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臨床 325 / 肝膽 6. 黃疸(황달)

Aktualisiert: 16. Juni 2021


附 - 金匱要略(금궤요략),

中醫內科學(중의내과학)


黃疸(황달)

황달(黃疸)

1 槪念(개념)

黃疸是以目黃(황달시이목황), 身黃(신황), 小便黃爲主症的病證(소변황위주증적병증), 其中尤

以目睛黃染爲(기중우이목정황염위) 本病的特徵(본병적특징). 黃疸一般先從目黃開始(황달일

반선종목황개시), 繼則遍及全身(계칙편급전신), 或黃如橘色鮮明(혹황여귤색선명), 或黃如烟

熏而黯(혹황여연훈이암), 多伴食欲不振(다반식욕부진), 惡心(오심), 心中懊憹(심중오농), 体

倦乏力(체권핍력), 小便不利等症狀(소변불이등증상). 本病的發生多因時氣疫毒(본병적발생

다인시기역독), 濕熱(습열), 寒濕之邪外襲(한습지사외습), 或酒食不節(혹주식불절), 情志不舒

(정지불서), 勞倦內傷(노권내상), 而致肝膽(이치간담), 脾胃功能失調(비위공능실조), 濕邪蘊

伏中焦(습사온복중초), 氣機鬱滯(기기울체), 膽失疏泄(담실소설), 膽汁不循常道(담즙불순상

도), 下注膀胱(하주방광), 泛溢肌膚而發黃疸(범일기부이발황달).

本病主要責之肝膽(본병주요책지간담), 但多涉及脾胃(단다섭급비위), 發病關鍵是濕邪爲患

(발병관건시습사위환). 臨床應以化濕邪(임상응이화습사), 利小便爲治療大法(이소변위치료

대법), 使邪有出路(사사유출로). 同時依據不同病證(동시의거부동병증), 分別選用淸熱利濕(분

별선용청열이습), 淡滲利濕和溫陽化濕之法(담삼이습화온양화습지법).

2 辨證要点(변증요점)

1) 辨析陰陽(변석음양)

黃疸主要分爲陽黃(황달주요분위양황), 陰黃兩大類別(음황양대류별). 陽黃黃色鮮明(양황

황색선명), 起病速(기병속), 病程短(병정단), 多屬熱證(다속열증), 實證(실증); 陽黃黃色晦黯

或黧黑(양황황색회암혹려흑), 起病緩(기병완), 病程長(병정장), 多屬寒證(다속한증), 虛證

(허증). 急黃亦屬陽黃范疇(급황역속양황범주), 其身黃如金(기신황여금), 起病急驟(기병급

취), 變化迅速(변화신속), 爲熱毒熾盛之候(위열독치성지후)

2) 辨病性(변병성)

黃疸色鮮明(황달색선명), 伴發熱(반발열), 口渴(구갈), 小便短赤(소변단적), 大便秘結(대변

비결), 惡心嘔吐(오심구토), 舌苔黃膩(설태황니), 脈弦數者(맥현삭자), 多爲濕熱蘊結所致

(다위습열온결소치); 若黃色晦暗(약황색회암), 伴神疲畏寒(반신피외한), 食少納呆(식소납

매), 脘腹脹滿(완복창만), 舌淡(설담), 苔白膩(태백니), 脈濡緩(맥유완), 則爲寒濕所致(칙위

한습소치); 若黃疸色黯帶黑(약황달색암대흑), 身体消瘦(신체소수), 腹脹膨隆(복창팽융), 脇

下有結塊疼痛(협하유결괴동통), 舌質紫瘀(설질자어), 脈沉澁(맥침삽), 爲瘀血所致(위어혈

소치); 若身目淡黃(약신목담황), 肌膚不澤(기부불택), 頭暈氣短(두운기단), 便溏納呆(변당

납매), 爲脾胃虛弱(위비위허약), 氣血不足所致(기혈부족소치).

3 類證鑒別(류증감별)

1) 萎黃(위황)

萎黃是皮膚黃(위황시피부황) 而干萎无澤的一種病證(이간위무택적일종병증), 但无目黃(단

무목황), 小便黃的表現(소변황적표현), 這是與黃疸最根本的鑒別点(저시여황달최근본적감

별점), 常伴眩暈(상반현운), 心悸(심계), 其病機爲脾胃虛弱(기병기위비위허약), 氣血虧耗不

能榮養肌膚而致(기혈휴모불능영양기부이치).

2) 黃汗(황한)

黃汗以汗出色黃(황한이한출색황) 如柏汁染衣爲特徵(여백즙염의위특징).

《金匱要略 · 水氣病脈證幷治》曰 : “黃汗爲病(황한위병), 身体腫(신체종), 發熱汗出而渴(발

열한출이갈), 狀如風水(상여풍수), 汗沾衣(한첨의), 色正黃如柏汁(색정황여백즙), 脈自沉

(맥자침).” 可見黃汗雖汗出色黃(가견황한수한출색황), 然无目黃及小便黃(연무목황급소변

황), 故不屬黃疸病范疇(고불속황달병범주).

4 辨證施治(변증시치)

1) 陽黃(양황)

⑴ 濕熱兼表(습열겸표)

證狀 : 黃疸初起(황달초기), 色黃不著(색황불저), 或僅見目黃(혹근견목황), 畏寒發熱(외

한발열), 身疼頭重(신동두중), 胸悶不飢(흉민불기), 惡心嘔吐(오심구토), 小便黃赤

短少(소변황적단소), 苔薄膩(태박니), 脈浮弦或浮數(맥부현혹부삭).

治法 : 辛散淸利(신산청리), 宣表化濕(선표화습).

方葯 : 麻黃連翹赤小豆湯(마황연교적소두탕)

≒ 麻黃(마황), 連翹(연교), 赤小豆(적소두), 杏仁(행인), 生梓白皮

(생재백피), 生姜(생강), 大棗(대조), 甘草(감초).

加减 : ① 若目黃(약목황), 身黃漸顯(신황점현).

加 茵陳(인진), 黃柏(황백).- 利濕退黃(이습퇴황).

⑵ 濕熱內蘊(습열내온)

① 熱重于濕(열중우습)

證狀 : 身目俱黃(신목구황), 黃色鮮明(황색선명), 發熱口渴(발열구갈), 小便赤如濃茶

(소변적여농차), 脘腹脹滿(완복창만), 大便秘結(대변비결), 心中懊憹(심중오

농), 口干而苦(구간이고), 厭油膩(염유니), 惡心欲吐(오심욕토), 舌質紅(설질

홍), 舌黃膩(설황니), 脈弦數或滑數(맥현삭혹활삭).

治法 : 淸熱瀉火(청열사화), 利濕退黃(이습퇴황).

方葯 : 茵陳蒿湯(인진호탕) 加味(가미)

≒ 茵陳(인진), 梔子(치자), 大黃(대황), 茯苓(복령), 猪苓(저령), 滑石(활

석), 車前草(차전초).

加减 : ㉠ 本方由(본방유) 茵陳蒿湯(인진호탕)

加 茯苓(복령), 猪苓(저령), 滑石(활석), 車前子(차전자) 而成(이성)

㉡ 若大便秘結甚者(약대변비결심자)

可加 重大黃用量(중대황용량), 甚至合用(심지합용대승기탕)

≒ 大黃(대황), 厚朴(후박), 枳實(지실). 芒硝(망초).

- 通便泄熱(통변설열)

㉢ 若腹部脹滿(약복부창만)

加 鬱金(울금), 川楝子(천련자), 靑皮(청피).- 疏肝理氣(소간리기)

㉣ 若惡心嘔吐(약오심구토).

加 橘皮(귤피), 竹茹(죽여).- 降逆止嘔(강역지구).

㉤ 惡熱甚(오열심), 苔黃膩者(태황니자).

加 黃芩(황금), 黃柏(황백).- 助淸熱燥濕之力(조청열조습지력)

㉥ 兼心煩失眠(겸심번실면), 衄血者(뉵혈자).

加 赤芍(적작), 丹皮(단피).- 凉血止血(량혈지혈).

㉦ 熱甚化火(열심화화), 口苦(구고),渴欲飮冷(갈욕음냉),苔黃糙(태황조)

可合用 龍膽瀉肝湯(용담사간탕)

≒ 龍膽草(용담초), 澤瀉(택사), 木通(목통), 車前子(차전

자), 當歸(당귀), 柴胡(시호), 生地黃(생지황), 黃芩(황금),

梔子(치자).- 淸熱瀉火(청열사화)

㉧ 若便后熱减(약변후열감), 舌苔漸化(설태점화), 可加用 健脾化濕(건비화습),

和胃消食之品(화위소식지품).

如 白朮(백출), 茯苓(복령), 炒麥芽(초맥아), 砂仁(사인) 等(등)

- 幷酌减苦寒葯物(병작감고한약물), 以防損傷脾陽轉爲陰黃(이방손상비

양전위음황).

② 濕重于熱(습중우열)

證狀 : 身目俱黃(신목구황), 但不如熱重者明顯(단불여열중자명현), 身熱不揚(신열불

양), 頭身困重(두신곤중), 脘腹痞滿(완복비만), 食欲不振(식욕부진), 厭油膩(염

유니), 惡心嘔吐(오심구토), 大便溏而不爽(대변당이불상), 小便短黃(소변단

황), 舌苔厚膩微黃(설태후니미황) 或黃白相兼(혹 황백상겸), 脈弦滑或濡緩(맥

현활혹유완).

治法 : 利濕化濁(이습화탁), 淸熱退黃(청열퇴황)

方葯 : 茵蔯五苓散(인진오령산)

≒ 茵陳(인진), 猪苓(저령), 澤瀉(택사), 白朮(백출), 桂枝(계지).

加减 : ㉠ 若濕濁較甚(약습탁교심).

加 藿香(곽향), 偑蘭(풍란), 蔲仁(구인) 等(등)

- 宣利氣機(선이기기), 芳香化濁(방향화탁).

㉡ 噯氣嘔逆(애기구역).

加 半夏(반하), 陳皮(진피).- 和胃降逆(화위강역)

㉢ 頭身困重(두신곤중).

加 白芷(백지), 秦艽(진교).- 利濕通絡(이습통락)

㉣ 脇痛(협통).

加 鬱金(울금), 靑皮(청피).- 舒肝止痛(서간지통).

㉤ 食滯而大便尙通者(식체이대변상통자)

加 枳實(지실), 神曲(신곡).- 消食和胃(소식화위).

㉥ 腹脹較甚(복창교심).

加 大腹皮(대복피), 木香(목향).- 行氣消脹(행기소창).

③ 濕熱幷重(습열병중)

證狀 : 身目發黃(신목발황), 其色鮮明(기색선명), 發熱(발열), 口渴不欲飮(구갈불욕

음), 心煩(심번), 脘痞嘔惡(완비구오), 便溏(변당), 小便色黃短赤(소변색황단

적), 苔黃膩而厚(태황니이후), 舌質紅(설질홍),脈濡數(맥유삭).

治法 : 淸熱化濕(청열화습), 利膽退黃(이담퇴황)

方葯 : 甘露消毒丹(감로소독단)

≒ 射干(사간), 貝母(패모), 黃芩(황금), 連翹(연교), 薄荷(박하), 滑石

(활석), 木通(목통), 茵陳(인진), 藿香(곽향), 白蔲仁(백구인), 菖蒲

(창포).

加减 : ㉠ 若黃疸著者(약황달저자).

加 金錢草(금전초), 虎杖(호장).- 解毒退黃(해독퇴황).

⑶ 膽熱鬱結(담열울결)

證狀 : 黃疸出現較快(황달출현교쾌), 右脇劇痛(우협극통), 痛引肩背(통인견배), 惡心嘔

吐(오심구토), 納呆腹脹(납매복창), 大便色淡灰白(대변색담회백), 小便短赤灼熱

(소변단적작열), 口苦咽干(구고인간), 或伴惡寒發熱(혹반오한발열), 寒熱往來(한

열왕래), 舌質紅(설질홍), 苔黃膩(태황니), 脈弦數(맥현삭).

治法 : 淸利肝膽(청리간담), 瀉熱退黃(사열퇴황).

方葯 : 大柴胡湯(대시호탕) 加减(가감)

≒ 柴胡(시호), 黃芩(황금), 大黃(대황), 枳實(지실), 白芍(백작), 半夏(반하),

生姜(생강), 茵陳(인진), 內金(내금), 鬱金(울금), 金錢草(금전초).

加减 : ① 本方由(본방유) 大柴胡湯(대시호탕)

加 茵陳(인진), 內金(내금), 鬱金(울금), 金錢草(금전초) 而成(이성).

② 若脇痛者(약협통자).

加 川楝子(천련자), 元胡(원호).- 疏肝理氣止痛(소간리기지통).

⑷ 熱毒熾盛(열독치성)

證狀 : 黃疸驟發(황달취발), 迅速加深(신속가심), 身目俱黃(신목구황), 其色如金(기색여

금), 高熱煩渴(고열번갈), 脘腹脹滿(완복창만), 疼痛拒按(동통거안), 嘔吐頻作(구

토빈작), 大便秘結(대변비결), 小便短少(소변단소), 甚則精神恍惚(심칙정신황홀),

或神昏譫語(혹신혼섬어), 痙厥抽縮(경궐추축), 衄血(뉵혈), 嘔血(구혈), 便血或斑

疹(변혈혹반진), 舌質紅絳(설질홍강), 苔黃燥(태황조), 脈弦數(맥현삭).

治法 : 淸熱解毒(청열해독), 凉血開竅(량혈개규)

方葯 : 犀角散(서각산) 加味(가미)

≒ 水牛角(수우각), 黃連(황연), 梔子(치자), 茵陳(인진), 升麻(승마), 生地(생

지), 丹皮(단피), 元參(원삼).

加减 : ① 本方(본방) 犀角散(서각산).

加 生地(생지), 丹皮(단피), 元參(원삼)而成(이성)

② 若神昏譫語(약신혼섬어).

可先予(가선여) 安宮牛黃丸(안궁우황환), 紫雪丹(자설단) 之類(지류).

- 淸熱解毒(청열해독), 開竅鎭驚(개규진경)

③ 若有痰熱互結(약유담열호결) 或痰濕蘊滯(혹담습온체)

則用 至寶丹(지보단), 猴棗散(후조산) 之類(지류)

- 芳香開竅(방향개규), 淸心滌痰(청심척담).

④ 若熱毒煽動肝風(약열독선동간풍), 見顫動(견전동), 抽縮(추축).

加 羚羊角(영양각), 鉤藤(구등), 珍珠母(진주모).- 淸熱凉肝熄風(청열량간식풍)

⑤ 出血甚(출혈심).

可加 紫草(자초), 側柏葉(측백엽), 藕節(우절), 地楡炭(지유탄).

- 凉血止血(량혈지혈)

⑥ 小便短赤不利(소변단적불이)

加 車前子(차전자), 木通(목통), 白茅根(백모근).- 淸熱利尿(청열이뇨).

⑦ 大便秘結(대변비결).

加 大黃(대황).- 通腑瀉熱(통부사열)

⑧ 口渴傷陰者(구갈상음자).

加 石斛(석곡), 花粉(화분), 蘆根(노근).- 滋陰淸熱(자음청열)

2) 陰黃(음황)

⑴ 寒濕阻遏(한습조알)

證狀 : 身目俱黃(신목구황), 黃色晦暗或如烟熏(황색회암혹여연훈), 納呆脘悶(납매완민),

腹脹便溏(복창변당), 神疲乏力(신피핍력), 形寒畏冷(형한외냉), 小便淡黃(소변담

황), 舌質淡(설질담), 苔白膩(태백니), 脈沉遲或弦緩(맥침지혹현완).

治法 : 溫寒化濕(온한화습), 健脾和胃(건비화위)

方葯 : 茵陳朮附湯(인진출부탕) 加味(가미)

≒ 茵陳(인진), 白朮(백출), 附子(부자), 干姜(간강), 肉桂(육계), 茯苓(복

령), 澤瀉(택사), 炙甘草(자감초).

加减 : ① 本方由(본방유) 茵陳朮附湯(인진출부탕).

加 茯苓(복령), 澤瀉(택사) 而成(이성).

② 若腹脹甚者(약복창심자).

加 大腹皮(대복피), 厚朴(후박).- 行氣除濕(행기제습)

③ 皮膚瘙痒者(피부소양자).

加 秦艽(진교), 地膚子(지부자).- 祛風止痒(거풍지양)

④ 噯氣嘔吐(애기구토).

加 藿香(곽향), 砂仁(사인).- 芳香醒化(방향성화)

⑤ 若見腹脹便溏(약견복창변당), 納呆著者(납매저자)

可加 黨參(당삼), 山葯(산약), 蓮肉(연육), 薏苡仁(의이인), 蒼朮(창출), 厚朴(후

박).- 增健脾化濕之力(증건비화습지력)

⑵ 脾虛血虧(비허혈휴)

證狀 : 面目肌膚黃而不澤(면목기부황이불택), 小便淡黃(소변담황), 神疲乏力(신피핍력),

心悸氣短(심계기단), 頭暈失眠(두운실면), 爪甲不榮(조갑불영), 食欲不振(식욕불

진), 大便溏薄(대변당박), 舌質淡少苔(설질담소태), 脈沉細无力(맥침세무력) 或濡

細(혹유세).

治法 : 健脾溫中(건비온중), 補養氣血(보양기혈).

方葯 : 黃芪建中湯(황기건중탕)

≒ 黃芪(황기), 桂枝(계지), 芍葯(작약), 飴糖(이당), 生姜(생강), 大棗(대

조), 炙甘草(자감초).

加减 : ① 若偏于氣虛(약편우기허)

重用 黃芪(황기),

加 白朮(백출), 茯苓(복령), 黨參(당삼).- 健脾益氣(건비익기).

② 若偏于血瘀(약편우혈어).

加 當歸(당귀), 熟地(숙지), 阿膠(아교).- 補血(보혈)

③ 陽虛畏寒者(양허외한자)

加 附子(부자).- 溫陽祛寒(온양거한)

④ 脘腹脹滿(완복창만).

加 陳皮(진피), 白蔲(백구), 木香(목향).- 行氣消脹(행기소창)

⑤ 食欲不振(식욕부진).

加 麥芽(맥아), 神曲(신곡), 內金(내금).- 健脾消食(건비소식)

⑥ 大便稀溏(대변희당).

加 蓮肉(연육), 山葯(산약).- 健脾止瀉(건비지사)

⑶ 瘀血內結(어혈내결)

證狀 : 身目發黃(신목발황), 其色晦黯(기색회암), 身体消瘦(신체소수), 納食减少(납식감

소), 腹部脹滿(복부창만), 甚則膨隆或脇下有癥塊(심칙팽융혹협하유징괴), 疼痛不

舒(동통불서), 小便不利(소변불이), 皮膚可見的縷如珠絲(피부가견적루여주사),

衄血(뉵혈), 便血(변혈), 或有低熱(혹유저열), 舌質靑紫或瘀斑(설질청자혹어반),

脈沉澁或細澁(맥침삽혹세삽)

治法 : 活血化瘀(활혈화어), 疏肝退黃(소간퇴황)

方葯 : 膈下逐瘀湯(격하축어탕) 加味(가미)

≒ 當歸(당귀), 川芎(천궁), 赤芍(적작), 桃仁(도인), 紅花(홍화), 丹皮(단

피), 五靈脂(오령지), 香附(향부), 烏葯(오약), 元胡(원호), 枳殼(지각),

茵陳(인진), 甘草(감초).

加减 : ① 本方由(본방유) 膈下逐瘀湯(격하축어탕)

加 香附(향부), 茵陳(인진) 而成(이성).

② 若脇下有瘀塊(약협하유어괴).

可加 三棱(삼능), 莪朮(아출), 鱉甲(별갑).- 消癥塊(소징괴), 化瘀血(화어혈)

③ 皮膚有赤縷蛛絲者(피부유적루주사자)

加 丹皮(단피), 小薊(소계).- 凉血活血(량혈활혈)

④ 腹脹甚者(복창심자)

加 靑皮(청피), 厚朴(후박).- 行氣止痛(행기지통)

⑤ 衄血者(뉵혈자).

加 生地炭(생지탄), 茜草炭(천초탄), 三七(삼칠).- 凉血活血止血(량혈활혈지혈).

⑥ 便血者(변혈자).

加 地楡炭(지유탄), 蒲黃炭(포황탄), 槐角炭(괴각탄).- 和營止血(화영지혈)

5 驗方單方(험방단방)

⑴ 濕熱內蘊型黃疸(습열내온형황달)

方 : 茵陳(인진), 板藍根(판람근) 各30, 膽草(담초)15.

- 水煎服(수전복), 連服(연복)15 日左右.

⑵ 濕熱內蘊型黃疸(습열내온형황달)

方 : 鮮麥苗(선맥묘)60∼90, 滑石(활석)15.- 水煎服(수전복), 日二次(일이차).

⑶ 膽熱鬱結型黃疸(담열울결형황달)

方 : 鮮蒲公英(선포공영), 鮮生車前草(선생차전초) 各60.

- 水煎服(수전복), 代茶飮(대차음).

⑷ 熱毒熾盛型黃疸(열독치성형황달)

方 : 茵陳(인진)50, 大黃(대황)20, 山梔(산치), 黃柏(황백), 丹皮(단피), 虎杖(호장), 田基黃(전

기황), 蒲公英(포공영), 金錢草(금전초) 各30, 每日二劑(매일이제), 水煎口服或鼻飼(수

전구복혹비사)

⑸ 小兒急性黃疸型肝炎(소아급성황달형간염)

方 : 靑蒿尖(청호첨), 茯苓(복령), 鷄內金(계내금) 各5, 半夏(반하), 山豆根(산두근), 川楝子

(천련자), 甘草(감초) 各3, 板藍根(판람근)8, 准山葯(준산약), 白茅根(백모근) 各12.

- 水煎(수전),一日一劑(일일일제), 分三次服(분삼차복). 年齡在六歲以上可酌情加重(연

령재육세이상가작정가중).

⑹ 黃疸型肝炎(황달형간염)

方 : 赤芍(적작)60, 大黃(대황), 金錢草(금전초) 各30, 茵陳(인진)15, 川朴(천박), 枳殼(지각)

各12, 當歸(당귀), 甘草(감초)9.

- 加水(가수) 500毫升(호승), 煎至(전지) 250毫升(호승), 一日一劑(일일일제), 飯后頓服

(반후돈복) 十四天爲一療程(십사천위일료정)

⑺ 黃疸(황달), 身黃如金(신황여금), 小便如黃柏汁(소변여황백즙)

方 : 柴胡(시호), 升麻(승마), 龍膽草(용담초), 茵陳(인진), 黃連(황련), 黃芩(황금), 梔子(치

자), 黃柏(황백), 木通(목통), 滑石(활석), 燈心(등심) 各3, 甘草(감초)1.5.

- 水煎服(수전복)

⑻ 黃疸久久不愈(황달구구불유)

方 : 茵陳(인진,爲末)30, 紅棗(홍조) 每歲(매세) 1枚(매), 水 300 毫升(호승), 煎240 毫升(호

승), 空心食棗幷湯(공심식조병탕)

⑼ 急黃(급황), 熱氣蒸骨(열기증골), 兩目赤脈(양목적맥)

方 : 生地黃汁(생지황즙) 50 毫升(호승), 大黃末(대황말)1.8, 芒硝(망초)30.

- 以上三味(이상삼미), 每服(매복)15 毫升(호승), 日二服(일이복)

⑽ 黃疸濕熱閉澁(황달습열폐삽)

方 : 茵陳(인진), 梔子(치자)炒制(초제), 澤瀉(택사), 靑皮(청피) 各45, 甘菊(감국)3, 甘草(감

초)2.1,- 水 500 毫升(호승), 煎至(전지) 400毫升(호승), 一日一劑(일일일제) 口服(구복)


325 附錄(부록)

황달 (黃疸)

1) 皮膚(피부)가 黃色(황색)으로 変(변)한것 : 皮膚(피부), 面部(면부), 눈, 손발톱이 모두 正常

(정상)을 超過(초과)한 黃色(황색)으로 変(변)한것은 黃疸(황달)이다. 黃色(황색)이 鮮明(선

명)하고 橘(귤)과 같은 색인때는 陽黃(양황)으로써 脾胃(비위) 혹은 肝膽(간담)에 濕熱(습

열)이 要因(요인)이며, 黃色(황색)이 누렇고 어두운 것은 陰黃(음황)으로써 脾胃(비위)가

寒濕(한습)에 影響(영향)을 받아 發生(발생)것이다.

2) 皮膚(피부)가 黑色(흑색)으로 変(변)한것 : 皮膚(피부)의 黃色(황색)에 黑色(흑색)이 섞이고

어둑 껌껌한 것은 黑疸(흑달)이라 하는데 보통 黃疸(황달)이 変(변)화되여 생기는 것이다.

그의 原因(원인)은 대부분 房事(방사)가 지나쳐서 腎(신)을 損傷(손상)하여 생긴 것으로 女

勞疸(여로달)이라 부른다.


1 常用葯(상용약)

利水滲濕葯(이수삼습약) 중에는 利水消腫葯(이수소종약), 利尿通淋葯(이뇨통림약)과 利濕退

黃葯(이습퇴황약)이 있는대 그중에서 利濕退黃葯(이습퇴황약)이 黃疸病(황달병)을 치료하

는 要葯(요약)이 된다.

1) 利濕退黃葯(이습퇴황약) : 茵蔯蒿(인진호)(寒), 金錢草(금전초)(平), 虎杖(호장)(寒), 地耳草

(지이초)(平), 垂盆草(수분초)(凉).

歸經 肝 : 茵蔯蒿(인진호), 金錢草(금전초), 虎杖(호장), 地耳草(지이초), 垂盆草(수분초),

膽 : 茵蔯蒿(인진호), 金錢草(금전초), 虎杖(호장), 地耳草(지이초), 垂盆草(수분초).

小腸 : 垂盆草(수분초).

脾 : 茵蔯蒿(인진호).

胃 : 茵蔯蒿(인진호).

肺 : 虎杖(호장).

腎 : 金錢草(금전초).

膀胱 : 金錢草(금전초).

2) 濕熱黃疸(습열황달) : 茵陳(인진), 黃芩(황금), 龍膽草(용담초), 秦艽(진구)

3) 濕熱黃疸(습열황달) : ☆ 大黃(대황) - 入血分的(입혈분적) 瀉下葯(사하약).

4) 除濕黃疸(제습황달), 利水通淋(이수통림): ☆ 金錢草(금전초)-濕熱黃疸(습열황달)

5) 黃疸的(황달적) 最佳葯(최가약) : ☆ 茵陳(인진) - 淸熱利濕(청열이습).

6) 活血止痛(활혈지통), 行氣解鬱(행기해울), 又能凉血淸心(우능량혈청심), 利膽退黃(이담퇴

황) : ☆ 鬱金(울금)

7) 退黃(퇴황), 利尿(이뇨) 又能活血止痛(우능활혈지통) : ☆ 虎杖(호장)

8) 寒化咳喘(한화해천), 又治痰阻經絡(우치담조경락), 關節疼痛(관절동통), 流痰陰疸的(류담

음달적) 首選葯物(수선약물) : ☆ 芥子(개자)

9) 黃疸尿赤(황달뇨적) : 白鮮皮(백선피),

2 配伍葯(배오약)

1) 淡竹茹(담죽여) + 荷梗(하경) = 濕熱發黃(습열발황) 諸症(제증)

3 金匱要略(금궤요략)

黃疸病(황달병)을 穀疸(곡달), 女勞疸(여로달), 酒疸(주달)의 三種으로 나누고 있다.

谷疸(곡달) : 飮食(음식)의 谷氣(곡기)가 消化(소화)되지 않아 胃(위)속은 濁氣(탁기)가 생겨서

괴롭고 그 濁氣(탁기)가 아래로 내려가기 때문에 發生(발생)한다.

女勞疸(여로달) : 過勞(과로) 및 房事過度(방사과도)도 인하여 腎(신)이 損傷(손상)되어 熱(열)

이 나기 때문에 발생한다.

酒疸(주달) : 飮酒過多(음주과다)로 發生(발생)하게되는 黃疸(황달)이다.,

1) 黃疸(황달)

⑴ 寸口脈浮而緩 浮則爲風 緩則爲痺 痺非中風, 四肢苦煩 脾色必黃 瘀熱以行.-(253)

寸口脈(촌구맥)의 脈象(맥상)이 浮(부)하며 緩(완)한 것은 浮(부)한 脈象(맥상)은 風邪

(풍사)가 있는 것을 나타내고, 緩(완)한 脈象(맥상)은 痹(비)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痹症(비증)은 外感(외감)에 의한 中風(중풍)이 아니고, 風熱(풍열)이 脾(비)에 滯留

(체류)함으로써 發生(발생)한 것이다. 脾(비)는 四肢(사지)를 主觀(주관)함으로 四肢(사

지)에 熱(열)이 있고, 不快感(불쾌감)을 느낀다.

脾(비)는 濕(습)을 管掌(관장)하고 五色(오색)에서 黃色(황색)을 나타낸다. 鬱積(울적)하

여 머물러 있는 風熱(풍열)이 濕邪(습사)를 同伴(동반)하여 肌表(기표)롤 나타나면 거기

서 黃疸(황달)이 일어난다.

⑵ 趺陽脈緊而數 數則爲熱 熱則消穀, 緊則爲寒, 食卽爲滿. 尺脈浮爲傷腎, 趺陽脈 緊爲傷

脾. 風寒相搏 食穀卽眩 穀氣不消 胃中苦濁 濁氣下流 小便不通 陰被其寒 熱流膀胱 身

體盡黃 名曰穀疸. 額上黑 微汗出 手足中熱 薄暮卽發 膀胱急小便自利 名曰女勞疸 腹如

水狀 不治. 心中懊憹而熱 不能食 時欲吐 名曰酒疸.-(254)

趺陽脈(부양맥)이 緊(긴)하면서 數(삭)한 경우에 數脈(삭맥)은 胃熱(위열)이 있는 것이

며, 胃(위)에 熱(열)이 있으면 飮食物(음식물)의 消化(소화)가 腐敗(부패)하기 쉽다.

緊脈(긴맥)은 脾(비)가 虛寒(허한)한 것이며, 脾(비)가 虛寒(허한)하면 小貨物(소화물)의

傳導(전도)에 影響(영향)을 주기 때문에 食后(식후)에 膨滿感(팽만감)이 있게 된다.

尺脈(척맥)(척맥)의 脈象(맥상)이 浮(부)한 것은 腎(신)의 損傷(손상)을 나타내는 것이

며, 趺陽脈(부양맥)이 緊(긴)한 것은 脾(비)의 損傷(손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風邪(풍

사)와 寒邪(한사)가 서로 搏鬪(박투)하므로 脾腎(비신)이 困窮(곤궁)하여 食事(식사)를

하면 眩氣症(현기증)이 난다. 이것은 飮食物(음식물)의 消化(소화)가 잘 되지 못하기 때

문이며, 따라서 胃(위) 안에 濁氣(탁기)가 생겨 苦痛(고통) 스럽고 胃腸(위장)이 膨滿(팽

만)한 腹脹(복창)을 느끼게 하는 濁氣(탁기)가 아래로 내려가서 膀胱(방광)에 이르게 되

어 小便(소변)이 不利(불리)하게 된다.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이 寒邪(한사)를 받게 되

면 (脾(비)는 濕(습)을 주관하므로) 寒(한)은 熱(열)로 변하고, 熱(열)은 膀胱(방광)으로

移行(이행)하여 濕熱(습열)이 累積(누적)되면 全身(전신)이 노랗게 된다. 이것을 穀疸

(곡달)이라 일컫는다. 額部(액부)가 검어지고 약간 發汗(발한)하며, 해가 저물때에 손바

닥과 발바닥에 熱感(열감)이 있고, 小腹部(소복부), 膀胱(방광)이 당기는 듯한 不快感

(불쾌감)이 있으나 小便(소변)은 잘 나온다(통제가 어렵게 되어 흘린다). 이것을 女勞疸

(여로달)이라 칭한다. 女勞疸(여로달)로서 腹部(복부)에 물이 찬 것처럼 膨滿(팽만)한

것은 治療(치료)하기 어렵고, 焦躁(초조)해서 沈着(침착)하지 못하고, 發熱(발열)하며,

飮食(음식)을 먹지 못하고, 吐(토)하고 싶어하는 것을 酒疸(주달)이라 일컫는다.


註解(주해) 谷疸(곡달)은 濕熱(습열)이 찌는 듯이 뜨겁게 잠복하는 症狀(증상)을 主(주)

로하고 合倂症(합병증)으로서 脾寒症(비한증)을 볼수 있다.

女勞疸(여로달)은 腹部(복부)에 물이 들어 있는 듯하며, 腎(신)을 損傷(손상)시키든가.

腎病(신병)이 脾(비)에 미친 것을 가리키고 있다. 腎(신)은 先天(선천)의 本(본)이며, 脾

(비)는 后天(후천)의 本(본)이므로 治療(치료)가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酒疸(주달)은 胃熱(위열)을 主(주)로 한다. 따라서 三種(삼종)의 黃疸(황달)의 病機(병

기)나 症候(증후)는 모두 다르다.

⑶ 師曰 病黃疸 發熱煩喘 胸滿口燥者 以病發時火劫其汗 兩熱所得 然黃家所得 從濕得之.

一身盡發熱而黃 肚熱 熱在裏 當下之.-(260)

先生(선생)이 말하기를 黃疸病(황달병)으로 發熱(발열)하고, 焦躁(초조)해 하며, 숨이

차고, 胸部(흉부)에 膨滿感(팽만감)이 있으며, 입안이 乾燥(건조)해지는 등의 症狀(증

상)이 있는 者(자)는 發病時(발병시)에는 濕熱(습열)로 全身(전신)이 노랗게 되어 있었

을 터인데도 醫師(의사)가 熱葯(열약)을 사용하여 火攻法(화공법)으로 發汗(발한)시켰

기 때문이 이며, 또 이로 인하여 濕熱(습열)에 火氣(화기)가 함께 어우러졌으므로 症勢

(증세)가 惡化(악화)된 것이다. 그러나 一般的(일반적)으로 黃疸病(황달병)은 濕邪(습

사)가 主原因(주원인)이다. 그러므로 治療(치료)에 있어서 患者(환자)가 發熱(발열)하

며 全身(전신)이 노랗고, 腹部(복부)(胃)에 熱感(열감)이 있는 症狀(증상)을 나타내는 것

은 里熱(리열)이므로 瀉下法(사하법)으로 治療(치료)해야 한다.

⑷ 脈沉 渴欲飮水 小便不利者 皆發黃.-(261)

脈象(맥상)이 沈(침)하고, 渴症(갈증)으로 물을 마시고자 하며, 小便(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者(자)는 모두 黃疸病(황달병)을 疑心(의심)해야 한다.

注解 : 脈象(맥상)이 沉(침)한 것은 病(병)이 里(리)에 있기 때문이며, 물을 마시고자 하

는 것은 水邪(수사)와 熱邪(열사)가 遭遇(조우)하여 濕熱(습열)을 이루기 때문이

고, 小便(소변)이 잘 나오지 못하여 濕熱(습열)이 排泄(배설) 될 수 없기 때문에 黃疸(황

달)이 發生(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⑸ 腹滿 舌痿黃 躁不得睡 屬黃家.-(262)

腹部(복부)가 膨滿(팽만)하고, 혀(全身)의 色(색)이 밝고 潤澤(윤택)하지 않은 누런 색으

로 되고, 마음이 焦躁(초조)하고 不安(불안)하여 잠을 이루지 못하는 者(자)는 黃疸病

(황달병) 患者(환자)에 屬(속)한다.

§ 舌痿黃(설위황)은 身痿黃(신위황)을 말하는 것일 것이다.

⑹ 黃疸之病 當以十八日爲期 治之十日以上瘥 反劇爲難治.-(263)

黃疸病(황달병)은 十八日間(십팔일간)을 治愈(치유)의 期間(기간)으로 해야하며 十八

日以上(18일이상) 治療(치료)하여도 好轉(호전)되지 않고 오히려 病勢(병세)가 惡化(악

화)되면 治愈(치유)가 어렵다.

⑺ 疸而渴者 黃疸難治, 疸而不渴者 其疸可治. 發於陰部 其人必嘔, 陽部 其人振寒而發熱

也.-(264)

黃疸病(황달병)으로 渴症(갈증)이 있는 患者(환자)는 治愈(치유)가 어렵다. 黃疸病(황

달병) 患者(환자)이지만 渴症(갈증)이 없는 患者(환자)는 治愈(치유)가 可能(가능)하다.

病發(병발)(邪氣)이 里(리)에서 일어나면 患者(환자)는 반드시 嘔吐(구토)한다. 病發(병

발)(邪氣)이 表(표)에서 일어나면 患者(환자)는 惡寒(오한)으로 떨며, 發熱(발열)한다.

⑻ 諸病黃家 但利其小便 假令脈浮 當以汗解之 宜桂枝加黃芪湯主之.-(268)

黃疸病(황달병) 患者(환자)는 一般的(일반적)으로 小便(소변)을 잘 보게 하는 治療法

(치료법)을 使用(사용)하는데 가령 脈象(맥상)이 浮脈(부맥)인 경우는 發汗法(발한법)

으로 治療(치료)해야 하는데 이런 때는 桂枝加黃芪湯(계지가황기탕)으로 다스린다.(利

尿法(이뇨법)은 濕(습)을 除去(제거)하고 熱(열)을 發散(발산)시키는 利濕淸熱(이습청

열)의 治法(치법)으로 다스린다.)

桂枝加黃芪湯(계지가황기탕)

≒ 桂枝(계지)三兩(6g), 芍葯(작약)三兩(6g), 甘草(감초)二兩(4g), 生薑(생강)

三兩(6g), 大棗(대조)十二枚(6g), 黃芪(황기)二兩(4g).

上六味(상육미)를 물 八升(팔승)으로 달여 三升(삼승)에서 取(취)해서 一

升(일승)을 溫服(온복)한 후 잠시 있다가 뜨거운 죽(粥)을 一升(일승)정도

먹고 이불을 덮고 누어서 약간의 땀이 나도록 한다. 땀이 나지 않으면 다

시 服用(복용)한다.

方解 : 黃疸病(황달병)의 脈象(맥상)이 浮脈(부맥)이고, 風邪(풍사)(邪熱)가 濕邪(습사)

보다. 勝(승)하기 때문에 땀으로 風寒(풍한)을 疏散(소산)시키는 方法(방법)으로

治療(치료)한다.

桂枝湯(계지탕) : 營衛(영위)를 調和(조화)시켜서 肌表(기표)의 風邪(풍사)를 除

去(제거)하고,

加 黃芪(황기) : 衛氣(위기)를 補强(보강)하여 汗腺(한선)을 實(실)하게 하고, 利尿

(이뇨)하므로 小便(소변)이 잘 나가며,

溫粥(온죽) : 黃芪(황기)와 더불어 汗出(한출)을 돕는다.

功効(공효) : 汗出(한출)하게 되면 表邪(표사)는 사라지게 되고, 里濕(리습)은

小便(소변)에 의해 除去(제거)된다.

이 處方(처방)은 陽氣(양기)를 일으켜서 病邪(병사)를 흩어지게 하는 方法(방법)

으로 더운죽을 먹고 땀이 나오게 하며, 葯力(약력)이 鬱積(울적)하여 머물러있는

濕邪(습사)를 發散(발산)시키는 것을 돕는다. 桂枝湯(계지탕)으로 陽氣(양기)를

通(통)하게 하여 表證(표증)을 解除(해제)하고, 病邪(병사)를 除去(제거)하며, 焦

躁(초조)함을 없애고, 營氣(영기)와 衛氣(위기)를 調和(조화)시키며, 黃芪(황기)

로 肺(폐)를도와 外表(외표)를 굳힌다.

⑼ 諸黃 猪膏發煎主之.-(269)

黃疸氣(황달기)가 있는 患者(환자)에게는 猪膏發煎(저고발전)으로 다스린다.

猪膏發煎(저고발전)

≒ 豬膏(저고)半斤, 亂髮鷄卵(난발계란) 크기의 것 三个(3개).

上二味(상이미) 중에서 亂髮(란발)을 豬膏(저고)속에 넣고 달여서 亂髮(란발)

을 녹인다. 이렇게 만든 亂髮(란발)을 二回(이회)로 나누어 溫服(온복)하면

小便(소변)과 더불어 邪氣(사기)는 除去(제거)된다.

方解 : 이것은 一般(일반)의 黃疸(황달)을 治療(치료)하는 處方(처방)이 아니다 특히 濕

(습)과 熱(열)이 結付(결부)(相搏)하여 發顯(발현)된 黃疸(황달)에 使用(사용)해서

는 않되며, 黃疸病(황달병)이 濕邪(습사)와 熱邪(열사)가 오랜 時間(시간)을 거쳤

기 때문에 燥結(조결)된 病狀(병상)에 適用(적용)할 수 있다.

豬膏(저고)(豚油) : 燥熱(조열)을 滋潤(자윤)시켜 解消(해소)하도록 하고,

亂髮(란발) : 鬱積(울적)한 濕熱(습열)을 解消(해소)시켜 利尿(이뇨)하도록 한다.

⑽ 黃疸病 茵陣五苓散主之.-(270)

黃疸病(황달병)은 茵蔯五苓散(인진오령산)으로 다스린다.

茵蔯五苓散(인진오령산)

≒ 茵蔯蒿末(인진호말)十分(8g), 五苓散(오령산)五分.

五苓散 ≒ 桂枝4g, 白朮(蒼朮)4g, 茯苓6g, 澤瀉6g, 猪苓4g.

方解 : 黃疸病(황달병)은 대개가 濕邪(습사)와 熱邪(열사)가 서로 結付(결부)하여 일어

나는 것으로, 언제나 小便(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合倂症(합병증)이 있다.

이 處方(처방)에서는 茵蔯蒿末(인진호말)로 黃疸(황달)을 解消(해소)하고, 結熱

(결열)을 흩어지게 하며, 五苓散(오령산)으로 利尿(이뇨)를 시켜서 濕邪(습사)를

除去(제거)하므로 黃疸(황달)을 治愈(치유)케 한다.

⑾ 黃疸腹滿 小便不利而赤 自汗出 此爲表和裏實 當下之 宜大黃硝石湯.-(271)

黃疸病(황달병) 患者(환자)로서 腹部(복부)가 膨滿(팽만)하고, 小便(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며, 尿色(뇨색)이 붉고, 땀이 저절로 나는 것은 表虛里實證(표허리실증)이므로 里

(리)에 實熱(실열)이 있으므로 攻下法(공하법)을 使用(사용)해야 하며 大黃硝石湯(대황

초석탕)을 使用(사용)하는 것이 適合(적합)하다.

大黃硝石湯(대황초석탕)

≒ 大黃(대황), 黃柏(황백), 硝石(초석) 各四兩(各8g), 梔子(치자)十五枚(3g).

上四味(상사미) 중에서 우선 大黃(대황), 黃柏(황백), 梔子(치자)를 물 六升

(육승)으로 달여서 二升에서 去滓(거재)한후 硝石(초석)을 넣고 계속 달여

一升(일승)에서 取(취)하여 一回(일회)로 服用(복용)한다.

方解 : 黃疸病(황달병)으로 患者(환자)의 腹部(복부)가 膨滿(팽만)하고, 小便(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며, 尿色(뇨색)이 붉은 것은 濕熱(습열)이 內盛(내성)한 탓이며, 한편

땀이 저절로 흐르는 것은 肌表(기표)에 外邪(외사)가 停留(정유)하여 阻止(조지)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표가 調和(조화)하고, 里(리)가 實(실)한 것을 표

현하고 있다. 里實(리실)인 경우는 攻下法(공하법)으로 다스려야 하며, 이에 大

黃硝石湯(대황초석탕)을 使用(사용) 하였는데 이것은 實熱(실열)이 內部(내부)

에서 盛(성)한 것을 治療(치료)하려는 것으로서

大黃(대황) : 實熱(실열)을 除去(제거)하여 腹部膨滿(복부팽만)을 解除(해제)하고

黃柏(황백), 梔子(치자) : 濕熱(습열)을 淸除(청제)하며,

硝石(초석) : 停留(정유)하고 있는 外邪(외사)를 解消(해소)시킨다.

⑿ 諸黃 腹痛而嘔者 宜柴胡湯.-(273)

黃疸病(황달병)의 一般的證狀(일반적증상)으로 腹部에 疼痛이 있고, 嘔氣(구기)가 있

는 患者(환자)는 柴胡湯(시호탕)으로 다스리는 것이 좋다.

小柴胡湯(소시호탕)

≒ 柴胡12g, 黃芩9g, 人蔘6g, 半夏9g, 炙甘草5g, 生姜9g, 大棗12枚.

方解 : 和解劑(화해제)

① 腹痛(복통)과 嘔氣(구기)가 있는 것은 胃(위)와 腸(장)에 實熱(실열)이 있기 때

문이다. 潮熱(조열)이 있고 便(변)이 굳으면 大柴胡湯(대시호탕)을 使用(사용)

할 수가 있으나 潮熱(조열)이 없고, 便(변)이 軟(연)하면 小柴胡湯(소시호탕)

으로 使用(사용)함이 좋다.

이와 같이 臨床(림상)에서 症狀(증상)에 따라 方葯(방약)을 加减(가감)해서 治

療(치료)해야 한다.

② 본래 이 處方(처방)은 熱入血室(열입혈실), 瘧疾(학질), 黃疸(황달) 등 內傷(내

상)이 原因(원인)이 된 少陽證(소양증)을 治療(치료)하는 方劑(방제)로서 往來

寒熱(왕래한열), 胸脇苦滿(흉협고만), 冷笑(냉소), 不思飮食(불사음식), 心煩

喜嘔(심번희구), 口苦(구고), 咽乾(인건), 目眩(목현), 舌苔薄白(설태박백), 脈

弦(맥현) 等의 症狀(증상)을 다스리는 方葯(방약)이다.

大柴胡湯(대시호탕)

≒ 柴胡(시호)15g, 黃芩(황금), 芍葯(작약), 半夏(반하) 各9, 生姜(생강)15g, 大棗

(대조)12枚, 大黃(대황)6g, 枳實(지실)9g.

方解 : 表裏雙解劑(표리쌍해제)

① 少陽(소양)과 陽明(양명)의 合倂症(합병증)을 다스리는 方劑(방제)이다.

寒(한)과 熱(열)이 번갈라 일어나므로 추웠다 더웠다 하며(寒熱往來), 옆구리

가 그득하게 膨滿(팽만)하며, 입안에 쓴맛이 돌고(胸脇苦滿), 내용물이 없는

嘔吐(구토)를 계속하며(嘔不止), 마음이 불편하고 번거롭고(鬱鬱微煩), 心下

에 딴딴한 것이 마치고 아프며(心下痞硬), 혹은 心下(심하)가 그득하고 아프

기도 하며(或心下滿痛), 便秘(변비)가 있으며(大便秘結), 舌苔(설태)는 누렇고

(舌苔黃), 脈(맥)은 가라앉고, 가야금줄을 누르는 듯 하며 힘이 있는(脈弦有

力) 등의 症狀(증상)을 다스린다.

② 急性肝炎(급성간염), 熱性黃疸(열성황달), 高血壓(고혈압), 膽石症(담석증),

膽囊炎(담낭염) 等, 中風(중풍)에도 사용한다.

⒀ 《附方》瓜蒂湯(과체탕) 治諸黃(치제황)

瓜蒂湯(과체탕)은 일반적으로 黃疸病(황달병)을 治療(치료)한다.

瓜蒂湯(과체탕) ≒ 瓜蒂(과체).

上一味(상일미)를 곱게 粉末(분말)로 갈아서 대롱을 코에 대고 吸入

(흡입)하는 방식으로(吹鼻入) 들여 마시면 코 안에서 누런 콧물이 나

오게 되는데 이 콧물을 따라 濕熱(습열)을 除去(제거)하는 것이다.

① 黃疸病(황달병)에서 目黃證候(목황증후)를 治療(치료)한다.

② 濕家(습가) 頭中寒濕(두중한습), 頭疼鼻塞(두동비색)을 治療(치료)

한다.

方解 : ① 瓜蒂湯(과체탕)은 一物瓜蒂湯(일물과체탕)이라고도 한다. 葯性(약성) 이 苦寒

(고한)하며, 湧吐劑(용토제)로써 熱痰(열담)과 宿食(숙식) 등을 除去(제거)하

는데 效果(효과)가 있다. 黃疸病(황달병)으로 胸膈部(흉격부)가 답답하고 焦

躁(초조)해지고, 괴롭고, 吐하고 싶은 것 외에 다른 病狀(병상)이 없는 경우에

는 이 약탕으로 嘔吐(구토)시키고, 그 기세에 따라 小便(소변)이 잘 나오도록

하며, 心窩部(심와부)의 邪氣(사기)를 除去(제거)한다.

§ 內服后(내복후) 嘔吐不止(구토불지)하면 麝香(사향) 0.1~0.15g을 끓인 물

로 衝服(충복)한다.

② 여름철에 찬물에서 놀이를 줄기다가 피부로 스며든 찬물에 傷(상)하여 發生

(발생)한 黃疸(황달)로 몸에 熱(열)이 있고 몸시 아프며 脈象(맥상)이 微弱(미

약)한 症狀(증상)을 다스린다.

2) 谷疸(곡달)

⑴ 陽明病脈遲者 食難用飽 飽則發煩頭眩 小便必難 此欲作穀疸, 雖下之 腹滿如故 所以然

者 脈遲故也.-(255)

陽明病(양명병)으로 脈象(맥상)이 遲(지)한 患者(환자)는 배불리 먹을 수가 없으며, 飽食

(포식)하면 마음이 焦躁(초조)해지고, 머리가 어지러우며, 예외 없이 小便(소변)이 잘 나

오지 않는다. 이런 症狀(증상)들은 谷疸(곡달)을 유발하는 前兆證(전조증)이다. 비록 攻

下法(공하법)을 사용할 지라도 내려가지 못하고 복부가 팽만하므로 脈象(맥상)이 遲脈

(지맥)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 脈象(맥상)이 遲脈(지맥)을 나타내는 것은 虛寒證(허한증)으로서 濕熱(습열)이 積滯

(적체)하고 있는 것이 아님을 가리키고 있으므로 瀉下法(사하법)을 使用(사용)하지만

患者(환자)는 腹部(복부)에 依然(의연)히 膨滿(팽만)함을 느낄 것이다.

§ 脈象(맥상)이 遲脈(지맥)인 것은 寒(한)이므로 脈象(맥상)이 遲(지)하고, 腹部(복부)가

膨滿(팽만)하다면 虛寒證(허한증)이다. 그러나 實證(실증)이라고 생각해서 攻下(공

하)해서는 안된다.

本條(본조)에서는 脈象(맥상)에서 寒熱(한열)을 辨別(변별)해서 瀉下法(사하법)을 사

용할 수 있는지 어떤지 決定(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⑵ 穀疸之爲病 寒熱不食 食卽頭眩 心胸不安 久久發黃 爲穀疸 茵陣蒿湯主之.-(265)

谷疸(곡달)이라는 病(병)은 惡寒(오한)과 發熱(발열)이 번갈아 일어나며 飮食物(음식물)

을 먹을 수가 없다. 飮食(음식)을 먹으면 곧 眩氣症(현기증)이 나고, 胸部(흉부)가 불편

하고 마음이 불안하다. 이런 症狀(증상)이 오래가면 身体(신체)가 노랗게 되는데 이것

이 谷疸(곡달)이며 이는 茵陳蒿湯(인진호탕)으로 다스린다.

茵陳蒿湯(인진호탕)

≒ 茵蔯蒿(인진호)六兩(19g), 梔子(치자)十四枚 大黃(대황)二兩(4g).

上三味中(상삼미중) 우선 茵蔯蒿(인진호)를 물 一斗(일두)로 달여 六升(육승)

에서 나머지 二味(이미)를 sug고 계속 달여 三升(삼승)에서 去滓(거재)해서

三回(삼회)로 나누어 溫服(온복)한다.

服用后(복용후) 小便(소변)이 잘 나오고 尿(뇨)는 皂莢(조협)의 汁(즙)과 비슷

하고, 尿色(뇨색)은 純紅色(순홍색)이다. 하룻밤 지나면 腹部(복부)의 膨滿(팽

만)은 减少(감소)하고, 黃疸(황달)은 小便(소변)과 더불어 除去(제거)된다.

方解 : 谷疸(곡달)의 寒熱(한열)은 里(리)에서 表(표)로 發生(발생)한다. 그래서 治療(치

료)는 里(리)의 濕熱(습열)을 淸除(청제)하는 것을 爲主(위주)로 한다.

茵蔯蒿(인진호) : 里熱(리열)을 淸除(청제)하고, 濕邪(습사)를 解除하며,

大黃(대황) : 停滯(정체)된 瘀熱(어열)을 通(통)하게 하여 排泄(배설)시킨다.

梔子(치자) : 淸熱利濕(청열이습)하는 功効(공효)로 茵蔯蒿(인진호)와 大黃(대황)

을 傍助(방조)하여 濕熱(습열)을 除去(제거)한다.

이상 三種(삼종)의 葯物(약물)을 사용하여 濕熱(습열)과 瘀滯(어체)되어 있는 熱

(열)을 下部(하부)에서 解除(해제)한다.

3) 女勞疸(여로달)

⑴ 黃家日晡所發熱 而反惡寒 此爲女勞得之, 膀胱急 少腹滿 身盡黃 額上黑 足下熱 因作黑

疸. 其腹脹如水狀 大便必黑 時溏 此女勞之病 非水也. 腹滿者難治 硝石礬石散主之.-

(266)

黃疸病(황달병) 患者(환자)가 每日(매일) 午后(오후)에 發熱(발열)하는 데도 추위를 꺼

리는 것은 女勞疸(여로달)에 걸렸기 때문이다. 만일 膀胱(방광)에 切迫感(절박감)이 있

으며, 少腹部(소복부)가 膨滿(팽만)하고, 全身(전신)이 노랗게 되며, 額部(액부)가 검게

되고, 발바닥(足心, 足低部)에 熱感(열감)이 있는 것은 黑疸(흑달)이다. 患者(환자)의 腹

部(복부)가 물이 찬 것처럼 膨滿(팽만)해지고, 大便(대변)은 黑色(흑색)을 띄는데 수시로

오리똥 모양 묽은 便(변)을 보는 것은 色欲(색욕)이 過度(과도)한 탓으로 일어나는 女勞

病(여로병)으로서 水氣病(수기병)은 아니다. 腹部(복부)가 膨滿(팽만)한 者(자)는 比較

的(비교적) 治療(치료)가 어렵다. 硝石礬石散(초석반석산)으로 다스린다.

硝石礬石散(초석반석산)

≒ 硝石炭(초석탄), 礬石炭(반석탄) 各同量.

上二味(상이미)를 粉末(분말)로 하여 大麥(대맥)의 粥汁(죽즙)에 方寸匕(방

촌비)를 섞어서 一日三回(일일삼회) 服用(복용)한다.

服用(복용)하면 病邪(병사)는 二便(이변)을 通(통)하여 除去(제거)된다. 小

便(소변)이 샛노랗고, 大便(대변)이 새까만 것은 治愈(치유)되는 兆候(조후)

이다.

方解 - 硝石(초석) : 葯性(약성)이 咸寒(함한)하며, 血(혈)을 行血(행혈)케 함으로 瘀熱(어

열)을 驅逐(구축)하고

礬石(반석) : 葯性(약성)이 酸鹹(산함)하며, 腎熱(신열)을 淸除(청제)하고, 水邪(수

사)를 驅逐(구축)한다.

硝石(초석)과 礬石(반석)을 함께 사용하여 腹部(복부)의 膨滿(팽만)을 解除(해제)

하고 潤下(윤하)시킬 수가 있으며, 濕熱(습열)을 大小便(대소변)을 따라 体外(체

외)로 排泄(배설)시키므로 腹部(복부) 膨滿(팽만)을 解消(해소)시킨다.

※ 每日(매일) 方寸匕(방촌비)를 服用(복용)하는데 葯量(약량)이 적기 때문에 葯力

(약력)이 强(강)하지 못하다. 石葯(석약)은 胃(위)를 損傷(손상)시키므로 大麥(대

맥)의 汁(즙)과 함께 服用(복용)하므로 胃(위)를 편하게 하며, 脾(비)를 强(강)하게

할 수가 있다.

⑵ 男子黃 小便自利 當與虛勞小建中湯.-(274)

男子가 黃疸病에 걸렸는데도 小便이 잘 나오는 것은 虛勞로 인한 發黃이므로 小建中湯

으로 다스린다.(血痺 虛勞病)

§ 黃疸病(황달병)으로서 熱(열)이 없고 寒邪(한사)가 있으며, 實證(실증)이 아니라, 虛證

(허증)인 경우에는 攻下法(공하법)을 補法(보법)으로, 寒法(한법)을 溫法(온법)으로 治

療(치료)해야 하며 따라서 小建中湯(소건중탕)을 使用(사용)한다.

小建中湯(소건중탕)

≒ 桂枝(계지)(去皮), 炙甘草(자감초), 生姜(생강) 各三兩(6g), 大棗(대조)十二枚

(6g), 芍葯(작약)六兩(12g), 膠飴(교이)(飴糖)一升(40g).

膠飴(교이)를 除外(제외)한 五味(오미)를 물 七升(칠승)으로 달여 三升(삼승)에

서 去滓(거재)하고 膠飴(교이)를 넣고 약한 불에 얹어 녹인 다음 하루에 三回

(삼회) 一升(일승)씩 溫服(온복)한다.

方解 - 健中(건중)은 脾胃(비위)를 强健(강건)하게 한다는 뜻이다.

桂枝(계지) : 補虛(보허)하고, 營氣(영기)와 衛氣(위기)를 調和(조화)하고

芍葯(작약) : 桂枝(계지)를 도와 上熱下寒(상열하한)을 治療(치료)한다.

膠飴(교이) : 主葯(주약)으로서 甘味(감미)한 성분으로 中氣(중기)(脾氣)를 强化

(강화)한다.

4) 酒疸(주달)

⑴ 夫病酒黃疸 必小便不利 其候心中熱 足下熱 是其發也.-(256)

酒疸病(주달병) 患者(환자)는 반드시 小便(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心窩部(심와부)에 熱

感(열감)이 있으며, 足低部(족저부)(足心)에 熱感(열감)이 있는데 이것이 酒黃疸(주황

달)의 症狀(증상)이다.

⑵ 酒黃疸者 或無熱 靖言了了 腹滿 欲吐 鼻燥 其脈浮者先吐之, 沈眩者先下之.-(257)

酒疸(주달)은 患者(환자)에 따라, 熱(열)이 없을 수도 있고, 말을 할 때 편안하게 분명히

의사 전달을 하며, 腹部(복부)가 膨滿(팽만)하고, 嘔吐(구토)하고 싶어하며, 鼻竅(비규)

가 乾燥(건조)하다. 그 脈象(맥상)이 浮(부)한 患者(환자)는 우선 吐法(토법)을 使用(사

용)하지만, 脈象(맥상)이 沉弦(침현)한 患者(환자)는 먼저 瀉下法(사하법)을 使用(사용)

한다.

⑶ 酒疸 心中熱 欲嘔者 吐之愈. -(258)

酒疸病(주달병)으로 心窩部(심와부)에 熱感(열감)이 있고, 嘔吐(구토)하고 싶어진다면

吐法(토법)을 使用(사용)하면 治愈(치유)된다.

⑷ 酒疸下之 久久爲黑疸 目靑面黑 心中如噉蒜虀狀 大便正黑 皮膚爪之不仁 其脈浮弱 雖

黑微黃 故知之.-(259)

酒疸(주달)은 瀉下法(사하법)으로 治療(치료)한 다음, 시간이 오래 지나면 黑疸(흑달)로

変(변)한다. 黑疸(흑달)이 되면 兩目(양목)이 파랗게 変(변)하고, 顔色(안색)이 검어지며,

心窩部(심와부)는 마늘과 같이 매운 것을 먹은 것처럼 견디기 어렵고, 大便色(대변색)

이 새까맣고, 皮膚(피부)의 感覺(감각)이 智鈍(지둔)하여 손톱으로 꼬집어도 아무런 感

覺(감각)도 없으며, 脈象(맥상)은 浮(부)하며 弱(약)하다. 皮膚(피부)는 검으나 약간 누런

빛을 띄기 때문에 酒疸(주달)에서 黑疸(흑달)로 変(변)한 것을 짐작할 수 있다.

※ 여기서는 酒疸(주달)을 잘못 瀉下(사하)시키므로써 黑疸(흑달)이 된 것이다.

雖黑微黃(수흑미황)은 疸(달)의 色(색)이 黃色(황색)과 黑白(흑백)이 섞여있는 것을 가

리키고 있는데, 이 點(점)은 症狀(증상)을 識別(식별)하여 診斷(진단)하는데 있어서 注意

(주의)해야 한다. 또 目靑而黑(목청이흑), 大便正黑(대변정흑)은 모두 內部(내부)에 瘀血

(어혈)의 症狀(증상)이 있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⑸ 酒黃疸 心中懊憹 或熱痛 梔子大黃湯主之.-(267)

酒疸病(주달병)은 心中(심중)이 괴로워 차분하지 못하고, 혹은 心熱(심열)로 痛症(통증)

을 呼訴(호소)하게 되는데 梔子大黃湯(치자대황탕)으로 다스린다.

梔子大黃湯(치자대황탕)

≒ 山梔子(산치자)十四枚(4g), 大黃(대황)一兩(3g), 枳實(지실)五枚(8g), 豉一

升(20g).

上四味(상사미)를 물 六升(육승)으로 달여 二升(이승)에서 取(취)해서 三回

(삼회)로 나누어 溫服(온복)한다.

方解 : 酒疸(주달) 患者(환자)는 鬱結(울결)이 熱(열)이 되어 黃疸(황달)로 되므로 實熱

(실열)을 消除(소제)하는 處方(처방)이어야 한다.

梔子(치자), 大黃(대황) : 苦寒(고한)한 葯性(약성)으로 熱邪(열사)를 除去하고

枳實(지실) : 集積(집적)한 熱邪(열사)를 풀고, 胸腹部(흉복부)에 積滯(적체)한 氣

(기)를 흩어지게 한다.

香豉(향시) : 澀滯(삽체)한 氣(기)를 升散(승산)시키는 機能(기능)이 있다.

5) 誤治(오치)

1) 黃疸病小便色不變 欲自利 腹滿而喘 不可除熱 熱除必噦. 噦者 小半夏湯主之.-(272)

黃疸病(황달병) 患者(환자)일지라도 小便色(소변색)이 変(변)하지 않고, 下痢(하리)를 하

고 싶은 느낌이 들며, 腹部(복부)가 팽만하고 숨이 찰 때에는, 邪熱(사열)을 瀉(사)하는

葯物(약물)로 治療(치료)해서는 않된다. 瀉下(사하)하면 邪熱(사열)은 除去(제거)되겠지

만 반드시 胃(위)가 虛寒(허한)하게 되어 딸꾹질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딸꾹질(噦)은 小

半夏湯(소반하탕)으로 다스린다.

小半夏湯(소반하탕)

≒ 半夏(반하)一升, 生姜(생강)半斤, (各12g).

上二味(상이미)를 물 七升(칠승)으로 달여 一升半(일승반)에서 去滓(거재)하

고 二回(이회)로 나누어 溫服(온복)한다.

方解 : 小半夏湯(소반하탕)은 寒性葯(한성약)을 使用(사용)하여서 胃腸(위장)을 傷(상)하

게 했기 때문에 發生(발생)한 딸꾹질(噦)을 治療(치료)한다.

그 效能(효능)은 胃(위)를 따뜻하게 하여 딸꾹질을 멈추게 하는데 있으며 딸꾹질

이 멈추고 나서 黃疸病(황달병)의 治療(치료)를 생각하도록 하여야 하며, 따라서

이 處方(처방)은 黃疸病(황달병)을 治療(치료)하는 것은 아니다.

半夏(반하) : 葯性(약성)이 辛燥(신조)하다. 辛味(신미)는 凝結(응결)을 散(산)하게

하고, 燥性(조성)은 陰邪(음사)를 驅逐(구축)할 수가 있다.

生姜(생강) : 半夏(반하)의 悍性(한성)을 抑制(억제)하는 동시에 上逆(상역)하는 氣

(기)를 흩어지게하여 呃逆(애역)(噦, 嘔吐, 胃氣上逆)를 멈추게 한다.

6) 小結(소결)

① 黃疸病(황달병)의 臨床(림상)에서는 우선 寒熱虛實(한열허실)을 識別(식별)해야한다.

② 酒疸(주달)

㉠ 實熱(실열)에 屬(속)하는 患者(환자)는 梔子大黃湯(치자대황탕)과 같은 淸凉劑(청량

제)로 다스린다.

㉡ 虛寒(허한)에 屬(속)하는 患者(환자)는 茵陳(인진)과 溫中葯(온중약)을 同時(동시)에 使

用(사용)한다.

③ 女勞疸(여로달)

㉠ 腹部(복부)가 膨滿(팽만)해지는 경우에는 硝石礬石散(초석반석산)과 같은 利尿劑(이

뇨제)를 使用(사용) 해야 한다.

㉡ 虛症(허증)에 屬(속)하는 患者(환자)는 小建中湯(소건중탕)과 같은 和中葯(화중약)을

사용하든가 或(혹)은 猪膏發煎(저고발전)과 같은 滋潤(자윤)하면서 邪氣(사기)를 이끄

는 葯劑(약제)를 使用(사용)한다.

④ 谷疸(곡달)

㉠ 濕熱(습열)이 있는 경우에는 茵陳蒿湯(인진호탕)이나 大黃硝石湯(대황초석탕)을 使用

(사용)하여 疏通(소통)이 잘 되도록 해야 한다.

㉡ 寒濕(한습)이 있는 경우에는 溫法(온법)으로 小便(소변)이 잘 나오도록 해야 한다.

葯劑(약제)로는 茵陳(인진)과 附子(부자)를 同時(동시)에 사용하고 있다.

⑤ 其他(기타)

㉠ 茵蔯五苓散(인진오령산)과 같은 葯劑(약제)로 濕熱(습열)이 黃疸(황달)로 된 輕症(경

증)을 治療(치료)하는데 사용한다.

㉡ 以上(이상)의 黃疸(황달)은 모두 里證(리증)에 屬(속)한다.

桂枝加黃芪湯證(계지가황기탕증)은 濕熱(습열)이 表(표)에 鬱結(울결)한 症候(증후)이

다. 그밖에 傷寒論(상한론)에는 黃疸(황달)에 관련된 諸條項(제조항)이 있으므로 본편

과 대조해야 한다.



48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Israel

臨床 363 /♧ 痔(치) - 痔疾(치질)

1 槪念(개념) 882 人体直腸末端粘膜下和(인체직장말단점막하화) 肛管皮膚下(항관피부하) 靜脈叢發生擴張和 (정맥총발생확장화) 屈曲所

臨床 362 / 耳部 3. 耳眩暈(이현운) ♧

耳眩暈(이현운) 1 槪念(개념) 1251 眩暈是目眩頭暈(현운시목현두운), 卽眼花潦亂(즉안화요란), 頭部旋轉不定的病證(두부선전 부정적병증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