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기능장애 (性機能障碍)
男性(남성)
1) 診察要点(진찰요점) :
⑴ 勃起不全(발기부전)
① 命門火衰(명문화쇠) :
勃起不全(발기부전), 强直度低下(강직도저하), 腰膝重无力(요슬중무력) 頭不淸(두불
청), 耳鳴(이명), 面色蒼白(면색창백), 疲勞(피로), 倦怠(권태), 手足冷(수족냉), 惡寒
(오한)..
② 心脾兩虛(심비양허) :
勃起不全(발기부전), 心悸(심계), 不眠症(불면증), 多夢(다몽), 腹脹(복창), 疲勞(피로),
无氣力(무기력), 溏便(당변)
③ 肝腎陰虛(간신음허) :
眩暈(현운), 頭脹痛(두창통), 視力减退(시력감퇴), 耳鳴(이명), 耳聾(이농), 夜中口乾
(야중구건), 身熱(신열), 五心煩熱(오심번열), 齒松(치송), 腰痛(요통), 膝痛无力(슬통
무력), 全身關節痛(전신관절통), 遺精(유정), 早漏(조루), 勃起不全(발기부전), 尿頻
(뇨빈), 小便短赤(소변단적), 大便燥結(대변조결).
④ 自律神經系失常(자율신경계실상) :
鬱滯現狀(울체현상), 新陳代謝(신진대사)와 血液循環不進(혈액순환부진), 勃起不全
(발기부전)은 肝機能障碍(간기능장애)나 糖尿病(당뇨병)등에 의한 勃起不全(발기부
전)이 여기에 해당된다.
⑤ 飮食不節(음식불절) :
飮酒(음주) 및 嗜好食品(기호식품) 過剩攝取(과잉섭취)로 생긴 濕熱下注(습열하주)
로 인한 勃起不全(발기부전), 陰囊(음낭)이 묵직하게 처지고 甚則腫痛(심칙종통), 水
腫(수종), 身重(신중), 尿紅濁(뇨홍탁), 排尿時灼熱感(배뇨시작열감).
⑥ 陽虛(양허) :
陰莖冷(음경냉) 下肢冷(하지냉) 腰股无氣力(요고무기력), 身體消瘦(신체소수), 氣力
下降(기력하강), 頭重(두중), 頭昏(두혼), 口乾(구건)
⑵ 失精(실정)
① 失精(실정)
㈀ 아무 때나 精液(정액)이 스스로 나가는 것 - 遺精(유정), 夢泄(몽설), 漏睛(루정)등
으로 분류관찰 한다..
㈁ 精隨尿(정수뇨) - 소변에 精液(정액)이 섞여 나오는 증상 - 약정환
㈂ 自精(자정) - 精液(정액)이 저절로 나오는 것 - 九龍丹(구용단)
② 精少早漏(정소조루) :
勃起不全(발기부전), 强直度下降(강직도하강), 手足心熱(수족심열), 胸悶(흉민,胸痞
(흉비)) 目充血(목충혈), 顴紅(권홍), 二便濃縮(이변농축, 尿紅(뇨홍), 便結(변결)), 腰
膝无力(요슬무력, 腰腿(요퇴), 腰股(요고))
③ 肝經濕熱(간경습열) :
陰莖瘙痒(음경소양), 陰莖腫大(음경종대), 排尿困難(배뇨곤난), 排尿痛(배뇨통), 口苦
(구고), 咽燥(인조), 舌黃燥苔膩(설황조태니), 胸悶(흉민,胸痞(흉비)) 尿色眞(뇨색진)
④ 脾胃機能低下(비위기능저하) :
身体消瘦(신체소수), 面色蒼白(면색창백), 疲勞(피로), 心悸氣短(심계기단), 眩暈(현
운), 精神不淸(정신불청), 消化不良(소화불량), 食欲减退(식욕감퇴), 不安焦躁(불안초
조, 煩躁不安(번조불안), 不眠(불면), 便溏(변당), 舌淡白(설담백), 脈弱(맥약)
⑤ 心腎陰虛(심신음허) :
甚者精血不足(심자정혈부족) - 手足心熱(수족심열), 盜汗甚(도한심), 面紅口乾(면홍
구건), 目眩(목현), 耳鳴(이명)
⑥ 心火旺盛(심화왕성), 腎水不足(신수부족) :
마음만 먹으면 발동하고 精液(정액)이 나가는 증상
⑦ 腎陽虛(신양허)
㈀ 性欲减退(성욕감퇴), 手足冷(수족냉), 下腹部冷(하복부냉), 腸鳴(장명), 便溏(변
당), 或泄瀉(혹설사), 小便淸長(소변청장), 尿頻(뇨빈), 腰膝酸軟(요슬산연)(腰腿
(요퇴), 腰股(요고))
㈁ 精力衰弱(정력쇠약) -
早漏(조루), 夢精(몽정), 陰萎症(음위증), 尿頻(뇨빈), 便溏(변당), 惡寒(오한) 腰膝
疼痛无力(요슬동통무력), 膝寒(슬한), 下腹部冷(하복부냉), 消化力减退(소화력감
퇴), 疲困(피곤) 등 熱(열)에너지 부족현상.
⑧ 五勞七傷(오로칠상)
㈀ 六臟(육장)의 機能衰弱(기능쇠약) 男性(남성)의 性機能障碍(성기능장애) - 精液
(정액) 혹 精子不足(정자부족), 陰囊冷(음낭냉), 勃起不全(발기부전), 夢精(몽정),
早漏(조루)
㈁ 消化吸收力弱(소화흡수력약), 面色晄白(면색황백), 早起(조기), 面手背浮腫(면수
배부종), 尿頻(뇨빈), 排尿无力(배뇨무력), 四肢无力(사지무력), 時有痹(시유비),
頭重恒時(두통항시), 臍部躁動(제부조동) 臍部痙攣无痛(제부경련무통), 多汗出
(다한출).
㈂ 七傷(칠상) : 陰寒(음한), 陰萎(음위), 易急(이급), 精漏(정루), 精少(정소), 精淸(정
청), 尿數(뇨삭).
⑨ 房事過多(방사과다) : 지나친 性生活(성생활)로 몸을 傷(상)해 생긴 遺精(유정)과 夢
泄(몽설)
⑩ 임포덴즈 :
트롬복산 A2가 프로스타사이클린에 비해 월등히 상승되었을 때 - 房事過多(방사과
다)로 氣力衰殘(기력쇠잔), 面色蒼白(면색창백), 腰膝痛无力(요슬통무력, 腰股(요고)
腰腿(요퇴)), 陰莖頭冷(음경두냉), 四肢冷(사지냉), 五心煩熱(오심번열), 陰莖動脈硬
化(음경동맥경화)
⑪ 性神經衰弱(성신경쇠약) :
早漏證(조루증)이나 夢精(몽정) - 尿濁(뇨탁), 飮食无味(음식무미), 消化不良(소화불
량), 消瘦(소수), 不眠症(불면증), 初潮不安(초조불안), 心悸(심계)
⑶ 陰萎證(음위증)
勃起不全(발기부전) : 命門火衰弱(명문화쇠약), 眩暈(현운), 疲困(피곤), 腰膝
无力(요슬무력 腰腿(요퇴), 腰股(요고)).
⑷ 强精劑(강정제) :
禿鷄丸(독계환), 鷄冠桂附丸(계관계부환), 陽萎回春湯(양위회춘탕), 健陽丸(건양환), 화
토기제탕, 伯山甫靈葯(백산보령환), 금쇠사선단, 비진환.
2) 辨證施治(변증시치)
① 생명의 문이라고 하는 命門(명문)이 衰弱(쇠약)해져 勃起不全(발기부전)이 되거나 발기
된 陰莖(음경)의 强直度(강직도)가 떨어질 때 쓰면 효과적인 처방이다. 명문이 쇠약하
면 精液(정액)이 묽고, 下肢重无力感(하지중무력감), 頭不淸(두불청), 耳鳴(이명), 面色
蒼白(면색창백), 疲勞(피로), 倦怠(권태), 手足冷(수족냉), 惡寒(오한).
右歸飮(우귀음)
≒ 熟地黃(숙지황)11.25~75, 山葯(산약), 枸杞子(구기자), 杜仲(두충) 各7.5, 山茱
萸(산수유), 炮附子(포부자), 肉桂(육계), 炙甘草(자감초) 各 3.75.
- 이상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끓인 후 공복에 식혀서 복용한다.
② 中樞神經系(중추신경계)를 의미하는 心臟(심장)과 后天的(후천적) 營養供給源(영양공
급원)인 脾臟(비장)의 機能(기능)이 허약해지고 손상돼 勃起不全(발기부전)이 초래된
경우에 쓰이는 처방이다. 心臟(심장)과 脾臟(비장)이 허약해지면 心悸(심계), 不眠症(불
면증)에 시달리며 꿈이 많아 熟眠(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腹部(복부)가 팽팽해지며 몸
이 나른하면서 无氣力(무기력)하고 늘 묽은 대변을 보게 된다. 또 본방은 肝腎陰虛(간
신음허)와 氣虛(기허)가 겸한 증상을 다스릴 수 있다. 肝腎陰虛(간신음허)란 상호 資生
(자생)관계에 있는 肝臟(간장)의 陰液(음액)과 腎臟(신장)의 陰液(음액)이 同時(동시)에
不足(부족)해 지고 虛弱(허약)해진 것을 말한다. 그렇게 되면 어지럽고(眩暈) 머리가 부
풀어 터질듯 팽창하는 것 같으며(頭脹痛), 視力(시력)이 減退(감퇴)되고, 耳鳴(이명) 聽
力障碍(청력장애, 耳聾)가 온다. 밤이면 입이 말라 잠자리 곁에 물을 떠놓아야 하며(夜
中 口乾口渴), 身熱(신열), 手足心熱(수족심열)로 손과 발을 이불 속에 넣고 수면을 취하
기 어려우며, 치아가 흔들리고(齒松), 腰痛(요통), 膝痛无力(슬통무력) 全身關節无力感
(전신관절무력감). 遺精(유정), 早漏(조루), 勃起不全(발기부전) 등이 오며 尿頻(뇨빈),
尿紅量少(뇨홍량소), 便結(변결)등이 있다.
大補元煎(대보원전)
≒ 熟地黃(숙지황), 山葯(산약), 枸杞子(구기자), 當歸(당귀), 杜仲(두충), 人參(인
삼)各6, 山茱萸(산수유), 炙甘草(자감초)各3.
- 이상의 약을 1첩으로 하여 1일 2첩으로 재탕까지 하여 3회 복용한다.
③ 自律神經系(자율신경계)의 실조로 울체현상이 나타나면 新陳代謝(신진대사)와 血液疏
通(혈액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아 勃起不全(발기부전)이 초래된다. 肝機能障碍(간기능
장애)나 糖尿病(당뇨병) 등에 의해 나타나는 勃起不全(발기부전)이 여기에 해당된다.
肝臟(간장)의 經絡(경락)은 內外(내외) 生殖器(생식기)에 分布(분포)되 있으므로 肝經絡
(간경락)이 원활하게 疏通(소통)되지 못하면 陰莖(음경)으로의 血液流入(혈액류입)도
원활하지 못해 勃起不全(발기부전)이 되는 이런 경우에 쓰는 처방이다.
定志丸加减(정지환가감)
≒ 菖蒲(창포), 遠志(원지)各75, 茯苓(복령), 人參(인삼)各11.25.
이상의 약을 가루내고, 꿀을 끓여서 졸인 것으로 반죽해서 0.3g 크기의 알 을 만들어 한 번에 7알씩 하루에 3회 복용한다.
④ 알콜이나 嗜好食品(기호식품)의 過剩攝取(과잉섭취)로 생긴 濕熱(습열)이 陰莖(음경)에
分布(분포)된 肝經(간경)을 따라 내려와 海綿体(해면체)에 纖維性增殖(섬유성증식)을
일으킴으로써 陰莖內(음경내)로 血液(혈액)이 流入(유입)되는 것을 차단(遮斷)하는 類
型(유형)의 勃起不全(발기부전)을 다스리는 처방이다.
濕熱(습열)로 인해 陰莖海綿体(음경해면체)에 纖維性增殖(섬유성증식)이 생기면 勃起
不全(발기부전)은 물론 陰囊(음낭)이 묵직하게 처지고 심하면 부어올라 아플 수도 있
다. 또 수종이 생기면서 전신이 무겁고 尿色黃濁(뇨색황탁), 排尿時(배뇨시) 灼熱痛感
(작열통감)이 발생할 수 있다.
시호승습탕 ≒ 柴胡(시호), 生姜(생강,炒), 黃柏(황백,酒洗) 各7.5, 升麻(승마), 澤瀉(택사)
各5.625, 當歸尾(당귀미), 羌活(강활), 麻黃根(마황근), 防己(방기), 龍膽草
(용담초), 茯苓(복령) 各3.75, 紅花(홍화)0.3, 五味子(오미자)20枚.
- 食前(식전) 水煎三服(수전삼복)
⑤ 勃起(발기)가 잘 안 되고 陰莖(음경)도 차가우며, 허리와 다리가 냉하고 无氣力(무기력)
할 뿐 아니라 몸이 여위고 氣力(기력)이 떨어 졌을 때 효과적인 처방이다. 頭重(두중),
頭暈(두운), 耳鳴(이명), 口干(구간) 등 症見(증견).
이처방은 腎水(신수)를 補充(보충)하고 命門火(명문화)를 돋우는 효과가 있어서 陽氣
(양기)를 충만케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양자신전 ≒ 熟地(숙지)40, 白朮(백출)20, 山茱萸(산수유)16, 人參(인삼), 枸杞子(구기
자) 各12, 茯神(복신)8, 杜仲(두충), 肉桂(육계), 肉蓗蓉(육종용), 巴戟天(파
극천), 遠志(원지) 各4. - 水煎服(수전복)한다.
청나라의 명의 부청주는 【氣陽之腎傳】에서
枸杞子(구기자)를 빼고 肉桂(육계)를 8g으로 늘리면서 이렇게 해설했다.
이 證(증)은 平素(평소)에 지나치게 貪色(탐색)하여 腎臟(신장)의 腎水(신
수)와 命門火(명문화)가 모두 消耗(소모)되었기 때문이다. 水(陰)가 없으
니 어찌 火(陽)가 있을 수 있으랴. 家庭(가정)에 물이 없으면 어떻게 밥을
지을 것인가. 이것은 마땅히 물이 있어야 柴炭(시탄)으로 밥을 짓는 이치
와 같다.라 하였다.
⑥ 精液(정액)과 같은 構造的(구조적) 物質(물질)이 不足(부족)해 나타나는 早漏症(조루증)
을 다스리는 처방이다.
勃起(발기)는 되지만 强直度(강직도)가 떨어지고 手足心熱(수족심열), 胸悶(흉민), 眼目
充血(안목충혈), 顴紅(권홍), 二便濃縮(이변농축), 腰腿无力(요퇴무력)일 때 효과적인 처
방이다.
補腎固精湯(보신고정탕)
≒ 杜仲(두충,鹽炒), 肉蓗蓉(육종용) 各15, 牡丹皮(모단피)4, 山葯(산약), 山茱
萸(산수유), 熟地(숙지) 各12, 金櫻子(금앵자,鹽炒), 蓮子(연자) 各20, 海螵
蛸(해표소)10, 龍骨(용골,先煎)30.
이상의 약을 재탕까지 해서 1일 3회 복용한다.
方解(방해)
㉠ 熟地(숙지) : 陰血(음혈)을 滋養(자양)한다.
㉡ 熟地(숙지) + 山茱萸(산수유) + 丹皮(단피) = 陰(음)을 튼튼히 하고 陽(양)을 除弱(제
약)한다.
㉢ 熟地(숙지) + 枸杞子(구기자) = 腎臟機能(신장기능)을 滋養(자양)하고 精液(정액)을
充足(충족)시킨다.
㉣ 枸杞子(구기자) + 山茱萸(산수유) = 肝腎(간신)을 補(보)한다.
㉤ 杜仲(두충) : 腎臟(신장)의 陽氣(양기)를 强化(강화)한다.
㉥ 蓮子(감인) : 腎臟(신장)을 튼튼히 하고 精液(정액)을 늘리고, 脾胃(비위)의 消化機能
(소화기능)을 補(보)한다. 補陰葯劑(보음약제)와 함께 쓰면 더욱 精液(정
액)을 充足(충족)시켜서 夢精(몽정), 遺精(유정), 早漏症(조루증)에 효과
가 크다고 알려진 葯劑(약제)다.
㉦ 金櫻子(금앵자) : 腎臟機能(신장기능)을 補陽(보양)하고 精液(정액)을 充足(충족)시
키며 臟(장)의 收斂(수렴)을 돕는 약제이다.
㉧ 龍骨(용골), 海螵蛸(해표소) : 陽氣(양기)를 거두어 안정시킨다.
⑦ 肝臟(간장)의 經絡(경락)에 濕(습)과 熱(열)이 아래로 뭉쳐서 陰部(음부)의 기능을 약하
게 하므로 早漏(조루)가 된데 쓰이는 처방이다. 이 경우는 陰莖(음경)이 붓고 가려우며
排尿困難(배뇨곤난)이나 排尿痛(배뇨통)이 있다.
평소에 입이 쓰고 목구멍이 건조하고, 설태가 누렇고 건조하면서 탁하고 가슴이 답답
하기도 하고 소변이 짙은 색을 띈다.
龍膽瀉肝湯(용담사간탕)
≒ 草龍膽(초용담), 柴胡(시호), 澤瀉(택사), 木通(목통) 各3.75, 車前子(차전
자), 赤茯苓(적복령), 生地黃(생지황), 當歸(당귀), 山梔子(산치자), 黃芩(황
금), 甘草(감초) 各1.87.
이상의 약을 1첩으로 하여 1일 2첩씩 끓여 3회 복용한다.
⑧ 心臟(심장)과 脾胃(비위)의 기능이 함께 약해져 早漏(조루)가 된 때에 쓰이는 처방이다.
이 경우에는 몸이 바짝 마르고(消瘦), 얼굴에 핏기가 없으며(面色蒼白), 疲勞(피로), 心
悸氣短(심계기단), 眩暈(현운), 精神不淸(정신불청), 消化不良(소화불량), 食欲无(식욕
무), 不安焦躁(불안초조, 煩躁), 不眠(불면)등 증상이 있고 便溏(변당), 혀에 핏기가 없이
희며(舌淡白) 脈弱(맥약)
加味歸脾湯(가미귀비탕)
≒ 半夏(반하), 陳皮(진피), 枳實(지실), 人參(인삼), 白朮(백출), 茯神(복신), 當
歸(당귀), 遠志(원지), 炒棗仁(초조인), 黃芪(황기), 龍眼肉(용안육) 各3.75,
天麻(천마), 南星(남성,牛膽), 竹茹(죽여) 各2.62, 唐木(당목), 甘草(감초) 各
1.87, 生姜(생강)3片, 大棗(대조)2枚.
- 水煎服(수전복)
§ 虛證(허증)에는 위의 처방을 쓰지만 實證(실증)이 뚜렷할 때는 腎火祛煎湯(신화거전
탕)을 쓴다.
腎火祛煎湯(신화거전탕)
≒ 白芍(백작)37.5, 當歸(당귀), 麥冬(맥동), 白芥子(백개자) 各18.75, 柴胡(시
호), 黑山梔(흑산치), 茯神(복신), 玄參(현삼) 各11.25, 菖蒲(창포), 甘草(감
초) 各3.75.
⑨ 心腎陰虛(심신음허) 諸症(제증)에 쓰는 처방이다.
心脾胃(심비위) 機能不足(기능부족)으로 인한 早漏症(조루증)이 더욱 慢性化(만성화)하
면 血液(혈액), 精液(정액)이 모두 不足(부족)한 現狀(현상)을 일으킨다. 이런 증상을 心
腎陰虛證(심신음허증)이라 한다. 이렇게 되면 手足心熱(수족심열), 盜汗甚(도한심), 顔
面紅潮(안면홍조), 口干(구간), 目眩(목현), 耳鳴症(이명증) 등이 생긴다. 일명 補心丹(보
심단) 이라고도 한다.
天王補心丹(천왕보심단)
≒ 生地黃(생지황,酒洗)150, 當歸身(당귀신,酒洗), 寸冬(촌동), 麥冬(맥동), 炒
柏子仁(초백자인), 炒棗仁(초조인)各7.5, 人參(인삼), 玄參(현삼), 炒丹參(초
단삼), 茯神(복신), 炒遠志(초원지), 炒五味子(초오미자), 炒桔梗(초길경)各
18.75, 朱砂(주사)
이상의 약을 가루 내어 끓인 꿀로 반죽해서 0.3g 크기의 알약을 만들어 주
사로 옷을 입힌 다음 매회 12g을 공복에 溫水로 복용한다. 혹 龍眼肉湯으
로 調服한다.
⑩ 腎陽虛證(신양허증)에 쓰이는 처방이다.
性欲(성욕)이 減退(감퇴)되면서 早漏症狀(조루증상)이 있고 手足冷(수족냉), 下腹部冷
(하복부냉), 腸鳴(장명), 便溏(변당), 或泄瀉(혹설사), 小便淸長(소변청장) 或尿頻(혹뇨
빈), 腰腿痛无力(요퇴통무력)이 있다. 이 때는 陽氣(양기)를 돋우는 溫陽(온양)한 葯劑
(약제)를 쓰게 되는데 注意(주의)를 要(요)하는 것은 강렬한 온양 약제를 많이 쓰면 일
시적으로는 효과가 있지만 이 맛에 빠지면 오히려 腎陰虛(신음허)를 더욱 조장하게 되
므로 신중히 대처해야 한다.
생수육린단 ≒ 人參(인삼), 麥冬(맥동), 肉蓗蓉(육종용)各225, 山茱萸(산수유), 山葯(산
약) 各375, 熟地黃(숙지황), 桑椹子(상심자) 各600, 鹿茸(녹용)1대, 龜板
膠(구판교), 枸杞子(구기자) 各300, 阿膠(아교), 菟絲子(토사자) 各150, 當
歸(당귀)187.5, 五味子(오미자)112.5, 紫河車(자하거)2个, 柏子仁(백자
인)75.
위의 약을 가루 내어 끓인 꿀로 반죽해서 丸葯을 만든 다음 매회 18.75g
씩을 1일 2회 服用한다.
⑪ 【통현자】의 기록에 의하면 蜀(촉)의 태수 여경대는 70세에 이 약을 먹고 세아들을 얻었
다. 그는 이 약을 常用하면서 부인과 交接(교접)을 너무 자주 하게 되어 그녀는 陰部(음
부)에 病(병)을 얻어 앉지도 눕지도 못 하였다. 그래서 태수는 이 약을 정원에 버렸더니
수탉이 삼켰다. 이 수탉은 암탉에 올라탄 채 쉬지 않고 7일간이나 계속 암탉의 머리를
쪼면서 교미를 하다 보니 암탉의 머리가 완전히 벗겨졌다 한다. 그래서 이 强精劑(강정
제)를 가리켜 禿鷄散(독계산) 혹은 禿鷄丸(독계환)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禿鷄丸(독계환)
≒ 肉蓗蓉(육종용), 五味子(오미자), 菟絲子(토사자), 遠志(원지) 各3, 蛇床子(사상
자)4.
이상의 약을 가루 내어 채로 거른다. 사방이 1치인 숟가락의 量을 空腹에 술과
함께 삼킨다. 1일 3회 服用하면 당할 자가 없다. 60일간 계속 복용할 경우 40명
의 여자와 관계할 수 있다.
가루약을 당밀과 섞어 오동나무 씨처럼 작은 환약을 만들어 복용해도 좋다.
통현자에 의하면 처음 5일 혹은 9일 동안 규칙적으로 복용하고 그 이후는 필요
할 때마다 먹는다고 한다.
⑫ 이 처방은【의종손익】이라는 조선조말엽에 저술된 의서에 기재되어 있는데 六臟(육장)
의 機能衰弱(기능쇠약)과 남성의 성기능 장애를 主證(주증)으로 하는 “五勞七傷”이라는
병증을 치료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니까 精液(정액)이나 精子(정자)가 모자라거나 陰
囊(음낭)이 冷(냉)하고 勃起(발기)가 제대로 안되거나 夢精(몽정), 早漏(조루) 등이 있는
병증을 말한다. 까닭에 四物黃狗丸(사물황구환)은 精力(정력)을 增强(증강)시키는데 아
주 좋은 약인 셈이다.
四物黃狗丸(사물황구환)
≒ 熟地黃(숙지황), 當歸(당귀), 川芎(천궁), 白芍(백작), 香附子(향부자) 各200,
黃狗(황구)1마리.
우선 黃狗(황구)의 털과 내장을 버리고 져서 짓찧어 걸쭉하게 만든다. 한편
위의 葯劑(약제)를 깨끗이 씻어서 말린 후 가루 내어 黃狗(황구)와 섞어 반
죽해서 0.3g 크기의 알약을 만들어 한 번에 100알씩 미움으로 먹는다.
⑬ 트롬복산 A2란 血管收縮作用(혈관수축작용)과 血素板(혈소판) 凝集作用()응집작용)을
갖는데 만일 陰莖(음경) 海綿体內(해면체내)의 血液(혈액) 속에 트롬복산 A2 함량이 프
로스타사이클린의 함량에 비해 월등히 많아 졌을 때는 임포뎉츠를 일으킨다고 한다.
이렇게 트롬복산 A2가 프로스타사이클린에 비해 월등히 많아져서 생긴 임포텐츠에 보
천대조환을 주로 쓴다.
특히 房事過多(방사과다)로 氣力(기력)이 衰殘(쇠잔)해지고 얼굴이 蒼白(창백)해지며,
腰腿无力(요퇴무력), 疼痛(동통), 陰莖(음경)이 冷(냉)해 지면서 임포텐츠가 된 경우에
좋다. 이때 四肢(사지)는 冷(냉)하지만 五心煩熱(오심번열)이 있다. 元陽(원양)을 旺盛
(왕성)하게 하여 心血(심혈), 腎精(신정)을 충족케하는 처방이요 陰莖(음경) 動脈硬化
(동맥경화)를 預防(예방) 내지 治療(치료)하는 處方(처방)이다.
補天大造丸(보천대조환)
≒ 紫河車(자하차)1구, 熟地黃(숙지황), 酒當歸(주당귀), 酒茴香(주회향), 白朮
(백출) 各75, 生地黃(생지황,酒炒), 酒牛膝(주우슬), 天門冬(천문동), 麥門冬
(맥문동), 杜仲(두충) 各56.2, 五味子(오미자), 枸杞子(구기자) 各26.25, 陳
皮(진피), 乾姜(건강) 各7.5, 側柏葉(측백엽)75.
紫河車(자하차)를 제외한 나머지 葯劑(약제)를 가루 내고, 紫河車(자하차)
를 쪄서 짓찧어 걸쭉하게 만든 것과 반죽해서 0.3g 크기 로 알약을 만들어
1회 100알씩 따끈한 술로 1일 2회 공복에 복용 한다.
⑭ 消化(소화), 吸收力(흡수력)이 약해 얼굴이 누렇게(面黃) 들뜨고 아침이면 얼굴과 손등
이 붓거나(早面浮腫, 手背浮腫) 소변을 자주 보며(尿頻) 배뇨에 힘이 없는(排尿无力) 경
우 또 사지가 힘이 없고(四肢无力) 때로 저리며(時有痹) 머리도 항상 무겁고(恒常頭重),
배끕 둘레가 벌떡벌떡 잘 뛰고(臍部痙攣), 땀이 많은 경우(多汗)에 좋다.
특히 고환 밑이 축축하고(陰囊恒濕), 精子不足, 精子 活動微弱한 경우에도 효과가 있다.
調精子作用(조정자작용)과 精子(정자)의 運動力(운동력)을 높이는 작용이 뛰어나다.
補中益氣湯(보중익기탕)
≒ 黃芪(황기)6, 人參(인삼), 白朮(백출), 甘草(감초) 各4, 當歸(당귀), 陳皮(진
피), 升麻(승마), 柴胡(시호) 各2.
1일 2첩씩 水煎服(수전복)한다.
⑮ 强精(강정) 處方(처방)이다. 3년 묵은 수탉의 벼슬 피를 쓴다고 했지만 보통 벼슬피(鷄
冠血)이면 족하다.
鷄冠桂附丸(계관계부환)
≒ 鷄冠血(계관혈)1盞, 桂皮(계피)37.5, 附子(부자)75.
桂皮(계피)와 附子(부자)를 가루 내어 鷄冠血(계관혈)로 반죽해서 0.3g 크
리의 알약을 만들어 食前(식전)에 溫水(온수) 혹은 술(酒)로 7~10알씩 복
용한다. 男女(남여) 공히 손발이 따뜻해지고 성감이 치솟는다.
⑯ 勃起(발기)가 되지 않거나(勃起不全), 勃起(발기)가 되어도 강하지 않아서(勃起不强), 정
상적인 性交(성교)를 할 수 없는 증상을 개선하여 回春(회춘)을 도모코자 하는 처방이
다. - 옛날 중국 한나라 때의 성제는 요희 조비연과 그녀의 동생 합덕을 총애 했는데 임
금의 손바닥 위에 올라서서 춤을 출 정도였다는 조비연을 도저히 따라 잡을 길이 없는
동생 합덕은 총애를 한 몸에 받고자 비상수단으로 은밀히 “신솔교”란 비약을 임금에가
먹였는데 이 약을 먹고 지나치게 성애를 즐기던 임금이 腹上死(복상사) 했다고 한다. 그
후 신설교는 전설의 비약으로 전해져 내려오게 되었는데 훗날 이 처방 중에서 지나치게
강렬한 성분을 지닌 광물성 약제를 몇개를 빼고 대신 여기에 하반신을 뜨겁게 만드는
巴戟(파극) 등을 보태어 새로운 처방을 다시 구성했는데 그 것이 陽萎回春湯(양위화춘
탕)이다.
陽痿證(양위증)을 다스리고, 早漏症(조루증)으로 자신을 잃은 남성을 회춘시킨다는 명
약, 그러나 정력이 센 남성이나 性的 興奮을 잘 느끼는 열성체질의 남성은 절대로 복용
해서 는 않된다.
陽萎回春湯(양위회춘탕)
≒ 人參(인삼), 枸杞子(구기자) 各200, 破故紙(파고지), 巴戟(파극) 各150, 肉蓗
蓉(육종용)300.
이상의 약으로 20첩을 만들어 水煎服하거나 혹은 燒酒(소주)에 담갔다가
15일 후부터 한 잔씩 복용한다.
⑰ 腎陽虛(신양허)에 의한 精力衰弱(정력쇠약)이란 早漏(조루), 夢精(몽정), 陰萎證(음위증)
등이 보이기는 마찬가지지만 尿頻(뇨빈), 便溏(변당), 惡寒(오한), 膝冷(슬냉), 腰腿痛无
力(요퇴통무력), 下腹部冷(하복부냉), 消化不良(소화불량), 疲困尤甚(피곤우심) 등 熱
(열)에너지 부족증을 隨伴(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助陽丸(조양환)
≒ 海狗腎(해구신), 山茱萸(산수유) 各9, 巴戟(파극), 枸杞子(구기자), 熟地黃(숙지
황), 山葯(산약) 各12, 鹿茸(녹용)6.
이상의 약을 가루 내어 꿀로 청심환 크기의 알약을 만들어 1회에 1~ 2 알씩 1
일 2~3회 食后에 복용한다. 가루 상태로 복용해도 되고 冬蟲夏草(동충하초)를
끌인 물로 복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 海狗腎(해구신)은 물개의 생식기로서 보통 길이가 18cm 넓이는 1.2cm 인데 곧
고 딴딴하며 살과 기름이 없고 睾丸(고환)이 두 개 달려 있는 온전한 것을 구해
야 한다. 그리고 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종이에 싸서 약한 불에 살짝 굽듯이 말려
잘게 썰어 쓴다.
⑱ 남자에게는 모름지기 지켜야 할 여섯 가지가 있다.
첫째는 “昂(앙)”이다. 勃起力(발기력)이 좋아야 한다.
둘째는 “溫(온)”이다. 陰部(음부)가 뜨거워야 한다.
셋째는 “頭大(두대)”이다. 귀두가 곤봉처럼 커야 한다는 뜻이다.
넷째 “長(장)”이다. 길고 커야 한다.
다섯째 “健作(건작)”이다. 단단해야 한다는 뜻이다.
여섯째 “遲畢(지필)”이다. 느지막하게 射精(사정)할 정도로 잘 조절할 능력이 있어야 한
다는 뜻이다. 이 처방이 여섯 가지 조건을 충족시켜 준다.
健陽丸(건양환)
≒ 附子(부자), 熟地黃(숙지황), 人參(인삼), 牛肉(우육), 鮮魚(선어) 各375.
이상의 약제를 건조해서 가루 내어 연밀로 0.3g 크기의 알약을 만들어 空腹(공
복)에 30~60알씩 1일 2회 온수로 복용한다.
※ 처방중 鮮魚(선어)는 일명 웅어라 하며 두렁허리라 불리는 민물고기이다. 뱀처
럼 가늘고 길며, 등에 붉은 황색 바탕에 어두운 갈색 얼룩점이 흩어져 있고 배
쪽은 흰 바탕에 회갈색 무늬가 있다. 등에 있는 얼룩점이 양쪽으로 일곱 쌍 있
는 것을 “칠공선어”라 하여 으뜸으로 꼽고 있다.
⑲ “七傷(칠상)” 병증의 치료제이다.
七傷(칠상)이란 남자에게 있어서 腎虛(신허)로 생긴 일곱 가지 증상을 말한다.
첫째는 陰寒(음한)이다. 陰囊(음낭)이 차고 濕(습)해진다.
둘째는 陰萎(음위)이다. 勃起(발기)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설령 勃起(발기)가 이루어져
도 근거가 없어 곧 收縮(수축)되고 만다.
셋째는 “易急(이급)“이다. 아랫배가 땅기면서 아프고 뒤가 묵직해진다.
넷째는 ”精漏(정루)“이다. 때 없이 精液(정액)이 배설되는 것으로 遺精(유정), 夢精(몽정)
따위가 애기에 속한다.
다섯째는 ”精少(정소)“이다. 精液量(정액량)이 적어져서 심하면 고작 한 두 방울에 불과
할 경우도 있다.
여섯째는 ”精淸(정청)“이다. 精液(정액)이 濃濁(농탁)하지 못하고 매우 멀건 상태를 말
한다.
일곱째는 ”小便數(소변삭)“ 이다. 小便(소변)이 頻數(빈삭)한 것을 말한다.
바로 이상의 것을 七傷(칠상)이라 하며 이에 쓸 수 있는 처방이 화토기제탕이다. 특히
腎陽(신양)이 虛(허)하여 精液(정액) 流出症狀(유출증상)과 함께 腰膝冷痛(요슬냉통),
陰萎(음위), 精少(정소), 精淸(정청), 精冷(정냉), 尿頻淸長(뇨빈청장)의 경우에 좋다.
화토기제탕 ≒ 人參(인삼), 白朮(백출), 山茱萸(산수유), 菟絲子(토사자), 巴戟(파극) 各
20, 山葯(산약)10, 肉桂(육계)4.
1일 1~2첩씩 3회 食間(식간) 空腹(공복)에 水煎服(수전복)한다.
⑳ 陰萎症(음위증) 治療(치료)의 명약이다.
陰萎症(음위증)이란 勃起不全(발기부전)인데 命門火(명문화)가 衰弱(쇠약)해졌을 때는
어지럽고(眩暈), 정신마저 피곤(神疲)하며, 腰腿无力(요퇴무력)하면서 발기마저 여의치
않게 된다(勃起不全). 어표환은 이 같은 命門火(명문화) 衰弱(쇠약)에 의한 陰萎症(음위
증)을 다스리는 약이며 그 효과가 문자 그대로 神效(신효)하다.
어표환 ≒ 어표환, 龍骨(용골) 各120, 枸杞子(구기자), 杜仲(두중) 各90, 牛膝(우슬), 當歸
(당귀), 補骨脂(보골지), 茯苓(복령) 各60.
이상의 약을 가루 내어 꿀로 눈깔사탕 만한 알약을 빚어서 1일 2회, 1회에 2알
(약 9g)씩 空腹(공복)에 溫水(온수)로 복용한다.
㉑ 早漏症(조루증)이나 夢精(몽정) 등 性神經(성신경) 衰弱證(쇠약증)에 좋을뿐 아니라 小
便(소변)이 쌀뜨물처럼 탁하고, 압맛이 없고, 消化(소화) 안되며, 몸이 야위고, 皮膚(피
부)가 潤澤(윤택)하지 않고, 不眠症(불면증)에, 不安(불안), 初潮(초조), 가슴 두근거림
(心悸) 등의 여러 가지 신체이상까지 풀어주는 기막힌 약이다.
秘精丸(비정환)
≒ 芡實(검실)100, 蓮花(연화), 장려, 人參(인삼) 各60, 柏木(백목), 山葯(산약), 茯苓
(복령), 蓮子肉(연자육), 白茯神(백복신) 各120, 黃柏(황백), 車前子(차전자) 각
20.
이상의 葯劑를 가루 내어 金櫻子(금앵자)로 만든 조청에 반죽해서 0.3g 크기의
알약을 만들어서 1회에 70~90알씩 1일 2~3회 空腹(공복)에 服用(복용)한다.
※ 처방중 金櫻子(금앵자)는 腎臟(신장)의 機能(기능)을 도와 精液(정액)을 튼튼히
수오하는 작용이 있다. 그리고 처방 구성약물중의 하나인 芡實(검실)은 가시연
꼴의 씨인데 일명 계두실 이라 불리는 것으로 金櫻子(금앵자)와 芡實(검실)을
배합되면 早漏症(조루증) 治療(치료)에는 더 없이 좋은 약이 된다.
㉒ 한나라 무제가 하동지방에 민정시찰을 위해 사자를 보냈다. 여기저기 둘러보던 사자는
한 젊은 여자가 할아버지의 종아리를 때리고 있는 광경을 목도하게 되었는데 더욱 이
상한 것은 할아버지가 오히려 젊은 여자에게 용서를 빌고 있는 것이었다. 황제의 사자
는 자초지종을 알아보게 했다. 그랬더니 여자의 말인즉슨 자기 시숙인 伯山甫(백산보)
는 神仙(신선)이었는데 자기에게 영약을 일러주었다고 한다. 그래서 자기는 그 영약을
먹고 지금 130세 되었지만 이렇게 젊고 활력이 넘치는데 자기 아들은 겨우 70여 살 밖
에 되지 않았는 데도 오히려 자기보다 더 늙고 기력이 떨어져 있으니 그것이 속상해서
이렇게 매질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神仙 伯山甫(신선 백산보)가 일러 주었다는 不老長
生(불노장생) 强精秘方(강정비방)이 바로 이 처방이다.
伯山甫靈葯(백산보령약)
≒ 人參(인삼), 巴戟(파극), 當歸(당귀), 菟絲子(토사자) 各120, 熟地黃(숙지황),
生地黃(생지황) 各80, 牛膝(우슬), 杜仲(두충)各60, 柏子仁(백자인), 菖蒲(창
포), 枸杞子(구기자), 地骨皮(지골피) 各40.
이상의 약을 가루 내어 꿀로 반죽해서 0.3g 크기로 알약을 만들어서 1회에
50~70알씩 1일 3회 鹽湯(염탕)이나 溫酒(온주)로 送下(송하)한다.
㉓ 精氣(정기)가 든든하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金鎖四仙丹(금쇄사선단)
≒ 蓮花蕊(련화예), 蓮子(연자) 감인 各同量
위 약을 가루 내고, 金櫻子(금앵자)를 엿처럼 달여 함께 반죽해서 0.3g 크기
의 알약을 빚는다. 한 번에 30알씩 鹽湯(염탕)으로 空腹(공복)에 복용한다.
【東醫寶鑑】에는 한 달만 먹으면 효과가 나타난다. 그리고 早漏症(조루증)
도 사라진다. 이 약을 오랫동안 먹으면 精神(정신)이 좋아 져서 聰明(총명)
한 사람이 된다고 했다.
㉔ 心火(심화)가 旺盛(왕성)하고 腎水(신수)가 不足(부족)한 탓으로, 마음만 먹으면 곧 발동
하여 정액이 나가는 증상을 치료한다.
大封髓丹(대봉수단)
≒ 炒黃柏(초황백)80, 砂仁(사인)40, 甘草(감초)20, 炒半夏(초반하), 猪苓(저령),
白茯苓(백복령), 紅蓮蕊(홍련예), 益智仁(익지인) 各10.
위의 약을 가루 내어 소금물로 반죽한 다음 0.3g 크기로 알약을 만들어서 한
번에 50~70알씩 찹쌀미움으로 공복에 먹는다. 일명 封髓丹(봉수단)이라고
도 한다.
㉕ 精氣(정기)가 든든하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一名 秘元丹(일명 비원단)이라고도 한다.
비진환 ≒ 白龍骨(백용골,따로간다), 茄根皮(가지피)大5个, 朱砂(주사)20(절반은 알약을
입힌다.), 砂仁(사인)20.
위의 약을 가루 내어 찹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서 겉
에 朱砂를 입힌다. 한번에 2알씩 塩酒湯(염온주)으로 空腹(공복)에 먹고, 잠
잘 무렵에 3알을 冷水(냉수)로 먹는다.
【東醫寶鑑】에는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많이 먹으면 精液(정액)이 잘 나오
지 않게 된다.”고 했다.
㉖ 精(정)이 굳지 못하여 흘리는 증상을 다스린다.
玉露丸(옥로환)
≒ 白龍骨(백용골,九蒸九乾), 菟絲子(토사자,酒制), 韭子(구자,炒上瓦) 各120.
위의 약을 가루 내어서 꿀로 반죽한 다음 0.3g 크리고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鹽湯(염탕)으로 空腹(공복)에 먹는다. 처음 먹을 때는 性生活(성생활)을
삼가야 한다.
※ 《補眞玉露丸》이라는 처방은 陽氣(양기)가 虛(허)해서 精液(정액)이 절로 계
속 나오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인데 白茯苓(백복령)이 加味(가미)되어 있다.
㉗ 性生活(성생활)이 너무 지나친 房事過度(방사과도)로 몸을 傷(상)해 생긴 遺精(유정)과
夢泄(몽설)을 치료한다.
樗根皮丸(저근피환)
≒ 炒樗根白皮(초저근백피).
위의 약을 가루 내어 술을 두고 쑨 풀로 0.3g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 이 약은 성질이 寒하고 燥해서 이 약 한 가지만을 먹을 수 없다.
반드시 八物湯을 달인 물로 먹는 것이 좋다.
※ 樗根白皮丸(저근백피환)은 濕熱(습열)이 脾臟(비장)의 機能(기능)을 傷(상)해
서 遺精(유정)이 생긴 것을 치료하는 처방인데 炒韭子(초구자)40, 炒白芍(초
백작)20, 黃柏(황백), 鹽炒知母(염초지모), 炒牡蠣(초모려) 各12, 白朮(백출),
枳實(지실), 茯苓(복령), 柴胡(시호), 升麻(승마) 各8.을 가루 내어 약 누룩 풀로
반죽한 다음 0.3g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서 이를 한 번에 50알씩 鹽湯(염탕)으
로 空腹(공복)에 먹는 처방이다.
㉘ 失精(실정)을 치료한다.
실정은 때도 없이 精液(정액)이 나가는 것이다. 遺精(유정), 夢精(몽정), 漏睛(루정)등 을
말한다.
桂枝龍骨牡蠣湯(계지용골모려탕)
≒ 桂枝(계지), 白芍(백작), 炒龍骨(초용골), 炒牡蠣(초모려), 生姜(생강) 各
120, 甘草(감초)80, 大棗(대조)12枚
위의 약을 물 7되에 달여 3되가 되면 3번에 나누어 먹는다.
㉙ 小便(소변)으로 계속 精液(정액)이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약정환 ≒ 韭子(구자)(햇것으로 서리를 맞힌 뒤에 따서 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약한 불기
운에 말린 것) 600, 白龍骨(백용골)80.
위의 葯劑(약제)를 가루 내어 찹쌀가루에 술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0.3g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 번에 30알씩 鹽湯(염탕)으로 空腹(공복)에 먹는다.
㉚ 精液(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을 治療(치료)한다.
九龍丹(구용단)
≒ 枸杞子(구기자), 金櫻子(금앵자), 山楂(산사), 蓮子肉(연자육), 蓮花蕊(연화예),
熟地黃(숙지황), 감인, 白茯苓(백복령), 當歸(당귀) 各同量(각동량).
위의 葯劑(약제)를 가루 내어 술을 두고 쑨 밀가루 풀로 반죽한 다음 0.3g 만하
게 알약을 만든 다음 한 번에 50알씩 鹽湯(염탕)으로 空腹(공복)에 服用(복용)한
다.
【東醫寶鑑】에는“精液(정액)이 절로 나오면서 소변이 뿌연 것도 2~3 일 먹으면
小便(소변)이 물같이 맑고 음식을 平常時(평상시)보다 곱절 먹으며 걸음걸이가
가볍고 건강하게 된다.”고 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