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질환 (眼疾患)
1. 常用葯(상용약)
1) 各種(각종) 腫瘡(종창), 咽喉腫痛(인후종통), 口瘡(구창), 目疾(목질) 等證(등증) 常用
葯(상용약) : ☆ 冰片(빙편)
2) 眼花(안화) : 頭昏眼花(두혼안화) - 肝腎陰虛(간신음허) : 白首烏(백수오),
2. 配伍葯(배오약)
1) 大黃(대황)10 + 荊芥穗(형개수)10 = 眼腫疼痛(안종동통) 諸症(제증)
2) 珍珠母(진주모,打先煎)30 + 磁朱丸(자주환,布包)10 = 肝腎不足(간신부족) 肝陽上逆
(간양상역) 以致(이치)
3) 蚕沙(잠사)10 + 夜明砂(야명사)10 =(布包) 頭昏眼花(두혼안화) - 肝熱目赤(간열목
적), 目生白翳(목생백예) 等症(등증)
3. 臨床(림상)
1) 眼疾患(안질환)
⑴ 爐甘石(노감석), 烏賊骨(오적골), 硼砂(붕사), - 同量細粉(동량세분) 投入眼球(투입
안구)
⑵ 眼球冲血(안구충혈),擴大(확대), 風熱(풍열)로 인하여 눈시울이 짓무르는 것, 內障
(내장), 外障(외장), 翳膜(예막), 눈이 부셔서 햇볕을 싫어하는 것, 속눈섭이 말려
들어가 눈물이 나오는 것, 눈꺼풀이 벌겋게 짓무르는 것, 눈에 핏발이 서거나 피
가 몰린 것 등에 쓰이는 처방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加减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 滑石(활석)7, 甘草(감초)5, 石膏(석고), 黃芩(황금), 桔梗(길경)各3, 防
風(방풍), 川芎(천궁), 當歸(당귀), 赤芍(적작), 芒硝(망초), 大黃(대황),
麻黃(마황), 半夏(반하), 連翹(연교) 各2, 荊芥(형개), 白朮(백출), 梔子
(치자) 各1.5. 生姜(생강)3片 减 芒硝(망초), 大黃(대황).
加 甘菊(감국), 細辛(세신), 羌活(강활), 獨活(독활), 白蒺藜(백질려), 木賊
(목적), 蔓荊子(만형자), 草決明(초결명), 玄參(현삼), 蟬退(선퇴).
⑶ 오래 되었거나 갓 생겼거나 관계없이 모든 눈병과 內障(내장), 外障(외장)으로 생
긴 翳膜(예막)과 胬肉攀睛(노육반정), 爛弦風(란현풍) 및 나이가 많아 虛弱(허약)
해져서 눈이 잘 보이지 않으며 眼花(안화)가 나타나다가 오래되면 內障(내장)이
되는 것을 치료할 때 쓴다. 이 葯(약)은 火氣(화기)를 내리고 水氣(수기)를 끌어올
리므로 오랫동안 복용하는 것이 좋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어두운 밤에도 작은 글
자까지 볼 수 있게 된다고 한다.
還睛丸(환정환)
≒ 天門冬(천문동), 麥門冬(맥문동), 生地黃(생지황), 熟地黃(숙지황) 各120,
酒炒知母80, 人參(인삼), 地骨皮(지골피), 酒浸肉蓗蓉(주침육종용), 牛膝
(우슬), 酒炒杜仲(주초두중), 石斛(석곡), 杏仁(행인) 各60, 酒洗當歸(주세
당귀), 白茯苓(백복령), 蒸山葯(증산약), 酒製兎絲子(주제토사자), 酒炒黃
柏(주초황백), 枳殼(지각), 酒洗甘菊(주세감국), 靑霜子(청상자), 決明子(결
명자), 白蒺藜(백질려), 羚羊角粉(영양각분)各40, 防風(방풍), 犀角(서각)
各32, 川芎(천궁), 五味子(오미자), 黃連(황련), 炒甘草(초감초) 各28.
가루 내어 꿀에 반죽해서 0.3g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서 한 번에100 알씩
食后(식후)에 鹽湯(염탕)으모 먹는다.
⑷ 여러 가지 눈병
內障(내장), 外障(외장)으로 翳膜(예막)이 검은자위를 가린 것, 風眼(풍안), 爛弦風
(란현풍)과 늙은이나 虛弱(허약)한 사람이 눈곱이 많은 것, 바람을 쏘이면 찬 눈물
이 나오는(迎風流淚) 것, 물건이 잘 보이지 않고 眼花(안화)가 나타날 때
고본환정환 ≒ 酒浸蒸寸冬(주침증촌동), 麥冬(맥동), 酒浸生地(주침생지), 熟地 各
120, 人參(인삼), 白茯苓(백복령), 薯蕷(서여), 枸杞子(구기자) 各60,
酒洗牛膝(주세우슬), 炒決明子(초결명자), 杏仁(행인), 甘菊(감국),
酒製兎絲子(주제토사자), 枳殼(지각) 各40, 羚羊角粉(영양각분), 犀
角粉(서각분), 防風(방풍), 靑霜子(청상자) 各32, 五味子(오미자), 甘
草(감초), 黃連(황련), 白蒺藜(백질려), 川芎(천궁) 各28.
가루 내어 꿀에 반죽해서 0.3g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서 한 번에
50~70 알씩 空腹(공복)에 鹽湯(염탕)으모 복용한다.
⑸ 여러 가지 눈병,
內障(내장)과 外障(외장), 翳膜(예막)을 치료할 때
대명복광산 ≒ 酒洗當歸尾(주세당귀미), 酒浸生地(주침생지),酒炒黃柏(주초황백),
酒炒黃連(주초황련), 酒炒黃芩(주초황금), 柴胡(시호), 白茯苓(백복
령), 枳殼(지각), 羌活(강활), 防風(방풍), 荊芥(형개), 石膏(석고), 甘
菊(감국), 蟬退(선퇴), 炒車前子(초차전자), 木賊(목적), 炒靑霜子(초
청상자), 炙石決明(자석결명), 甘草(감초) 各2.
위의 葯劑(약제)를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식후에 溫服(온복)한다.
⑹ 오래되었거나 갓 생긴
內障(내장), 外障(외장), 風熱(풍열)로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 눈시울이 짓무르는
것, 눈에 피진 것, 倒睫拳毛(도첩권모, 속눈섭이 눈동자를 찌르는 것) 등 여러가지
눈병을 치료한다.
석고강활산 ≒ 石膏(석고), 羌活(강활), 黃芩(황금), 藁本(고본), 密蒙花(밀 몽화), 木
賊(목적), 白芷(백지), 蘿卜子(나복자), 細辛(세신), 麻子仁(마자인),
川芎(천궁), 蒼朮(창출), 甘菊(감국), 荊芥 (형개), 甘草(감초).
- 各同量(각동량).
위의 葯劑를 가루 내어 한 번에 8g 씩 꿀물에 타서 먹거나 두 번째
로 쌀 씻은 물에 타서 먹기도 한다.
方解 :① 石膏(석고) : 翳膜(예막)을 없애고 止痛(지통),
② 羌活(강활,腦熱과 頭痛을 제거),
③ 黃芩(황금,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熱을 내린다),
④ 藁本(고본,頭風과 頭痛을 治療),
⑤ 密蒙花(밀몽화,눈이 부시어 햇볕을 싫어하는 畏光을 治療),
⑥ 木賊(목적,翳障을 除祛),
⑦ 白芷(백지,머리와 눈을 시원하게),
⑧ 蘿卜子(나복자,속눈섭이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바로 서게 한다),
⑨ 細辛(세신,風邪를 除祛),
⑩ 麻子仁(마자인,속눈섭이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바로 서게 한다),
⑪ 川芎(천궁,頭風을 除祛),
⑫ 蒼朮(창출,몰린 것을 헤치고 氣를 잘 돌게 한다),
⑬ 甘菊(감국,눈을 맑게하고 風을 除祛),
⑭ 荊芥(형개,눈이 허는 것을 治療),
⑮ 甘草(감초,독을 푼다). -
⑺ 여러 가지 눈병을 치료한다.
加减拔云散(가감발운산) ≒ 羌活(강활)90, 甘菊(감국)76, 木賊(목적), 白蒺藜(백질
려) 各46, 防風(방풍), 柴胡(시호), 蒼朮(창출), 枳殼(지
각), 川芎(천궁), 甘草(감초) 各44, 荊芥(형개), 薄荷(박
하) 各40, 蟬退(선퇴)30, 炙石決明(자석결명), 密蒙花
(밀몽화) 各16.
가루 내어 한 번에 8g 씩 薄何湯(박하탕)에 타서 食后
(식후)에 服用(복용)한다.
2) 風眼赤爛(풍안적란) :
膽礬炭粉(담반탄분)을 溫水溶解(온수용해) 眼球洗滌(안구세척)
3) 眼痛(안통) 風濕熱邪(풍습열사) 上攻(상공) 瞼弦赤爛(검현적란).
- 瞼弦紅赤爛潰(검현홍적란궤), 痛痒幷作(통양병작), 眵泪膠粘(치루교점), 睫毛成束
(첩모성속)(睫毛成束) 혹 倒睫(도첩), 睫毛脫落(첩모탈락).
方 : 除濕湯(제습탕)《眼科纂要》治目劑(치목제)
≒ 連翹(연교), 滑石(활석), 車前子(차전자), 枳殼(지각), 黃芩(황금), 黃連(황
련), 目痛(목통), 陳皮(진피), 荊芥(형개), 防風(방풍), 茯苓(복령), 甘草(감
초).
亦治(역치) 脾胃濕熱(비위습열) 兼受風邪(겸수풍사) 目痒(목양)
4) 眼花不育(안화불육) 眼花歧視(안화기시), 혹 枯澁疼痛(고삽동통).
方 : 杞菊地黃丸(기국지황환)《醫級》補益劑(보익제)
≒ 枸杞子(구기자)9, 菊花(국화)9, 熟地黃(숙지황)24, 山茱萸(산수
유)12, 山葯(산약)12, 牡丹皮(모단피), 茯苓(복령), 澤瀉(택사)各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