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臨床 324 / 心系 18. 百合病(백합병)

Aktualisiert: 16. Juni 2021


附錄(부록) : 百合病(백합병)


百合病(백합병) 267

1 槪念(개념)

百合病是一種(백합병시일종) 以精神恍惚不定(이정신황홀부정). 以及口苦(이급구고), 小便赤

(소변적), 脈微數爲主要臨床特徵的(맥미삭위주요임상특징적) 疾病(질병). 本病常繼發于熱病

之后(본병상계발우열병지후), 余熱未盡(여열미진), 或情志不遂(혹정지불수), 鬱而化火而致

(울이화화이치), 其主要病機爲心肺陰虛內熱(기주요병기위심폐음허내열). 具体表現爲飮食

(구체표현위음식), 語言(어언), 行動等方面的失常(행동등방면적실상), 如(여) “意欲食(의욕

식), 復不能食(복불능식), 常黙黙(상묵묵), 欲臥不能臥(욕와불능와), 欲行不能行(욕행불능행),

欲食或有美時(욕식혹유미시), 或有不用聞食臭時(혹유불용문식취시), 如寒无寒(여한무한), 口

苦便赤(구고변적), 諸葯不能治(제약불능치), 得葯則劇吐利(득약칙극토이), 如有神靈者(여유

신령자), 身形如和(신형여화), 其脈微數(기맥미삭) (《金匱要略 · 百合狐惑陰陽毒病脈證治(백

합호혹음양독병맥증치)》). 由于百合病(유우백합병) 自覺症狀變幻多端(자각증상변환다단),

而形体无顯著病徵(이형체무현저병징), 多屬正虛邪戀(다속정허사연), 邪少虛多之候(사소허

다지후), 故治療不任攻伐(고치료불임공벌), 當着眼于心肺陰虛內熱的(당착안우심폐음허내열

적) 病機特点(병기특점), 采用潤養心肺(채용윤양심폐), 滋陰淸熱的原則(자음청열적원칙), 補

虛不碍邪(보허불애사), 去邪不傷正(거사불상정), 令心肺之液足(령심폐지액족), 氣血之熱淸

(기혈지열청), 則百脈調和(칙백맥조화), 諸證自愈(제증자유).

2 辨證要点(변증요점)

⑴ 抓住特徵進行辨證(조주특징진행변증)

本病的臨床表現変化較多(본병적임상표현변화교다), 病人自我感覺病重(병인자아감각병

중), 而形体沒有顯著病態(이형체몰유현저병태), 故在辨證時只要抓住精神恍惚(고재변증

시지요조주정신황홀) 不定的精神症狀及口苦(부정적정신증상급구고), 小便赤(소변적), 脈

微數的陰虛(맥미삭적음허) 有熱的臨床特徵(유열적임상특징), 就可以診斷爲百合病(취가

이진단위백합병).

⑵ 結合病史進行辨證(결합병사진행변증)

百合病多繼發于(백합병다계발우) 急性熱病之后(급성열병지후), 或因較長時間內(혹인교

장시간내) 情志失常而致(정지실상이치), 再結合本病的臨床特徵(재결합본병적임상특징)

卽可確診(즉가확진).

3 類證鑒別(류증감별)

百合病應與鬱證(백합병응여울증), 臟躁(장조), 不寐相鑒別(불매상감별).

⑴ 鬱證(울증)

鬱證爲情志怫鬱(울증위정지비울), 氣機鬱滯所引起的(기기울체소인기적) 疾病的總稱(질

병적총칭). 在病因上(재병인상), 百合病亦有(백합병역유) 因情志所傷而致者(인정지소상

이치자); 在症狀上(재증상상), 鬱證之鬱鬱寡歡(울증지울울과환), 精神不振(정신불진), 不

思飮食(불사음식), 神呆不寐等表現與百合病的(신매불매등표현여백합병적)“意欲食(의욕

식) 常黙黙(상묵묵), 欲臥不能臥(욕와불능와), 欲行不能行(욕행불능행)” 也有相近之處(야

유상근지처). 但百合病與鬱證在病理本質(단백합병여울증재병리본질) 和臨床特徵上均有

不同(화임상특징상균유부동). 百合病多由(백합병다유) 心肺陰虛內熱而致(심폐음허내열

이치), 以精神恍惚(이정신황홀), 語言(어언), 行動(행동), 飮食方面症狀変幻多端以及(음식

방면증상변환다단이급) 虛熱證爲臨床特点(허열증위임상특점); 鬱證則爲氣機鬱滯(울증칙

위기기울체), 與心肝關系密切(여심간관계밀절), 相伴有胸脇脹滿(상반유흉협창만), 煩躁易

怒(번조이노), 喜嘆息等(희탄식등), 症狀較爲確定(증상교위확정), 且鬱證以氣鬱化火(차울

증이기울화화) 而表現出口苦(이표현출구고), 口干(구간), 便秘(변비), 溲赤等實熱證爲多

(수적등실열증위다), 二者可以此爲辨(이자가이차위변).

⑵ 臟躁(장조)

臟躁由情志內傷所致(장조유정지내상소치), 病位主要在心(병위주요재심), 以扰鬱傷神(이

우울상신), 心神惑亂爲主要病機(심신혹란위주요병기), 表現爲精神扰鬱(표현위정신우울),

煩躁不寧(번조불영), 悲傷善哭(비상선곡), 喜怒无常(희노무상), 且多發于靑中年女性(차다

발우청중년여성) 而百合病(이백합병) 雖也可由情志內傷所致(수야가유정지내상소치), 但

主要表現爲精神恍惚(단주요표현위정신황홀), 且以口苦(차이구고), 小便赤(소변적), 脈微

數爲主要特徵(맥미삭위주요특징), 二者有所區別(이자유소구별).

⑶ 不寐(불매)

不寐是指經常不能(불매시지경상불능) 得到正常的睡眠(득도정상적수면), 或不易入睡(혹

불이입수), 或睡而易醒(혹수이이성), 與百合病的(여백합병적) “欲臥不能臥(욕와불능와)”

等精神恍惚不安症狀不同(등정신황홀불안증상부동), 百合病患者雖可能出現不寐(백합병

환자수가능출현불매), 但百合病的其它表現則是(단백합병적기타표현칙시) 不寐所沒有的

(불매소몰유적).

4 辨證施治(변증시치)

⑴ 陰虛內熱(음허내열)

證狀 : 精神恍惚(정신황홀), 飮食或有美時(음식혹유미시), 或有不欲聞食臭時(혹유불욕문

식취시), 意欲食(의욕식), 復不能食(복불능식), 欲臥不能臥(욕와불능와), 欲行不能步

(욕행불능보), 常沉黙寡言(상침묵과언), 如寒无寒(여한무한), 如熱无熱(여열무열),

口苦(구고), 小便短赤(소변단적), 舌紅(설홍), 脈微數(맥미삭).

治法 : 潤養心肺(윤양심폐), 滋陰淸熱(자음청열)

方葯 : 百合地黃湯(백합지황탕)

≒ 百合(백합), 生地黃汁(생지황즙).

加减 : ① 本方由(본방유) 上二味葯組成(상이미약조성), 煎以泉水(전이천수), 引熱下行(인

열하행)

② 若口渴不止(약구갈불지).

加用 瓜蔞牡蠣散(과루모려산)

≒ 瓜蔞根(과루근), 牡蠣(모려).- 淸熱生津止渴(청열생진지갈)

③ 若因誤汗傷津(약인오한상진), 出現心煩(출현심번), 口燥者(구조자).

用 百合知母湯(백합지모탕)

≒ 百合(백합), 知母(지모).- 潤肺淸心(윤폐청심), 安神除煩(안신제번)

④ 若因誤下(약인오하), 以致小便澁少(이치소변삽소), 嘔吐(구토), 呃逆者(애역자).

用 滑石代赭湯(활석대자탕)

≒ 百合(백합), 滑石(활석), 代赭石(대자석).- 淸熱通淋(청열통림), 降

逆和胃(강역화위).

⑤ 若因誤吐(약인오토), 而見虛煩不安(이견허번불안),胃中不和者(위중불화자).

用 百合鷄子湯(백합계자탕)

≒ 百合(백합), 鷄子黃(계자황).- 補虛和胃(보허화위), 淸心除煩(청심

제번).

⑵ 肝膽鬱熱(간담울열)

證狀 : 精神不振(정신불진), 鬱悶寡言(울민과언), 或心中懊憹(혹심중오농), 不思飮食(불사

음식), 嘆息頻作(탄식빈작), 口苦且干(구고차간), 小便黃赤(소변황적), 舌苔薄黃(설

태박황), 脈弦數(맥현삭).

治法 : 理氣開鬱(리기개울), 淸瀉肝膽(청사간담).

方葯 : 丹梔逍遙散(단치소요산)

≒ 柴胡(시호), 白芍(백작), 當歸(당귀), 茯苓(복령), 白朮(백출), 甘草(감초),

生姜(생강), 薄荷(박하), 丹皮(단피), 梔子(치자).

加减 : ① 若肝血不足者(약간혈부족자)

加 生地(생지), 枸杞子(구기자), 沙參(사삼).- 滋陰養血(자음양혈).

⑶ 痰熱內扰(담열내우)

證狀 : 精神恍惚(정신황홀), 言語錯亂(언어착란), 頭痛眩暈(두통현운), 心胸不安(심흉불안),

坐臥不寧(좌와불영), 嘔惡痰稠(구오담조), 口粘口苦(구점구고), 舌尖紅(설첨홍), 苔

薄黃或黃膩(태박황혹황니), 脈滑數(맥활삭).

治法 : 淸熱化痰(청열화담), 寧心安神(영심안신)

方葯 : 溫膽湯(온담탕) 加味(가미)

≒ 陳皮(진피), 半夏(반하), 茯苓(복령), 甘草(감초), 枳實(지실), 竹茹(죽여), 瓜蔞

(과루), 膽南星(담남성), 黃芩(황금), 梔子(치자).

加减 : ① 本方爲(본방위) 溫膽湯(온담탕).

加 瓜蔞(과루), 膽南星(담남성), 黃芩(황금), 梔子(치자) 而成(이성).

② 熱盛(열성).

加 知母(지모).- 瀉熱(사열).

③ 尿黃(뇨황).

加 滑石(활석).- 利水淸熱(이수청열)

④ 頭痛(두통).

加 桑葉(상엽), 菊花(국화).- 散風止痛(산풍지통).

⑤ 陰虛(음허).

加 百合(백합), 麥冬(맥동).- 養陰生津(양음생진).

⑷ 心肺氣虛(심폐기허)

證狀 : 精神恍惚(정신황홀), 飮食(음식), 行動皆失常態(행동개실상태), 自汗(자한), 頭昏(두

혼), 短氣(단기), 乏力(핍력), 善悲欲哭(선비욕곡), 夜眠不安(야면불안), 舌質淡(설질

담), 有齒痕(유치흔), 脈弱(맥약).

治法 : 益氣安神(익기안신)

方葯 : 甘麥大棗湯(감맥대조탕)

≒ 炙甘草(자감초), 浮小麥(부소맥), 大棗(대조), 百合(백합), 酸棗仁(산조

인), 茯苓(복령), 玉竹(옥죽), 龍齒(용치).

加减 : ① 本方由(본방유) 甘麥大棗湯(감맥대조탕).

加 百合(백합), 酸棗仁(산조인), 茯苓(복령), 玉竹(옥죽), 龍齒(용치) 而成(이성).

② 若氣陰均不足者(약기음균부족자).

可用 生脈散(생맥산).- 益氣養陰(익기양음)

≒ 人參(인삼)10, 麥冬(맥동)15, 五味子(오미자)6.

5 驗方單方(험방단방)

⑴ 百合病腹病者(백합병복병자)

方葯 : 百合炒末(백합초말), 每飮服一匙(매음복일시), 日三服(일삼복).

功能 : 消滿止痛(소만지통).



附錄(부록)


백합병 (百合病)

金匱要略(금궤요략)에 쓰여 있는 옛날의 병명이다. 일종의 心肺陰虛(심폐음허)적 병증

(病證)이다. 臨床表現(임상표현)은 침울하고, 말이 적으며, 잠을 자려고 하지만 잠이 오

지 않고, 걸으려 하지만 걸을 수 없으며, 먹으려 하지만 먹을 수 없고, 寒熱(한열)이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것 같기도 하며, 정신이 때로는 안정하지 못하고 혼자 중얼거리고,

입 안이 쓰고, 오줌이 붉으며, 맥이 數(삭)한 등 內熱證狀(내열증상)이 동반하여 나타난

다. 神經衰弱(신경쇠약), 히스테리 혹은 열병후기의 虛弱證(허약증)과 비슷하다. 어떤

사람은 金匱要略(금궤요략)에서 百合(백합), 地黃(지황)등 滋陰葯(자음약)으로 치료하

여 효과를 얻기 때문에 百合病(백합병)이라 한다고 전한다.

1. 참조(參照) 및 비교(比較)

1) 신경쇠약 (神經衰弱)

2) 신지병 (神志病) 3) 히스테리

2. 常用葯 : 百合(백합)

3. 金匱要略

1) 論曰 百合病者, 百脈一宗, 悉致其病也, 意欲食復不能食, 常黙黙, 欲臥不能臥 欲行不

能行, 飮食或有美時 或有不用聞臭時, 如寒無寒 如熱無熱, 口苦, 小便赤, 諸藥不能治,

得藥則劇吐利, 如有神靈者, 身形如和, 其脈微數, 每溺時頭痛者 六十日乃愈, 若溺時

頭不痛 淅然者 四十日愈, 若溺快然 但頭眩者 二十日愈, 其證或未病而預見 或病四十

五日而出, 或病二十日, 或一月微見者 各隨證治之.(45)

合病(백합병)을 論(론)하는 경우 百脈(백맥)과 관련시켜서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인체의 수많은 모든 脈絡(맥락)은 그 出源(출원)이 같기 때문이며, 百合病

(백합병)의 發病(발병)역시 脈絡(맥락)과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병은 全身

(전신)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全身이 病情(병정)에 따라 불쾌감을 유발한다. 百合

病(백합병)의 주요한 증상은 음식을 먹으려 해도 먹을 수 없다. 항상 말이 없고, 잠을

자고자 해도 잘 수가 없다. 걷고자 해도 걸을 수가 없으며, 음식에 대하여 식욕이 왕

성한 때가 있는가 하면 음식물의 냄새며 말도 듣기 싫어한다. 추워 보이나 춥지 않고

熱(열)이 있는 듯하지만 熱(열)은 나지않고, 입 안이 쓰며, 小便色(소변색)이 붉다. 대

부분의 약물이 이 병을 고칠 수가 없다. 無理(무리)하게 약을 복용하면 往往(왕왕) 吐

(토)하거나 下痢(하리)를 한다. 이 病床(병상)이 마치 神靈(신령)에 들린듯하여 종잡

을 수가 없다. 外見(외견)으로는 顯著(현저)한 病象(병상)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고,

脈搏(맥박)은 좀 빠를 뿐이다. 臨床(림상)에서 觀察(관찰)로 얻은 경험에 의하면 小便

(소변)을 볼 때 頭痛(두통)이 있으면 약 육십일 이면 회복되고, 소변을 볼 때 머리가

아프지 않으며 약간 추위를 꺼리면 대체로 사십일 정도에 회복하며, 小便(소변)은 아

주 상쾌히 보는데 가벼운 眩氣症(현기증)을 느낀다면 약 이십일 정도면 治愈(치유)된

다. 상술한 百合病(백합병)의 각종 症狀(증상)은 傷寒病(상한병)에 걸리기 전에 나타

나는 일이 있는가 하면 傷寒病(상한병)에 걸려서 4~5일 지나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또 傷寒病(상한병)에 걸려서 二十日 或은 一個月쯤 지나서 겨우 나타나는 경우도 있

어서 病情(병정)에 따라 適宜治療(적의치료)하지 않으면 안 된다.

2) 百合病, 發汗后者, 百合知母湯 主之.(46)

百合病(백합병)으로서 發汗劑(발한제)를 服用后(복용후)에 發病(발병)한 경우에는 百

合知母湯(백합지모탕)으로 主治(주치)한다.

養陰潤燥 補氣 解熱.

百合知母湯(백합지모탕)

≒ 百合(백합)七枚(擘), 知母(지모)三兩.

- 우선 百合(백합)을 물로 씻어서 하룻밤 물에 담가두면 하얀 거품이 뜨게

된다. 그 물을 버리고 새물 二升(이승)으로 달여 一升(일승)에서 去滓(거

재)한다. 다음은 知母(지모)를 같은 방법으로 淸水(청수) 二升(이승)으로

달여 一升(일승)에서 去滓(거재)한다. 이 兩者(양자)를 합하여 一升五合(일

승오합)으로 달여서 二回(이회)로 나누어 溫服(온복)한다.

方解 : 신선하고 윤택이 있는 百合(백합)으로 脾(비)를 强(강)하게 해서 氣(기)를

補充(보충)하여 精神狀態(정신상태)를 安定(안정)시키고, 知母(지모)로 津

液(진액)을 産生(산생)하게 하여 潤氣(윤기)를 주고, 淸水(청수)로 中氣(중

기)를 調和(조화)시켜서 熱(열)을 내린다.

3) 百合病 下之後者 滑石代赭湯 主之.(47)

百合病(백합병)으로서 下劑(하제)를 服用(복용)한 后(후)에 發病(발병)한 患者(환자)

는 滑石代赭湯(활석대자탕)으로 다스린다.

滑石代赭湯(활석대자탕)

≒ 百合(백합, 擘)七枚, 滑石(활석, 碎綿裏(粉)三兩, 代赭石(대자석, 碎綿裏)

如彈子大一枚.

方解 ≡ 이 方(방)은 陰(음)을 滋養(자양)하여 下痢(하리)를 멈추게 한다. 百合(백

합)과 淸水(청수)가 主葯(주약)으로서 滑石(활석)을 도와 소변이 잘 나오

게 한다.

4) 百合病 吐之後者 用後方 主之.(48)

百合病(백합병)으로서 催吐劑(최토제)를 服用(복용)한 后(후)에 발병한 경우는 百合

鷄子湯(백합계자탕)으로 다스린다.

百合鷄子湯(백합계자탕)

≒ 百合(백합, 擘)七枚, 鷄子黃(계자황)一个

우선 百合(백합)을 물로 씻어서 하룻밤 물에 담가두면 하얀 거품이 뜨게

된다. 그물을 버리고 새물 二升(이승)으로 달여 一升(일승)에서 去滓(거

재)한다. 다음은 鷄卵(계란) 노른자위만을 넣고 攪拌(교반)하여 절반으

로 달여 溫服(온복)한다.

方解 ≡ 鷄卵(계란)의 노른자위는 百合(백합)과 淸水(청수)를 도와 陰(음)을 滋養

(자양)하고, 上逆(상역)하는 氣(기)를 下降(하강)시켜서 嘔吐(구토)를 멈

추게 한다.

5) 百合病 不經吐下發汗, 病形如初者, 百合地黃湯主之.(49)

百合病(백합병)으로서 催吐法(최토법), 瀉下法(사하법), 發汗法(발한법) 등의 誤治(오

치)를 전혀 하지 않았는데도 발병하여 典型的(전형적)인 백합병 증상(45) 을 나타내

는 경우 이는 즉 陰液(음액)이 過度(과도)하게 損耗(손모)되어 內熱證(내열증)을 惹起

(야기)한 경우에는 百合地黃湯(백합지황탕)으로 다스린다.

百合地黃湯(백합지황탕)

≒ 百合(백합, 擘)七枚, 生地黃汁(생지황즙)一升.

우선 百合(백합)을 물로 씻어서 하룻밤 물에 담가두면 하얀 거품이 뜨게

된다. 그 물을 버리고 새물 二升(이승)으로 달여 一升(일승)에서 去滓(거

재)한다. 여기에다 地黃汁(지황즙)을 넣고 一升五合(일승오합)으로 달

여 二回(이회)에 나누어서 溫服(온복)한다. 약효가 있으면 더 이상 服用

(복용)을 금한다.

※ 大便(대변)은 生地黃汁(생지황즙)을 복용하였으므로 漆(칠) 처럼 검게

나올 것이다.

方解 ≡ 生地黃汁(생지황즙)은 百合(백합)과 淸水(청수)를 도와서 滋陰養血(자음

양혈)하며, 解熱(해열)한다.

6) 百合病一月不解, 變成渴者, 百合洗方 主之.(50)

百合病(백합병)이 일 개월이 되어도 낫지 않고, 입이 마르는 등 症狀(증상)이 나타날

때에는 百合洗方(백합세방)으로 다스린다.

百合洗方(백합세방)

≒ 百合(백합)一升. 百合(백합) 一升(일승)을 一斗(일두)의 물에 하룻밤 담근 후 그 물

을 데워서 따뜻한 물로 患者(환자)의 몸을 씻는다. 다 씻고 난 뒤에, 찐 떡을 먹는

다. 이 떡에는 소금과 豆豉(두시)를 넣어서는 안 된다.

7) 百合病渴不差者, 栝樓牡蠣散 主之.(51)

百合病(백합병)에 百合洗方(백합세방)의 처방을 사용했으나 입이 마르는 것이 전혀

輕减(경감)되지 안는 것은 어쩌면 熱(열)이 甚(심)해서 津液(진액)을 耗傷(모상)했기

때문이므로 栝樓牡蠣散(괄루모려산)으로 다스린다.

栝樓牡蠣散(괄루모려산)

≒ 括樓根(괄루근), 熬牡蠣(오모려) 各等分

方解 ≡ 括樓根(괄루근)은 津液(진액)을 맑게 하고, 多量(다량)으로 産出(산출)하

게 함으로 渴症(갈증)을 내리게 한다. 牡蠣(모려)는 虛熱(허열)을 除祛(제

거)하고, 焦憔(초초)한 것을 진정시킨다. 때문에 百合洗方(백합세방)으

로 효과가 없을 경우에 이 처방을 服用(복용)하여 治愈(치유)에 이루도

록 한다.

8) 百合病變發熱者(一作發寒熱), 百合滑石散 主之.(52)

百合病(백합병)은 본래 發熱(발열)하는 일은 없는데도 發熱(발열)하는 것은 里熱(리

열)이 상당히 甚(심)한 것을 가리키고 있으므로 百合滑石散(백합활석산)으로 다스린

다.

百合滑石散(백합활석산)

≒ 炙百合(자백합)一兩, 滑石(활석)三兩.

하루에 三回(삼회) 복용한다. 그러나 다만 小便(소변)이 조금 나오면 복

용을 중지 한다. 熱(열)은 小便(소변)과 더불어 排出(배출)되었기 때문이

다.

9) 百合病見於陰者 以陽法救之, 見於陽者 以陰法救之, 見陽攻陰 復發其汗 此爲逆, 見陰

攻陽, 乃復下之, 此亦爲逆.(53)

百合病(백합병)에 걸린 환자가 熱(열)이 里(리)로 들어간 症狀(증상)이 보일 때는 百

合洗方(백합세방)을 사용하여 表(표)에서 治療(치료)해야 한다. 또 熱(열)이 表(표)에

있는 症狀(증상)일 때에는 滋陰法(자음법)으로 里(리)에서 治療(치료)해야 한다.

表(표)의 症候(증후)가 나타나 있는데도 攻下法(공하법)으로 治療(치료)하고, 게다가

發汗(발한)시키는 것은 逆症(역증)이다. 마찬가지로 里(리)의 症候(증후)가 나타나 있

는데도 發汗法(발한법)으로 治療(치료)하고, 게다가 攻下(공하)시키는 것도 逆症(역

증)이다.


4. 임상 (臨床)

1) 百合病(백합병) : 吐后傷陰(토후상음), 脾胃之陰(비위지음).- 擾亂(요란), 肺胃和降之

氣(폐위화강지기).

方 : 百合鷄子湯(백합계자탕)《金匱要略》淸熱劑(청열제)

≒ 百合(백합)(百合), 鷄子黃(계자황).

2) 百合病(백합병) : 未經(미경) - 汗(한), 吐(토), 下(하) 病形如初者(병형여초자).

方 : 百合地黃湯(백합지황탕)《金匱要略》淸熱劑(청열제)

≒ 百合(백합), 地黃葉(지황엽).

3) 百合病(백합병).- 發熱者(발열자)

方 : 百合滑石散(백합활석산)《金匱要略》淸熱劑(청열제)

≒ 百合(백합), 滑石(활석).

4) 百合病變爲渴者(백합병변위갈자)

方 : 百合(백합) 一味(일미), 漬之一宿(지지일숙), 洗身(세신).

§ 若洗后(약세후) 渴不解者(갈불해자), 爲葯不勝病(위약불승병), 應服(응복)

栝樓牡蠣散(괄루모려산)《金匱要略》淸熱劑(청열제)

≒ 括蔞(괄루), 牡蠣(모려).


백합병오치(百合病誤治)

1. 임상 (臨床)

1) 百合病(백합병) - 誤汗傷陰(오한상음).

方 : 百合知母湯(백합지모탕)《金匱要略》淸熱劑(청열제)

≒ 百合(백합), 知母(지모).

2) 百合病(백합병) 下后(하후) 損傷脾胃(손상비위).- 嘔吐(구토) 혹 呃逆(애역) 氣不

下降(기불하강)(氣不下降).

方 : 百合滑石代赭湯(백합활석대자탕)《金匱要略》淸熱劑(청열제)

≒ 百合(백합), 滑石(활석), 代赭石(대자석).

63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コメント


コメント機能がオフになっています。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