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의방 108 梔子甘草豉湯 - 七星丸

Aktualisiert: 30. Aug. 2019



醫方集成

치자감초시탕(梔子甘草豉湯)

《傷寒論》청열제(淸熱劑) - 칠성환(七星丸)《朱仁康臨床經驗集》


치자감초시탕(梔子甘草豉湯)《傷寒論》청열제(淸熱劑)

조성 ≒ 치자(梔子), 감초(甘草), 두시(豆豉).

주치 : 치자시탕증(梔子豉湯證) 겸(兼) 소기(少氣) 자(者).

치자건강탕(梔子乾姜湯)《傷寒論》청열제(淸熱劑)

조성 ≒ 치자(梔子), 건강(乾姜).

주치 : 상한병(傷寒病) 환자(患者)에게 준맹(峻猛)한 사하약(瀉下葯)으로 오치(誤治)를 하

여, 열요흉격(熱擾胸膈) 겸(兼) 중한하리(中寒下利)가 된 환자(患者)이다. 전신증

상(全身症狀)은 신열(身熱) 흉중번열(胸中煩熱) 복만(腹滿) 혹 복통(腹痛) 식소(食

少) 변당(便溏) 등.

치자금화환(梔子金花丸)《景岳全書》청열제(淸熱劑)

조성 ≒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가(加) 대황(大黃).: 황련(黃連), 황금(黃芩), 황백(黃柏), 치자(梔子), 대황(大黃).

효용 : 사화작용갱강(瀉火作用更强).

주치 : 열독내성(熱毒內盛).- 번요조갈(煩擾躁渴), 혹 토뉵발광(吐衄發狂), 혹 외과질환

(外科疾患) 창양종독(瘡瘍腫毒) 등.

치자대황탕(梔子大黃湯)《金匱要略》청열제(淸熱劑)

조성 ≒ 치자(梔子), 두시(豆豉), 대황(大黃), 지실(枳實).

주치 : 주달(酒疸).- 몸이 마치 귤색과 같이 노랗고(身黃如橘色) 심중이 괴롭거나(心中懊

憹), 혹 아프고 열이 나며(熱痛), 몸에 열이 나고 조급하고 괴로우며

(身熱煩躁) 잠이 들지 않고(不眠) 소변이 잘 나가지 않으며(小便不利) 대변을 보기

가 어렵고(大便難) 맥은 순조롭고 원활하며 유력하다(脈滑數有力).

치자백피탕(梔子栢皮湯)《傷寒論》청열제(淸熱劑)

조성 ≒ 치자(梔子), 황백(黃柏), 감초(炙甘草).

주치 : 양황(陽黃) 표증도 리증도 아닌 사람(无表裏證者).- 몸에 열이 나며 색은 노랗고

(身熱發黃) 구갈이 나고 마음

이 답답하며 괴롭고(心煩口渴) 소변색은 누렇고 짧아 량이 적으며(小便短黃) 설

태는 누렇고(苔黃) 맥은 한번 호흡하는 사이에 5번 이상 뛰며 빠르다(脈數).

치자생강시탕(梔子生姜豉湯)《(傷寒論》청열제(淸熱劑)

조성 ≒ 치자(梔子), 생강(生姜), 두시(豆豉).

주치 : 치자시탕증(梔子豉湯證) 겸(兼) 구역증(嘔逆症)

치자승기산(梔子勝奇散)《原機啓微》치목제(治目劑)

조성 ≒ 치자(梔子), 밀몽화(密蒙花), 강활(羌活), 방풍(防風), 황금(黃芩), 감초(甘草), 만형

자(蔓荊子), 초결명(草決明), 형개수(荊芥穗), 목적초(木賊草), 곡정초(谷精草), 백

질려(白疾藜), 사탈(蛇脫), 국화(菊花), 천궁궁(川芎窮).

주치 : 심폐풍열(心肺風熱)의 노육반정(胬肉攀睛).- 군살이 생긴 초기부터(胬肉初生) 점

점 부어 일어나고(漸見脹起) 적맥이 모여 넓게 깔리고(赤脈集布) 눈물과 눈꼽이

많으며(多眵多泪) 밝은 빛에 눈이 부시고 가려우며 껄끄럽고(痒澁羞明) 설태는

누렇고 얇으며(舌苔薄黃) 맥은 가볍게 눌러도 짚이고 힘주어 누르면 약해지지만

속이 비지 않았고,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며 빠르다(脈浮數).

치자시탕(梔子豉湯)《傷寒論》청열제(淸熱劑)

조성 ≒ 치자(梔子), 두시(豆豉).

주치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한토하후(汗吐下后) 열요흉격(熱擾胸膈).- 한토하후(汗

吐下后) 심번(心煩) 신열(身熱) 불득면(不得眠) 심중오노(心中懊憹) 좌와불령(坐

臥不寧) - 반복전도(反復顚倒)

치자청간탕(梔子淸肝湯)《類證治裁》리기제(理氣劑)

조성 ≒ 치자(梔子), 모단피(牡丹皮), 당귀(當歸), 백작(白芍), 천궁(川芎), 시호(北柴胡), 복

령(茯苓), 감초(甘草), 대력자(大力子, 牛蒡子).

《方解》① 시호(柴胡), 작약(芍葯) : 소간해울(疏肝解鬱), 청열(淸熱).

② 복령(茯苓), 감초(甘草), 당귀(當歸), 천궁(川芎) : 益脾養血活血

③ 치자(梔子), 단피(丹皮) : 청설간화(淸泄肝火).

④ 우방자(牛蒡子) : 산열이인소종(散熱利咽消腫)

주치 : 간화(肝火).- 급조이노(急躁易怒) 면홍목적(面紅目赤) 구고인건(口苦咽乾) 협늑작

통(脇肋灼痛) 혹 흉민(胸悶), 설질홍(舌質紅) 태박황(苔薄黃) 맥현삭

(脈弦數).

【加减】 ① 간화항왕(肝火亢旺) 번조이노(煩躁易怒) 맥현삭(脈弦數) :

可加 하고초(夏枯草) 용담초(龍膽草) - 청간사화(淸肝瀉火)

② 풍양내성(風陽內盛) 수지전두(手指顫抖) :

加 석결명(石決明), 구등(鉤藤), 백질려(白蒺藜), 모려(牡蠣).

- 평간식풍(平肝息風).

③ 겸견(兼見) 위열내성(胃熱內盛) 다식이기(多食易飢)

加 생석고(生石膏), 지모(知母) - 청설위열(淸泄胃熱)

치자청간탕(梔子淸肝湯)《雜病源流犀燭》이비제(耳鼻劑)

조성 ≒ 치자(梔子), 당귀(當歸), 감초(甘草), 단피(丹皮), 황금(黃芩), 황연(黃連), 창포(菖

蒲), 우방자(牛蒡子), 시호(柴胡).

주치 : 간화상요(肝火上擾) 사독정취(邪毒停聚)의 정이(耵耳).- 이도피부손상(耳道皮膚

損傷) 홍종(紅腫) 미란(糜爛) 흔통(焮痛) 설홍태황(舌紅苔黃) 맥삭(脈數)

치자탕(梔子湯)《備急千金要方》卷十九

조성 ≒ 梔子仁(치자인), 芍葯(작약), 通草(통초), 石葦(석위) 各18, 石膏(석고)30, 滑石(활

석)48, 黃芩(황금)24, 生地黃(생지황), 楡白皮(유백피), 淡竹葉(담죽엽)30. 水

1000 毫升, 煮取 300 毫升, 去滓, 分 3 次服.

효용 : 청하초습열(淸下焦濕熱)

주치 : 습열하주(濕熱下注) 음경동통(陰莖疼痛) 소복창만(小腹脹滿) 소변황적(小便黃

赤) 빈삭(頻數), 혹겸음낭생창(或兼陰囊生瘡).

치자후박탕(梔子厚朴湯)《傷寒論》청열제(淸熱劑)

조성 ≒ 치자(梔子), 후박(厚朴), 지실(枳實).

주치 : 상한(傷寒) 사기재표(邪氣在表) 오치하법(誤治下法)으로, 무형열사(无形熱邪) 침

우흉격(侵扰胸膈) 루급장위(累及腸胃).- 상한(傷寒) 표불해(表不解), 오하후(誤下

后) 심중번열(心中煩熱) 와기불안(臥起不安) 복창만(腹脹滿) 설태황(舌苔黃) 맥

삭(脈數).

치중탕(治中湯)《類證活人書》☞ 리중환(理中丸)《傷寒論》온리제(溫裏劑)

조성 ≒ 理中丸(인삼(人參), 백출(白朮), 건강(乾姜), 감초(甘草)) 가(加) 청피(靑皮), 진피

(陣皮).

주치 : 냉식적체(冷食積滯).

치탁고본환(治濁固本丸)《醫學正傳》고삽제(固澁劑)

조성 ≒ 연수(蓮須), 황련(黃連), 황백(黃柏), 저령(猪苓), 운령(云苓), 감초(甘草), 반하 (半

夏), 사인(砂仁), 익지인(益智仁).

주치 : 위중습열(胃中濕熱) 삼입방광(滲入膀胱).- 하탁불지(下濁不止) 태황(苔黃) 맥삭

(脈數).

치후방(治瘊方)《經驗方》

조성 ≒ 熟地(숙지)12, 首烏(수오)6, 杜仲(두중)6, 赤芍(적작), 桃仁(도인), 紅花(홍화), 丹

皮(단피), 赤小豆(적소두), 白朮(백출), 牛膝(우슬) 各9, 穿山甲(천산갑)3~6.

水煎服. 飮酒者 每煮 加 白酒 30ml 冲服, 連服至 脫落爲止.

효용 : 養血化瘀(양혈화어)

주치 : 사마귀(疣)의 피진이 넓게 뜬(而皮疹廣泛) 사람.

치후탕(治瘊湯)《外科學》

조성 ≒ 熟地(숙지), 首烏(수오), 杜仲(두중), 白芍(백작), 赤芍(적작), 桃仁(도인), 紅花(홍

화), 丹皮(단피), 赤小豆(적소두), 白朮(백출), 牛膝(우슬), 穿山甲(천산갑).

칠기탕(七氣湯)《和劑局方》

조성 ≒ 인삼(人蔘), 감초(甘草), 육계(肉桂), 반하(半夏), 생강(生姜).

칠리산(七厘散)《良方集腋》골상제(骨傷劑)

조성 ≒ 아차(兒茶), 유향(乳香), 몰약(沒葯), 주사(朱砂), 빙편(冰片), 사향(麝香), 혈갈(血

竭), 홍화(紅花).- 팔미약(八味葯) 조성(組成)

주치 : 질타손상(跌打損傷).- 골단근절(骨斷筋折) 종통(腫痛) 출혈(出血).

칠미도기환(七味都氣丸)《醫宗己任編》

조성 ≒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복령(茯苓), 모단피(牡丹皮), 택사

(澤瀉), 오미자(五味子).

효용 : 건비익기(健脾益氣), 자음보신(滋陰補腎)., 자음납기(滋陰納氣).

주치 : 천증(喘證)-1) 신불납기증(腎不納氣證) 合 삼합산(參蛤散)《中醫方劑臨床手冊》

2) 폐신음허증(肺腎陰虛證) 合 생맥산(生脈散)《內外傷辨惑論》

칠미백출산(七味白朮散)《六科准繩》☞ 사군자탕(四君子湯)《和劑局方》보익제(補益劑)

조성 ≒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갈근(葛根), 목향(木香), 곽향엽

(藿香葉).

주치 : 비위허약(脾胃虛弱).- 발열(發熱) 구갈(口渴) 식욕감소(納减).

칠미백출산(七味白朮散) (湯)《小兒葯證直訣》보익제(補益劑)

조성 ≒ 인삼(人蔘)7, 복령(茯苓)15, 백출(白朮)15, 감초(甘草)3, 곽향엽(藿香葉)15, 목향

(木香)6, 갈근(葛根)15~30.

효용 : 건비지사(健脾止瀉)

주치 : 비위구허(脾胃久虛).- 구토설사(嘔吐泄瀉)가 자주 일어나(頻煩) 멈추지 않는 증

칠보미염단(七寶美髥丹)《醫方集解》보익제(補益劑)

조성 ≒ 하수오(何首烏, 赤白各一斤, 合黑豆 九蒸九曬)300, 복령(茯苓, 우유를 고루 묻혀

서 음건)150, 우슬(牛膝, 酒浸 九蒸九曬)150, 당귀(當歸, 酒洗)150, 구기자(枸杞

子, 酒浸)150, 토사자(菟絲子, 酒浸蒸)150, 보골지(補骨脂, 炒之合黑芝麻)120.

- 밀환을 만들어 염탕(塩湯) 혹은 술(酒)로 복용한다.

효용 : 자신수(滋腎水) 익간혈(益肝血)

주치 : 간신부족(肝腎不足)으로 인한 머리가 일찍 시며(須髮早白), 이가 흔들리며(齒牙

動搖), 꿈속에 사정(夢遺滑精)하고, 허리와 무릎이 시큼시큼하며 힘이 빠지는듯

약함을 느끼며(腰膝痠軟), 근골무력(筋骨无力) 등의 증을 주치한다.

칠보미염단(七寶美髥丹)《邵應節方》

조성 ≒ 制首烏(제수오)1000, 牛膝(우슬) 補骨脂(보골지) 茯苓(복령) 菟絲子(토사자) 當

歸身(당귀신) 枸杞子(구기자) 各400. 共硏細末, 煉蜜爲丸. 每天 3 次, 每次 9克,

空腹 淡塩湯或開水送下.

효용 : 補腎元(보신원)

주치 : 烏須發(오수발)

칠보산(七寶散)《楊氏家藏方》화해제(和解劑)

조성 ≒ 상산(常山), 감초(甘草), 빈낭(檳榔), 후박(厚朴), 초과인(草果仁), 청피(靑皮), 진

피(陣皮).

주치 : 학질(虐疾) 신체(身體)가 강장(强壯)한 사람이 학질(虐疾)이 신속히 발작하고 끝

임 없이 지속되고 태백니(苔白膩) 맥현활(脈弦滑)한 환자(患者)를 다스린다.

칠삼단(七三丹)《經驗方》(中醫外科學講義)

조성 ≒ 熟石膏(숙석고)21, 升約(승단)9. - 共硏細末, 摻于瘡口上, 或用 葯線蘸葯 揷入瘡

中, 外用 膏葯 或油膏 盖貼.

효용 : 提膿祛腐(제농거부)

주치 : 流痰(류담) 附骨疽(부골저) 瘰癧(라력) 有頭疽(유두저) 등증.- 潰后(궤후) 腐肉難

脫(부육난탈) 膿水不凈(농수부정).

칠생환(七生丸)《回春․東醫寶鑑》

조성 ≒ 川芎(천궁), 川烏(천오), 草烏(초오), 南星(남성), 半夏(반하 남성, 반하 二味는 冷

水洗(냉수세) 去滑(거활)), 白芷(백지), 生石膏(생석고) 各等分, 細辛(세신), 全蝎

(전갈)을 加(가)하여 各半(각반)씩 减(감)해서 右(우) 細末(세말)하고, 韭菜(구채)

의 自然汁(자연즙)에 和丸(화환) 梧子大(오자대)하여 生葱(생총)을 씹은 뒤에 茶

淸(다청)에 7~9환씩 呑下(탄하)한다.

주치 : 男女(남녀)의 八般頭痛(팔반두통, 8가지 두통) 및 一切頭痛(일절두통), 痰厥(담

궐), 腎厥(신궐), 傷寒(상한), 傷風頭痛(상풍두통)을 아울러 다스린다.

칠성검(七星劍)《外科正宗》

조성 ≒ 野菊花(야국화), 蒼耳頭(창이두), 豨薟草(희렴초), 半枝蓮(반지련), 麻黃(마황), 地

丁草(지정초), 草河車(초하차).

칠성환(七星丸)《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水銀(수은, 或紅粉), 大楓子仁(대풍자인), 核桃仁(핵도인).

44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