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臨床140 /肢体 6. 頭痛(두통) / 金匱要略

東醫寶鑑

1) 正頭痛(정두통) 229 - 9

⑴ 대개 손의 三陽(삼양)은 손으로부터 머리에 이르고, 발의 三陽(삼양)은 머리로부터

발에 이르는데 이렇게 손과 발의 六陽(육양)의 脈(맥)은 모두 上部(상부) 頭面(두면)

에 症(증)을 나타낸다.(靈樞(령추).

⑵ 三陽(삼양)은 頭痛(두통)이 있고 三陰(삼음)은 頭痛(두통)이 없는 症(증)인데 오직 厥

陰脈(궐음맥)이 督脈(독맥)으로 더불어 首巓(수전)에 모이는 故(고)로 頭痛(두통)이

있고, 少陰(소음)이 또한 頭痛(두통)이 있다(活人(활인).

⑶ 頭痛(두통)은 痰(담)으로 因(인)한 경우가 많고, 痛(통)이 甚(심)한 症(증)은 火(화)가

많으므로 그러한 것이다. 吐(토)해야 될 症(증)이 있고, 下(하)해야될 症(증)이 있으며,

諸經(제경)의 氣(기)가 滯(체)하면 또한 두통이 생긴다.(丹心(단심).

⑷ 頭痛(두통)이 눈을 連(연)해서 아픈 症(증)은 風痰(풍담)이 上攻(상공)한 症(증)이니 白

芷(백지)를 써서 열어 준다(丹心(단심).

⑸ 頭痛(두통)의 通治葯(통치약)에 川芎茶調散(천궁차조산), 一字輕金散(일자경금산),

如聖餠子(여성병자), 七生丸(칠생환)을 쓴다. 頭痛(두통)에 川芎(천궁)을 써서 낫지

않으면 각각 引經葯(인경약)을 加(가) 할 것이니 太陽(태양)에는 羌活(강활)이요, 陽

明(양명)에는 白芷(백지)요, 少陽(소양)에는 柴胡(시호)요, 太陰(태음)에는 蒼朮(창출)

이요, 少陰(소음)에는 細辛(세신)이요, 厥陰(궐음)에는 吳茱萸(오수유)를 각각 쓴다

(丹心(단심).

川芎茶調散(천궁차조산)

≒ 薄荷(박하)二兩, 川芎(천궁), 荊芥穗(형개수) 各一兩, 羌活(강활), 白芷(백

지), 甘草(감초) 各五錢, 防風(방풍), 細辛(세신) 各二錢半. 作末(작말)하

여 每二錢(매이전)을 茶淸(다청)에 食后調服(식후조복)하고, 혹은 七錢

(칠전)씩 剉作(좌작)하여 茶(다)를 조금 넣어 煎服(전복)해도 좋다. 偏頭

痛(편두통)에 細末(세말)하여 葱涎(총연)에 調(조)해서 兩太陽穴(양태양

혈)에 붙여도 效(효)가 있다. (得効(득효)

一字輕金散(일자경금산)

≒ 川芎(천궁), 白芷(백지), 藿香(곽향), 荊芥(형개), 旋覆花(선복화), 石膏(석

고), 防風(방풍) 各五錢, 南星(남성) 生川烏(생천오) 各二 錢半, 草烏(초오)

一錢半을 썰어 햇볕에 말려서 作末(작말)하여 每一字(매일자)를 茶淸(다

청)에 調下(조하)하면 유효하다.(得効 (득효)

如聖餠子(여성병자)

≒ 南星(남성), 乾薑(건강), 川芎(천궁), 川烏(천오), 甘草(감초) 各一兩, 防風(방

풍), 製半夏(제반하), 天麻(천마), 細辛(세신) 各五錢. 作末(작말)하여 薑汁麵

糊(강즙면호)에 반죽하여 芡實大(검실대)로 餠子(병자)를 만들어서 每五

餠(매오병)을 씹어 茶淸(다청), 溫酒(온주)에 任意(임의) 送下(송하)한다.

(丹心(단심)

七生丸(칠생환)

≒ 川芎(천궁), 川烏(천오), 草烏(초오), 南星(남성), 半夏(반하 남성, 반하 二味는

冷水洗(냉수세) 去滑(거활)), 白芷(백지), 生石膏(생석고) 各等分, 細辛(세신), 全

蝎(전갈)을 加(가)하여 各半(각반)씩 减(감)해서 右(우) 細末(세말)하고, 韭菜(구

채)의 自然汁(자연즙)에 和丸(화환) 梧子大(오자대)하여 生葱(생총)을 씹은 뒤에

茶淸(다청)에 7~9 환씩 呑下(탄하)한다.(回春(회춘)

⑹ 頭痛(두통)에는 正頭痛(정두통)이 있고, 偏頭痛(편두통)이 있고, 風寒頭痛(풍한두통),

風熱頭痛(풍열두통), 厥逆頭痛(궐역두통), 痰厥頭痛(담궐두통), 熱厥頭痛(열궐두통),

濕厥頭痛(습궐두통), 氣厥頭痛(기궐두통), 眞頭痛(진두통), 醉後頭痛(취후두통) 등이

있다.

⑺ 婦人頭痛(부인두통)에는 養血祛風湯(양혈거풍탕), 四神散(사신산)을 쓰고, 또 腦風症

(뇌풍증), 首風症(수풍증)이 있다.

養血祛風湯(양혈거풍탕)

≒ 當歸(당귀), 川芎(천궁), 生乾地黃(생건지황), 防風(방풍), 荊芥(형개), 羌

活(강활), 細辛(세신), 藁本(고본), 石膏(석고), 蔓荊子(만형자), 半夏(반

하), 旋覆花(선복화), 甘草(감초) 各五分, 生姜(생강) 三片, 大棗(대조)二

枚.- 水煎服(수전복)한다.

四神散(사신산)

≒ 甘菊(감국), 當歸(당귀), 旋覆花(선복화), 荊芥穗(형개수) 各五分.

作末(작말)하여 每二錢(매이전)을 葱白(총백) 三寸(삼촌), 茶末(다말) 一錢(일

전)을 달인 물에 調下(조하)한다.(良方(량방)

⑻ 炭氣(탄기)가 사람을 熏(훈)하면 또한 頭痛(두통)이 생기는데 治法(치법)은 蘿蔔條下

(라복조하)에 있다. 足太陽(족태양)의 症(증)이 이마에 올라서 首巓(수전)을 거쳐 곧

絡脈(락맥)에 들어가서 목으로 내려가면 그 病(병)이 頭(두)를 上冲(상충)하며 눈이

아프고 목이 빠지는 것 같으니 이것이 즉 正頭痛(정두통)이다(靈樞(령추).

2) 偏頭痛(편두통) 230 - 10

⑴ 偏頭痛(편두통)이란 症(증)은 머리 반쪽이 作痛(작통)하는 症(증)이다.(丹心)

⑵ 머리의 한쪽 半(반)이 차고 아픈 症(증)이 偏頭痛(편두통)이다.(丹心)

⑶ 偏頭痛(편두통)이 오른 쪽에 있으면 痰(담)과 熱(열)에 속하는 症(증)인데 痰(담)이면

蒼朮(창출), 半夏(반하)를 쓰고, 熱(열)이면 酒製片芩(주제편금)을 쓰며, 왼쪽에 있으

면 風(풍)과 血虛(혈허)에 속하는 症(증)이니 風(풍)이면 荊芥(형개), 薄荷(박하)를 쓰

고 血虛(혈허)이면 芎歸(궁귀), 芍葯(작약), 酒黃柏(주황백)을 쓴다.(丹心)

⑷ 偏頭痛(편두통)이 右(우)에 있으면 二陳湯(이진탕)에 川芎(천궁), 白芷(백지), 荊芥(형

개), 防風(방풍), 薄荷(박하), 升麻(승마)를 加(가)하고, 左(좌)에 있으면 二陳湯(이진탕)

에 四物湯(사물탕)을 합하고 防風(방풍), 荊芥(형개), 薄荷(박하), 細辛(세신), 蔓荊子

(만형자), 柴胡(시호), 酒芩(주금)을 加(가)해 쓴다.(正傳)

⑸ 頭痛(두통)이 甚(심)해서 오래되면 눈까지 어두워진다. 偏頭痛(편두통)은 少陽相火

(소양상화)에 속하는 症勢(증세)인데 오래되면 눈이 어리고, 大便(대변)이 秘澀(비삽)

하게 되니 마땅히 出血(출혈)하고 크게 내려야 한다.(子和)

⑹ 眞頭痛(진두통)이 오래되면 大便(대변)이 燥(조)하고 눈이 붉어지며, 眩暈(현운)이란

症(증)은 肺(폐)가 肝氣(간기)를 타서 鬱血(울혈)이 壅塞(옹색)한 症(증)이다. 大承氣湯

(대승기탕)으로 下(하)하고 밖으로는 大黃(대황), 芒硝(망초)를 作末(작말)하여 井底

泥(정저니)에 和(화)해서 兩太陽穴(양태양혈)에 붙이면 낫는다.(入門) 大承氣湯(대승

기탕)《入門․東醫寶鑑》 ≒ 大黃(대황)四錢, 厚朴(후박), 枳實(지실), 芒硝(망초) 各二錢.

剉作(좌작) 一貼(일첩)하여 水煎服(수전복)한다.

⑺ 偏頭痛(편두통)에는 川芎茶調散(천궁차조산), 一字輕金散(일자경금산), 川芎散(천궁

산), 芎犀元(궁서원), 畜鼻法(축비법)을 쓴다.(入門)

川芎散(천궁산)《綱目․東醫寶鑑》

≒ 甘菊(감국), 石膏(석고), 川芎(천궁), 生白殭蠶(생백강잠) 各六錢.

作末(작말)하여 每三錢(매삼전)을 茶淸(다청)에 調下(조하)한다.

芎犀元(궁서원)《得効․東醫寶鑑》

≒ 川芎(천궁), 石膏(석고) 各一兩, 人參(인삼), 赤茯苓(적복령), 細辛(세신), 甘草

(감초) 各五錢, 麥門冬(맥문동)七錢半, 阿膠珠(아교주)四錢, 梔子仁(치자인),

龍腦(용뇌), 犀角(서각) 各二錢半, 朱砂(주사)五錢半(爲衣).

作末(작말)하여 煉蜜(련밀)에 和丸(화환) 芡實大(검실대)하고 朱砂(주사)로 옷

을 입혀 1~2환을 細嚼(세작)하고 茶淸(다청) 또는 溫酒(온주)로 任意送下(임

의송하)한다.

⑻ 足少陽(족소양)의 脈(맥)이 눈의 銳眥(예자, 눈초리) 위에 일어나서 頭角(두각)에 닿으

면 이마가 아프니 이것이 偏頭痛(편두통)이 된다.(靈樞)

3) 風寒頭痛(풍한두통) 231 - 11

風寒(풍한)이 위를 傷(상)하면 邪(사)가 밖으로부터 經絡(경락)에 入客(입객)하여 振寒(진

한)하고 頭痛(두통)하며 혹은 寒(한)의 邪(사)가 陽經(양경)에 伏留(복류)하면 偏․正頭痛

(편․정두통)이 되니 三五七散(삼오칠산), 芎辛湯(궁신탕), 芎芷香蘇散(궁지향소산), 如聖餠

子(여성병자) 등을 쓴다.(東垣(동원)

三五七散(삼오칠산)《局方․東醫寶鑑》

≒ 防風(방풍)二兩, 山茱萸(산수유), 炮乾姜(포건강), 赤茯苓(적복령) 各一兩半, 炮

附子(포부자), 細辛(세신) 各七錢半.

作末(작말)하여 每二錢(매이전)을 溫酒(온주)로 調下(조하)하고, 혹은 七錢(칠

전)을 썰어서 薑三(강삼), 棗二(조이)를 넣어 水煎服(수전복)한다.(局方)

芎辛湯(궁신탕)《濟生․東醫寶鑑》

≒ 川芎(천궁)三錢, 細辛(세신), 白朮(백출) 各一錢半, 甘草(감초)一錢.

剉作(좌작) 一貼(일첩)하여 薑五片(강오편), 茶芽(다아)를 조금 넣어서 水煎服(수

전복)한다.(濟生(제생)

芎芷香蘇散(궁지향소산)《得効․東醫寶鑑》

≒ 香附子(향부자), 紫蘇葉(자소엽) 各二錢, 蒼朮(창출)一錢半, 陳皮(진피), 川芎

(천궁), 白芷(백지) 各一錢, 甘草(감초)五分.

剉作(좌작) 一貼(일첩)하여 薑三(강삼), 棗二(조이)를 넣어 水煎服(수전복)한

다.(得効(득효)

如聖餠子(여성병자)《丹心․東醫寶鑑》

≒ 南星(남성), 乾薑(건강), 川芎(천궁), 川烏(천오), 甘草(감초) 各一兩, 防風(방풍),

製半夏(제반하), 天麻(천마), 細辛(세신) 各五錢.

作末(작말)하여 薑汁麵糊(강즙면호)에 반죽하여 芡實大(검실대)로 餠子(병자)

를 만들어서 每五餠(매오병)을 씹어 茶淸(다청), 溫酒(온주)에 任意(임의) 送下

(송하)한다.

4) 濕熱頭痛(습열두통) 231 - 12

心煩(심번)하고 頭痛(두통)하는 症(증)은 病(병)이 胸中(흉중)에 있는 症(증)이니 즉 濕熱頭

痛(습열두통)이다. 淸空膏(청공고), 小淸空膏(소청공고)를 쓰고 또 吐法(토법)을 쓴다.

淸空膏(청공고)《東垣․東醫寶鑑》

≒ 黃芩(황금) 三兩內 半生半酒炒, 炙甘草(자감초)一兩半, 防風(방풍), 羌活(강활), 酒

炒黃連(주초황연) 各一兩, 柴胡(시호)七錢, 川芎(천궁)五錢.

作末(작말)하여 每二錢(매이전)을 茶淸(다청)에 調(조)해 膏(고)를 만들어 入寢時

(입침시)에 口內(구내)에 넣어 녹여가지고 白湯(백탕)을 조금 머금어서 調下(조하)

한다. 此膏(차고, 이 고약이)가 諸般(제반) 頭痛(두통)에 두루 유효하되 오직 血虛

頭痛(혈허두통)이 魚尾(어미)로부터 連痛(연통)하는 데는 효과가 없다.(東垣(동원)

小淸空膏(소청공고)《丹心․東醫寶鑑》

≒ 片芩(편금)을 細切(세절)하고, 술에 담가 말려서 作末(작말)하여 茶淸(다청)에 二

錢(이전)을 調下(조하)하고, 술에 調下(조하)해고 可(가)하다.(丹心(단심)

5) 厥逆頭痛(궐역두통) 231 - 13

大寒(대한)을 犯(범)하여 안으로 들어가면 骨髓(골수)에 이르는데 髓(수)는 腦(뇌)로 主(주)

를 삼으니 腦(뇌)가 逆(역)하면 頭痛(두통)에 齒痛(치통)을 兼(겸)하는 症(증)이니 즉 厥逆

頭痛(궐역두통)이라는 症(증)이다. 羌活附子湯(강활부자탕)을 쓴다. 厥(궐)이란 症(증)은

逆(역)한다는 意味(의미)인데 邪氣(사기)가 陽經(양경)에 逆上(역상)해서 作痛(작통)이 심

하면 厥(궐)을 발하고 頭痛(두통)에 齒痛(치통)을 겸하는 症(증)이다. 白附子散(백부자산)

을 쓴다. 厥頭痛(궐두통)은즉 腎厥巓頂痛(신궐전정통)인데 아픔을 견디지 못하는 症(증)

이니 玉眞丸(옥진환)을 쓴다.

羌活附子湯(강활부자탕)《東垣․東醫寶鑑》

≒ 麻黃(마황), 附子(부자), 防風(방풍), 白芷(백지), 炒白殭蠶(초백강잠)各一錢,

黃柏(황백), 羌活(강활), 蒼朮(창출) 各七分, 黃芪(황기), 升麻(승마), 炙甘草(자

감초) 各五分.

剉作(좌작) 一貼(일첩)하여 水煎(수전) 食后服(식후복)한다.

白附子散(백부자산)《得効․東醫寶鑑》

≒ 白附子(백부자)一兩, 麻黃(마황, 節을 버리지 않은 것), 川烏(천오), 南星(남성) 各

五錢, 全蝎(전갈)五箇, 乾姜(건강), 朱砂(주사), 麝香(사향) 各二錢半.

作末(작말)하여 溫酒(온주)에 五分服(오분복)하고 잠시 누워 있는다.(得効(득효)

玉眞丸(옥진환)《綱目․東醫寶鑑》

≒ 硫黃(유황)二兩, 煅石膏(단석고), 製半夏(제반하), 硝石(초석) 各一兩.

作末(작말)하고 薑汁糊(강즙호)에 和丸(화환) 梧子大(오자대)하여 陰乾(음건)해서

매번 20~30환을 薑湯(강탕) 혹은 米飮(미음)에 呑下(탄하) 한다.(綱目(강목)

內經(내경)에 가로되 “頭痛(두통), 巓疾(전질)하고 下虛上實(하허상실)한 症(증)은

足少陰巨陽(족소음거양)에 責(책)이 있는 症(증)이니 심하면 腎(신)에 들어간다.”

고 했는데 許學士(허학사)가 腎厥頭痛(신궐두통)에 此葯(차약)을 主用(주용)하였

다.

6) 痰厥頭痛(담궐두통) 232 - 14

頭痛(두통)이 發(발)할 때에 양쪽 볼이 靑黃(청황)하고, 眩暈(현운)하여 눈을 뜨지 못하고

말하기를 懶(라)하며, 身体(신체)가 沈重(침중)하고, 吐(토)할 것 같은 症(증)은 厥陰(궐음)

과 太陰(태음)의 合病(합병)이니 病名(병명)은 痰厥頭痛(담궐두통)이라 한다. 局方(국방)

玉壺丸(옥호환), 半夏白朮天麻湯(반하백출천마탕)을 쓴다.(東垣) 痰厥頭痛(담궐두통)에

上淸白附子丸(상청백부자환), 定風餠子(정풍병자), 芎辛導痰湯(궁신도담탕)을 쓴다.(得

効) 濕痰痛(습담통)에 三生丸(삼생환) 혹은 二陳湯(이진탕)에 南星(남성), 蒼朮(창출), 川芎

(천궁), 細辛(세신)을 加(가)해 쓴다.(入門)

玉壺丸(옥호환)《入門․東醫寶鑑》

≒ 白麵(백면)三量, 生半夏(생반하), 生南星(생남성) 各一兩, 天麻(천마), 白朮(백출) 各

五錢, 水飛雄黃(수비웅황)三錢半.

作末(작말)하여 姜汁(강즙)에 和丸(화환) 梧子大(오자대)하여 매번 30환을 물 1잔

을 끓인데 넣어 5~7回(회) 끓은 뒤 葯(약)이 떠서 오르는 것을 기다려 걸러두고 별

도로 生姜湯(생강탕)을 만들어서 食后(식후)에 呑下(탄하)한다.(入門)

半夏白朮天麻湯(반하백출천마탕)《東垣․東醫寶鑑》

≒ 製半夏(제반하), 陳皮(진피), 炒麥芽(초맥아) 各一錢半, 白朮(백출), 炒神

麴(초신국, 神曲) 各一錢, 蒼朮(창출), 人參(인삼), 黃芪(황기), 天麻(천마),

白茯苓(백복령), 澤瀉(택사) 各五分, 乾姜(건강)三分, 酒洗黃柏(주세황백)

二分, 生薑(생강) 五片.- 水煎服(수전복) 한다.(東垣)

頭痛(두통)이 苦甚(고심)한 症(증)은 足太陰(족태음) 痰厥頭痛(담궐두통)

라는 症(증)인데 半夏(반하)가 아니면 治療(치료)하지 못하고, 눈이 검고

(어둡고), 마리가 돌고(어지럽고) 氣虛(기허)한데는 天麻(천마)가 아니면

除(제)하지 못하며, 黃芪(황기)는 甘溫(감온)하여 火(화)를 瀉(사)하니 元

氣(원기)를 補(보)하고, 表虛(표허)를 實(실)하게 하고, 自汗(자한)을 止息

(지식)시킨다. 人蔘(인삼)도 甘溫(감온)하여 瀉火(사화)하니 補中益氣(보

중익기)하고, 二朮(이출)은 다 苦甘(고감)하여 益氣調中(익기조중)하고,

神麴(신국)은 消食(소식)하여 胃中(위중)의 滯氣(체기)를 滌蕩(척탕)하

며, 麥芽(맥아)는 寬中(관중)하여 胃氣(위기)를 돕고, 乾薑(건강)은 辛熱

(신열)하여 中寒(중한)을 씻고, 黃柏(황백)은 크게 苦寒(고한)하니 酒洗

(주세)하여 冬天(동천)에 小火(소화)의 在泉(재천) 發燥(발조)하는 症(증)

을 다스린다.

上淸白附子丸(상청백부자환)《得効․東醫寶鑑》

≒ 炮白附子(포백부자), 製半夏(제반하), 川芎(천궁), 甘菊(감국), 炮南星(포남

성), 炒白殭蠶(초백강잠), 去白陳皮(거백진피), 旋覆花(선복화), 天麻(천마)

各一兩, 炒全蝎(초전갈)半兩을

作末(작말)하고 薑汁浸蒸餠(강즙침증병)에 和丸(화환) 梧子大(오자대)하여

30환을 薑湯(강탕)에 呑下(탄하)한다.(得効)

定風餠子(정풍병자)《得効․東醫寶鑑》

≒ 川烏(천오), 川芎(천궁), 南星(남성), 半夏(반하), 乾姜(건강), 天麻(천마), 白茯苓

(백복령), 白附子(백부자), 甘草(감초) 各等分,

生用(생용)을 作末(작말)하고 薑汁糊(강즙호)에 芡實大(검실대)로 餠子(병자)를

만들어 朱砂(주사)로 옷을 입혀서 每一餠(매일병)을 씹어서 薑湯(강탕)으로 送

下(송하)한다.(得効)

芎辛導痰湯(궁신도담탕)《得効․東醫寶鑑》

≒ 製半夏(제반하)二錢, 川芎(천궁), 細辛(세신), 炮南星(포남성), 陳皮(진피), 赤

茯苓(적복령) 各一錢, 枳殼(지각), 甘草(감초) 各五分, 生薑(생강)七片(칠편).

- 水煎服(수전복)

三生丸(삼생환)《得効․東醫寶鑑》

≒ 半夏(반하), 白附子(백부자), 天南星(천남성) 各等分.

作末(작말)하고, 薑汁浸蒸餠(강즙침증병)에 和丸(화환) 綠豆大(녹두대)하여 食后

(식후) 薑湯(강탕)에 40~50환을 呑下(탄하)한다.

二陳湯(이진탕)《正傳․東醫寶鑑》加味(가미)

≒ 製半夏(제반하)二錢, 橘皮(귤피), 赤茯苓(적복령) 各一錢, 炙甘草(자감초)五分, 生

薑(생강)三片, 加 南星(남성), 蒼朮(창출), 川芎(천궁), 細辛(세신).- 水煎服(수전복)

方氏(방씨) 가로되 “半夏(반하)는 豁痰(활담), 燥濕(조습)하고, 橘紅(귤홍)은 消痰

(소담), 利氣(이기)하며, 茯苓(복령)은 降氣(강기), 滲濕(삼습)하고, 甘草(감초)는 補

脾(보비), 和中(화중)하니 脾(비)를 補(보)하면 濕氣(습기)가 생기지 않으며, 濕(습)

을 燥(조)하게 하고 滲透(삼투)시키면 痰(담)이 생기지 않고, 利氣(이기), 降氣(강기)

하면 痰(담)이 消解(소해) 하니 그야말로 體用(체용)이 兼備(겸비)하고, 標本(표본)

이 兩盡(양진)한 處方(처방)이라 하겠으며 쓰는 者(자)가 症勢(증세)를 따라서 잘

加减(가감)할 일이다.”(丹心)

7) 氣厥頭痛(기궐두통) 233 - 15

氣血(기혈)이 虛(허)하고 邪氣(사기)가 逆上(역상)하면 頭痛(두통)과 귀 울림이 생기고 九

竅(구규)가 不利(불이)하며 두 太陽穴(태양혈)이 痛甚(통심)하는 症(증)은 즉 氣虛頭痛(기

허두통)인데 順氣和中湯(순기화중탕), 黃芪益氣湯(황기익기탕)을 쓰고 血虛頭痛(혈허두

통)은 魚尾(어미)로부터 上攻(상공)하여 作發(작발)하는 症(증)으로 當歸補血湯(당귀보혈

탕), 加味四物湯(가미사물탕)을 쓴다. 眉尖(미첨)과 귀 옆 髮際(발제)와의 사이를 魚尾(어

미)라고 한다. 氣血俱虛(기혈구허)의 頭痛(두통)에는 加味調中益氣湯(가미조중익기탕),

安神湯(안신탕)을 쓰고, 大病后(대병후) 氣虛頭痛(기허두통)에는 四柱散(사주산)에 茶一

撮(다일촬)을 加(가)해 쓰고, 氣(기)가 上行(상행)하여 내리지 않고 厥(궐)해서 頭痛(두통)

이 되는 데는 芎烏散(궁오산)을 쓴다.(入門)

順氣和中湯(순기화중탕)《綱目․東醫寶鑑》

≒ 蜜炒黃芪(밀초황기)一錢半, 人參(인삼)一錢, 白朮(백출), 當歸(당귀), 芍葯(작

약), 陳皮(진피) 各五分, 升麻(승마), 柴胡(시호) 各三分, 蔓荊子(만형자), 川芎

(천궁), 細辛(세신) 各二分을 水煎服(수전복)한다. (綱目)

黃芪益氣湯(황기익기탕)《回春․東醫寶鑑》

≒ 蜜炒黃芪(밀초황기)一錢, 人參(인삼), 白朮(백출), 製半夏(제반하), 陳皮(진피)

各七分, 酒洗當歸(주세당귀), 川芎(천궁), 藁本(고본), 甘草(감초) 各五分, 酒炒

黃柏(주초황백), 升麻(승마), 細辛(세신) 各五分에 薑三(강삼), 棗二(조이)를 넣

어 水煎服(수전복)한다.(回春)

當歸補血湯(당귀보혈탕)《醫鑑․東醫寶鑑》

≒ 酒炒生乾地黃(주초생건지황), 白芍(백작), 川芎(천궁), 當歸(당귀), 酒炒片芩

(주초편금) 各二錢, 防風(방풍), 柴胡(시호), 蔓荊子(만형자) 各五分, 荊芥(형

개), 藁本(고본) 各四分을 水煎服(수전복)한다.

加味四物湯(가미사물탕)《回春․東醫寶鑑》

≒ 當歸(당귀), 川芎(천궁), 酒炒生乾地黃(주초생건지황), 酒炒黃柏(주초황백), 酒

炒知母(주초지모), 酒炒黃芩(주초황금), 酒炒黃連(주초황연), 蔓荊子(만형자),

炒梔子(초치자) 各七分을 水煎服(수전복)한다. (回春)

加味調中益氣湯(가미조중익기탕)《東垣․東醫寶鑑》

≒ 蜜炒黃芪(밀초황기)一錢, 人參(인삼), 蒼朮(창출), 甘草(감초) 各七分, 陳

皮(진피), 當歸(당귀), 川芎(천궁) 各五分, 木香(목향), 升麻(승마), 柴胡(시

호), 細辛(세신), 蔓荊子(만형자) 各三分. 水煎服(수전복)한다.(東垣)

安神湯(안신탕)《東垣․東醫寶鑑》

≒ 黃芪(황기)一錢半, 羌活(강활), 酒浸黃柏(주침황백)各一錢, 柴胡(시호), 升麻(승마),

生地黃(생지황), 並酒浸知母(병주침지모) 各五分, 防風(방풍) 二分半, 生甘草(생감

초), 炙甘草(자감초) 各二分.

- 水煎(수전)하되 두어 번 긇은 뒤에 川芎(천궁), 蔓荊子(만형자) 各三分을 加入(가

입)하여 다시달여 반쯤 되거든 식후에 溫服(온복)한다.(東垣)

四柱散(사주산)《局方․東醫寶鑑》

≒ 木香(목향), 白茯苓(백복령), 人參(인삼), 炮附子(포부자) 各一錢二分半, 薑三(강

삼), 棗二(조이), 소금을 조금 넣어 水煎(수전), 空心腹(공심복)한다. (局方)

芎烏散(궁오산)《入門․東醫寶鑑》

≒ 川芎(천궁), 烏葯(오약) 各等分(각등분) 作末(작말)하여 每二錢(매이전)을 燒稱錘

(소칭추)를 담가 울어난 술에 調服(조복)하면 産后(산후)의 頭痛(두통)을 고친다.

(入門)

8) 熱厥頭痛(열궐두통) 234 - 16

頭痛(두통)하고 煩熱(번열)하는 症(증)은 비록 겨울이라도 風寒(풍한)을 좋아하고 寒風(한

풍)을 쏘이면 잠간 그쳤다가 다시 따스한 곳에 들어가거나 煙火(연화)를 보면 痛症(통증)

이 更作(갱작)하는 症(증)인데 淸上瀉火湯(청상사화탕), 防風散(방풍산)을 쓴다.(東垣)

淸上瀉火湯(청상사화탕)《東垣․東醫寶鑑》

≒ 柴胡(시호)一錢, 羌活(강활)八分, 酒黃芩(주황금), 酒知母(주지모) 各七分, 酒

黃柏(주황백), 炙甘草(자감초), 黃芪(황기) 各五分, 生地黃(생지황), 酒黃連(주

황연), 藁本(고본) 各四分, 升麻(승마), 防風(방풍) 各三分半, 蔓荊子(만형자),

當歸身(당귀신), 蒼朮(창출), 細辛(세신) 各三分, 荊芥穗(형개수), 川芎(천궁),

生甘草(생감초) 各二分, 酒紅花(주홍화)一分.

-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水煎服(수전복)한다.(東垣)

防風散(방풍산)《得効․東醫寶鑑》

≒ 羌活(강활), 防風(방풍), 當歸(당귀), 大黃(대황), 川芎(천궁), 梔子(치자), 薄荷(박하)

各一錢, 蟬殼(선각), 甘草(감초) 各五分에 燈心(등심)20莖, 苦竹葉(고죽엽)10片을

넣어 水煎服(수전복)한다.(得効)

9) 濕厥頭痛(습궐두통) 234 - 17

비를 자주 맞고 濕(습)에 傷(상)하여 頭重(두중), 眩暈(현운), 疼痛(동통)하는 症(증)으로서

陰雨(음우)를 만나면 더욱 심하다.(入門)

芎辛湯(궁신탕)《濟生․東醫寶鑑》

≒ 川芎(천궁)三錢, 細辛(세신), 白朮(백출) 各一錢半, 甘草(감초)一錢. 剉作(좌작) 一

貼(일첩)하여 薑五片(강오편), 茶芽(다아)를 조금 넣어서 水煎服(수전복)한다.

(濟生(제생)

芎朮除眩湯(궁출제현탕)《入門․東醫寶鑑》

≒ 川芎(천궁)二錢, 白朮(백출), 生附子(생부자) 各一錢, 桂枝(계지), 甘草(감초)

各五分, 薑七(강칠), 棗二(조이)를 넣어 水煎服(수전복)한다.(入門)

10) 頭痛 六經區別(두통 육경구별) 234 - 20 頭痛(두통)을 다 風葯(풍약)으로 다스린다는 말은

높은 山頂(산정)을 바람이라 야만 到達(도달)할 수 있다는 것에 比喩(비유)해서 말한 것이

다. 그러나 또한 三陽(삼양)과 三陰(삼음)은 다른 症(증)이 있다.

① 太陽頭痛(태양두통)은 風寒(풍한)을 싫어하고, 脈(맥)이 浮(부)하고 緊(긴)하니 羌活(강

활), 獨活(독활), 麻黃(마황), 川芎(천궁)의 類(류)가 마땅하고

② 少陽頭痛(소양두통)은 寒熱(한열)이 往來(왕래)하며, 脈(맥)이 弦(현)하고 細(세)하니 柴

胡(시호), 黃芩(황금)의 類(류)가 마땅하며,

③ 陽明頭痛(양명두통)은 自汗(자한)하고 發熱(발열)하며 脈(맥)이 緩(완)하고 길며 實(실)

하니 乾葛(건갈), 升麻(승마), 石膏(석고), 白芷(백지)의 類(류)가 마땅하고,

④ 太陰頭痛(태음두통)은 반드시 痰(담)이 있고 몸이 무거우며 脈(맥)이 沉(침)하고 緩(완)

하니 蒼朮(창출), 半夏(반하), 南星(남성)의 類(류)가 마땅하며,

⑤ 少陰頭痛(소음두통)은 三陰(삼음) 三陽經(삼양경)이 流通(유통)하지 않고 발이 차갑고

氣(기)가 逆(역)하여 寒厥(한궐)이 되며 脈(맥)이 沉(침)하고 細(세)하니 麻黃附子細辛湯

(마황부자세신탕)이 마땅하며,

⑥ 厥陰頭痛(궐음두통)은 痰沫(담말)을 吐(토)하며 厥冷(궐냉)하고 脈(맥)이 浮(부)하며 緩

(완)하니 吳茱萸湯(오수유탕)을 쓰며,

⑦ 三陽(삼양)이 合(합)하면 頭痛(두통) 이 나니 三陽湯(삼양탕)을 쓴다.(東垣)

⑧ 三陽(삼양)이 熱(열)하고 鬱(울)하여 頭痛(두통)하고 日光(일광)을 보지 못하는 데는 이

마를 얼음으로 冷却(냉각)시켜야 하니 汗,下,吐(한,하,토) 三法(삼법)을 써야한다.(子和)

三陽湯(삼양탕)《海藏․東醫寶鑑》

≒ 羌活(강활), 防風(방풍), 石膏(석고), 柴胡(시호), 白芷(백지), 川芎(천궁)各一錢,

荊芥(형개), 升麻(승마), 葛根(갈근), 芍葯(작약), 細辛(세신) 各五分에 蓮根(연근),

葱白(총백) 三莖을 넣어 水煎服(수전복)한다.(海藏)

13) 腦風症(뇌풍증) 234 - 21

風邪(풍사)가 風府穴(풍부혈)을 따라서 오르면 腦風(뇌풍)이 된다.(內經) 그 症勢(증세)는

목과 등이 寒(한)을 怯(겁)내고, 腦戶穴(뇌호혈)이 極冷(극냉)하니 神聖散(신성산), 太陽丹

(태양단)을 쓴다.

神聖散(신성산)《河間․東醫寶鑑》

≒ 麻黃(마황), 細辛(세신), 葛根(갈근) 半生半炒(반생반초), 藿香葉(곽향엽)各等分(각

등분). - 作末(작말)하여 每二錢(매이전)을 荊芥薄荷酒(형개박하주)에 調下(조하)

한다.

太陽丹(태양단)《得効․東醫寶鑑》

≒ 石膏(석고)二兩, 川芎(천궁), 炮川烏(포천오), 白芷(백지), 甘草(감초) 各一兩, 龍腦

(용뇌)二錢. - 作末(작말)하여 煉蜜(연밀)에 麵糊(면호)를 섞어서 每一兩(매일량)으

로 18丸(환)을 만들어 黃丹(황단)으로 옷을 입힌 뒤 2~3환을 食后

(식후) 葱茶湯(총다탕)에 嚼下(작하)한다.(得効)

14) 首風症(수풍증) 235 - 22

沐浴(목욕)을 하고 바람을 쏘이면 首風症(수풍증)이 된다. 그 病勢(병세)가 頭面(두면)에

땀이 많고 바람을 싫어하며 一日前(일일전)에 바람을 쏘이면 翌日(익일)은 病(병)이 甚

(심)하고 頭痛(두통)이 苦劇(고극)하다가 또 돐이 다시 돌아오면 조금 낫는다.(內經) 이는

大川芎丸(대천궁환)이 주치한다.(河間) 沐浴(목욕) 후 眩暈頭痛(현운두통)하는 데는 白芷

丸(백지환)을 쓴다.(入門)

大川芎丸(대천궁환)《河間․東醫寶鑑》

≒ 川芎(천궁)四兩, 天麻(천마)一兩. 을 作末(작말)하여 蜜丸(밀환)하되 一兩(일량)

으로 10환을 만들어서 每一丸(매일환)을 씹어 茶酒(다주)에 送下(송하)한다.(河

間) 白芷丸(백지환)《本事․東醫寶鑑》 ≒ 新白芷(신백지)를 多少(다소)를 不拘(불

구)하고 썰어서 蘿蔔汁(라복즙)에 浸晒乾作末(침쇄건작말)하고 蜜丸(밀환) 彈子

大(탄자대)하여 每一丸(매일환)을 細嚼(세작)하여 茶淸(다청)이나 荊芥湯(형개

탕)에 送下(송하)한다. (本事) 일명 都梁元(도양원)이라고 한다.

15) 眉棱骨痛(미능골통) 235 - 23

⑴ 眉心(미심)으로부터 眉梁(미양)에 連(연)하여 뼈가 아픈 증은 痰(담)이니 二陳湯(이진

탕)에 靑州白元子(청주백원자)를 呑下(탄하)한다.(得効)

⑵ 眉棱骨痛(미능골통)이 눈에까지 뻗혀서 눈을 끄지 못하고 낮에는 靜(정)하고 밤에는 劇

(극)하며 혹은 濕痰(습담)으로 인하여 眶(광, 눈자위) 가의 뼈가 아프고 몸이 무거운 데

는 芎辛導痰湯(궁신도담탕)에 川芎(천궁), 白芷(백지)를 加(가)해서 쓴다.(入門)

⑶ 眉棱骨痛(미능골통)에 選奇湯(선기탕), 上淸散(상청산)을 쓴다.

⑷ 眉眶痛(미광통)은 風熱(풍열)과 痰(담)에 속하니 白芷(백지), 酒片芩(주편금)을 等分(등

분) 作末(작말)하여 茶淸(다청)이나 溫酒(온주)에 二錢(이전)을 調下(조하)한다.(丹心)

⑸ 眉輪骨痛(미륜골통)은 痰火(담화)에 속하는 症(증)이요 眉眶痛(미광통)도 또한 痰火(담

화)의 微候(미후)이다.(回春)

⑹ 風寒(풍한)으로 인하여 眉骨(미골)이 아픈 데는 川烏(천오), 草烏(초오) 各一錢을 童尿

(동뇨)에 浸(침)하여 二宿(이숙)한 뒤 炒(초)하고 細辛(세신), 羌活(강활), 酒片芩(주편금),

炙甘草(자감초) 各半錢을 함께 末(말)로 만들어서 二分(이분)하여 食后(식후) 茶淸(다

청)에 調下(조하)한다.(正傳)

芎辛導痰湯(궁신도담탕) 《入門․東醫寶鑑》

≒ 製半夏(제반하)二錢, 川芎(천궁), 細辛(세신), 炮南星(포남성), 陳皮(진피),

赤茯苓(적복령)各一錢, 枳殼(지각), 甘草(감초)各五分, 生薑(생강)七片(칠

편)., 加 川烏(천오), 白芷(백지).- 水煎服(수전복)

選奇湯(선기탕)《回春․東醫寶鑑》

≒ 羌活(강활), 防風(방풍), 製半夏(제반하) 各二錢, 酒片芩(주편금)一錢半, 甘草(감

초)一錢, 薑三片(강삼편). - 水煎服(수전복).(回春)

上淸散(상청산)《丹心․東醫寶鑑》

≒ 川芎(천궁), 鬱金(울금), 芍葯(작약), 荊芥(형개), 薄荷(박하), 芒硝(망초)各二錢半,

乳香(유향), 沒葯(몰약) 各五分, 龍腦(용뇌)二分半. 作末(작말)하여 每一字(매일

자)를 鼻內(비내)에 넣는다.(丹心)

16) 頭痛(두통)의 不治, 難治症(불치 난치증) 235 - 24

⑴ 眞頭痛(진두통)이란 症(증)은 頭痛(두통)이 甚(심)하여 腦(뇌)까지 아프고 手足(수족)이

차서 마디까지 이르니 不治(불치)이다.(靈樞)

⑵ 眞頭痛(진두통)은 痛症(통증)이 위로 風府(풍부, 穴)을 穿貫(천관)하여 泥丸宮(니환궁)에

까지 侵入(침입)하면 葯(약)으로써 치료할 수 없고 아침에 發(발)하면 저녁에 죽고, 저녁

에 發(발)하면 아침에 죽는 症(증)이다. 頭根(두근)은 인체의 근본인데 먼저 끊어진 症

(증)이다.(得効)

⑶ 머리가 腦(뇌)에 連(연)해서 作痛(작통)하고 수족이 찬 증은 難治이다.(得効)

⑷ 머리가 沈痛(침통)하여 泥丸(니환)에 들어가고 수족이 냉하며 爪甲(조갑)이 푸른 症(증)

은 眞頭痛(진두통)이니 齒牙(치아)까지 連痛(연통)하고 甚(심)한 症(증)은 少陰厥症(소

음궐증)에 속하니 모두 不治(불치)이다(入門)

⑸ 頭痛(두통), 眼痛(안통)에 오래 보아도 보이는 것이 없으면 難治이다.(綱目)

⑹ 頭目(두목)이 다 疼痛(동통)하고 졸지에 보이지 않으면 難治(난치)다.(回春)

⑺ 眩暈(현운)에 말이 亂雜(난잡)하고 땀이 많으며 下利(하리)하고 때때로 自冒(자모)한 증

은 극히 虛(허)한 症(증)이니 難治(난치)이다.(入門)

17) 風頭旋(풍두선)의 경우 235 - 15

風頭旋(풍두선)이란 症(증)은 별로 疾痛(질통)하지도 않고 스스로 알지 못하는 사이에 항

상 머리를 흔드는 症(증)이다. 肝風(간풍)이 盛(성)하면 머리를 흔든다.(綱目)

治法(치법)은

頭痛(두통)과 같다. 한 사람이 7년을 머리 흔드는 症(증)이 있고 3년을 下血(하혈)하는데

百方(백방)으로 치료해도 효력이 없는데 이것은 肝(간)에 血(혈)이 太盛(태성)한데 밖에서

風熱(풍열)이 타고 들어간 때문이다. 肝(간)은 木(목)에 속하니 木(목)이 盛(성)하여 脾土

(비토)를 이기고 脾(비)와 肺(폐)는 字母(자모)의 사이인데 같이 肝(간)에게 이기지 못하면

血(혈)이 드디어 大便(대변)에 浸漬(침지)하는 故(고)로 便血(변혈)이 그치지 않는 症(증)이

다. 이러한 症勢(증세)에는 다만 肝氣(간기)를 덜고 風(풍)을 除去(제거)하며 脾(비)를 補益

(보익)하는 처방으로써 用葯(용약)해야 된다.

試用(시용)하였더니 2~3회 복용하고 나았으며 10여일이 지나지 血(혈)이 그치고 白膿

(백농)이 내리면서 편안하여 졌다.

防風(방풍)三兩, 瓜蔞根(과루근), 蜜炒黃芪(밀초황기), 羌活(강활), 白芍(백작), 各五錢, 犀

角屑(서각설), 甘草(감초) 各二錢半, 炙蛇蛻(자사태), 赤鉤(적구), 藤釣子(등조자), 麻黃(마

황) 各一錢을 作末(작말)하여 棗肉和丸(조육화환), 梧子大(오자대)하여 식후에 薄何湯(박

하탕)으로 50~70환을 呑下(탄하)하면 但二服(단이복)에 머리흔들이는 증이 그치고 便血

(변혈)이 낫는다.(綱目)

18) 畜鼻法(축비법)의 경우, 頭痛(두통)의 吐法(토법) 경우, 頭痛(두통)의 下法(하법) 경우

⑴ 畜鼻法(축비법) 風涎(풍연)과 偏正頭痛(편정두통)을 다스린다.

風涎(풍연) : 蓽撥末(필발말)三錢을 猪膽汁(저담즙)에 개고 다시 膽(담)에 넣어서 마른

뒤에 川芎(천궁), 白芷(백지), 藁本(고본), 靑黛(청대), 玄胡索(현호색) 各二

錢을 作末(작말)하고 水和爲丸(수화위환) 芡實大(검실대)하여 病人(병인)을 눕히고 一

丸(일환)을 水化(수화)하여 鼻中(비중)에 灌入(관입)하면 鼻中(비중)이 葯味(약미)를 깨

닫고 咽喉(인후)에 들어가니 病人(병인)을 일으켜 앉히고 입에다 銅錢(동전) 1箇(개)를

물리면 침이 한 사발쯤 나온 뒤에 곧 낫는데 一粒金(일입금)이라고 한다.(入門, 正傳)

偏正頭痛(편정두통) : 硝石末(초석말) 약간을 鼻中(비중)에 불어 넣으면 곧 낫는데 외쪽

이 아프면 오른쪽 鼻中(비중)에 오른쪽이 아프면 왼쪽 鼻中(비중)

에 吹入(취입)한다. 雷公(뇌공)이 말하되 “腦(뇌)가 痛(통)하여 死亡(사망)하려하는데 鼻

(비)에 硝末(초말)을 投入(투입)한다.” 는 것이 즉 此方(차방)이다. (本草)

偏頭痛(편두통) : 蓽撥(필발)을 作末(작말)하여 환자로 하여금 입에 溫水(온수)를 머금고

左邊(좌변)이 아프면 左鼻(좌비)에, 右邊(우변)이 아프면 右鼻(우비)에

각각 조금씩 吸入(흡입)하고 또 粥淸(죽청)에 半錢(반전)을 調服(조복)한다.(本草)

偏頭痛(편두통) : 환자를 仰臥(앙와)시켜놓고 生蘿蔔汁(생라복즙)을 左邊(좌변)이 아프

면 左鼻(좌비)에 注入(주입)하며, 右邊(우변)이 아프면 右鼻(우비)에 注

入(주입)하고, 左右痛(좌우통)에는 左右鼻(좌우비)에 같이 注入(주입)하면 유효한데 數

十年(수십년) 환자가 但一~二注(단1~2 주)에 낫는다.(本草)

畜鼻(축비)에 또한 不臥散(불와산), 上淸散(상청산), 六聖散(육성산)을 쓴다.

不臥散(불와산)《丹心․東醫寶鑑》

≒ 玄胡索(현호색)七枚, 靑黛(청대)二錢, 猪牙皂角(저아조각)二兩. 作末(작말)하여

풀에 반죽해서 小餠子(소병자)를 杏仁大(행인대)로 만들어 환자로 하여금 仰臥

(앙와)시키고 葯(약)을 水化(수화)하여 竹管(죽관)으로써 男左(남좌), 女右(여우)

로 鼻中(비중)에 灌入(관입)해서 葯味(약미)가 喉中(후중)에 이르러 酸味(산미)

를 느끼거든 起坐(기좌)하여 銅錢(동전) 1箇(개)를 물고 있으면 침이 나와서 盆

(분)에 차고 곧 낫는다.(丹心)

일명 靑黛散(청대산)이라고 하는데 皂角(조각)을 二片(이편) 넣는다.

上淸散(상청산)《丹心․東醫寶鑑》

≒ 川芎(천궁), 鬱金(울금), 芍葯(작약), 荊芥(형개), 薄荷(박하), 芒硝(망초) 各二錢

半, 乳香(유향), 沒葯(몰약) 各五分, 龍腦(용뇌)二分半. 作末(작말)하여 每一字

(매일자)를 鼻內(비내)에 넣는다.

六聖散(육성산)《回春․東醫寶鑑》

≒ 香薷(향유), 沒葯(몰약), 川芎(천궁), 雄黃(웅황), 白芷(백지) 各二錢, 芒硝(망초)五

錢(오전)을 作末(작말)하여 病人(병인)으로 하여금 仰臥(앙와)시키고 입에 凉水

(량수)를 머금고 葯末(약말)을 鼻內(비내)로 조금 吸入(흡입)하면 卽愈(즉유)한

다.(回春)

⑵ 吐法(토법) ① 頭風痛(두풍통)에 만약 연(涎)을 吐(토)하지 않고 오래되면 눈이 어두워지고 다스리지 못한다. 瓜蒂散(과체산)으로 3번 吐(토)하면 卽差(즉차)한다.(保命) ② 頭痛(두통) 뒤에 眼疾(안질)이 생기는데 눈이 반쯤 보이면 救(구)할 수 있으니 防風散(방풍산)으로 吐(토)하게 한다.(保命) ③ 頭風眩暈(두풍현운)에 獨聖散(독성산)으로 吐(토)하게 한 뒤에 淸上(청상), 降火(강화)의 劑(제)를 쓰니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에 半夏(반하), 南星(남성)을 加(가)해 쓴다.(子和) ④ 痰涎頭痛(담연두통)에 가슴이 煩憫(번민)하고 吐(토)할 것 같은데 瓜蒂散과체산)으로 吐(토)하게 한다.(入門) ⑤ 濕(습)한 사람이 頭痛(두통)하며 鼻塞(비색)하고 聲重(성중)하는 경우 痛人(통인)으로 하여금 입에 물을 머금고 瓜蔕散末(과체산말)을 조금 鼻內(비내)에 吸入(흡입)하여 黃水(황수)가 나오는 것을 度(도)로 한다.(入門) ⑥ 卒頭痛(졸두통)이 쪼개지는 것 같은 症(증)은 冷(냉)도 아니요, 風(풍)도 아니며 胸膈(흉격)에 痰(담)이 있고 厥氣(궐기)가 上冲(상충)한 所致(소치)이니 厥頭痛(궐두통)이라고 하는데 吐(토)하면 卽差(즉차)한다. 茶(차)를 單煮(단자)해서 1~2 升(승) 마시면 吐(토)하고 또 다시마시기를 數三回(수삼회)하면 痰汁(담즙)이 다 나오고 그치는데 사람에게 損(손)이 없고 渴症(갈증)이 나면 卽差(즉차)한다.(本草) 瓜蒂散(과체산)《東垣․東醫寶鑑》 ≒ 炒瓜蒂(초과체), 赤小豆(적소두) 各等分. 作末(작말)하여 各二錢(각이전)을 溫漿水(온장수)에 調下(조하) 하는데 吐(토)하는 것을 限度(한도)로 한다.(東垣) 一方 - 一錢(일전)을 먹고 葯(약)이 내려간 뒤에 편이 누워서 吐(토) 할 것 같은 것을 참고 조금 지난 뒤에 다시 二錢(이전)을 取(취)해서 溫水(온수) 二合(이합)으로 和服(화복)하고 手指(수지)로써 喉中(후중)을 探(탐)하면 吐(토)한다고 하였다.(活人) 又一方 - 먼저 豉(시, 메주) 一合(일합)과 溫水(온수) 七合(칠합)을 달여 汁(즙)을 取(취)하여 葯末(약말) 一錢(일전)을 타서 頓服(돈복)하고 吐(토)하지 않으면 再服(재복)하여 快吐(쾌토)한 다음 곧 그친다 하였다.(仲景) 防風散(방풍산)《丹心․東醫寶鑑》 ≒ 防風(방풍), 川芎(천궁), 白芷(백지), 甘菊(감국), 甘草(감초) 各一兩. 作末(작말)하여 每二錢(매이전)을 茶淸(다청)에 調下(조하)한다. 234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入門․東醫寶鑑》加味(가미) ≒ 滑石(활석)一錢七分, 甘草(감초)一錢二分, 石膏(석고), 黃芩(황금), 桔梗(길경) 各七分, 防風(방풍), 川芎(천궁), 當歸(당귀), 赤芍(적작), 大黃(대황), 麻黃(마황), 薄荷(박하), 連翹(연교), 芒硝(망초) 各四分半, 荊芥(형개), 白朮(백출), 梔子(치자) 各三分半., 加 半夏(반하), 南星(남성). 剉作(좌작) 一貼(일첩)하여 薑三片(강삼편)을 넣어 水煎服(수전복) 한다. ☆이 處方(처방)이 熱,風,燥(열,풍,조)를 다스리는 良劑(량제)이다.(丹心)

⑶ 下法(하법) ① 三陽(삼양)에 熱(열)이 鬱(울)하고 頭痛(두통)하여 日光(일광)을 보지 못하면 이마에 얼음을 얹어 두어야 하는데 汗吐下(한토하)법을 쓴다.(子和) ② 頭風(두풍)이 오래되면 눈이 어둡고 偏頭痛(편두통)이 오래되면 大小便(대소변)이 秘澀(비삽)하니 大承氣湯(대승기탕)으로써 내려야 한다.(子和) ③ 脈(맥)이 動(동)하며, 머리가 무겁고 痛熱(통열)하며 熱氣(열기)가 往來(왕래)하는 症(증)은 胃(위)에 속하니 調胃承氣湯(조위승기탕)으로써 내리면 곧 낫는다.(綱目) 大承氣湯(대승기탕)《入門․東醫寶鑑》 ≒ 大黃(대황)四錢, 厚朴(후박), 枳實(지실), 芒硝(망초)各二錢.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水二大盞(수이대잔)에다 먼저 枳實(지실), 厚朴(후박)을 달여서 一盞(일잔) 쯤 되거든 大黃(대황)을 넣어 七分(칠분)쯤 되게 달이고 去滓(거재)한 뒤에 芒硝(망초)를 낳어 다시 한 번 끓여서 溫服(온복)한다.(入門) 調胃承氣湯(조위승기탕)《入門․東醫寶鑑》 ≒ 大黃(대황)四錢, 芒硝(망초)二錢, 甘草(감초)一錢. 剉作(좌작) 一貼(일첩)하여 먼저 大黃(대황)과 甘草(감초)를 달여서 반으로 되거든 去滓(거재)하고 芒硝(망초)를 넣어 다시 한번 끓여서 溫服(온복)한다.(入門)

18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Israel

臨床 363 /♧ 痔(치) - 痔疾(치질)

1 槪念(개념) 882 人体直腸末端粘膜下和(인체직장말단점막하화) 肛管皮膚下(항관피부하) 靜脈叢發生擴張和 (정맥총발생확장화) 屈曲所

臨床 362 / 耳部 3. 耳眩暈(이현운) ♧

耳眩暈(이현운) 1 槪念(개념) 1251 眩暈是目眩頭暈(현운시목현두운), 卽眼花潦亂(즉안화요란), 頭部旋轉不定的病證(두부선전 부정적병증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