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臨床 64 / 眼科 胞瞼 1. 瞼弦赤爛



검현적란 (瞼弦赤爛)

1. 참조문(參照文)

1) 안검홍종 (眼瞼紅腫) 참조

2) 적맥전정 (赤脈傳睛) 참조

3) 폭풍객열 (暴風客熱) 참조

2. 중의안과학(中醫眼科學)

本病(본병)은 瞼弦紅赤(검현홍적), 潰爛(궤란), 刺痒(자양)을 위주로 하는 특징이 있다.

《銀海精微》에서 瞼弦赤爛이라 称하였다. 또 다른 이름은 目赤爛眦(목적란자), 風弦赤爛

(풍현적란), 迎風赤爛(영풍적란)이라 하며 俗名(속명)으로는 爛弦風(란현풍)이라 한다. 嬰

兒(영아)에 발병한 경우에는 胎風赤爛(태풍적란)이라 한다. 赤爛(적란)이 眦部(자부)에 限

(한)하여 나므로 또한 眦赤爛(자적란), 眦帷赤爛(자유적란) 이라고도 한다. 本病(본병)은 病

程(병정)이 冗長(용장)하여 頑固難愈(완고난유)하다. 西醫學(서의학)의 瞼緣炎(검연염)에

해당한다. 그 중에 眦帷赤爛(자유적란)과 眦部瞼緣炎(자부겸연염)은 相似(상사)한 것이다.

1) 病因病機(병인병기)

평소에 近視(근시), 遠視(원시) 혹은 營養不良(영양불량), 睡眠不足(수면부족), 衛生(위

생) 및 習慣(습관)이 不良(불량)한 사람은 本病(본병)에 쉽게 걸린다(易罹).

⑴ 脾胃蘊熱(비위온열) - 復受風邪(복수풍사), 風熱合邪(풍열합사), 結于瞼弦(결우검현),

傷津化燥(상진화조).

⑵ 脾胃濕熱(비위습열) - 外受風邪(외수풍사), 風(풍), 濕(습), 熱邪相搏(열사상박), 上攻瞼

弦(상공검현).

⑶ 外感風邪(외감풍사) - 心火內盛(심화내성), 風火上炎(풍화상염), 灼傷瞼眦(작상검자).

2) 臨床表現

本病(본병)의 基本證狀(기본증상)은 瞼弦赤爛(검현적란)과 灼熱刺痒(작열자양)이다.

그러나 臨床(림상)에서 主症(주증)과 病發部位(병발부위)가 같지 않으므로 역시 부동한

類型(류형)으로 나타나는데 瞼弦(검현)이 潮紅刺痒(조홍자양)하고, 睫毛根部(첩모근부)

에 糠皮(쌀겨 껍질) 모양의 白屑(백설)이 끼며, 자주 비비고 주무르기를 좋아하는(頻喜揉

擦) 사람이다. 瞼弦潰爛(검현궤란)이 있으면, 生膿結痂(생농결가), 睫毛亂生(첩모난생)하

고 혹은 脫落(탈락)한다. 痛痒幷作(통양병작)하며, 羞明流泪(수명유루), 眵泪膠粘(치루교

점)한 사람은 紅赤糜爛(홍적미란)이 兩眦(양자)에 있고, 또 灼熱奇痒(작열기양)이 생긴

다.

3) 辨證論治(변증론치)

⑴ 內治(내치)

① 風熱偏重(풍열편중)

症狀 : 눈시울이 붉고(瞼弦紅赤), 속눈썹 뿌리 부의가(睫毛根部), 쌀겨 껍질 모양으

로 되어(有糠皮樣) 부스러기 모양 떨어지고(脫屑), 불로 지지는 뜻이 뜨겁고

따가우며 가려움을 자각하게 되고(自覺灼熱刺痒), 눈이 마르고 껄끄러워

부적절하다(乾澁不適).

分析 : 눈시울에 風熱(풍열)의 客邪(객사)들어가 풍이 성한즉 가렵고(風盛則痒), 흩

어지지 않으니(不散則) 불을 사르는 뜻 뜨겁고 바늘로 찌르는 뜻이 따가운

가려움(灼熱刺痒)이 나는 것이다. 風熱(풍열)은 津液(진액)을 소모하고 손

상시킴으로(耗傷), 눈시울이 붉고(瞼弦紅赤), 건조하여 피부에 비늘이 일어

나는(乾燥而起皮屑) 것이다.

治法 : 祛風止痒(거풍지양), 養血淸熱(양혈청열).

方葯 : 銀翹散(은교산) 加减(가감)

方解 : 銀翹散(은교산) 은 疏風淸熱(소풍청열)을 爲主(위주)로 한다.

可加 赤芍(적작) : 淸熱凉血(청열양혈)

加 蟬退(선퇴), 蕤仁(유인), 烏梢蛇(오초사). : 祛風止痒(거풍지양)

加 天花粉(천화분) : 生津潤燥(생진윤조) 共成 疏風止痒(소풍지

양), 養血淸熱(양혈청열).

② 濕熱偏重(습열편중)

症狀 : 눈시울(瞼弦)이 붉게 짓무르고(紅赤潰爛), 가렵고 아픔이 병행하며(痛痒幷

作) 끈끈한 아교 같은 눈곱이 끼고(眵泪膠粘), 속눈썹 털이한테 엉키거나(睫

毛成束) 혹은 속눈썹이 쓰러지고(倒睫), 탈락한다(睫毛脫落).

分析 : 風濕熱邪(풍습열사)가 上攻瞼弦(상공검현)하고, 내열이 왕성한 즉(內熱盛

則) 紅赤痒痛(홍적양통)이 난다. 습열이 왕성한 즉(濕熱盛則) 붉게 짓무르

고 아프며(赤痛潰爛), 아교 같이 끈끈한 눈곱이 흐르고(眵泪膠粘), 눈곱이

속눈썹에 끈끈하게 붙어서(眵泪粘睫則) 속눈썹이 함께 묶이게 된다(睫毛成

束). 눈시울이 짓무르고(瞼弦潰爛) 눈꺼풀이 손상(瞼皮損傷)되는 고로 속눈

썹이 쓰러지거나(倒睫) 혹은 속눈썹이 빠진다(禿睫).

治法 : 祛風淸熱除濕(거풍청열제습).

方葯 : 除濕湯(제습탕) 加减(가감)

方解 - ㉠ 荊芥(형개), 防風(방풍) : 祛風邪(거풍사)

㉡ 滑石(활석), 車前子(차전자), 木通(목통), 茯苓(복령).- : 제습청열

㉢ 黃芩(황금), 黃連(황연), 連翹(연교), 甘草(감초) : 淸熱解毒

㉣ 枳殼(지각), 陳皮(진피) : 調理(조리) 脾胃氣機(비위기기) 以助化濕(이조

화습).

③ 心火上炎(심화상염)

症狀 : 눈초리 부위 눈시울이 붉게 짓물러져서(眦部瞼弦紅赤糜爛), 불을 사르듯

열이 나고 따가운 가려움이 심한 사람은(灼熱刺痒甚者), 눈초리 부위 눈시

울이 파열되어 출혈(眦部瞼弦破裂出血)한다.

分析 : 평소에 심화가 왕성한(心火素盛)데다가 풍사에 감수되어 이끌려서(復受風

邪引動), 풍화가 타올라(風火上炎), 눈자위를 뜨겁게 손상(灼傷瞼眦)함으로

눈초리부위가 붉고(眦部紅赤) 뜨거운 열로 짓물러진다(灼熱糜爛). 만일 풍

화의 기세가 가득하여(若風化熾盛) 진액을 사르게(津液受灼)되면, 눈초리

부위로 돌아갈 수 있고(還可致眦部) 피부가 파열되어 출혈(皮膚破裂出血)

하게 된다.

治法 : 淸心瀉火(청심사화)

方葯 : 導赤散(도적산) 合 黃連解毒湯(황련해독탕) 加减

導赤散(도적산) : 淸心導熱下行(청심도열하행)

黃連解毒湯(황연해독탕) : 瀉火解毒(사화해독)과 淸心瀉火(淸心瀉火解毒

(청심사화해독)을 합한 方劑(방제)이다.

⑵ 外治(외치)

① 葯水洗眼(약수세안)

㈀ 偏風者(편풍자) : 可用 二聖散(이성산)

㈁ 偏濕重(편습중) : 可用 消風散濕湯(소풍산습탕)

㈂ 偏熱證(편열증) : 可用 万金膏(만금고)

② 可用 鷄蛋黃油膏(계단황유고) 혹은 銅綠膏(동록고)로 피부를 문지른다(外擦).


3. 임상 (臨床)

1) 검현적란(瞼弦赤爛).- 풍습열사(風濕熱邪) 상공(上攻) 검현홍적란궤(瞼弦紅赤爛潰)

통양병작(痛痒幷作) 치루교점(眵泪膠粘) 첩모탈락(睫毛脫落).

방 : 제습탕(除濕湯)《眼科纂要》치목제(治目劑)


12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