辨證施治
⑴ 急性胃炎(급성위염)
① 飮食(음식)에 상한 모든 증상과 腹部(복부)에 응어리진 것을 치료한다. 急性胃炎(급성위
염) 初起(초기)에 명치밑과 上腹部(상복부)가 膨脹(팽창)하여 脹悶(창민), 腹痛(복통)이 심
하며 혀에 누렇고 탁한 태가 두텁게 앉은 경우에 적용된다. 특히 썩은 음식 냄새 같기도
하고 썩은 계란 냄새 같은 트림과 가스를 배출하기도 하며 食后(식후)에 냄새가 고약한
泄瀉(설사)를 할 때 쓴다.
保和丸(보화환) 1
≒ 白朮(백출)200, 陳皮(진피), 半夏(반하), 茯苓(복령), 神曲(신곡), 山楂肉(산사육) 各
120, 連翹(연교), 酒炒香附子(주초향부자), 厚朴(후박), 炒菔子(초복자)各80, 枳實
(지실), 麥芽(맥아),酒炒黃連(주초황련), 酒炒黃芩(주초황금) 各40.
이상의 葯劑(약제)를 가루내어 생강즙에 쑨 풀로 0.3g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
번에 50~70 알씩 찻물로 먹는다. 혹은 위의 葯量을 20 等分한 것을 한 첩으로 하
여 1일 2첩씩재탕까지 해서 3회를 空腹(공복)에 복용한다.
② 食餌性胃炎(식이성위염)(餌渴食 급하게 먹는), 특히 알콜성위염일 때 효과가 있는 처방이
다. 방명은 위와 같으나 여기에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처방이 있다.
保和丸(보화환) 2 -
㉠ ≒ 山楂肉(산사육)40, 法半夏(법반하), 炒菔子(초복자), 炒黃連(초황련), 陳皮(진피) 各
20, 炒神曲(초신곡)12, 炒麥芽(초맥아)8.
㉡ ≒ 山楂(산사)200, 法半夏(법반하), 神曲(신곡) 各120, 菔子(복자), 陳皮(진피), 炒麥芽
(초맥아), 茯苓(복령), 連翹(연교) 各40.
이상의 葯劑(약제)를 가루 내어 神曲(신곡) 200g 으로 쑨 풀로 반죽해서 0.3g 만하게 알
약을 만든다. 한 번에 50~70 알씩 끓인물로 먹는다.
③ 대표적인 急性胃炎(급성위염) 처방이다. 胃炎(위염)으로 식욕이 없으며 口苦, 메스깝고
(惡心) 嘔吐(구토), 트림(噯氣), 泄瀉(설사) 등이 있고 腸鳴(장명)이 있으며, 上腹部(상복부)
에서 옆구리까지 膨脹(팽창)하는 듯 또는 찌르는 듯한 통증이 있을 때
平胃散(평위산)
≒ 蒼朮(창출)(去皮, 쌀뜨물에 담갔다가 말린 것), 厚朴(후박)(去皮姜炒), 陳皮(진피)
(去白皮), 炒甘草(초감초).
④ 生食(생식)이나 冷食(냉식)을 많이 먹고 생긴 急性胃炎(급성위염) 또는 病原菌(병원균)에
의한 食中毒(식중독)에 쓰이는 처방이다. 메스껍고 嘔吐(구토)하는데 吐(토)한 것이 맑고
묽으며 복부가 그득하고 腸鳴(장명)이 있고, 小便(소변)이 시원하지 않고, 頭痛(두통), 惡
寒(오한)과 低熱(저열)이 함께 나타날 때
藿香正氣散(곽향정기산)
≒ 藿香(곽향), 紫蘇葉(자소엽), 白芷(백지), 大腹皮(대복피), 白茯苓(백복령), 厚
朴(후박), 白朮(백출), 半夏(반하), 陳皮(진피), 桔梗(길경), 炙甘草(자감초), 生
姜(생강), 大棗(대조).
⑤ 명치가 결리고 胃痛과 구역질 嘔吐 등의 증상이 있으면서 口臭와 舌苔가 있는 사람에게
사용하는 처방
黃連湯(황련탕)
≒ 酒炒黃連(주초황련), 炒梔子(초치자), 酒洗生地(주세생지), 酒洗當歸(주세당귀),
麥門冬(맥문동), 赤芍(적작), 犀角(서각), 半夏(반하), 甘草(감초).
⑥ 惡寒(오한)이 나면서 熱(열)이 끓고 명치께와 가슴이 답답하면서 食欲(식욕)도 떨어지는
患者(환자)에게 사용하면 좋다.
小柴胡湯(소시호탕) ≒ 柴胡(시호), 黃芩(황금), 人參(인삼), 半夏(반하), 甘草(감초), 生姜
(생강), 大棗(대조).
⑦ 過飮后(과음후) 嘔吐(구토), 甚(심)한 渴症(갈증)이 있을 때 - 熟醉解消(숙취해소)
五苓散(오령산)
≒ 澤瀉(택사), 赤茯苓(적복령), 白朮(백출), 猪苓(저령), 肉桂(육계).
⑧ 食欲不振(식욕부진), 명치결림, 가슴앓이, 구역질, 嘔吐(구토), 胃(위)를 打診(타진)하면 출
렁출렁하는 물소리가 들리는 胃內停水(위내정수), 腸鳴(장명)이 있는 보통체력인 사람에
게 적합한 처방이다.
半夏瀉心湯(반하사심탕) ≒ 半夏(반하), 人參(인삼), 甘草(감초), 黃芩(황금), 黃連(황련),
乾姜(건강), 大棗(대조).
⑨ 急性胃炎(급성위염)으로 惡寒(오한), 發熱(발열), 泄瀉(설사) 등이 나면서 목 뒤가 결리고
땀을 자주 흘리는 사람에게 좋은 처방이다.
葛根黃連黃芩湯(갈근황련황금탕) ≒ 葛根(갈근), 黃連(황련), 黃芩(황금), 甘草(감초).
⑵ 慢性胃炎(만성위염)
① 慢性胃炎(만성위염)으로 不思飮食(불사음식), 身體消瘦(신체소수)하며 面色晄白(면색황
백) 泄瀉(설사)를 잘 하고 尿少頻多(뇨소빈다)하며 不爽(불상)하고, 헛배가 부르거나 메스
껍거나 트림(噯氣)하며 특히 식후에 上腹部(상복부)가 그득하고 답답하거나 권태로워지
며 四肢无力(사지무력)하고 까닭없이 疲困(피곤)해져서 드러눕기를 잘 하고, 목소리도
기어드는 듯 힘이 없고, 齒痕(치흔)은 뚜렷하게 드러날 때
태화환 ≒ 人參(인삼)20, 土炒白朮(토초백출)160, 白茯苓(백복령), 白芍(백작), 炒神曲(초
신곡), 炒麥芽(초맥아) 各100, 童便炒香附子(동변초향부자), 當歸(당귀) ,枳實
(지실) 各80, 龍眼肉(용안육))(益智仁으로 代用), 白豆寇(백두구) 各52, 法半夏
(법반하)48, 陣皮(진피), 姜炒黃連(강초황연), 山楂肉(산사육) 各40, 木香(목향)
20, 炒甘草(초감초)28.
가루 내어 연입(荷葉) 달인 물에 묵은 쌀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0,3g 만하
게 알약을 만든다. 한 번에 100알 씩 미음으로 먹는다. 혹은 위의 葯量을 20 等
分해서 1첩에 물 300cc를 붓고 끓어 반으로 줄면 온복한다.
② 명치 밑이 꽉 막힌 듯 결리고 식욕이 없으며 가슴앓이 구역질 胃內停水(위내정수), 腸鳴
泄瀉(장명설사) 등 증상이 있고 항상 胃의 상태가 걱정되는 사람이 慢性(만성) 또는 急性
胃炎(급성위염) 및 十二指腸潰瘍(십이지장궤양), 胃擴張症 (위확장증)등으로 苦生(고생)
할 때 - 보통 체력의 소유자에게 접합한 처방
半夏瀉心湯(반하사심탕) ≒ 法半夏(법반하), 人蔘(인삼), 甘草(감초), 黃芩(황금), 干姜(간
강), 黃連(황연), 生姜(생강), 大棗(대조).
③ 慢性胃炎(만성위염)과 急性胃炎(급성위염)에 모두 쓸 수 있는 처방으로 특히 신트림이 자주
나오는 사람에게 적합한 처방
生姜瀉心湯(생강사심탕) ≒ 生姜(생강), 法半夏(법반하), 黃芩(황금), 黃連(황연), 干姜(간강),
甘草(감초), 大棗(대조).
④ 慢性胃炎(만성위염) 특히 萎縮性胃炎(위축성위면)으로 上腹部隱痛(상복부은통), 食欲减退
(식욕감퇴), 食后(식후)에 속이 더부륵하면서 트림이 나고, 吐淸水(토청수) 할 때 쓰는 처방
이다. 身體消瘦(신체소수), 疲勞(피로), 喜溫祛寒(희온거한).
香砂六君子湯(향사육군자탕)
≒ 人參(인삼), 白朮(백출), 茯苓(복령), 炙甘草(자감초), 厚朴(후박,姜炒), 砂仁(사
인), 木香(목향), 陣皮(진피), 半夏(반하), 香附子(향부자), 益智仁(익지인), 生姜
(생강), 大棗(대조)
⑤ 平素(평소) 胃腸(위장)이 弱(약)한자가 氣虛(기허)하여 顔色蒼白(안색창백)하고 胃內停水(위
내정수)가 있으며 便溏(변당)과 나른한 疲勞感(피로감)이 있을 때 쓰는 처방으로 체력이 중
간 정도인 사람의 慢性胃炎(만성위염)에 사용하면 胃(위)를 튼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六君子湯(육군자탕)
≒ 人參(인삼), 白朮(백출), 法半夏(법반하), 陣皮(진피), 茯苓(복령), 炙甘草(자감초),
生姜(생강), 大棗(대조).
⑥ 平素(평소) 胃腸機能(위장기능)이 弱(약)한자가 혈색도 나쁘고 冷症(냉증)도 있으면서 밥을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른 체질의 사람에게 좋은 처방이다. 또한 입에 맑은 침이 계속 고이면
서 쉽게 지치는 체질이거나 泄瀉(설사)가 잦고 小便淸長(소변청장)한 사람에게 잘 맞는다.
人參湯(인삼탕)
≒ 人參(인삼), 羌活(강활), 獨活(독활), 柴胡(시호), 前胡(전호), 川芎(천궁), 赤茯苓(적복
령), 枳殼(지각), 桔梗(길경), 甘草(감초).
⑦ 胃痛(위통)이 계속 있으면서 胃內停水(위내정수)하고, 혈색이 좋지 않으며 배에 탄력이 없
고, 冷症(냉증)이 있는 사람에게 좋다. 또 마른 몸집에 虛弱體質(허약체질)인 사람과 慢性胃
炎(만상위염)이나 胃痙攣證狀(위경련중상)에도 쓰면 효과 있다.
安中湯(안중탕)
≒ 縮砂(축사), 甘草(감초), 小茴香(소회향), 延胡索(연호색), 桂枝(계지), 牡蠣(모려), 高
良姜(고량강).
㈀ 慢性胃炎(만성위염)중에 표층성위염
① 표층성위염으로 윗배가 아프지만 일정한 곳이 없이 양 옆구리까지 연달아 아파오기도
하며 트림을 자주하고 腸속에 가스가 찰 때
加味川楝子散(가미천련자산)
≒ 川楝子(천련자), 玄胡索(현호색), 柴胡(시호), 蘇梗(소경), 白芍(백작), 沙參
(사삼), 香附子(향부자), 陳皮(진피), 炙甘草(자감초).
② 신물을 吐하며 消化不良과 食欲不振이 있을 때
향사가미방 ≒ 人參(인삼), 半夏(반하), 白朮(백출), 陳皮(진피), 白茯苓(백복령), 枳殼(지
각), 香附子(향부자), 烏葯(오약), 砂仁(사인), 神曲炒(신곡초), 白豆蔲(백두
구), 炙甘草(자감초), 生姜(생강), 大棗(대조).
③ 胃酸過多(위산과다)하며 鬱熱性腹痛(울열성복통)이 있고 얼굴빛이 벌겋고 舌苔(설태)는
黃乾(황건)할 때
加味二陣湯(가미이진탕)
≒ 炒梔子(초치자)12, 法半夏(법반하), 茯苓(복령) 各8, 陣皮(진피), 川芎(천궁),
蒼朮(창출) 各6, 甘草(감초)2, 生姜(생강)3片, 大棗(대조)2枚.
④ 肥厚性胃炎(비후성위염)으로 속이 타는 듯한 胃痛(위통)이 있고 입이 마르며 쓰고 혀는
붉고 舌苔는 누럴 때
가미좌금전 ≒ 沙參(사삼), 白芍(백작), 石斛(석곡), 牡丹皮(모단피), 麥門冬(맥문동), 梔子
(치자), 柴胡(시호), 靑皮(청피), 甘草(감초), 黃連(황연), 吳茱萸(오수유).
⑤ 慢性胃炎(만성위염) 특히 표층성위염으로 명치 및 상복부가 팽창하며 그 통증이 옆구리
까지 이어지고 속이 더부륵하며 식후에는 답답하고 불쾌한 것이 더 심해질 때 쓰는 처방
으로 惡心(오심), 嘔吐(구토), 吐酸(토산), 噯氣頻作(애기빈작), 大便不爽(대변불상), 矢氣
后輕减(시기후경감), 頭重目疲(두중목피), 口苦口干(구고구간), 腹部膨滿感甚(복부창만
감심).
柴胡疏肝散(시호소간산)
≒ 醋炒陣皮(초초진피), 柴胡(시호), 川芎(천궁), 枳殼(지각,밀가루와 함께 복은
것), 芍葯(작약), 香附子(향부자), 炙甘草(자감초).
㈁ 慢性胃炎(만성위염)중에 萎縮性胃炎(위축성위염)
① 萎縮性胃炎(위축성위염)으로 胃痛(위통)은 있지만 따뜻하게 해 주거나 만져주면 편안해
지며 食欲(식욕)이 떨어지고 食后飽滿感(식흐포만감)과 疲勞感(피로감)이 甚(신)하며 열
굴이 蒼白(창백)하고 쉽게 지치고 无氣力(무기력)해 할 때
加味香砂六君子湯(가미향사육군자탕)
≒ 人參(인삼), 白朮(백출), 茯苓(복령), 炙甘草(자감초), 山葯(산약), 陳皮
(진피), 半夏(반하), 香附子(향부자), 砂仁(사인), 生姜(생강), 大棗(대
조).
② 萎縮性胃炎(위축성위염)중 윗배가 不快(불쾌)하고 食欲(식욕)이 떨어지며 입이 마르고
혀가 빨갛게 보이는데 舌苔(설태)는 없이 말라보일
때麥門冬湯(맥문동탕)
≒ 人參(인삼), 麥門冬(맥문동), 甘草(감초), 沙參(사삼), 玉竹(옥죽), 天花粉(천화
분), 烏梅(오매), 知母(지모).
③ 萎縮性胃炎(위축성위염)중 胃酸過少證(위산과소증)이 있으면서 특히 年老(연노)하여 全
身狀態(전신상태)가 衰弱(쇠약)하고 貧血(빈혈)이나 便秘(변비)가 있을 때 쓰는 補血强壯
(보혈강장)의 효과가 있는 處方
十全大補湯加味方(십전대보탕가미방)
≒ 人參(인삼), 白朮(백출), 茯苓(복령), 甘草(감초), 熟地(숙지), 當歸(당
귀), 白芍(백작), 川芎(천궁), 黃芪(황기), 肉桂(육계), 陳皮(진피), 山楂
肉(산사육), 砂仁(사인), 五味子(오미자), 烏梅(오매).
驗方單方(험방단방)
胃炎(위염)
⑴ 表裏雙解劑(표리쌍해제), 解表淸裏(해표청리)
治 - 胃炎(위염), 泄瀉(설사), 肩痛(견통)
方 - 葛根黃連黃芩湯(갈근황련황금탕)
≒ 葛根(갈근), 黃連(황련), 黃芩(황금), 甘草(감초).
⑵ 治 - ① 위허(胃虛) 비증(痞證).
② 위염(胃炎) 구내염(口內炎) 설사(泄瀉) 불면증(不眠症)
方 - 甘草瀉心湯(감초사심탕)
≒ 甘草(감초), 半夏(반하), 人參(인삼), 大棗(대조), 乾姜(건강), 黃芩(황금), 黃連
(황련).
⑶ 方 - 桂枝人蔘湯(계지인삼탕)
≒ 桂枝(계지), 人參(인삼), 白朮(백출), 甘草(감초), 乾姜(건강).
⑷ 方 - 大柴胡湯(대시호탕)
≒ 柴胡(시호), 半夏(반하), 黃芩(황금), 大黃(대황), 枳實(지실), 芍葯(작약), 大棗
(대조), 生姜(생강).
⑸ 方 - 半夏白朮天麻湯(반하백출천마탕)
≒ 半夏(반하), 白朮(백출), 蒼朮(창출), 茯苓(복령), 陳皮(진피), 麥芽(맥아),
神曲(신곡), 人參(인삼), 黃芪(황기), 澤瀉(택사), 天麻(천마), 黃柏(황백),
乾姜(건강), 生姜(생강).
⑹ 비증(痞證).- 심하비만(心下痞滿), 무통(无痛), 혹 건구(乾嘔), 혹 구토(嘔吐), 장명하리(腸鳴下
痢), 설태박황니(舌苔薄黃膩) 맥현삭(脈弦數).
方 - 半夏瀉心湯(반하사심탕)
≒ 半夏(반하), 人參(인삼), 甘草(감초), 黃芩(황금), 黃連(황련), 乾姜(건강), 大椎
(대추, 大棗).
⑺ 담음토후(痰飮吐后) 불식증(不食證).- 심흉중유(心胸中有) 정담숙수(停痰宿水) 자토출수후
(自吐出水后) 심흉간허(心胸間虛) 불능식(不能食).
方 - 茯苓飮(복령음)
≒ 茯苓(복령), 蒼朮(창출), 人參(인삼), 陳皮(진피), 枳實(지실), 生姜(생강).
⑻ 祛痰(거담) - 음기조역지구갈(飮氣組逆之嘔渴).-
토이갈욕음수(吐而渴欲飮水) 음후복토(飮后復吐) 유토유음(愈吐愈飮) 유음유갈(愈飮愈渴).
方 - 茯苓澤瀉湯(복령택사탕)
≒ 茯苓(복령), 澤瀉(택사), 白朮(백출), 生姜(생강), 桂枝(계지), 甘草(감초).
⑼ 祛痰(거담) - 음사편성(飮邪偏盛) 흉비경증(胸痺輕證).-
흉중기색(胸中氣塞) 단기(短氣) 흉불통(胸不痛) 혹 동통경미(疼痛輕微) 해역(咳逆) 토연말
(吐涎沫) 소변불이(小便不利) 설담태백활(舌淡苔白滑).
方 - 茯苓杏仁甘草湯(복령행인감초탕) ≒ 茯苓(복령), 杏仁(행인), 甘草(감초).
⑽ 和解劑(화해제) - 수열호결(水熱互結) 비증(痞證)
方 - 生姜瀉心湯(생강사심탕)
≒ 生姜(생강), 乾姜(건강), 半夏(반하), 黃芩(황금), 黃連(황련), 甘草(감초), 大棗
(대조).
⑾ 補虛降逆(보허강역) - 위기허약(胃氣虛弱) 담탁내조(痰濁內阻).-
심하비경(心下痞硬) 희기불제(噫氣不除).
역치(亦治) : 기역불강(氣逆不降) 반위(反胃) 토연말(吐涎沫).
方 - 旋復代赭湯(선복대자탕)
≒ 旋覆花(선복화), 代赭石(대자석), 半夏(반하), 甘草(감초), 人參(인
삼), 生姜(생강), 大棗(대조).
⑿ 方 - 小半夏加茯苓湯(소반하가복령탕)
≒ 半夏(반하), 茯苓(복령), 生姜(생강).
⒀ 方 - 柴胡桂枝湯(시호계지탕)
≒ 柴胡(시호), 桂枝(계지), 半夏(반하), 黃芩(황금), 甘草(감초), 人參(인삼), 芍葯
(작약), 生姜(생강), 大棗(대조).
⒁ 方 - 安中散(안중산)
≒ 小茴香(소회향), 高良姜(고량강), 甘草(감초), 延胡索(연호색), 牡蠣(모려), 桂枝
(계지), 縮砂(축사).
⒂ 方 - 苓桂朮甘湯(령계출감탕)
≒ 茯苓(복령), 桂枝(계지), 白朮(백출), 甘草(감초).
⒃ 方 - 吳茱萸湯(오수유탕)
≒ 吳茱萸(오수유), 人參(인삼), 大棗(대조), 生姜(생강).
⒄ 方 - 五積散(오적산)
≒ 當歸(당귀), 川芎(천궁), 茯苓(복령), 白朮(백출), 芍葯(작약), 甘草(감초), 陳皮(진
피), 厚朴(후박), 枳實(지실), 大棗(대조), 生姜(생강), 半夏(반하), 麻黃(마황), 白芷
(백지), 桂枝(계지), 桔梗(길경).
⒅ 方 -六君子湯(육군자탕)
≒ 人參(인삼), 白朮(백출), 茯苓(복령), 甘草(감초), 陳皮(진피), 半夏(반하), 生姜(생
강), 大棗(대조).
⒆ 方 - 眞武湯(진무탕)
≒ 茯苓(복령), 白朮(백출), 芍葯(작약), 附子(부자), 生姜(생강).
⒇ 方 - 平胃散(평위산)
≒ 蒼朮(창출), 厚朴(후박), 陳皮(진피), 大棗(대조), 甘草(감초), 乾姜(건강).
㉑ 方 - 黃芩湯(황금탕)
≒ 黃芩(황금), 大棗(대조), 芍葯(작약), 甘草(감초).
㉒ 方 - 黃連湯(황련탕)
≒ 黃連(황련), 人參(인삼), 甘草(감초), 大棗(대조), 桂枝(계지), 乾姜(건강), 半夏(반
하).
㉓ 方 - 黃連解毒湯(황련해독탕)
≒ 黃連(황련), 黃芩(황금), 黃柏(황백), 梔子(치자).
配伍葯(배오약)
1) 黃連(황련)5 + 吳茱萸(오수유)5 = 急慢性胃炎(급만성위염), 胃十二指腸球部潰瘍(위십이지장
구부궤양) 諸症(제증)
2) 橘皮(귤피)10 + 枳實(지실)10 = 急慢性胃炎(급만성위염)
3) 高良姜(고량강)10 + 香附(향부)10 = 慢性胃炎(만성위염) - 屬于寒凝氣滯者(속우한응기체자)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