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행군산(行軍散)《霍亂論》
개규제(開竅劑) - 현토고본환(玄菟固本丸)《丹心(단심)》
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행군산(行軍散)《霍亂論》개규제(開竅劑)
조성 ≒ 우황(牛黃), 당문자(當門子, 麝香), 진주(眞珠), 매편(梅片, 冰片), 붕사(硼砂)각3,
웅황(雄黃)24, 화초(火硝, 硝石)0.9, 비금(飛金)20장.
효용 : 개규(開竅), 퇴예(退穢), 해독(解毒).
주치 : 여름철에 사창(痧脹)으로 인하여 뱌가 아프고 답답하고 구토하고 설사하며(霍亂
痧脹), 번민욕절(煩悶欲絶), 두목혼훈(頭目昏暈), 인사불성(人事不省)과 아울러
구창인통(口瘡咽痛)을 치료한다.
☞ 또한 눈의 풍열(風熱)의 장예(障翳)를 물리치고 시역(時疫)의 기(氣)를 물리칠 수
가 있다.
행기거어탕(行氣祛瘀湯)《新中醫》1985 ; 2 : 31
조성 ≒ 王不留行(왕불유행), 橘核(귤핵) 各20, 川楝子(천련자), 川牛膝(천우슬) 各15, 黨
參(당삼), 茯苓(복령), 三棱(삼능), 莪朮(아출), 海藻(해조), 昆布(곤포) 各9, 桃仁
(도인), 當歸(당귀) 各6, 小茴香(소회향)3.
上爲細末, 酒糊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9 克, 1日 2 次.
효용 : 행기활혈(行氣活血), 화어지통(化瘀止痛).
주치 : 외상성음경(外傷性陰莖) 或 고환동통(睾丸疼痛), 견경종창(堅硬腫脹).
행소산(杏蘇散)《溫病條辨》치조제(治燥劑)
조성 ≒ 행인(杏仁), 자소엽(紫蘇葉), 전호(前胡), 길경(桔梗), 진피(陣皮), 반하(半夏), 복
령(茯苓), 지각(枳殼),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효용 : 소풍산한(疏風散寒), 선통폐기(宣通肺氣).
주치 : 1) 외감양조(外感凉燥).- 두미통(頭微痛) 오한무한(惡寒无汗) 해수담희(咳嗽痰稀)
비색익색(鼻塞嗌塞) 태백(苔白) 맥현(脈弦).
2) 해수(咳嗽) - 풍한범폐증(風寒犯肺證).
행소음(杏蘇飮)《醫宗金鑑》
조성 ≒ 苦杏仁(고행인), 紫蘇(자소), 前胡(전호), 桔梗(길경), 枳殼(지각), 橘紅(귤홍), 貝
母(패모), 桑皮(상피), 甘草(감초), 黃芩(황금), 麥冬(맥동), 生姜(생강).
행소이진탕(杏蘇二陣湯)《中醫內科學》거담제(祛痰劑)
조성 ≒ 이진탕(二陣湯, 진피(陣皮), 반하(半夏), 복령(茯苓), 감초(甘草)) 가(加) 소자(蘇
子), 행인(杏仁).
주치 : 담탁조폐(痰濁阻肺).- 해수담다(咳嗽痰多) 흉만(胸滿) 형체비반(形體肥胖) 면색
회백(面色灰白) 설태후니(舌苔厚膩) 맥활(脈滑).
행인세방(杏仁洗方)《聖濟悤錄》
조성 ≒ 杏仁(행인).
행인탕(杏仁湯)《備急千金要方》
조성 ≒ 杏仁(행인)15, 桃仁(도인)9, 大黃(대황)18, 水蛭(수질), 蝄虫(망충) 各15枚.
- 물 600ml 煎取(전취) 200ml 3차 分服(분복)
효용 : 化瘀調經(화어조경)
주치 : 어혈내조(瘀血內阻) - 月經不調(월경불조) 혹 一月再來(일월재래) 혹 二三月一
來 (이삼월일래), 或月前(혹월전), 或月后(혹월후) 經閉不通(경폐불통).
행인활석탕(杏仁滑石湯)《溫病條辨》
조성 ≒ 행인(杏仁), 활석(滑石), 황금(黃芩), 귤홍(橘紅), 연교(連翹), 울금(鬱芩), 통초(通
草), 후박(厚朴), 반하(半夏).
효용 : 수고신개설(須苦辛開泄), 청리삼초습열(淸利三焦濕熱).
주치 : 습온병(濕溫病) - 습열미만삼초증(濕熱彌漫三焦證)은 항상 설태회백(舌苔灰白)하
고, 흉완비민(胸脘痞悶)하며 조열(潮熱), 구오(嘔惡), 번갈(煩渴),
자리(自利), 한출(汗出), 뇨단(尿短) 등을 보인다. 습이 쌓여 열이 됨으로(濕蘊生
熱) 습중(濕中)에 열(熱)이 머물러 있어서 습(濕)과 열(熱)이 혼탁하게 교체되고,
사기(邪氣)가 중초(中焦)에 머물러 있어서 기기(氣機)를 저애(阻遏)함으로 말미암
아 위로 폐(肺)를 상역(上逆)하고, 아래로 장(腸)을 조체(阻滯)하는 것이다.
향계환(香桂丸)《醫略六書》
조성 ≒ 당귀(當歸), 천궁(川芎), 계심(桂心), 목향(木香).
향계활혈고(香桂活血膏)《中醫外科學》
조성 ≒ 香白芷(향백지), 甘松(감송), 川芎(천궁), 薄荷腦(박하뇌), 冰片(빙편), 生大黃(생
대황), 姜黃(강황), 徐長卿(서장경), 獨活(독활), 牙皂(아조), 五加皮(오가피), 木香
(목향), - 顚茄流浸膏(전가유침고).
향능환(香棱丸)《濟生方》경산제(經産劑)
조성 ≒ 아출(莪朮), 삼능(三棱), 천련자(川楝子), 목향(木香), 정향(丁香), 소청피(小靑皮),
지각(枳殼), 소회향(小茴香). 초자면호위환(醋煮面糊爲丸) 주사위의(朱砂爲衣)
주치 : 기체지징가적취(氣滯之癥痂積聚) - 소복창만(小腹脹滿) 적괴불견(積塊不堅) 추
지가이(推之可移) 혹상혹하(或上或下) 통무정처(痛无定處) 태박윤(苔薄潤) 맥침
현(脈沉弦).
향목수세방(香木水洗方)《經驗方》
조성 ≒ 木賊草(목적초), 香附(향부), 地膚子(지부자) 各30, 細辛(세신)9. 加水 1000 毫升
左右, 煎沸去渣留葯汁備用.- 疣, 浸泡中擇木賊草 輕巧摩擦 疣体損害, 以不滲血
爲度; 瘙痒病 可先薰后洗.
효용 : 散風(산풍), 止痒(지양), 軟皮除疣(연피제우).
주치 : 尋常疣(심상우), 跖疣(척우), 女陰瘙痒(여음소양), 肛周瘙痒(항주소양).
향부선복화탕(香附旋復花湯)《溫病條辨》거담제(祛痰劑)
조성 ≒ 향부(香附), 선복화(旋復花), 반하(半夏), 복령(茯苓), 이미(苡米), 진피(陣皮), 소
자상(蘇子霜).
주치 : 흉협동통(胸脇疼痛) 흉민불서(胸悶不舒) 흉통여초(胸痛如炒) 혹감자통(或感刺
痛) 호흡불창(呼吸不暢) 혹유민해(或有悶咳) 태박(苔薄) 설질암(舌質暗) 脈弦
향사양위환(香砂養胃丸)《慈禧太后醫方選議》
조성 ≒ 광피(廣皮), 향부(香附), 신곡(神曲), 맥아(麥芽), 백출(白朮), 지실(枳實), 반하(半
夏), 창출(蒼朮), 복령(茯苓), 후박(厚朴), 길경(桔梗), 천련(川連), 사인(砂仁), 목향
(木香), 산사(山楂), 감초(甘草), 초치자(炒梔子), 곽향(藿香), 무궁(撫芎).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張氏醫通》
조성 ≒ 목향(木香), 사인(砂仁), 진피(陣皮), 반하(半夏),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
苓),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오매(烏梅). 효능 : 건비화중(健脾和中),
강역지구(降逆止嘔).
주치 : 1) 임신오조(妊娠惡阻) - 위기허증(胃氣虛證)
2) 구토(嘔吐) 허증(虛證) - 위기상역증(胃氣上逆證) 비위가 허한한 사람이(若脾
胃虛寒者), 음식을 먹으면 토하고(食入作吐), 곡식이
소화되지 않고(完谷不化), 위와 배가 차갑고 아프다(脘腹冷痛).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時方歌括》《和劑局方》
조성 ≒ 人參(인삼), 茯苓(복령), 白朮(백출), 炙甘草(자감초), 制半夏(제반하), 陣皮(진피),
木香(목향), 砂仁(사인).- 水煎服(수전복)
효용 : 健脾理氣(건비리기)
주치 : 脾胃氣虛(비위기허) 寒濕阻滯中焦(한습조체중초). 症見(증견) 脘腹脹痛(완복창
통) 噯氣納呆(애기납매) 嘔吐(구토) 泄瀉(설사) 等.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名醫方論》
조성 ≒ 人參(인삼), 白朮(백출), 茯苓(복령), 甘草(감초), 木香(목향), 砂仁(사인), 陣皮(진
피), 半夏(반하), 生姜(생강), 大棗(대조).
향사지출환(香砂枳朮丸)《攝生秘剖》 소도제(消道劑)
조성 ≒ 지출환(枳朮丸, 지실(枳實), 백출(白朮)) 가(加) 목향(木香), 사인(砂仁).
주치 : 식적내정(食積內停) 기기조체(氣機阻滯) 완복창만(脘腹脹滿).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醫宗金鑑》영아제(嬰兒劑)
조성 ≒ 향부(香附), 사인(砂仁), 평위산(平胃散, 창출(蒼朮), 진피(陣皮), 후박(厚朴), 감초
(甘草)) 삼선(三仙, 산사(山楂), 신곡(神曲), 맥아(麥芽)) 지각(枳殼), 항백작(杭白
芍).- 십일미조성(十一味組成) 생강(生姜) 위인(爲引)
주치 : 상식복통(傷食腹痛).- 복부창만동통(腹部脹滿疼痛) 안지통심(按之痛甚) 애홰부탁
(噯噦腐濁) 구기산취(口氣酸臭) 불사음식(不思飮食) 시전시
기(時轉矢氣) 분변 취예(糞便臭穢) 혹(或) 복통욕사(腹痛欲瀉) 사후통감(瀉后痛感)
시유구토(時有 嘔吐) 토물산수(吐物酸餿) 야와불안(夜臥不安) 시시제곡(時時啼
哭) 설태후니(舌苔厚膩).
향소산(香蘇散)《和劑局方》해표제(解表劑)
조성 ≒ 향부(香附), 자소엽(紫蘇葉), 진피(陣皮), 감초(甘草). 효능 : 온중해표(溫中解表).
주치 1) 외감풍한(外感風寒) 내유기체(內有氣滯).- 오한발열(惡寒發熱) 무한(无汗) 두통
(頭痛) 흉완비민(胸脘痞悶) 불사음식(不思飮食) 설태박백(舌苔薄白) 등 변증의
거.
2) 위한증(胃寒證) - 구토(嘔吐), 설사(泄瀉)
향소총시탕(香蘇葱豉湯)《通俗傷寒論》해표제(解表劑)
조성 ≒ 총시탕(葱豉湯) 合 향소산(香蘇散) : 총백(葱白), 두시(豆豉) 合 행인(杏仁), 자소
엽(紫蘇葉), 전호(前胡), 길경(桔梗), 진피(陣皮), 반하(半夏), 복령(茯苓), 지각(枳
殼),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주치 : 임부상한(姙婦傷寒)
향연환(香連丸)《和劑局方》청열제(淸熱劑)
조성 ≒ 황련(黃連, 오수유(吳茱萸)와 함께 볶아서(炒) 吳茱萸를 버린다.) 목향(木香). -
곱게 가루내어 초로 환을 밧어서(醋糊爲丸) 미음(米飮)으로 송복(送服)한다. 주
치 : 습열이질(濕熱痢疾).- 흉부와 황격이 마치는 것같이 아프고 답답하며(胸膈
痞悶), 피고름이 썪인 이질설사(下痢膿血)와 변기가 급하고 배가 아프며(腹痛里
急), 음식을 먹으려 하지안는(不思飮食) 등 증상을 다스린다.
향용환(香茸丸)《證治准繩》보익제(補益劑)
조성 ≒ 복령(茯苓), 숙지(熟地), 회침향(盔沉香), 단용골(煅龍骨), 사향(麝香), 오미자(五
味子), 육종용(肉蓗蓉), --용( 茸), 녹용(鹿茸), 주(酒).
주치 : 신양쇠비(腎陽衰憊) 정(精)과 혈(血)을 모두 휴손(虧損)한 융폐(癃閉).- 소변불통
(小便不通) 혹은 소변이 잘 나가지 않고 물방울을 떨어 뜨리듯이 누며(点滴不暢),
배출무력(排出无力)하고, 면색황백(面色晄白), 몸은 쇠약해지고 정신은 멈짓 거
리며(形神萎頓), 등과 허리가 시큼거리는 통증이 있고(腰脊酸痛), 맥은 가볍게 누
르면 짚이지 않고 힘주어 누르면 알리는데 가늘고 똑똑하며 척맥은 연하고 가늘
어 꾹눌러야 짚이는 침세이척약맥(沉細而尺弱脈)을 다스린다.
향유음(香薷飮) 거서제(祛暑劑)
1) 향유음(香薷飮), 삼물향유음(三物香薷飮)《和劑局方》
조성 ≒ 유향(乳香), 후박(川厚朴), 편두(扁豆).
주치 : 서월승양음냉(暑月乘陽飮冷), 외감한(外感寒) 내상습(內傷濕).- 발열오한
(發熱惡寒), 두중통(頭重痛) 신무한(身无汗) 흉민(胸悶) 혹 복통토사(腹痛
吐瀉) 사지권태(四肢倦怠) 설태백니(舌苔白膩) 맥부(脈浮).
2) 사미향유음(四味香薷飮)《의방집해(醫方集解)》
조성 ≒ 향유음(香薷飮) 가(加) 황련(黃連).
주치 : 겸치(兼治) 열심자(熱甚者).
3) 오물향유음(五物香薷飮)《醫方集解》
조성 ≒ 향유음(香薷飮) 가(加) 운령(云苓), 감초(甘草).
주치 : 겸(兼) 화중기(和中氣) 지사설(止瀉泄)
4) 육미향유음(六味香薷飮)《醫方集解》
조성 ≒ 오물향유음(五物香薷飮) 가(加) 목과(木瓜).
주치 : 습사태성적(濕邪太盛的) 증후(證候)
5) 십미향유음(十味香薷飮)《增補万病回春》
조성 ≒ 육미향유음(六味香薷飮) 가(加) 인삼(人蔘), 황기(黃芪), 백출(白朮), 진피
(陣皮).
주치 : 겸치(兼治) 중기허약(中氣虛弱) 다한자(多汗者).
6) 황련향유음(黃連香薷飮)《類證活人書》
조성 ≒ 향유음(香薷飮) 거(去) 편두(扁豆), 가(加) 황련(黃連).
주치 : 청심비(淸心脾).- 제번열(除煩熱).
7) 신가향유음(新加香薷飮)《溫病條辨》
조성 ≒ 향유음(香薷飮) 거(去) 편두(扁豆),
가(加) 은화(銀花), 연교(連翹), 편두화(扁豆花).
주치 : 서온초기(暑溫初起) 모서감한적(冒暑感寒的) 증후(證候).
향패양영탕(香貝養榮湯)《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조성 ≒ 향부(香附), 패모(貝母), 팔진탕(八珍湯,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
(甘草), 당귀(當歸), 천궁(川芎), 백작(白芍), 숙지(熟地)) 길경(桔梗), 진피(陣皮).,
강조(姜棗) 위인(爲引).
효용 : 익기양혈(益氣養血)
주치 : 1) 실영(失榮) 상석저(上石疽).- 경부종괴(頸部腫塊) 견경여석(堅硬如石) 신체소
수(身體消瘦) 면색무화(面色无華) 소기핍력(少氣乏力)
2) 역치(亦治) 비허협담(脾虛脇痰) 풍륜적두(風輪赤豆).
현삼연교음(玄參連翹飮)《北京方》
조성 ≒ 玄參(현삼), 連翹(연교), 銀花(은화), 地丁(지정), 板藍根(판람근), 丹皮(단피), 牛
蒡子(우방자), 僵蚕(강잠), 薄荷(박하), 生地(생지).
현주운묘단(玄珠耘苗丹)《綱目(강목)》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五味子(오미자) 八兩(팔량), 巴戟(파극), 遠志(원지), 枸杞子(구기자), 山葯(산약),
白茯苓(백복령), 肉蓗蓉(육종용), 百部根(백부근), 杜仲(두중), 蛇床子(사상자), 防
風(방풍), 柏子仁(백자인), 菟絲子(토사자) 各二兩(각이량)을 作末(작말)하고 梧子
大(오자대) 크기로 蜜丸(밀환)을 지어서 50~70환을 溫酒(온주) 혹은 鹽湯(염탕)
으로 呑下(탄하)한다. 이 方文(방문)이 前陰門(전음문)의 上丹(상단)으로 더불어
같은 방인데 여름에는 五味子(오미자) 四兩(사량)을 가하고, 四季(사계)에는 肉蓗
蓉(육종용)을 가하며, 가을에는 枸杞子(구기자) 六兩(육량)을 가한다.
주치 : 張長沙(장장사)가 妄佞(망녕)되게 燥熱(조열)한 약을 함부로 먹는 것을 경계하되
葯勢(약세)가 偏僻(편벽, 치우쳐서)하게 이기는 바가 있으므로 인하여 부작용을
일으키는 症(증)은 마치 벼이삭이 길지 않다고 뽑아 올리는 것과 같고 또 氣血(기
혈)의 稟受(품수, 선천적 정기를 이어 받음)가 약함으로 이 약을 먹어야 하는데 먹
지 않는 것은 이삭을 맺지 않은 것과 같음을 比喩(비유)하여 약명을 耘苗丹(운묘
단)이라 한 것인데 이 丹(단)이 五臟(오장)을 길러서 부족을 補(보)하고, 眞元(진원,
腎精(신정))을 秘固(비고, 굳게 간직)하고, 二氣(이기)를 均調(균조)하고, 榮衛(영
위, 表里(표리))를 和暢(화창)케 하고, 神(신)을 保全(보전)하고, 中(중, 비위, 중초)
을 지킨다.
현토고본환(玄菟固本丸)《丹心(단심)》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菟絲子(토사자) 一斤(일근)을 酒製(주제)하여 淨末(정말)한 것으로 八兩(팔량), 熟
地黃(숙지황), 生乾地黃(생건지황), 天門冬(천문동), 麥門冬(맥문동), 五味子(오
미자), 茯神(복신) 各四兩(각사량), 蓮肉(연육), 人蔘(인삼), 枸杞子(구기자) 各二
兩(각이량)을 作末(작말)하여 梧子大(오자대)로 和丸(화환)하여 溫酒(온주) 혹은
鹽湯(염탕)으로 80~90환을 呑下(탄하, 삼키다) 한다.
주치 : 虛勞(허로)에 下元(하원)이 衰弱(쇠약)한 症(증)을 다스리니 能(능)히 陰(음)을붇게
하고 陽(양)을 돕는다.
Komment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