), 자하리

(自下利), 편우소양자(偏于少陽者).- 후세에 이르러 열리(熱痢)에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몸에 열이 있고 입에 쓴맛이 돌며(身熱口苦), 복통하리(腹痛下痢), 혹은

이질복통 (痢疾腹痛)에 열이 있으며(有熱), 설질은 붉고(舌質紅) 맥은 현삭(脈弦

數)하다. 2) 춘온(春溫) - 열입기분증(熱入氣分證)

황금탕(黃芩湯)《外台秘要, 引張仲景方》화해제(和解劑)

조성 ≒ 황금(黃芩), 인삼(人蔘), 대조(大棗), 반하(半夏), 계지(桂枝), 건강(乾姜).

주치 : 위중허한(胃中虛寒) 장열(腸熱) 건구하리(乾嘔下利).- 소기무력(少氣无力) 구불

갈(口不渴) 위중냉(胃中冷) 건구하리(乾嘔下利) 등 위(胃)가 평소(平素)에 허(虛)

한 데다 한사(寒邪)를 받았고, 장(腸)에는 열(熱)이 있으므로 토(吐)하려 하나 나

오는 물질은 없고 설사(泄瀉)를 하여, 기력(氣力)이 없고, 목은 마르지 않은 증후

(證候)를 다스린다.

황금탕(黃芩湯)《醫宗金鑑》이비제(耳鼻劑)

조성 ≒ 황금(黃芩), 치자(梔子), 상백피(桑白皮), 연교(連翹), 적작(赤芍), 생감초(生甘草),

맥문동(麥門冬), 형개수(荊芥穗), 박하(薄荷), 길경(桔梗).

주치 1) 비감(鼻疳) - 체외로부터 사기의 침습을 받아 폐경에 열독이 쌓인(肺經蘊熱邪毒

外襲) 비감(鼻疳)의 초기(初起)에 콧구멍 앞이 건조하고 뜨거운 열

로 사르는 것 같으며(鼻前孔灼熱乾焮) 약간 아프고 좀은 가려우며(微痒微痛) 좁

쌀알 같은 작은 것이 피부에 나타나고(皮膚出現粟粒狀小丘) 이어서 얇게 문드

러지며(繼而表淺糜爛) 황색의 기름진 물이 약간 흘러나오거나(溢出少許 黃色

脂水) 혹은 누런 딱지가 맺히고(或結有黃痂皮), 피부주위가 붉은 색을 띠며(周

圍皮膚潮紅) 심화 되면 갈라지고(甚至皸裂), 오래되면 코털이 빠진다(久則鼻毛

脫落)

33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תגובות


התגובות הושבתו לפוסט הז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