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臨床 162 / 眼科雜病 3. 明目(명목)



명목 (明目)

1. 參照文

1) 목암(目暗) 參照

2) 목예(目翳) 參照

3) 시력감퇴(視力减退)

2. 常用葯(상용약)

1) 菊花(국화), 甘草(감초), 菟絲子(토사자), 艾子(애자)(要葯)

2) 平肝潛陽(평간잠양), 明目作用(명목작용)적 葯物(약물) : ☆ 石決明(석결명) - “明目之要

葯(명목지요약)” - 肝火目赤(간화목적)

3) 潤腸通便(윤장통변) 又能(우능) 淸肝明目(청간명목) : ☆ 決明子(결명자)

4) 平肝(평간), 疏肝(소간), 祛風明目(거풍명목), 葯物(약물) : ☆ 白蒺藜(백질려)

5) 補陽益陰(보양익음), 固精縮尿(고정축뇨), 明目(명목), 止瀉 : ☆ 菟絲子(토사자)

6) 養肝明目(양간명목)

① 沙苑子(사원자) + 菟絲子(토사자) - 都具有的功效(도구유적공효)

② 茺尉子(충위자, 益母草씨), 靑霜子(청상자), 決明子(결명자)

7) 收濕生肌(수습생기), 明目退翳(명목퇴예) : ☆ 爐甘石(로감석)

8) 潛陽安神(잠양안신), 聰耳明目(총이명목), 納氣平喘(납기평천) : ☆ 磁石(자석)

3. 配伍葯(배오약)

1) 淸肝明目(청간명목) : 肝火上炎(간화상염), 肝經風熱(간경풍열)

① 決明子(결명자), 夏枯草(하고초), 梔子(치자), 桑葉(상엽), 菊花(국화)

2) 大黃(대황)10 + 蟅虫(자충)6 = 兩目黯黑(양목암흑) - 或有潮熱(혹유조열)

4. 臨床(림상)

1) 代表方(대표방)

① 視力减退證(시력감퇴증)

㉠ 石斛夜光丸(석곡야광환)

≒ 天門冬(천문동), 人參(인삼), 茯苓(복령) 各60, 熟地(숙지), 生地(생지),

麥門冬(맥문동) 各30, 菊花(국화), 菟絲子(토사자), 枸杞子(구기자),

石決明(석결명) 各 杏仁(행인), 山葯(산약), 牛膝(우슬), 五味子(오미

자) 各23, 蒺藜(질려), 肉蓗蓉(육종용), 川芎(천궁), 炙甘草(자감초), 枳

殼(지각), 靑霜子(청상자), 防風(방풍), 天黃蓮(천황련), 烏犀角(오서

각), 石斛(석곡) 各15.

2) 辨證施治(변증시치)

⑴ 肝(간)이 風熱(풍열)을 받으면 肝血(간혈)이 損傷(손상)됨으로써 눈이 붉게 充血(충

혈)되고 眼球(안구)에 疼痛(동통)도 느껴진다. 또한 눈동자가 지나치게 疲勞(피로)할

때도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런 때에 쓰면 좋다.

洗肝明目湯(세간명목탕)

≒ 當歸(당귀), 川芎(천궁), 芍葯(작약, 적작), 黃連(황련), 生地(생지), 黃芩

(황금), 梔子(치자), 石膏(석고), 連翹(연교), 防風(방풍), 荊芥(형개), 薄荷

(박하), 蔓荊子(만형자), 羌活(강활), 白蒺藜(백질려),甘菊(감국), 草決明

(초결명), 桔梗(길경), 甘草(감초) 各2. - 水煎(수전) 食后服(식후복)

加减 - ① 减 石膏(석고), 加 柴胡(시호) - 할 수 있다.

② 充血(충혈) 甚(심) : 加 草龍膽(초용담)

③ 頭痛(두통) : 加 白芷(백지)

④ 便秘(변비) 或 生理痛(생리통) : 加 大黃(대황)

⑵ 눈이 疲困(피곤)하고 視力(시력)이 떨어질 때, 사물이 분명하게 보이지 않고 眼花(안

화)가 나타나고, 특히 눈이 흐려지면서 어지럽고 메스꺼우며 눈꺼풀의 경련이 자주

일어 날 때

半夏白朮天麻湯(반하백출천마탕)

≒ 半夏(반하), 陳皮(진피), 麥芽(맥아) 各6, 白朮(백출), 神曲(신곡) 各4,

蒼朮(창출), 人參(인삼), 黃芪(황기), 白茯苓(백복령), 天麻(천마), 澤

瀉(택사) 各2, 乾姜(건강)1.2, 黃連(황련)0.8, 生姜(생강)5片. - 水煎

(수전) 食前服(식전복)

⑶ 疲勞(피로)로 인해 氣力(기력)이 極度(극도)로 衰弱(쇠약)해져 視野(시야)가 흐리고

무엇을 注視(주시)하고 있으면 눈에 極甚(극심)한 疲勞(피로)가 느껴지며 눈꺼풀의

힘이 빠져 저절로 감기는 증상이 있을 때

補中益氣湯(보중익기탕)

≒ 人參(인삼), 黃芪(황기), 白朮(백출), 甘草(감초) 各6, 當歸身(당귀신), 陳

皮(진피) 各2, 升麻(승마), 柴胡(시호) 各1.2.

- 水煎(수전), 食間溫服(식간온복)

⑷ 눈이 뻑뻑하고 어지러우며 귀까지 울리는 증상이 있을 때 또 허리와 다리에 힘이 빠

지면서 손발이 화끈거리고 진땀도 나며 입도 마를 때 쓰는 처방이다.

左歸飮(좌귀음)

≒ 酒蒸熟地黃(주증숙지황), 酒浸乾枸杞子(주침건구기자), 山葯(산약), 山茱萸

(산수유) 各8, 白茯苓(백복령)6, 炙甘草(자감초)4.

- 하루에 2 첩을 달여 空腹(공복)에 3회로 分服(분복)한다.

⑸ 肝腎虛弱(간신허약)으로 눈이 침침하며, 視力障碍(시력장애), 飛紋症(비문증) 冷流

泪症(냉유루증)이 있을 때

明目壯水湯(명목장수탕)

≒ 沈乳乾黃柏(침유건황백), 沈乳乾知母(침유건지모) 各10, 酒洗熟地黃(주

세숙지황), 酒洗乾地黃(주세건지황), 天冬(천동), 麥冬(맥동), 山茱萸(산

수유), 甘菊(감국), 枸杞子(구기자) 各8, 牛膝(우슬), 人參(인삼), 當歸(당

귀), 五味子(오미자), 菟絲子(토사자), 白茯神(백복신), 山葯(산약), 澤瀉

(택사), 牡丹皮(모단피) 各4, 白豆蔲(백두구)1.2.

- 원방의 용량을 10배로써 10일간 복용하라 했다. 위의 葯劑(약제)를 1

일분으로 하여 10일간 水煎三服(수전삼복)한다.

⑹ 肝鬱(간울)로 눈이 흐리고 잘 보이지 않을 때

抑淸明目湯(억청명목탕)

≒ 白芍(백작), 熟地黃(숙지황) 各12, 白朮(백출), 赤茯苓(적복령), 陳皮(진

피), 半夏(반하), 草龍膽(초용담) 各4, 柴胡(시호), 黃連(황련), 梔子(치자),

丹皮(단피), 白豆蔲(백두구), 甘草(감초) 各2.8, 生姜(생강)3片, 大棗(대

조)2枚.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면 한 번에 마신다. 하루 2 첩을 再湯(재탕)까

지 해서 3회 分服(분복)한다.

⑺ 눈이 건조해서 까끌까끌 거리는 異物感(이물감)이 느껴지고 눈이 疲勞(피로)해 지는

血虛證(혈허증)이 나타날 때

四物湯(사물탕)

≒ 熟地黃(숙지황), 當歸(당귀), 白芍(백작), 川芎(천궁) 各5.

-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면 한 번에 마신다. 하루 2 첩을 再湯(재탕)까지

해서 3회 食前에 分服한다.

加味 - ① 車前子(차전자), 覆盆子(복분자), 枸杞子(구기자), 菟絲子(토사자), 地膚子

(지부자)를 添加(첨가)하면 더욱 좋다.

② 流淚不止(유루불지)

加味四物湯(가미사물탕)

≒ 熟地黃(숙지황), 當歸(당귀), 白芍(백작), 川芎(천궁)各5, 枸杞

子(구기자), 甘菊(감국), 防風(방풍), 山茱萸(산수유), 柴胡(시\

호), 梔子(치자), 甘草(감초) 各4.

③ 夜盲症(야맹증)

가미작오탕 ≒ 熟地黃(숙지황), 白芍(백작), 當歸(당귀), 川芎(천궁) 各5(或

12g), 枸杞子(구기자)12, 白何首烏(백하수오), 決明子(결명

자) 6, 官桂(관계), 菖蒲(창포), 진초(白疾藜 或은 草決明으로

代用), 甘菊(감국), 甘草(감초) 各4.

⑻ 長服(장복)하면 눈의 疲勞(피로)가 풀어지고 몸이 가벼워지며 얼굴빛도 좋아지는 효

과가 있다.

삼정환 ≒ 蒼朮(창출), 地骨皮(지골피) 各600, 黑桑椹(흑상심)1200. 蒼朮(창출)과 地

骨皮(지골피)를 가루 내고, 黑桑椹(흑상심)을 짓이긴 汁(즙)에 섞어서 항아

리에 넣어 密封(밀봉)한 후 낮에는 햇볕에 내놓고, 밤에는 달빛을 받게 한

다음에 이를 또다시 가루 내어 꿀로 반죽해서 콩알만 하게 빚는다.

이를 매일 10 알씩 술이나 湯(탕)으로 送下(송하)한다.




20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