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臨床118 / 肢体 3. 肋間神經痛

늑간신경통 (肋間神經痛), 肋膜炎(늑막염), 肋下脹痛(늑하창통)


늑간신경통 (肋間神經痛)

1. 配伍葯

1) 靑皮6 + 橘皮10 = 肋間神經痛(늑간신경통), 急慢性肝炎(급만성간염), 表現爲 胸脇脹痛

(표현위 흉협창통) 等症(등증)

2) 靑橘葉10 + 鬱芩12 = 肋間神經痛(늑간신경통)

2. 민방 (民方)

1) 肋間神經痛(늑간신경통)

①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 防風(방풍), 麻黃(마황), 荊芥(형개), 連翹(연교), 薄荷(박하), 生姜(생강),

梔子(치자), 當歸(당귀), 芍葯(작약), 川芎(천궁), 白朮(백출), 甘草(감초),

黃芩(황금), 大黃(대황), 芒硝(망초), 滑石(활석), 石膏(석고), 桔梗(길경).

3. 임상(臨床)

1) 辨證施治(변증시치)

診斷要点(진단요점)

⑴ 痛證 : 가슴의 통증이 등을 뚫고 나가는 뜻이 아프며(胸痛徹背), 가슴과 등에 통증으

로 답답하고(胸背悶痛), 결리며 아프거나(痞痛) 혹은 바늘로 찌르는 뜻한 아

픔(或刺痛)이 때로는 멈추고 때로는 아픈데(時痛時止), 손으로 누르면 통증이

심하여(按之痛甚) 손을 대는 것을 거부하며(拒按), 움직이면 통증이 심하고

(動則痛甚), 아픈 곳이 고정된 엇으며(痛處不移), 정서에 따라 통증이 경하기

도 하고 중하기도 하며(痛輕重隨情緖), 기후에 따라 통증이 가감하며(痛症加

减隨氣候), 통증이 낮에는 경하고 밤에는 심한 것이(晝輕夜甚痛), 가슴 부위

의 통증이 등을 뚫고 나가며(側胸部痛徹背) 통증이 심하면 머리와 허리에 미

치고(痛甚則終頭與腰), 피부가 마비되고(皮膚麻痹), 옆구리가 아프다(脇痛).

⑵ 表證 : 惡寒發熱(오한발열).

无鬱邪(무울사) : 去 荊芥(형개), 羌活(강활).

肝火不盛(간화불성) 或脾胃不實(혹비위불실) : 酌去 大黃(대황), 梔子(치자).

⑶ 症勢 : 頭暈目眩(두운목현), 呼吸不利(호흡불리).

⑷ 病因 : 痰飮(담음), 冷症(냉증, 특히 女性).

2) 辨證論治(변증론치)

⑴ 가슴과 등에 통증이 심하며, 惡寒(오한)과 發熱(발열)이 번갈아 나고, 머리가 아뜩하

고 눈이 어지러우며, 呼吸(호흡)이 원활하지 않고, 몸을 움직이면 통증이 더 심해진

다.

小柴胡湯加味方(소시호탕가미방)

≒ 柴胡(시호)9, 人參(인삼), 半夏(반하) 各3, 甘草(감초)1.5, 生姜(생강)

3片, 大棗(대조)2枚.-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인 후 마신다.

加味 ① 龍膽草(용담초), 吳茱萸(오수유)를 가미하면 더욱 좋다.

② 痛處不移(통처불이)하고 기분에 따라 통증의 程度(정도)가 다를

때는 : 加 當歸(당귀), 白芍(백작), 白朮(백출), 茯苓(복령), 釣鉤藤

(조구등) 各6, 牡丹皮(모단피), 枳殼(지각),玄胡索(현호

색)各4, 梔子(치자), 木香(목향), 薄荷(박하), 甘草(감초)

各2g.

③ 痰飮(담음) : 减 人參(인삼),

加 川芎(천궁), 赤茯苓(적복령), 黃芪(황기), 香附子

(향부자), 貝母(패모), 瓜蔞仁(과루인) 各6, 白芥

子(백개자), 陳皮(진피), 靑皮(청피), 枳殼(지각),

白朮(백출) 各4.

⑵ 側胸部(측흉부)와 등에 통증이 일정한 부위에만 심하게 나타나고, 심하면 머리와 허

리까지 파급되고 皮膚麻痹感(피부마비감)이 느껴지며 기후에 따라 통증이 가감되

어 나타날 때 쓰이는 처방이다.

羌活勝濕湯(강활승습탕)

≒ 羌活(강활), 獨活(독활) 各3, 炙甘草(자감초), 藁本(고본), 川芎(천궁), 防

風(방풍) 各1.5, 蔓荊子(만형자)0.9g.

- 물 300cc로 끓여 반으로 줄면 식후에 溫服한다.

加味 : 當歸(당귀), 黃芪(황기), 赤芍(적작), 甘草(감초), 生姜(생강).

- 더욱 효과가 있다.

⑶ 胸背部(흉배부)가 답답하고 아프며, 혹은 찌르는 듯한 통증이 있고 아픈 부위가 고

정되어 있는데 통증은 나타날 때도 있고 나타나지 않을 때도 있다.(時痛時止) 그리

고 그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더 심해지므로 거부한다.

復元活血湯加味方(복원활혈탕가미방)

≒ 柴胡(시호)15, 天花粉(천화분), 當歸(당귀) 各9, 紅花(홍화), 甘草

(감초), 穿山甲(천산갑) 各6, 大黃(대황, 酒浸)30, 桃仁(도인, 酒浸

去皮除芽)50个.

거칠게 가루내어 매회 30g씩에 물 150cc 술 150cc를 붓고 끓여

반으로 줄면 食前에 마신다.

加味 ① 黃芪(황기), 赤芍(적작), 地龍(지용), 川芎(천궁), 紅花(홍화) 등

을 가미하면 더욱 좋다.

② 痛處固定(통처고정), 晝輕夜甚(주경야심),

便色黑(변색흑) : 加 半夏(반하), 川芎(천궁), 乾地黃(건지황),

赤芍(적작), 枳殼(지각), 玄胡索(현호색),

烏葯(오약), 香附子(향부자), 白芥子(백개

자), 靑皮(청피), 陳皮(진피), 黃芪(황기).

⑷ 氣(기)가 몰려서 옆구리가 찌르는 듯이 아프고 가슴속이 더부룩하며 막힌 것 같은

것을 치료한다.

沉香降氣散(침향강기산)

≒ 姜黃(강황), 陳皮(진피), 甘草(감초) 各4, 三稜(삼릉), 莪朮(아출, 봉출 모

두 잿불에 묻어 구운 것), 益智仁(익지인), 厚朴(후박) 各2.8, 白朮(백출),

紫蘇葉(자소엽), 香附子(향부자), 神曲(신곡), 麥芽(맥아), 烏葯(오약) 各

2, 人參(인삼), 訶子(가자), 大腹皮(대복피)1. - 水煎服

⑸ 옆구리가 무엇에 찔린 것같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이는 氣가 實한 탓이다.

枳殼散(지각산)

≒ 枳殼(지각)50, 炒甘草(초감초)15. 가루 내어 한 번에 8g을 葱白湯에 타서 먹

는다.

⑹ 옆구리가 몹시 아픈 것을 치료한다.

木通散(목통산)

≒ 木通(목통), 靑皮(청피), 苦楝子(고련자, 巴豆와 함께 볶아서 巴豆가 누렇게

되면 버린다) 各26, 炒萊菔子(초래복자), 炒茴香(초회향), 莪朮(아출, 봉출),

木香(목향), 滑石(활석) 各10.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한 번에 12g씩 葱白湯(총백탕)에 타서 먹는다.

⑺ 冷症으로 옆구리가 아픈데 모든 약이 효과가 없는 것을 치료한다. 특히 女性(여성)

의 肋間神經痛(늑간신경통)에 應用(응용)된다.

芍葯散(작약산)

≒ 香附子(향부자, 食醋2되, 소금40g과 같이 마를 때 까지 달인다.)160, 肉桂

(육계), 炒玄胡索(초현호색), 白芍(백작, 酒炒) 各40.

이상의 양을 가루 내어 한 번에 8g씩 끓인 물에 타 먹는다.



늑막염 (肋膜炎)

1. 임상(臨床)

1) 말린 질경이와 菖蒲(창포) 各 10-15g에 물 반되를 넣고 달여서 마신다.

2) 길경이 生葉(생엽)에 소금을 약간 넣고 찟찧어 汁(즙)을 내어서 食前口服(식전구

복)해도 좋다.

3) 證象 : 心下(심하)에서 少腹(소복)까지 硬滿(경만)하고 아파서 접근을 거부하며, 大

便秘結(대변비결), 午后潮熱(오후조열)이 약간 있다. 혹은 短氣煩躁(단기번

조), 舌燥(설조), 口渴(구갈), 脈沉緊(맥침긴) 有力(유력)하면. . .

方 : 大陷胸湯(대함흉탕)《傷寒論》加減

≒ 大黃(대황), 芒硝(망초) 各10, 甘遂(감수)1. - 逐水瀉熱(축수사열)

2. 민방 (民方)

1) 肋膜炎

① 苓甘姜味辛夏仁湯(령감강미신하인탕)

≒ 茯苓(복령), 甘草(감초), 乾姜(건강), 五味子(오미자), 細辛(세

신), 半夏(반하), 杏仁(행인).


늑하창통 (肋下脹痛)

1. 參照文(참조문)

1) 협통 (脇痛) 참조

2. 配伍葯(배오약)

1) 龍骨(용골)30 + 牡蠣(모려)30 = 肋下脹疼(늑하창동) - 陰虛陽亢(음허양항).

10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Israel

臨床 363 /♧ 痔(치) - 痔疾(치질)

1 槪念(개념) 882 人体直腸末端粘膜下和(인체직장말단점막하화) 肛管皮膚下(항관피부하) 靜脈叢發生擴張和 (정맥총발생확장화) 屈曲所

臨床 362 / 耳部 3. 耳眩暈(이현운) ♧

耳眩暈(이현운) 1 槪念(개념) 1251 眩暈是目眩頭暈(현운시목현두운), 卽眼花潦亂(즉안화요란), 頭部旋轉不定的病證(두부선전 부정적병증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