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臨床 76 / 外科 瘡瘍 1. 頸癰 (경옹)



경옹 (頸癰) : 중의외과(中醫外科) 속(屬) 창양(瘡瘍)의 옹병(癰病) 810

옹(癰)의 함의(含意)는, 기혈(氣血)에 독사가 옹색(毒邪壅塞)하여 불통적 의사가 있는 것을

(不通的意思有) 내옹 혹은 외옹으로 분류하고 있다.(“內癰” 與 “外癰” 之分). 내옹은 장부에

나타나고(內癰生在臟腑). 외옹은 체표에 나타난다(外癰生在体表). 본절(本節)에서는 외

옹(外癰)의 변증시치(辨證施治)를 서술(敍述)한다.

경옹(頸癰)은 경부(頸部) 양측에 발생하는 급성화농성질병(急性化膿性疾病)으로서 서의

(西醫)에서 말하는 경부급성화농성임파결염(頸部急性化膿性淋巴結炎)이다. 그 특점은 초

기에는 국부피부색(局部皮色)이 不變(불변)하고, 腫脹(종창), 炒熱(초열), 疼痛(동통)이 나

며 腫塊(종괴)의 가장자리 경계가 청초(淸楚)하다.


病因病機(병인병기)

대부분 風溫(풍온), 風熱(풍열)의 邪氣(사기)를 外感(외감)한데다가 少陽陽陰之絡(소양양

음지락)에 협담이 온결(挾痰蘊結)된 소치(所致)이다; 또 乳蛾(유아), 口疳(구감), 齲齒(우

치) 혹은 頭面瘡癤(두면창절) 等으로 인하여 毒邪(독사)에 感染(감염)으로 誘發(유발)한다.


診斷(진단)

兒童(아동)에게서 많이 보는 것으로 언제나 양쪽 목덜미(頸旁兩側), 頷下(함하), 耳后(이

후), 頦下(해하)에 발생할 수 있다. 발병 전에는 대체로 乳蛾(유아), 口疳(구감), 齲齒(우치)

혹은 頭面部(두면부)에 癤腫(절종)이 생기거나 혹은 부근 皮膚粘膜(피부점막)에 破損病史

(파손병사)가 있는 경우가 많다.

初起(초기) 患部(환부)에 마치 계란형을 한(形如鷄卵) 結塊(결괴)가 생기는데 피부색은 변

하지 않고(皮色不變), 腫脹(종창), 炒熱(초열), 疼痛(동통)이 나며 활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活動度不大). 약 7~10일에, 만일 소산하지 않으면(若不消散), 곧 곪는다(卽欲成膿), 이때

에 결괴가 된 곳의(此時結塊處) 피부색은 붉게 물들고(皮色轉紅), 종세가 고돌(腫勢高突)

하여 동통이 더 심해져서(疼痛加劇) 마치 닭에게 쪼인 것 같고(如鷄啄狀), 손으로 만져보

면 단단하지 않고 아주 연하지도 않은 중간 정도로 연한 것이(按之中軟) 퍼동감이 있다(而

有波動感). 터진 뒤에 고름이 나온다(潰后膿出). 빽빽하고 두터운 황백색이다(黃白稠厚),

부스럼이 물러나면 통증이 감소된다(腫退痛减) 약 십일이 지나면 아물고 낫는다(約十天

左右愈合).

본병(本病)은 경증(輕證)과 중증(重證)을 동반하고 나타나는데 오한(惡寒), 발열(發熱), 두

통(頭痛), 구건(口乾), 변비(便秘), 뇨적(尿赤) 等 전신증상(全身證狀)을 나타내며 화농시

(化膿時)에는 전신증상(全身症狀)이 가극(加劇)해 지고, 궤농후(潰膿后)에는 대부분 소실

(消失)된다.


鑒別診斷(감별진단)

1) 痄腮(자시) : 流行性耳下腺炎(유행성이하선염); 대부분 腮部(시부)에 발생하고, 항상 양

측에 발병하며 흰색의 유종(色白濡腫)으로 붓고 저리며 적은 통증이 나고

(痠脹少痛) 곪지는 않으며(不會化膿) 7~10일이면 消退(소퇴)하는데 傳染

性(전염성)이 있다.

2) 興核(흥핵) : 대부분 口腔(구강) 등 頭面(두면)에 일어나는 질환(疾患引起)으로 다만 비

교적 작은 結核(결핵)의 부스럼형태로서 밀면 움직이고(推之活動), 일반적

으로 全身症狀(전신증상)은 없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內治(내치)

風熱痰毒(풍열담독), 頸旁結塊(경방결괴), 紅腫熱痛(홍종열통), 頭痛(두통), 口乾咽痛(구

건인통), 苔薄白(태박백), 或薄黃(혹박황), 脈浮數(맥부삭).

治法 : 散風淸熱(산풍청열), 化痰消腫(화담소종).

處方 : 牛蒡解肌湯(우방해기탕) 혹 銀翹散(은교산) 加减(가감).

牛蒡解肌湯(우방해기탕)

≒ 우방자(牛蒡子), 박하(薄荷), 형개(荊芥), 연교(連翹), 산치자(山梔子),

모단피(牡丹皮), 석곡(石斛), 현삼(玄參), 하고초(夏枯草).

銀翹散(은교산)

≒ 은화(銀花), 연교(連翹), 우방자(牛蒡子), 길경(桔梗), 박하(薄荷), 죽엽(竹

葉), 형개수(荊芥穗), 두시(豆豉), 감초(甘草), 노근(蘆根).

加减 - ① 熱盛者(열성자) : 加 黃芩(황금), 生山梔(생산치), 生石膏(생석고).

② 便秘者(변비자) : 加 瓜蔞仁(과루인), 萊菔子(래복자), 枳實(지실).

③ 膿成者(농성자) : 加 炙山甲(자산갑), 皂角刺(조각자).

④ 腫塊堅硬者(종괴견경자) : 去 荊芥(형개), 牛蒡子(우방자), 薄荷(박하),

加 丹參(단삼), 赤芍(적작), 皂角刺(조각자).

2) 外治

初起 : 金黃膏(금황고) 外敷(외부).

膿成則(농성칙) : 切開(절개) 排膿(배농), 用 九一丹(구일단) 或 八二丹(팔이단), 葯線引

流(약선인류), 外盖(외개) 金黃膏(금황고), 혹 紅油膏(홍유고).

膿盡(농진) : 改用(개용) 生肌散(생기산), 白玉膏(백옥고). 中醫外科學

15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