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증(痹證) -II
中醫內科學(중의내과학)
講義 朴伍範 主任敎授 (1996년)
痹證(비증)
1) 개념(槪念) 關節炎(관절염) Arthritis, Gelenkrheumatismus
비증의 원인은 풍, 한, 습, 열(風,寒,濕,熱)등의 사기(邪氣)가 밖으로부터 인체에 侵襲(침
습)해서, 經絡(경락)의 疏通(소통)을 막음으로써 氣血運行(기혈운행)이 不暢(불창)하게
되고, 皮膚(피부)와 肌肉(기육) 그리고 筋肉(근육)과 筋骨(근골) 및 關節(관절)이 시큰시
큰한 酸痛(산통)을 일으키며, 뻣뻣해지면서 屈伸(굴신)이 不利(불이)해 진다. 심하면 관
절이 부어오르고 불로 지지는 것같이 뜨거운 증상을 위주로 하는 임상 표현을 나타내
는 병증을 말한다.
비(痹) : 막다. 사이를 가로막아 통하지 못한다는 뜻이다(閉也 閉阻不通之意),
문헌(文獻) - 역절(歷節), 백호역절(白虎歷節),
통풍(痛風)(뇨산염(尿酸鹽)).
병인(病因) : 풍, 한, 습 삼기(三氣)가 뒤섞여서 함께 비증을 일으킨다. (風寒濕 三氣雜至
合而爲痹)
분류(分類) ① 풍사(風邪)가 승한 자는 행비가 되고(風氣勝者 爲行痹),
② 한사(寒邪)가 승한 자는 통비가 되며(寒氣勝者 爲痛痹),
③ 습사(濕邪)가 승한 자는 착비가 된다(濕氣勝者 爲着痹).
④ 풍, 한, 습의 사기(邪氣)에 의한 환자는 계절(季節)에 따라 발병한다(風寒
濕邪氣傷人的季節與所致).
§ 발병하는 부위에 따라 분류하는 각기 다른 다섯 가지의 비증(痹證)이 있
다. 이를 오비(五痺)라 하는데 이를 태면 皮痹(피비), 脈痹(맥비), 肉痹(육
비), 筋痹(근비), 骨痹(골비)를 일컫는다. 이장에서 論(논)하는 痹證(비증)
과도 分類(분류)되는 것이다.
《金匱》歷節(역절)
治療(치료) : 한, 습(寒濕) 위주 - 桂枝芍葯湯(계지작약탕),
烏頭湯(오두탕)
《諸病源候論-千金要方》方劑(방제) - 獨活寄生湯(독활기생탕)
《明代》主張統一病名 : 風痹(行痹), 寒痹(痛痹), 濕痹(着痹), 熱痹.
治療 : 分淸主次, 適當祛風, 除濕散寒,
外 行痹參以補血(血行風自滅), 痛痹參以補火,
着痹參以補脾補氣.
2) 병명참고(病名參考)
서의(西醫) : 풍습성관절염(風濕性關節炎), 유풍습성관절염(類風濕性關節炎), 좌골신경
통(坐骨神經痛), 골질증생성질병(骨質增生性疾病) → 경추병(頸椎病), 요추
증생(腰椎增生) 노연성관절병(老年性關節病). Arthritis, Gelenkrheuma-
timus.
3) 병인병기(病因病機)
內因 : 素体虛弱(소체허약), 正氣不足(정기부족), 腠理不密(주리불밀), 衛外不固(위외불
고) 等 內在因素(내재인소)
外因 : 風寒濕熱邪(풍한습열사) 乘虛侵入(승허침입), 人体以致(인체이치), 經絡閉阻(경
락폐조), 氣血運行不暢(기혈운행불창), 引起肌肉筋骨(인기기육근골) 關節疼痛(관
절동통), 麻木重着(마목중착), 屈伸不利(굴신불리) 等 症狀(증상)
⑴ 風寒濕邪(풍한습사) 侵入人体(침입인체) 居處潮濕(거처조습) 涉水冒雨(섭수모우) 氣
候急變(기후급변) 汗出當風(한출당풍), 冷熱交錯(냉열교착) → 風寒濕邪(풍한습사),
乘虛侵入人体(승허침입인체) 注于經絡(주우경락) 留于關節(류우관절) → 氣血痹阻
(기혈비조) → 痹證(비증) → 風痹(풍비), 寒痹(한비). 濕痹(습비)
⑵ 感受熱邪(감수열사) 혹 鬱久化熱(울구화열)
① 感受風熱之邪(감수풍열지사) 與濕合幷而致(여습합병이치) 風濕熱合邪爲患(풍습
열합사위환)
② 素体陽盛(소체양성) 內有溫熱(내유온열) → 邪留(사류) 肌膚筋骨之間(肌膚筋骨之
間(기부근골지간) → 使陽(사양)
③ 陰虛陽亢之體(음허양항지체), 感受外邪后熱化(감수외사후열화)
④ 風寒濕痹(풍한습비) 日久不愈(일구불유) 鬱而化熱(울이화열)
氣不得外運 氣血流通受阻 - → 日久鬱而化熱 → 閉阻經絡關節 → 熱痹
正氣不足 ┓→┏ 風寒濕邪 ┓→ 乘虛侵入人體 留注經絡關節 → ┏ 風邪偏盛 → 行痹
腠理空虛 ┛ ┗ 風濕熱邪 ┛ ┣ 寒邪偏盛 → 痛痹
┣ 濕邪偏盛 → 着痹
┃ ┃
┃ 鬱而 ↓ 化熱
┗ 熱邪偏盛 → 熱痹
만성비증에 출현하는 병리변화는 어떤 것이 있나(痹證日久易出現那些病理變化)
⑴ 풍한습비(風寒濕痺)와 열비(熱痺)가 오랫동안 낫지 않으면(風寒濕痹 與熱痹日久不
愈), 기혈순환(氣血循環)이 불창(不暢)하여 혈(血)이 멈추어 어(瘀)가 되고, 습(濕)이
응결(凝結)되어 담(痰)이 되는데(氣血主流不暢 血停爲瘀 濕凝爲痰), 이 어혈(瘀血)과
탁담(濁痰)이 외사(外邪)와 상합(相合)하여 경락(經絡) 사이를 가로막으면(瘀血痰濁
外邪相合 阻閉經絡), 피부에 어반(瘀斑)이 나타나게 되고, 관절주위에 결절(結節)이
형성되며 관절이 부어서 기형(畸型)이 되는데 이렇게 되면 굽히고 펼 수 없게 된다
(可出現皮膚瘀斑 關節周圍結節 關節腫大 畸型 屈伸不利等證)
⑵ 오랜 병으로 기혈(氣血)을 소모(消耗)되면 기혈(氣血)이 메마른 증후(證候)가 나타나
는데 마치 가슴이 두근거리고, 숨이 차며, 안색(顔色)이 밝지 못하다(病久 氣血耗傷
氣血虧虛的 證候, 如心悸, 氣短, 面色不華 等)
⑶ 비증이 오랜 동안 낫지 않고 있는 데다 痹症 외사(外邪)가 침습하게되고(日久不愈 復
感外邪), 병사(病邪)가 경락(經絡)을 따라 들어가 장부(臟腑)에 미치게되면 장부(臟
腑)에 상응하는 증후변화가 일어난다(病邪由經絡 病及臟腑相應臟腑的 變化證候),
그중에 심(心)과 비(脾)에서 항상 볼 수 있다(其中 心脾較爲常見) - 風濕性心臟病(풍
습성심장병)
4) 유사(類似)한 병증(病證) 감별(鑒別) 비증과 위증감별(痹證與痿證鑒別)
위증(痿證) : 살과 근육이 느슨하게 이완되고 연약해서 힘을 쓸 수가 없고, 오랜 동안 운
동을 하지 못하여 피부와 살이 시들어 위축(萎縮)된 병(病)이다(肌體筋脈
弛緩 軟弱无力 日久因不能 隨意運動 而肌肉萎縮的 一種病證) 위증(痿證)
은 지체관절(肢體關節)에 일반적으로 통증이 없다.
비증(痹證) : 근골(筋骨), 기육(肌肉), 관절(關節)의 산통(酸痛), 중착(重着), 굴신불리(屈
伸不利)를 위주(爲主)로 하는 임상특점(臨床特點)이 있다. 비증(痹證)은 동
통(疼痛)을 동반(同伴)한다.
5) 변증론치(辨證論治)
⑴ 변증요점(辨證要點)
① 辨風邪(변풍사) : 辨淸風寒濕痺 與熱痹的不同
熱痹(열비) : 關節紅腫(관절홍종), 灼熱疼痛爲特點(작열동통위특점)
風寒濕痹(풍한습비) : 雖有關節酸痛(수유관절산통) 但无局部紅腫灼熱(단무국부홍
종작열)
風痹(풍비) : 疼痛呈遊走性(동통정유주성) 以上肢肩背部多見(이상지견배부다견) -
行痹(행비)
寒痹(한비) : 疼痛部位固定(동통부위고정), 疼痛劇烈(동통극열), 遇寒痛劇(우한통
극) 遇熱痛感(우열통감) - 痛痹(통비)
濕痹(습비) : 酸痛(산통), 重着(중착), 濡腫(沒腫)爲主(유종(몰종)위주) 多發于下肢
(다발우하지), 腰膝爲主(요슬위주), 粘着重着(점착중착) - 着痹(착비)
② 辨新久虛實(변신구허실) : 新病多實(신병다실) 病初邪實爲主(병초사실위주) 病反
復發作(병발복발작) 多爲虛中挾實(다위허중협실) 病初病位(병초병위) 多在經絡
關節(다재경랃관절) 病久多累及臟腑(병구다루급장부)
③ 辨痰飮久病(변담음구병) : 關節腫大(관절종대) 按之發硬(안지발경) 疼痛劇甚則(동
통극심칙) 局部有瘀斑畸型(국부유어반기형) - 痰瘀的特徵(담어적특징)
☞ 多用葯虫類(다용약충류)
⑵ 治療要点(치료요점)
① 治療原則(치료원칙) : 祛風(거풍), 散寒(산한), 除濕(제습), 淸熱(청열), 通絡(통락)
② 辨證用葯基礎上(변증용약기초상) 應佐以益氣活血之品(응좌이익기활혈지 품), 氣
血運行通暢(기혈운행통창), 達到 痛痹的 目的(달도통비적목적)
③ 祛邪的同時(거풍적동시) 佐以補益肝腎(좌이보익간신) 强化筋骨之品(강화근골지
품) - 獨活寄生湯(독활기생탕)
④ 頑痹(완비(病程較久)병정교구)) 往往有痰瘀膠結(왕왕유담어교결) 應佐以祛瘀 化
痰之品(응좌이거담 화담지품)
⑤ 上肢痛(상지통) - 桂枝(계지), 羌活(강활), 桑枝(상지), 桔梗(길경), 麻黃(마황), 生姜
(생강), 威靈仙(위령선), 薑黃(강황), 川芎(천궁).
⑥ 下肢痛(하지통) - 牛膝(우슬), 川斷(천단), 獨活(독활), 防己(방기), 木瓜(목과), 萆薢
(비해)
⑦ 腰膝痛(요슬통) - 杜仲(두중), 川斷(천단), 狗脊(구척), 桑寄生(상기생), 淫羊藿(음양
곽), 巴戟天(파극천)
⑶ 證治分類(증치분류)
分類 : 風寒濕痹(풍한습비) - 行痹(행비), 痛痹(통비), 着痹(착비).
風濕熱痹(풍습열비) - 熱痹(열비).
6) 辨證施治(변증시치)
⑴ 風寒濕痹(풍한습비)
① 行痹 : 사지관절이 시큼시큼하며 아픈데, 아픈 자리가 고정된 것이 아니고 이곳저
곳 관절에서 관절로 옮겨 다니며, 굽히고 펼수 없다(肢體關節酸痛 遊走不
定 關節屈伸不利), 혹은 바람을 두려워하며 열이 나는 표증을 겸하기도 하
는데(或見惡風發熱), 설태는 적고 색은 희며, 맥은 부(浮)하다(苔薄白 脈浮)
행비(行痺)는 이런 증상(症狀)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풍사(風邪)에 침습(侵
襲) 되어서 생긴 병이기 때문에 풍비(風痺)라고도 한다.
治法 : 습사(濕邪)를 제거(除祛)하고 한사(寒邪)를 흩어버리며, 풍사(風邪)를 제거
(除祛)함으로 경락(經絡)을 소통(所通)시키는 거풍통락(祛風通絡), 산한제
습(散寒除濕)의 방법(方法)으로 치료(治療)한다.
方葯 : 방풍탕(防風湯) 가감(加减)
≒ 방풍(防風), 마황(麻黃) 당귀(當歸), 진교(秦艽), 계지(桂枝, 肉桂), 갈
근(葛根), 적복령(赤茯苓, 茯苓), 감초(甘草),
加减 - 减 : 행인(杏仁), 황금(黃芩), 독활(獨活, 羌活)
加 : 생강(生姜), 대조(大棗).
대증처방(對證處方)
㉠ 상지통(上肢痛) : 시큰거리는 산통(酸痛)이 상지(上肢)의 관절(關節)을 위주로
어깨와 팔이 아픈 환자는(酸痛以肩肘等 上肢關節爲主者) : 강
활(羌活), 백지(白芷), 위령선(威靈仙), 강황(姜黃), 천궁(川芎)
을 가미(加味)하여 풍사(風邪)를 제거(除祛)하고, 경락(經絡)을
소통(所通)시킴으로 해서 통증(痛證)을 멈추게 한다(祛風通絡
止痛).
㉡ 하지통(下肢痛) : 시큰거리는 산통(酸痛)이 하지(下肢)의 관절(關節)을 위주로
무릎과 발목이 아픈 환자(患者)는(酸痛以膝踝等下肢關節爲主
者) : 독활(獨活), 우슬(牛膝), 방기(防己), 비해(萆薢) 등을 가
미(加味)하여서 습사(濕邪)를 재거시키고 경락(經絡)을 소통
(所通)시켜서 통증을 멈추게 하는 통경활락(通經活絡)하고 거
습지통(祛濕止痛)하는 방법(方法)으로 치료(治療)한다.
㉢ 요배통(腰背痛) : 시큰거리는 산통(酸痛)이 허리와 등의 관절(關節,척추(脊椎))
을 위주로 아픈 환자(患者)는 대체로 신기(腎氣)가 부족(不足)
한 관계로 연유된 병증이다(酸痛以腰背關節爲主者-腎氣不足
有關) : 두중(杜仲), 상기생(桑寄生), 음양곽(淫羊藿), 파극천
(巴戟天), 속단(續斷) 등을 가미(加味)하여 신장(腎臟)의 양기
(陽氣)를 보충(補充) 시키어서 통증(痛證)을 멈추게 하는 것이
다.
㉣ 만약 망진(望診)에서 관절(關節)이 부어오르고, 설태(舌苔)는 적으며 색이 누런
황색이면 이는 사기(邪氣)가 열(熱)로 화(化)한 증상(證象)이므로(若見 關節腫大
苔薄黃 邪有化熱之象) 아래의 방을 응용한다.
계지작약지모탕(桂枝芍葯知母湯) 가감(加减)
≒ 계지(桂枝), 작약(芍葯), 지모(知母), 부자(附子), 마황(麻黃), 백
출(白朮), 감초(甘草), 방풍(防風), 생강(生薑), 감(减) 부자(附
子), 마황(麻黃), 생강(生姜), - 증상(症狀)에 따라 가미(加味)한
다.
② 통비(痛痺) : 사지관절(四肢關節)에 아픈 곳이 고정되고 참기어러웁게 몹시 아프
나(肢體關節疼痛較劇 痛有定處), 따뜻하게 해주면 통증이 감소하고,
어쩌다 차게하면 통증이 심(甚)해지고, 관절을 움직일 수 없다(得熱
痛减 遇寒痛增 關節不可屈伸). 환부(患部)의 피부색(皮膚色)은 붉지
않은 정상(正常)이고, 만져 보아도 열감(熱感)이 없다(局部皮色不紅
觸之不熱), 설태는 적고 색은 희며, 맥(脈)은 현긴(弦緊)하다(苔薄白
脈弦緊). 이는 한사(寒邪)가 침습(侵襲)하여 경락(經絡)을 가로막고 기
혈(氣血)의 소통(所通)를 조체(阻滯)시킴으로써 통증을 유발시킨 증
상으로 그 통증(痛症)이 몹시 심(甚)하다.
治法 : 풍사(風邪)와 습사(濕邪)를 제거시키고, 경락(經絡)을 따뜻이 하여 한
사(寒邪)를 흩어버리(溫經散寒 祛風除濕) 방법(方法)으로 치료(治療)
한다.
方葯 : 오두탕(烏頭湯) 가감(加减)
≒ 오두(烏頭), 마황(麻黃), 작약(芍葯), 감초(甘草), 황기(黃芪).
方解 - 烏頭(오두), 麻黃(마황) : 溫經散寒(온경산한), 除濕止痛(제습
지통).
芍葯(작약), 甘草(감초) : 緩急止痛(완급지통)
黃芪(황기) : 益氣固表(익기고표)
烏附麻辛桂姜湯(오부마신계강탕) 加减 ≒
≒ 천오(川烏), 부자(附子), 건강(乾姜), 마황(麻黃), 세신
(細辛), 계지(桂枝), 감초(甘草).
方解 - 川烏, 附子, 乾薑 : 溫經散寒止痛(온경산한지통)
麻黃, 細辛, 桂枝 : 散寒祛風除濕(산한거풍제습)
甘草 : 調和諸葯(조화제약)
③ 착비(着痺) : 사지관절(四肢關節)이 묵중하고 시큰거리는 산통(酸痛)이 있으며 혹
은 부어서 팽창한다(肢體關節重着 酸痛 或有腫脹). 아픈 자리가 고정
되고 수족이 가라앉는 듯이 무겁다(痛有定處 手足沉重). 활동이 불편
하고, 피부가 뻣뻣하고(活動不便 肌膚麻木 不仁). 설태는 색이 희고
끈끈하며, 맥(脈)은 유완(濡緩)하다(苔白膩 脈濡緩). 이런 증상은 습사
(濕邪)는 아래로 내려가는 특징이 있다. 때문에 경락(經絡)에 중착(重
着)하여 기혈운행(氣血運行)을 조체(阻滯)시키고 습(濕)이 담(痰)이
되어 위와 같은 증상(症狀)을 유발시킨다.
治法 : 풍한습(風寒濕)의 외감병사(外感病邪)에 감수(感受)된 병인만큼 풍사
(風邪)를 제거하고 한사(寒邪)를 흩어버리며 습사(濕邪)를 제거하여
경락(經絡)을 소통(所通)시키는(除濕通絡 祛風散寒) 방법(方法)으로
치료한다.
方葯 : 의이인탕(薏苡仁湯) 가감(加减)
≒ 의인(薏仁), 창출(蒼朮), 강활(羌活), 독활(獨活), 방풍(防風),
천오(川烏), 마황(麻黃), 계지(桂枝), 당귀(當歸), 천궁(川芎),
생강(生姜), 감초(甘草).
대증처방(對證處方)
㉠ 풍한습사(風寒濕邪)가 확실치 못한 환자(患者)(風寒濕不明確者)
견비탕(蠲痺湯) ≒ 강활(羌活), 독활(獨活), 해풍등(海風藤), 진교(秦艽), 계지(桂
枝), 당귀(當歸), 천궁(川芎), 유향(乳香), 목향(木香), 상지(桑
枝), 감초(甘草).
㉮ 풍사(風邪)가 기승(氣勝)한 자(風勝) : 백지(白芷)를 가미(加味)
㉯ 한사(寒邪)가 기승(氣勝)한 자(寒勝) : 부자(附子), 천오(川烏), 세신(細辛)을
가미(加味)하고
㉰ 습사(濕邪)가 기승(氣勝)한 자(濕勝) : 방기(防己), 비해(萆薢), 이인(苡仁)을
가미(加味)한다
⑵ 풍습열비(風濕熱痺)
관절(關節)에 동통(疼痛)이 있고, 환부(患部)를 불로 지지듯이 뜨겁고 벌겋게 부어오
른다(關節疼痛 局部灼熱紅腫). 서늘하게 해주면 통증은 약간 풀리고, 아파서 손을 댈
수 없다(得冷稍舒 痛不可觸). 이 병은 한군대의 관절 혹은 여러 군대의 관절에 발생
하는데 흔히 겸하여 나타나는 증상은 열이 나고, 바람을 두려워 하며, 목이 마르고,
초조해하며, 답답하고 불안해하는 등의 전신증상이 있으며, 설태는 누렇고, 건조하
며, 맥은 활삭(滑數)하다.(可病及一个或多个關節 多兼有 發熱 惡風 口渴 煩悶不安等
全身症狀 苔黃燥 脈滑數)
치법(治法) : 풍사(風邪)와 습사(濕邪)를 제거(除祛)하고, 사열(邪熱)을 청제(淸除)하는
(淸熱通絡 祛風除濕) 방법(方法)으로 치료(治療)한다.
방약(方葯) : 백호계지탕(白虎桂枝湯) 가감(加减)
≒ 석고(石膏)30, 지모(知母)9, 자감초(炙甘草)3, 갱미(粳米)6,
계지(桂枝)5-9, 은화등(銀花藤), 연교(連翹), 황백(黃柏), 해동
피(海桐皮), 강황(姜黃) 위령선(威靈仙), 방기(防己), 상지(桑
枝).
대증처방(對證處方)
㉠ 피부에 붉은 반점(斑点)이 있다(皮膚有紅斑)
모단피(牡丹皮), 생지(生地), 지부자(地膚子), 적작(赤芍)을 가(加) 한다.
㉡ 열비(熱痺)에 의하여 진액(津液)이 손상(損傷)됐을 때(熱痹化火傷津)
증견(證見) : 관절이 붉게 부어오르고, 극열한 통증이 있는데 밤에 더욱심하다(關
節紅腫 疼痛劇烈 入夜尤甚). 장열(壯熱)로 몹시 목이 마르며, 혀가 붉
고 진액(津液)이 적어 마른 편이다. 맥은 현삭(弦數)하다.(壯熱煩渴
舌紅少津 脈弦數)
치법(治法) : 열사(熱邪)를 청제(淸除)하며 해독(解毒)하고, 더운 피(血)를 식혀서
통증을 멈추게 하는 청열해독(淸熱解毒) 양혈지통(凉血止痛)의 방법
(方法)으로 치료한다.
방약(方葯) : 서각산(犀角散)
≒ 서각(犀角), 흑치(黑梔), 황련(黃連), 승마(升麻), 인진(茵陣).
가미(加味)
㉮ 음(陰)을 키워서 혈열(血熱)을 내리려면(養陰凉血) 생지(生地), 현삼(玄參), 맥동
(麥冬)을 가미(加味) 한다.
㉯ 열사(熱邪)와 습사(濕邪)가 함깨 있을 때 즉 습열(濕熱)의 사기(邪氣)는 항상 습
(濕)과 열(熱)을 분리해서 다스려야 한다. 때문에 습열(濕熱)을 청제(淸除) 하는
데는 습사(濕邪)를 제거(除祛)하고 열사(熱邪)를 청(淸)함으로 경락(經絡)이 소
통되어 통증이 멈추게 된다(淸熱除濕 通絡止痛). : 방기(防己), 강황(姜黃), 진교
(秦艽), 해동피(海桐皮)를 가미(加味)하면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
㉢ 각종 비증(痹症)이 좀처럼 호전(好轉)될 기미가 없는 것은 정기는 허하고 사기(邪
氣)는 연연(戀戀)한 탓으로 혈(血)이 경락(經絡)에 조체(阻滯)되어 어(瘀)가되고, 진
액(津液)이 응결(凝結)되어 담(痰)이 되어서 담어(痰瘀)가 경락(經絡)을 가로막아
비(痹)되기 때문이다(各種痹症遷延不愈 正虛邪戀 瘀阻于絡 津凝爲痰 痰瘀痹阻)
증견(症見) : 통증이 때로는 경(輕)하고, 때로는 중(重)하며, 관절은 부어 오르고, 심
지어 뻣뻣하게 마목(麻木)되고, 기형(畸型)으로 변하며, 관절을 굽히
고 펼 수 없게 된다(疼痛時輕時重 關節腫大 甚至强直畸型 屈伸不利).
혀는 검붉은 자색(紫色)이며, 설태(舌苔)는 희고 끈적끈적하며 맥(脈)
은 세삽(細澁) 하다(舌紫 苔白膩 脈細澁).
치법(治法) : 인체(人體)의 병리적(病理的) 산물(産物)인 담(痰)과 어(瘀)가 경락(經
絡)에 조체(阻滯)되어 발생(發生)한 비증(痹症)인 만큼 혈(血)과 진액
(津液)의 순행(循行)을 회복(回復)시킴으로 어(瘀)와 담(痰)을 제거(除
祛)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 풍사(風邪)를 다스려 막힌 경락(經
絡)부터 소통(所通)시켜야 함으로 수풍통락(搜風通絡) 화담거어(化痰
祛瘀) 하는 방법으로 치료한다.
방약(方葯) : 도홍음(桃紅飮)
≒ 도인(桃仁), 홍화(紅花), 천궁(川芎), 당귀미(當歸尾), 위령선(威
靈仙).
대증가미(對證加味)
㉮ 養血活血 化瘀通絡 : 加 천산갑(穿山甲), 지용(地龍), 지별충(地鱉虫).
㉯ 祛痰散結 : 加 백개자(白芥子), 담남성(膽南星).
㉰ 搜風通絡 : 加 전갈(全蝎), 오초사(烏梢蛇).
㉣ 오랜 동안 비증으로 풍한습사(風寒濕邪)만 제거(除祛)하다 보니 사기(邪氣)가 경
락(經絡)을 가로막아 관절(關節)에 나타나는 증상 외에 항상 반복되는 기혈부족
(氣血不足)으로 간(肝)과 신(腎)이 허(虛)하여 바싹 말라버리게 되는 증상이 나타
나는 때에는 사기(邪氣)를 제거(除祛)하는 동시에 응분(應分)한 보법(補法) 써야한
다. 이 같은 공보겸시(攻補兼施)는풍한(風寒)의 사기(邪氣)를 발산(發散)시켜서 흩
어 버리며 습사(濕邪)를 제거(除祛)하는 동시에 기혈(氣血)을 보(補)해서 간(肝)과
신(腎)의 음(陰)을 키우도록 해야 한다.(痹症日久 除風寒濕邪 閉阻經絡關節的症狀
外還常出現氣血不足及肝腎虧虛的症狀 此時應祛邪扶正 功補兼施 在祛風散寒除
濕的同時 加入補益氣血 滋陰肝腎)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가감(加减)
≒ 독활(獨活), 방풍(防風), 진교(秦艽), 세신(細辛), 육계(肉桂), 인삼(人
蔘), 복령(茯苓), 감초(甘草), 당귀(當歸), 천궁(川芎), 지황(地黃), 작약
(芍葯), 두중(杜仲), 우슬(牛膝), 상기생(桑寄生).
㉤ 오랜 비증(痹症)으로 사기(邪氣)가 심(心)에 들어간 경우(痹久內舍于心) 症見 : 가
슴이 두근거리는 심계(心悸)와 숨이 차고, 움직이면 아주 심해지는(氣短 動則尤
甚), 안색이 그리 밝지 못하고 설질은 담담하고, 맥은 허삭(虛數)하거나 혹은 결대
(結代)하다(面色少華 舌質淡 脈虛數 或結代)
治法 : 기(氣)를 일으켜서 심기(心氣)를 키우고, 따뜻한 양기(陽氣)로 심맥(心脈)을
회복시키는 익기양심(益氣養心) 온양복맥(溫陽復脈)의 방법(方法)으로 치
료한다.
方葯 : 자감초탕(炙甘草湯)
≒ 자감초(炙甘草)12, 생강(生姜)9, 인삼(人蔘)6, 생지황(生地黃)30,
계지(桂枝)9, 아교(阿膠)6, 맥동(麥冬)10, 마인(麻仁)10, 대조(大
棗)5-10枚. 청주(淸酒)7升 물(水)八升. 先 9味 煎湯 后阿膠烊化 1
日 三服 溫服
㉥ 痹症病程較久的抽掣疼痛(비증병정교구적추체동통) 肢體拘攣者(지체구련자)
常配(상배) - 地龍(지용), 全蝎(전갈), 蜈蚣(오공), 穿山甲(천산갑), 白花蛇(백화사),
烏梢蛇(오초사), 露蜂房(로봉방) 等具有
- 通絡止痛(통락지통), 祛風除濕(거풍제습)
常用葯(상용약)
1) 痹症見(비증견) - 發熱(발열), 關節紅腫(관절홍종), 伴有(반유) 低熱(저열), 骨蒸(골증) :
☆ 秦艽(진구).
2) 祛風濕(거풍습), 通經絡(통경락), 止痛作用(지통작용) 較强葯(교강약) :
☆ 威靈仙(위령선)
3) 祛風定痛(거풍정통), 强筋健骨(강근건골) : ☆ 虎骨(호골).
4) 風濕痹證(풍습비증) : ☆ 桑枝(상지)(最宜葯), 細辛(세신), 白鮮皮(백선피)(熱痹),
5) 熱痹的(열비적) 祛風濕(거풍습) : ☆ 防己(방기) - 水腫明顯者(수종명현자) 當選用(당선
용) - 祛風止痛(거풍지통), 利尿消腫(이뇨소종)
6) 祛風止痛(거풍지통) : ☆ 徐長卿(서장경)
7) 治痹痛(치비통), 頭痛(두통)적 最佳葯(최가약) : ☆ 川芎(천궁) - 活血行氣(활혈행기), 祛
風止痛(거풍지통) - 行氣止痛(행기지통), 祛風活血(거풍활혈)
8) 破血行氣(파혈행기), 通經止痛(통경지통), 又常用于(우상용우), 風寒濕痹之(풍한습비
지), 肩臂疼痛(견비동통) : ☆ 姜黃(강황)
9) 心腹暴痛(심복폭통), 又能用于(우능용우) 跌打損傷(질타손상) 및 痹證諸痛(비증제통)적
葯物(약물) : ☆ 麝香(사향)
配伍葯(배오약)
1) 金銀花(금은화) + 金銀藤(금은등) = 熱痹(열비) - 類似(유사) 關節紅腫斑(관절홍종반), 風
濕性關節炎(풍습성관절염) 有風 濕活動者(유풍습활동자)
2) 地黃(지황)60 + 淫羊藿(음양곽)30 = 頑固(완고)한 風濕性關節炎(풍습성관절염)으로 인
하여 抗生劑(항생제)를 大量(대량) 또는 過量(과량)
으로 사용하여 免疫功能(면역공능)이 억제를 받고,
機体(기체)의 抵抗力(저항력)이 떨어짐으로 腎虛證
(신허증) 功能紊亂(공능문란) 등 陰陽失調(음양실
조)를 나타낼 때
3) 丹皮(단피)10 + 丹參(단삼)15 = 熱痹(열비) - 關節紅腫熱痛(관절홍종열통)
4) 附子(부자)10 + 白芍(백작)15 = 痹症(비증) - 證屬寒濕爲患(증속한습위환)
5) 黃芪(황기)15 + 防己(방기)10 = 濕痹爲患(습비위환), 肢体沉重(지체침중), 麻木等證(마
목등증)
6) 羌活(강활)6 + 獨活(독활)10 = 疼痛(동통) - 風痹爲患(풍비위환) - 周身竄痛(주신찬통),
項背攣急(항배련급) 等症
7) 海風藤(해풍등)15 + 絡石藤(락석등)15 = 全身遊走性疼痛(全身遊走性疼痛(전신유주성
동통) - 風濕痹痛(풍습비통)
8) 破血行氣(파혈행기), 風寒濕痹之(풍한습비지) 肩臂疼痛(견비동통)
① 姜黃(강황) 加 羌活(강활), 桂枝(계지), 桑枝(상지)
中醫葯學(중의약학)
1) 風濕頑痹(풍습완비) : 蜈蚣(오공), 防風(방풍), 獨活(독활), 威靈仙(위령선).
2) 筋骨痹痛(근골비통) - 肝腎不足(간신부족), 風濕痹痛(풍습비통), 肢体麻木(지체 마목),
筋骨拘攣(근골구련) : 淫羊藿(음양곽) 單用酒浸(단용주침)
3) 兼見(겸견)
⑴ 筋骨痿軟(근골위연) 步履艱難(보이간난)
≒ 淫羊藿(음양곽), 杜仲(두중), 巴戟天(파천), 桑寄生(상기생). 燒酒(소주) (1:10) 沈
10天
4) 風濕痹痛(풍습비통)
羌活勝濕湯(강활승습탕)
≒ 羌活(강활), 獨活(독활) 各6, 藁本(고본), 防風(방풍), 炙甘草(자감초), 川芎(천
궁) 各3, 蔓荊子(만형자)2.
5) 風寒濕痹(풍한습비), 關節疼痛(관절동통), 四肢攣急(사지련급),
蠲痹湯(견비탕)
≒ 羌活(강활), 姜黃(강황), 當歸(당귀), 蜜炙黃芪(밀자황기), 赤芍(적작), 防風(방풍)
各9, 炙甘草(자감초)3, 生姜(생강)3.
金匱要略
1) 參照文
⑴ 허로 (虛勞)
2) 혈비(血痹)
⑴ 門曰 血痺病從何得之? 師曰 夫尊榮人骨弱肌膚盛 重因疲勞汗出 臥不時動搖加被微風遂得
之. 但以脈自微澁 在寸口關上小緊 宜針引陽氣 令脈和 緊去則愈.
血痹病(혈비병)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하고 물으니 醫師(의사)가 이르되 호화롭고 안일한
생활을 하는 사람은 살은 풍성하나 筋骨(근골)이 弱(약)하다, 이 같이 외견으로는 건강해
보이지만 체질이 약해서 땀을 흘리고 피곤해하면 견디기 어려워한다. 자리에 누어서(睡
眠中) 계속 몸을 뒤적이며 움직이는데 이때에 寒邪(한사)가 侵襲(침습)하게 되면 肌表(기
표)의 혈분에 風寒(풍한)의 邪氣(사기)가 凝滯(응체)하게 되고 이것이 血痹病(혈비병)을 일
으키는 원인이 된다. 患者(환자)가 원체 陽氣(양기)가 不足(부족)한 狀態(상태)에서 血痺病
(별비병)에 걸리면 陰血(음혈)도 不足(부족)하개 된다. 그 때문에 脈象(맥상)이 微澁(미삽)
하다. 또 風寒(풍한)의 侵襲(침습)을 받았기 때문에 寸口關上脈(촌구관상맥)이 小(소)하고
緊(긴)한 脈象(맥상)을 나타낸다. 治療(치료)에 있어서 針(침)으로 陽氣(양기)를 誘引(유
인)하고 氣血(기혈)을 圓滑(원활)하게 流通(유통)시키면 緊張(긴장)이 풀리게 되어 病(병)
은 治愈(치유)된다.
⑵ 血痹 陰陽俱微 寸口關上微 尺中小緊 外證身體不仁 如風痺狀 黃芪桂枝五物湯主之 血痺
病(별비병)의 환자는 陰血(음혈)과 陽氣(양기) 모두가 不足(부족)하며, 寸口(촌구) 關上(관
상)의 脈象(맥상)이 微脈(미맥)을 나타내고 尺中(척중)은 脈象(맥상)이 아주 작으나 緊(긴)
하다. 見體證候(구체증후)는 마치 風痹(풍비)처럼 痲痹(마비)되어 운동이 자유롭지 못한
症狀(증상)에는 黃芪桂枝五物湯(황기계지오물탕)으로 다스린다.
黃芪桂枝五物湯(황기계지오물탕)
≒ 黃芪(황기), 芍葯(작약), 桂枝(계지) 各三兩, 生姜(생강)六兩, 大棗(대조)十
二枚. 上六味를 물 六升으로 달여 二升에서 취하여 去滓하고 七合씩 一
日三回 溫服한다.
方解
黃芪(황기) : 陽氣(양기)를 流通(유통)시켜 血脈(혈맥)에 活力(활력)을 주어 痲痹(마비)를
푼다.
桂枝(계지), 芍葯(작약) : 血行(혈행)을 推動(추동)하여 澀滯(삽체)를 解消(해소)시키다.
生姜(생강), 大棗(대조) : 營氣(영기)와 衛氣(위기)를 調和(조화)시킨다.
§ 血痺病(혈비병)은 그 邪氣(사기)가 表(표)에 있기 때문에 生姜(생강)으로 宣通(선통)케 하
는데 그 量(량)을 일반적인 경우보다 倍加(배가)해야 한다. 이렇게 해서 氣(기)가 通(통)하
고, 血(혈)이 澀滯(삽체)하지 않으면 痹症(비증)은 사라진다.
⑶ 小結 : 血痹(혈비) ⑴과 ⑵는 血痹(혈비)의 症狀(증상), 脈象(맥상) 및 症候(증후)에 관해서
敍述(서술)했다. ⑴의 血痺病(별비병)은 그 部位(부위)가 比較的(비교적) 얕고, 寸口
關上(촌구 관상)의 脈象(맥상)이 緊脈(긴맥)으로 나타날 뿐이므로 針刺法(침자법) 만으로
도 治療가 가능하다.
그러나 ⑵는 病部位(병부위)가 비교적 깊고 尺脈(척맥)이 小緊(소긴)하고, 寸口脈(촌구맥)
과 關上脈(관상맥)은 모두 微脈(미맥)이므로 湯劑(탕제)로 調和(조화) 補充(보충)하지 않
으면 안 된다.
⑷ 亦治血痹《千金》 - 《金匱要略》肺癰治療(폐옹치료) 處方(처방)
局部性(국부성) 肌膚麻木不仁(기부마목불인) 微脈(미맥) - 表陽虛(표양허), 澁爲氣血凝滯
(삽위기혈응체), 小緊(소긴) - 稍緊之意(초긴지의) - 邪氣較亢盛(사기교항성) 感受風邪之
意(감수풍사지의)
桔梗湯(길경탕)《金匱要略》
≒ 桔梗(길경)一兩, 甘草(감초)二兩. 上二味 以水三升 煮取一升 分溫再服 則吐膿血
也. 方解 ≡ 桔梗(길경) : 肺癰(폐옹)을 治愈(치유)하고, 痰(담)을 除去(제거)하며 膿
(농)을 排除(배제)한다. 甘草(감초) : 解毒(해독)하고, 熱(열)을 내리므로 心火(심화)
를 瀉(사)할 수 있다.
傷寒論(상한론)
痹證(비증)
四肢關節冷症(사지관절냉통)을 參照(참조)하라
1) 枳實薤白桂枝湯(지실해백계지탕) : 胸痹(흉비)와 痰氣(담기)의 互結(호결)이 비교적
甚(심)하고 胸中痞滿(흉중비만)과 동시 逆氣(역기)가 脇下(협하)에
서 心(심)으로 上冲(상충)되는 者(자)를 治療(치료)
2) 瓜蔞薤白白酒湯(과루해백백주탕) : 胸痹(흉비)에서 痰濁(담탁)이 비교적 가벼운者
3) 瓜蔞薤白半夏湯(과루해백반하탕) : 胸痹(흉비)에서 痰濁(담탁)이 비교적 盛(성)한 者
痛痹(통비) : 氣血虛(기혈허)
方 : 人參(인삼)10, 黃芪(황기)15, 茯苓(복령)15, 甘草(감초)5, 澤瀉(택사)10, 木瓜(목
과)15, 羌活(강활)10, 枸杞子(구기자)10, 山茱萸(산수유)10, 杜仲(두중)15, 天麻
(천마)10, 白芍(백작)15, 當歸(당귀)10, 丹皮(단피)5, 肉桂(육계)5, 桑枝(상지)15.
熱痹(열비)
1) 關節紅腫疼痛(관절홍종동통) - 丹參(단삼), 忍冬藤(인동등), 赤芍(적작), 秦艽(진교), 桑
枝(상지). 淸熱消腫(청열소종), 祛瘀通絡(거어통락).
2) 風濕痹痛(풍습비통)
① 拘攣麻木(구련마목) : 馬錢子(마전자), 麻黃(마황), 蒼朮(창출), 全蝎(전갈), 姜蚕(강
잠), 乳香(유향), 沒葯(몰약).
② 筋脈攣急(근맥련급) : 蔓荊子(만형자), 防風(방풍), 秦艽(진교), 木瓜(목과).
3) 風寒濕痹(풍한습비)
蠲痹湯(견비탕) ≒ 防風(방풍), 羌活(강활), 當歸(당귀).
- 關節疼痛(관절동통), 四肢攣急(사지련급)
4) 風寒臂痛(풍한비통) 및 陰疽(음저), 痰核(담핵) : 麻黃(마황), 附子(부자).
5) 許竹松(허죽송) 主任敎授(주임교수)
方 : 川烏(천오)5, 麻黃(마황)10, 白芍(백작)6, 酒歸(주귀)10, 地龍(지용)10, 木瓜(목
과)10, 甘草(감초)5.
特講 : 延邊 長白病院 院長 李萬馥 先生 (98. 07. 29.)
行痹(행비) : 舌苔薄(설태박) 脈浮(맥부)
治法 : 祛風止痛(거풍지통)
方葯 : 防風湯(방풍탕)
≒ 防風(방풍), 當歸(당귀), 茯苓(복령), 杏仁(행인), 秦艽(진구), 葛根(갈
근), 羌活(강활), 桂枝(계지).
痛痹(통비) : 得熱則舒(득열칙서) 遇冷則加劇(우냉칙가극) 苔白(태백), 脈弦緊(맥현긴)
治法 : 祛風散寒(거풍산한)
方葯 : 烏頭湯(오두탕)
≒ 麻黃(마황), 芍葯(작약), 黃芩(황금), 川烏(천오), 甘草(감초).
着痹(착비) : 肌膚麻木不仁(기부마목불인), 肢体關節(지체관절) 重着腫痛(중착종통) 痛處
固定不移(통극고정불이), 脈浮濡緩(맥부유완)
治法 : 祛風除濕(거풍제습)
方葯 : 薏苡湯(의이탕) ≒ 薏仁(의인), 芍葯(작약), 當歸(당귀), 麻黃(마황), 桂枝(계
지), 蒼朮(창출), 甘草(감초).
熱痹(열비) : 經絡蓄熱(경락축열), 寒濕鬱久化熱(한습울구화열)
主證 : 關節紅腫熱痛(관절홍종열통), 得冷痛减(득냉통감), 身熱惡風(신열오풍), 苔
黃(태황), 脈滑數(맥활삭), 甚則壯熱(심칙장열), 口渴煩悶(그갈번민), 關節紅
腫灼熱(관절홍종작열), 苔黃粘(태황점) 舌質見絳(설질견강(眞紅)), 脈弦(맥
현) 大數(대삭), ☆ 寒化熱(한화열) 濕化火(습화화)
治法 : 疏風淸熱(소풍청열)
方葯 : 桂枝白虎湯(계지백호탕)
≒ 石膏(석고), 知母(지모), 甘草(감초), 粳米(갱미), 桂枝(계지).
重證 : 千金犀角散(천금서각산)
≒ 犀角(서각)(牛角 50g + 升麻), 梔子(치자), 黃芩(황금), 羚羊角(영
양각), 前胡(전호), 大黃(대황), 升麻(승마), 射干(사간), 豆豉(두
시).
濕熱下注(습열하주) 二妙丸(이묘환) ≒ 蒼朮(창출), 黃柏(황백).
痹證鑒別不明確(비증감별불명확)
三痹湯(삼비탕)
≒ 續斷(속단), 杜仲(두중), 防風(방풍), 桂心(계심), 細辛(세신), 人參(인삼), 白茯苓(백
복령), 當歸(당귀), 白芍(백작), 黃芪(황기), 牛膝(우슬), 甘草(감초) 各5, 秦艽(진교),
生地黃(생지황), 川芎(천궁), 獨活(독활)各3, 加 生姜(생강).- 水煎服(수전복)
主方葯(주방약) : 五加皮(오가피), 木瓜(목과), 牛膝(우슬), 威靈仙(위령선) 各量 10-15g
1) 五加皮(오가피) : 痹症(비증) 痿症(위증)
2) 木瓜(목과) : 舒筋活絡(서근활락) 作用好(작용호)
3) 牛膝(우슬) : 十二經(십이경) 疏通葯(소통약) - 肝腎虛(간신허), 結石(결석)
4) 威靈仙(위령선)
Hozzászólás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