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흉증 (結胸證)
結胸(결흉)이란 傷寒論(상한론)에 명기하고 있다. 邪氣(사기)가 가슴속(胸部)에 맺혀있
는 병증을 가르킨다. 主要證狀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 가슴(胸部)과 옆구리(脇部)에 觸
痛(촉통)이 있고, 목이 뻣뻣하며 熱(열)이 나고 땀(汗)이 나며 寸脈(촌맥)이 浮(부)하고
關脈(관맥)이 沉(침)하다. 다른 하나는 心窩部(심와부)로부터 아랫배까지 뜬뜬하고 가
득하며 아프고 누르는 것을 싫어하며, 大便(대변)이 굳고 입과 혀가 말라 갈증이 나며
오후에 潮熱(조열)이 좀 나고 脈(맥)이 沉(침)하고 結(결)한 등 증상이 있다. 발병원인(病
因)은 다음과 같다.
太陽病(태양병)에서 너무 일찍 攻下(공하)하여 表熱(표열)이 內陷(내함)하고 가슴속에
있던 수음과 엉키거나 혹은 瀉下葯(사하약)을 잘못 쓰지 않았는데도 太陽病(태양병)이
안으로 陽明(양명)에 傳變(전변)되어 陽病(양병)의 實熱(실열)이 배속의 본래 수음과 서
로 엉키는데서 생긴다. 가슴(胸部)과 옆구리(脇部)를 누르면 아프고 목이 뻣뻣하며 땀
이 약간 나는데, 머리에서만 땀나는 것은 熱(열)과 陰水(음수)가 서로 엉킨 것인데 이를
水結胸(수결흉)이라고 한다. 또 水氣結胸(수기결흉) 혹은 水熱結胸(수열결흉)이라고도
한다. 누르는 것을 싫어하고 대변이 굳고 오후에 潮熱(조열)이 좀 나는 것을 實熱結胸
(실열결흉)이라 한다.
이외에 小結胸(소결흉) 大結胸(대결흉) 血結胸(혈결흉) 寒實結胸(한실결흉)등의 명칭이
있다.
小結胸 : 痰과 熱이 서로 엉키는데서 생기는데 이를 痰熱結胸이라고도 한다. 臨床表現
은 胃脘部(위완부)가 뜬뜬하고 그득하며 壓痛(압통)이 있고 舌苔(설태)가 누렇
고 좀 기름지며 脈(맥)이 浮(부)하고 滑(활)하다.
大結胸 : 이를 大陷胸湯(대함흉탕) 證(증)이라 한다. 太陽表證(태양표증)이 해제되지 않
았는데 瀉下法(사하법)을 잘못 써서 心窩部(심와부)로부터 소복까지 뜬뜬하고
그득하면서 아파서 손을 대지 못하는 證狀(증상)이다.
血結胸 : 邪熱(사열)과 血(혈)이 가슴에 엉키는데서 일어난다. 주요증상은 가슴속이 그
득하고 좀 뜬뜬하며 아파서 누르지 못하게 하는데 이런 환자들은 기억력이 줄
고 小便(소변)은 도리어 잘 나가고 渴症(갈증)도 있다.
寒實結胸 : 太陽病(태양병)에서 냉수로 목욕을 잘못하여 邪熱(사열)이 寒氣(한기)에 막
히게 되고 水寒(수한)이 肺(폐)를 상하여 한기가 가슴속에 맺히는데서 일어
난다. 주요증상은 가슴이 아프고 마음이 초조하며, 熱(열)이 없고, 渴症(갈증)
도 없다.
1. 참고문(參考文)
1) 흉비증 (胸痺證) 참조(參照)
2) 흉통 (胸痛) 참조(參照)
3) 수종 수음 (水腫 水飮) 참조(參照)
2. 임상(臨床)
1) 結胸證(결흉증).- 大便難(대변난) 혓바닥이 건조하고 목이 마르며(舌上燥而渴), 해질
녘이면 조열이 약간 나고(日晡小有潮熱), 심하로 부터 소복에 이르
기 까지(從心下至少腹) 그득하고 단단하며 아파서(硬滿而痛) 근접
이 불가하며(不可近), 맥은 침긴하고 유력하다(脈沉緊有力).
치 : 사열축수(瀉熱逐水)
방 : 대함흉탕(大陷胸湯)《傷寒論》사하제(瀉下劑)
≒ 대황(大黃)10, 망초(芒硝)10, 감수(甘遂)1.
2) 寒實結胸(한실결흉).- 寒痰冷飮(한담냉음)이, 흉격에 뭉쳐서(結于胸膈) 흉협(胸脇)
혹 심하가 경만(心下硬滿)하고, 동통이 나서 거안(疼痛拒按)하
며, 호흡이 불리(呼吸不利)하고, 대변이 불통(大便不通)하며
설태는 백활(舌苔白滑)하고, 맥은 침현(脈沉弦)하거나 혹 침지
하고 유력(沉遲有力)하다.
방 : 三物白散(삼물백산)《傷寒論》瀉下劑(사하제)
≒ 貝母(패모), 桔梗(길경), 巴豆(파두).
- 백미탕화복(白米湯和服) 《外台秘要》용본방(用本方) 폐옹실증(肺癰實症).
3) 小結胸證(소결흉증).- 흉부와 위완이 결리고 답답하며(胸脘痞悶), 눌리면 아프고(按
之則痛), 누렇고 걸죽한 담을 토하며(吐痰黃稠), 설태는 황니
(舌苔黃膩)하고, 맥은 활삭(脈滑數)하다.
치 : 滌痰瀉熱(척담사열), 寬胸開結(관흉개결).
방 : 小陷胸湯(소함흉탕)《傷寒論》祛痰劑(거담제)
≒ 황련(黃連), 반하(半夏), 과루실(瓜蔞實).
4) 結胸(결흉) : 偏于少陽(편우소양).- 한열이 왕래(寒熱往來)하며, 흉협이 그득하고 답
답한(胸脇滿悶)것이 풀리지 않고(不舒), 누르면 아프며(按之則痛), 입은
쓴 맛이 돌고 설태는 누르며(口苦苔黃), 맥은 현활(脈弦滑)하다.
방 : 柴胡陷胸湯(시호함흉탕)《通俗傷寒論》祛痰劑(거담제)
≒ 시호(柴胡), 길경(桔梗), 반하(姜半夏), 황련(川黃連), 황금 (黃芩), 지
실(枳實), 괄루인(栝樓仁)., (생강즙(生姜汁)).
5) 熱痰證(열담증)
臨床 : 사열이 깊이 들어와(邪熱入里) 흉완(胸脘)에서 담(痰)과 서로 결합하여 이루어
진 열담결흉증(熱痰結胸證)이다. 임상표현은 몸에 열이 나며 얼굴이 붉고(身
熱面赤), 갈증으로 괴로워하며 찬물을 마시는데(煩渴冷飮), 물을 마시면 곧 토
하고(得水則吐), 가슴이 결리고 위가 그득하며(胸脘痞滿), 손으로 누르면 동통
이 나고(按之疼痛), 대변이 단단해져서 잘 나오지 못하며(大便秘結), 태는 누
렇고 미끈거리고(苔黃膩), 맥은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한 것이 한번 호흡
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뛴다(脈弦數).
治宜 : 청열화담(淸熱化痰) 개결(開結)
方用 : 소함흉가지실탕(小陷胸加枳實湯)《溫病條辨》거담제(祛痰劑)
≒ 황연(黃連), 과루실(瓜蔞實), 반하(半夏), 지실(枳實).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