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돈 (奔豚氣) 305
奔豚氣是(분돈기시) 自覺有氣自少腹上冲胸咽部(자각유기자소복상충흉인부), 而出現煩
亂不安(이출현번란불안), 痛苦難忍(통고난인), 或頭暈自眩(혹두운자현), 腹痛(복통), 臍下
悸動的(제하계동적) 一種發作性病證(일종발작성병증). 多見于中年男女(다견우중년남
여), 發作后如常人(발작후여상인). 本病的發生(본병적발생), 多因精神刺激(다인정신자
격), 肝氣鬱滯(간기울체); 或大卒驚恐(혹대졸경공), 損傷心腎(손상심신), 或誤治(혹오치),
久病傷及陽氣所致(구병상급양기소치), 與肝(여간), 心(심), 腎關系密切(신관계밀절), 肝爲
剛臟(간위강장), 体陰而用陽(체음이용양), 素体肝旺(소체간왕) 或受精神刺激致肝氣(혹수
정신자격치간기) 鬱滯化火(울체화화), 火性炎上(화성염상), 挾氣冲上(협기충상), 發爲奔
豚氣(발위분돈기). 心屬火(심속화), 腎主水(신주수), 心火下煦于腎(심화하후우신), 腎水不
寒(신수불한), 腎水上濟于心(신수상제우심), 心陽不亢(심양불항). 若過度驚恐(약과도경
공), 或誤治(혹오치), 久病而致心腎之陽被耗傷(구병이치심신지양피모상), 則心火難以(칙
심화난이) 下煦腎陽(하후신양), 腎陽難以(신양난이) 蒸化水液(증화수액), 水寒之氣(수한
지기) 停于下焦(정우하초), 上凌于心(상능우심), 扰及心神(우급심신), 亦可致奔豚氣發生
(역가치분돈기발생). 因本病主要爲冲氣上逆所致(인본병주요위충기상역소치), 故平降冲
逆爲基本治法(고평강충역위기본치법), 幷根据病證之寒熱不同(병근거병증지한열부동),
而分別配以平肝淸熱(이분별배이평간청열), 溫陽化飮之治法之(온양화음지치법지).
辨證要点(변증요점)
本病當辨淸(본병당변청) 主證及兼證(주증급겸증). 發作時(발작시) 逆氣自少腹冲上(역기
자소복충상), 病勢突然(병세돌연), 痛苦難忍(통고난인), 而逆氣平復則宛如常人(이역기평
복칙완여상인), 爲本病主證(위본병주증). 若見急躁易怒(약견급조이노), 胸脇脹痛(흉협창
통), 素体情志抑鬱者(소체정지억울자), 多爲肝鬱化火之證(다위간울화화지증); 若見臍下
悸動(약견제하계동), 而后逆氣上冲(이후역기상충), 幷有形寒肢冷(병유형한지냉), 少腹冷
痛拘急者(소복냉통구급자), 多爲心腎陽虛(다위심신양허).
辨證施治(변증시치)
1) 肝鬱化火(간울화화), 冲氣上逆(충기상역)
證狀 : 素体肝旺(소체간왕), 情志抑鬱(정지억울), 發作時(발작시), 自覺氣從小腹上冲胸
部(자각기종소복상충흉부), 直達咽喉(직달인후), 胸脇悶脹(흉협민 창), 煩亂欲死
(번난욕사), 頭暈目眩(두운목현), 言語失常(언어실상), 或伴 腹痛(혹반복통), 精神
緊張(정신긴장), 胸脇悶塞(흉협민색), 噯氣后减輕(애 기후감경), 發作后如常人(발
작후여상인), 舌淡紅(설담홍), 苔薄黃(태박 황), 脈弦數(맥현삭).
治法 : 淸肝緩急(청간완급), 平冲降逆(평충강역).
方葯 : 奔豚湯(분돈탕)
≒ 李根白皮(이근백피), 葛根(갈근), 黃芩(황금), 當歸(당귀), 川芎(천 궁), 白
芍(백작), 半夏(반하), 生姜(생강), 甘草(감초).
加减 - ① 諸葯合用(제약합용), 可淸肝緩急(가청간완급), 平冲降逆而不傷胃(평충 강역
이불상위).
② 若伴頭暈目眩者(약반두운목현자) :
加 鉤藤(구등),菊花(국화),石決明(석결명).-淸頭目(청두목),平肝降逆(평간강역)
③ 胸脇滿痛者(흉협만통자) :
加 旋覆花(선복화), 橘葉(귤엽),- 理氣調肝(리기조간)
④ 腹痛甚者(복통심자) :
加 川楝子(천련자), 元胡(원호).- 舒肝理氣止痛(서간리기지통)
⑤ 神情憂鬱者(신정우울자) :
加 合歡皮(합환피), 鬱金(울금).- 開鬱舒肝(개울서간)
⑥ 噯氣者(애기자) :
加 竹茹(죽여), 枇杷葉(비파엽).- 淸胃降逆(청위강역)
2) 心腎陽虛(심신양허), 寒氣上冲(한기상충)
證狀 : 臍下悸動后(제하계동후) 旋卽氣從少腹(선즉기종소복) 上冲心胸而達咽喉 (상충
심흉이달인후), 煩亂欲死(번난욕사), 幷見少腹冷痛拘緊(병견 소복냉 통구긴), 平
素形寒肢冷(평소형한지냉), 舌苔白滑(설태백활), 脈弦緊(맥현 긴).
治法 : 溫陽化飮(온양화음), 平肝降逆(평간강역)
方葯 : 桂枝加桂湯(계지가계탕)
≒ 桂枝(계지), 白芍(백작), 附子(부자), 生姜(생강), 炙甘草(자감 초), 大棗
(대조).
加减 - ① 本方爲(본방위) 桂枝加桂湯(계지가계탕) 加 附子(부자) 而成(이성)
② 若見手足逆冷者(약견수족역냉자): 加 炮姜(포강).- 溫中助陽(온중조양), 使陽
達四末(사양달사말).
③ 小腹冷痛拘急者(소복냉통구급자) :
加 小茴香(소회향), 烏葯(오약), 橘核(귤핵).- 溫經散寒(온경산한) 止痛(지통).
驗方單方(험방단방)
1) 奔豚氣(분돈기) : 肝氣鬱結(간기울결)
處方 : 平豚湯(평돈탕)
≒ 代赭石(대자석)30, 旋覆花(선복화), 甘草(감초),川芎(천궁), 當歸(당 귀),
半夏(반하), 生葛根(생갈근), 芍葯(작약), 生姜(생강) 各10.
- 水煎服(수전복) 每日(매일) 1 劑(제).
2) 寒氣上逆(한기상역) 奔豚氣(분돈기)
處方 : 奔豚丸(분돈환)
≒ 煨川楝子(외천련자)30, 茯苓(복령)45, 橘核(귤핵,鹽水炒)45, 肉桂(육 계)9,
炮附子(포부자), 吳茱萸(오수유)15, 煨荔枝核(외려지핵)24, 小 茴香(소회
향), 木香(목향)21. 熬砂糖爲丸(오사당위환), 每服(매복)9, 淡鹽湯送下(담
염탕송하)
3) 昏亂(혼난) 四肢軟弱不收者(사지연약불수자)
處方 : 磁石散(자석산)
≒ 磁石(자석), 木香(목향), 檳榔(빈낭), 肉荳蔲(육두구) 各30. 共爲末(공위
말), 葱白酒下(총백주하)6, 每日(매일) 2 服(복).
4) 寒氣上逆(한기상역) 奔豚(분돈) - 腹痛難忍者(복통난인자)
證狀 : 胡蘆巴丸(호로파환)
≒ 炒茴香(초회향)90, 白丑頭末(백축두말)60, 炙川烏(자천오), 巴戟天 (파
극천), 吳茱萸(오수유) 各45, 川楝子(천련자), 胡蘆巴(호로파) 各30.
- 共爲細末(공위세말), 酒糊爲丸(주호위환), 如梧子大(여오자대). 空腹酒
下(공복주하), 每服(매복) 6∼9 丸(환) 3. 임상 (臨床)
5) 분돈기(奔豚氣).- 기종소복상충우심(氣從少腹上冲于心) 심계불안(心悸不安)
方 : 계지가계탕(桂枝加桂湯)《傷寒論》온리제(溫里劑)
6) 분돈증(奔豚證).- 병자자각(病者自覺) 유기종소복(有氣從少腹) 상충인후(上冲咽喉) 발
작욕사(發作欲死) 경계불령(驚悸不寧) 오문인성(惡聞人聲) 기환칙지
(氣還則止) 발작무시(發作无時) 맥현(脈弦).
方 : 분돈탕(奔豚湯)《金匱要略》리기제(理氣劑)
7) 허한성(虛寒性) 분돈증(奔豚證).- 자각유기종소복(自覺有氣從少腹) 상충인후(上冲咽
喉) 형한지냉(形寒肢冷) 맥현긴(脈弦緊) 설담태백(舌淡苔白)
方 : 분기탕(奔氣湯)《千金方》리기제(理氣劑)
8) 하초한허(下焦寒虛) 간기협한(肝氣挾寒) 상역소치(上逆所致)적 분돈기(奔豚氣) 병인자
각(病人自覺) 기상충흉인(氣上冲胸咽) 형한지냉(形寒肢冷) 태백(苔白) 맥현긴(脈弦緊).
方 : 분돈환(奔豚丸)《醫學心悟》리기제(理氣劑)
9) 상한(傷寒) 한후심양허(汗后心陽虛) 욕작분돈(欲作奔豚).- 발한후(發汗后) 기인(其人)
제하계동(臍下悸動) 욕작분돈(欲作奔豚) 소변불리(小便不利)
方 : 복령계지감초대조탕(茯苓桂枝甘草大棗湯)《傷寒論》거담제(祛痰劑)
참조문(參照文) 1) 현벽(痃癖)과 구별 할 것
金匱要略(금궤요략)
奔豚(분돈)은 賁豚(분돈)이라고도(賁은 빨리 달린다는 뜻)이라고도 적으며, 가장 빠른 것은 靈樞․邪氣臟腑病形篇』에 보인다. 豚(돈)은 㹠(돈)이라고도 적고, 『難經․五十六難』은 奔豚(분돈)을 五積(오적)의 하나로 들어「腎之積(신지적) 名曰奔豚(명왈분돈)」이라 敍述(서술)하고 있다. 奔豚(분돈)의 發病(발병)은 肝經(간경)과 密接(밀접)한 關系(관계)가 있으며 發作(발작)이 일어날 때에는 氣(기)의 덩어리가 上部(상부)로 치밀고 發作(발작)이 멈추면 氣(기)의 덩어리는 消减(소감)해 버리므로 奔豚氣(분돈기)라고도 한다.
1) 師曰 病有奔豚 有吐膿 有驚怖 有火邪 此四部病皆從驚發得之.(108)
선생이 말하기를 疾病(질병)가운데는 奔豚(분돈), 吐膿(토농), 驚怖(경포), 火邪(화사)가 있는
데 이들은 모두 무서워 떠는 데에서 일어난다고 하였다.
2) 師曰 奔豚病從少腹起 上衝咽喉 發作欲死 復還止 皆從驚恐得之.(109)
선생이 말하기를 奔豚病(분돈병)의 發作(발작)이 일어날 때에는 氣(기)가 小腹部(소복부)에
서 일어나 上方(상방)으로 치밀고 올라가 목구멍에 이르는 感(감)이 있으며, 발작이 일어날
때에는 患者(환자)는 마치 죽는 구나 여길 만큼 고통이 심하다. 그러나 발작이 지나가면 보통
의 사람과 똑같이 된다. 이 疾病(질병)은 모두 무서워 떠는 등 精神的(정신적) 打擊(타격)에서
일어나는 것이다.
3) 奔豚氣上衝胸 腹痛 往來寒熱 奔豚湯 主之.(110)
奔豚(분돈)의 발작이 일어날 때에는 上逆(상역)의 氣(기)가 胸部(흉부)까지 치밀어 올라가고
동시에 腹痛(복통), 惡寒(오한)과 熱(열)이 차례로 나타나는 등 症狀(증상)이 있다. 이 경우에
는 奔豚湯(분돈탕)으로 다스린다. 奔豚湯(분돈탕) ≒ 甘草(감초), 芎藭(궁궁), 當歸(당귀) 各二
兩, 半夏(반하)四兩, 黃芩(황금) 二兩, 生葛(생갈)五兩, 芍葯(작약)二兩, 生薑(생강)四兩, 甘李
根白皮(감이근백피, 桑白皮)一升. 上九味를 물 二斗로 달여 五升에서 取하고, 晝三夜一 一升
씩 溫服한다. 方解 ≡ 이 處方(처방)은 往來寒熱(왕래한열)이 없는 患者(환자)에게 사용해도
된다. 當歸(당귀), 芍葯(작약), 芎藭(궁궁) : 血(혈)을 中和(중화)하고 腹痛(복통)을 멈추게 한
다. 黃芩(황금), 葛根(갈근) : 熱(열)을 除去(제거))한다. 生姜(생강), 半夏(반하) : 胃(위)를 튼튼
하게 하고, 上逆(상역)하는 氣 (기)를 下降(하강)시키고 甘草(감초) : 胃氣(위기)를 調和(조화)
시키고 초조감을 緩和(완화) 시킨다. 李根皮(이근피) : 熱(열)을 내리고, 上逆(상역)의 氣(기)
를 降下(강하) 시키며, 奔豚氣(분돈기)를 治愈(치유)한다.
4) 發汗後 燒針令其汗 針處被寒 核起而赤者 必發奔豚 氣從少腹上至心 灸其核上各一壯 與桂
枝加桂湯 主之.(111)
이 患者(환자)는 원래 太陽病(태양병)에 걸려 있는 者(자)다. 發汗后(발한후) 다시 燒針(소침)
으로 發汗(발한)시켰던바 이미 노출된 燒針(소침) 個所(개소)의 皮膚(피부)를 통해 寒邪(한사)
가 침입하여 皮膚(피부)가 빨갛게 부어올랐다.
이 경우에는 奔豚症(분돈증)이 일어날 가능성이 농후하다. 그 중요한 症狀(증상)은 氣(기)가
小腹部(소복부)에서 心窩部(심와부)로 치밀어 오른다.
治療方法(치료방법)으로는 붉은 核狀(핵상)의 腫氣(종기) 위에 뜸을 一壯(일장)씩 뜨고 동시
에 桂枝加桂湯(계지가계탕)으로 主治(주치)하도록 한다.
桂枝加桂湯(계지가계탕)
≒ 桂枝(계지)五兩, 芍葯(작약)三兩, 炙甘草(자감초)二兩, 生薑(생강)三兩, 大棗(대
조)十二枚.
上五味(상오미)를 물 七升(칠승)에 넣고 약한 불로달여 三升(삼승)에서 去滓(거
재) 한후 一升(일승)씩 溫服(온복)한다.
方解 ≡ 이 處方(처방)은 寒性(한성)에 속하는 奔豚氣(분돈기)를 다스릴 수 있으나 燒針(소침)
으로 因(인)한 奔豚氣(분돈기)는 적용되지 않는다.
桂枝(계지) : 寒邪(한사)를 消散(소산,흩으고)하고, 甘草(감초),
大棗(대조) : 胃氣(위기)를 中和(중화)시키고, 초조감을 緩和(완화, 安神)시킨다.
生薑(생강) : 胃(위)를 健康(건강)하게 하며, 上逆(상역)하는 氣(기)를 降下(강하)시키
다.
5) 發汗候 臍下悸者 欲作奔豚 茯苓桂枝甘草大棗湯 主之.(112)
發汗后(발한후), 患者(환자)가 臍下(제하)에 動悸(동계)를 느낀다면 그것은 奔豚病(분돈병)이
곧 일어날 前兆(전조)이므로 茯苓桂枝甘草大棗湯(복령계지감초대조탕)으로 다스려야 한다.
茯苓桂枝甘草大棗湯(복령계지감초대조탕)
≒ 茯苓(복령)半斤, 炙甘草(자감초)二兩, 大棗(대조)十五枚, 桂枝(계지)四兩.
上四味(상사미) 가운데 우선 茯苓(복령)을 甘瀾水(감란수) 一斗로 달여 八
升(팔승)에서 取(취)하고, 나머지 葯物(약물)을 넣고 계속 달여 三升(삼승)
에서 去滓(거재)한 다음 一升(일승)씩 一日三回(일일삼회) 溫服(온복)한
다.
☆ 甘瀾水(감란수) 만드는 법 :
二斗(이두)의 물을 큰 동이(盆)에 넣고 쪽박으로 떠낸다. 水面(수면)에 거
품이 무수히 생길 때까지 몇 번이고 떠내어서 사용한다.
方解 ≡ 茯苓(복령), 桂枝(계지), 甘草(감초), 大棗(대조) : 上逆하는 氣(기)를 降下(강하)시키며,
水氣(수기)를 下降(하강)시킨다.
甘瀾水(감란수) : 流通(유통)시켜서 澀滯(삽체)하지 않고, 水氣(수기)를 下降(하강)시
켜서 上逆(상역)을 막는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