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臨床 162 / 眼科雜病 3. 明目(명목)

Autorenbild: 서선영서선영


명목 (明目)

1. 參照文

1) 목암(目暗) 參照

2) 목예(目翳) 參照

3) 시력감퇴(視力减退)

2. 常用葯(상용약)

1) 菊花(국화), 甘草(감초), 菟絲子(토사자), 艾子(애자)(要葯)

2) 平肝潛陽(평간잠양), 明目作用(명목작용)적 葯物(약물) : ☆ 石決明(석결명) - “明目之要

葯(명목지요약)” - 肝火目赤(간화목적)

3) 潤腸通便(윤장통변) 又能(우능) 淸肝明目(청간명목) : ☆ 決明子(결명자)

4) 平肝(평간), 疏肝(소간), 祛風明目(거풍명목), 葯物(약물) : ☆ 白蒺藜(백질려)

5) 補陽益陰(보양익음), 固精縮尿(고정축뇨), 明目(명목), 止瀉 : ☆ 菟絲子(토사자)

6) 養肝明目(양간명목)

① 沙苑子(사원자) + 菟絲子(토사자) - 都具有的功效(도구유적공효)

② 茺尉子(충위자, 益母草씨), 靑霜子(청상자), 決明子(결명자)

7) 收濕生肌(수습생기), 明目退翳(명목퇴예) : ☆ 爐甘石(로감석)

8) 潛陽安神(잠양안신), 聰耳明目(총이명목), 納氣平喘(납기평천) : ☆ 磁石(자석)

3. 配伍葯(배오약)

1) 淸肝明目(청간명목) : 肝火上炎(간화상염), 肝經風熱(간경풍열)

① 決明子(결명자), 夏枯草(하고초), 梔子(치자), 桑葉(상엽), 菊花(국화)

2) 大黃(대황)10 + 蟅虫(자충)6 = 兩目黯黑(양목암흑) - 或有潮熱(혹유조열)

4. 臨床(림상)

1) 代表方(대표방)

① 視力减退證(시력감퇴증)

㉠ 石斛夜光丸(석곡야광환)

≒ 天門冬(천문동), 人參(인삼), 茯苓(복령) 各60, 熟地(숙지), 生地(생지),

麥門冬(맥문동) 各30, 菊花(국화), 菟絲子(토사자), 枸杞子(구기자),

石決明(석결명) 各 杏仁(행인), 山葯(산약), 牛膝(우슬), 五味子(오미

자) 各23, 蒺藜(질려), 肉蓗蓉(육종용), 川芎(천궁), 炙甘草(자감초), 枳

殼(지각), 靑霜子(청상자), 防風(방풍), 天黃蓮(천황련), 烏犀角(오서

각), 石斛(석곡) 各15.

2) 辨證施治(변증시치)

⑴ 肝(간)이 風熱(풍열)을 받으면 肝血(간혈)이 損傷(손상)됨으로써 눈이 붉게 充血(충

혈)되고 眼球(안구)에 疼痛(동통)도 느껴진다. 또한 눈동자가 지나치게 疲勞(피로)할

때도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런 때에 쓰면 좋다.

洗肝明目湯(세간명목탕)

≒ 當歸(당귀), 川芎(천궁), 芍葯(작약, 적작), 黃連(황련), 生地(생지), 黃芩

(황금), 梔子(치자), 石膏(석고), 連翹(연교), 防風(방풍), 荊芥(형개), 薄荷

(박하), 蔓荊子(만형자), 羌活(강활), 白蒺藜(백질려),甘菊(감국), 草決明

(초결명), 桔梗(길경), 甘草(감초) 各2. - 水煎(수전) 食后服(식후복)

加减 - ① 减 石膏(석고), 加 柴胡(시호) - 할 수 있다.

② 充血(충혈) 甚(심) : 加 草龍膽(초용담)

③ 頭痛(두통) : 加 白芷(백지)

④ 便秘(변비) 或 生理痛(생리통) : 加 大黃(대황)

⑵ 눈이 疲困(피곤)하고 視力(시력)이 떨어질 때, 사물이 분명하게 보이지 않고 眼花(안

화)가 나타나고, 특히 눈이 흐려지면서 어지럽고 메스꺼우며 눈꺼풀의 경련이 자주

일어 날 때

半夏白朮天麻湯(반하백출천마탕)

≒ 半夏(반하), 陳皮(진피), 麥芽(맥아) 各6, 白朮(백출), 神曲(신곡) 各4,

蒼朮(창출), 人參(인삼), 黃芪(황기), 白茯苓(백복령), 天麻(천마), 澤

瀉(택사) 各2, 乾姜(건강)1.2, 黃連(황련)0.8, 生姜(생강)5片. - 水煎

(수전) 食前服(식전복)

⑶ 疲勞(피로)로 인해 氣力(기력)이 極度(극도)로 衰弱(쇠약)해져 視野(시야)가 흐리고

무엇을 注視(주시)하고 있으면 눈에 極甚(극심)한 疲勞(피로)가 느껴지며 눈꺼풀의

힘이 빠져 저절로 감기는 증상이 있을 때

補中益氣湯(보중익기탕)

≒ 人參(인삼), 黃芪(황기), 白朮(백출), 甘草(감초) 各6, 當歸身(당귀신), 陳

皮(진피) 各2, 升麻(승마), 柴胡(시호) 各1.2.

- 水煎(수전), 食間溫服(식간온복)

⑷ 눈이 뻑뻑하고 어지러우며 귀까지 울리는 증상이 있을 때 또 허리와 다리에 힘이 빠

지면서 손발이 화끈거리고 진땀도 나며 입도 마를 때 쓰는 처방이다.

左歸飮(좌귀음)

≒ 酒蒸熟地黃(주증숙지황), 酒浸乾枸杞子(주침건구기자), 山葯(산약), 山茱萸

(산수유) 各8, 白茯苓(백복령)6, 炙甘草(자감초)4.

- 하루에 2 첩을 달여 空腹(공복)에 3회로 分服(분복)한다.

⑸ 肝腎虛弱(간신허약)으로 눈이 침침하며, 視力障碍(시력장애), 飛紋症(비문증) 冷流

泪症(냉유루증)이 있을 때

明目壯水湯(명목장수탕)

≒ 沈乳乾黃柏(침유건황백), 沈乳乾知母(침유건지모) 各10, 酒洗熟地黃(주

세숙지황), 酒洗乾地黃(주세건지황), 天冬(천동), 麥冬(맥동), 山茱萸(산

수유), 甘菊(감국), 枸杞子(구기자) 各8, 牛膝(우슬), 人參(인삼), 當歸(당

귀), 五味子(오미자), 菟絲子(토사자), 白茯神(백복신), 山葯(산약), 澤瀉

(택사), 牡丹皮(모단피) 各4, 白豆蔲(백두구)1.2.

- 원방의 용량을 10배로써 10일간 복용하라 했다. 위의 葯劑(약제)를 1

일분으로 하여 10일간 水煎三服(수전삼복)한다.

⑹ 肝鬱(간울)로 눈이 흐리고 잘 보이지 않을 때

抑淸明目湯(억청명목탕)

≒ 白芍(백작), 熟地黃(숙지황) 各12, 白朮(백출), 赤茯苓(적복령), 陳皮(진

피), 半夏(반하), 草龍膽(초용담) 各4, 柴胡(시호), 黃連(황련), 梔子(치자),

丹皮(단피), 白豆蔲(백두구), 甘草(감초) 各2.8, 生姜(생강)3片, 大棗(대

조)2枚.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면 한 번에 마신다. 하루 2 첩을 再湯(재탕)까

지 해서 3회 分服(분복)한다.

⑺ 눈이 건조해서 까끌까끌 거리는 異物感(이물감)이 느껴지고 눈이 疲勞(피로)해 지는

血虛證(혈허증)이 나타날 때

四物湯(사물탕)

≒ 熟地黃(숙지황), 當歸(당귀), 白芍(백작), 川芎(천궁) 各5.

-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면 한 번에 마신다. 하루 2 첩을 再湯(재탕)까지

해서 3회 食前에 分服한다.

加味 - ① 車前子(차전자), 覆盆子(복분자), 枸杞子(구기자), 菟絲子(토사자), 地膚子

(지부자)를 添加(첨가)하면 더욱 좋다.

② 流淚不止(유루불지)

加味四物湯(가미사물탕)

≒ 熟地黃(숙지황), 當歸(당귀), 白芍(백작), 川芎(천궁)各5, 枸杞

子(구기자), 甘菊(감국), 防風(방풍), 山茱萸(산수유), 柴胡(시\

호), 梔子(치자), 甘草(감초) 各4.

③ 夜盲症(야맹증)

가미작오탕 ≒ 熟地黃(숙지황), 白芍(백작), 當歸(당귀), 川芎(천궁) 各5(或

12g), 枸杞子(구기자)12, 白何首烏(백하수오), 決明子(결명

자) 6, 官桂(관계), 菖蒲(창포), 진초(白疾藜 或은 草決明으로

代用), 甘菊(감국), 甘草(감초) 各4.

⑻ 長服(장복)하면 눈의 疲勞(피로)가 풀어지고 몸이 가벼워지며 얼굴빛도 좋아지는 효

과가 있다.

삼정환 ≒ 蒼朮(창출), 地骨皮(지골피) 各600, 黑桑椹(흑상심)1200. 蒼朮(창출)과 地

骨皮(지골피)를 가루 내고, 黑桑椹(흑상심)을 짓이긴 汁(즙)에 섞어서 항아

리에 넣어 密封(밀봉)한 후 낮에는 햇볕에 내놓고, 밤에는 달빛을 받게 한

다음에 이를 또다시 가루 내어 꿀로 반죽해서 콩알만 하게 빚는다.

이를 매일 10 알씩 술이나 湯(탕)으로 送下(송하)한다.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