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臨床 156 / 神經 1. 痲痹(마비)



마비 (麻痹)

1. 참조문

1) 周期性麻痹(주기성마비) - 中醫內科(중의내과) 痿證(위증)

2) 痹證(비증)

2. 임상(臨床)

1) 辨證要点(변증요점)

中風(중풍)에는 外感(외감)과 內傷(내상)으로 나눈다. 外感六淫(외감육음)에 의 한 中風

(중풍)은 또한 中經絡(중경락)이라 하고, 內傷七情(내상칠정)에 의한 中風(중풍)은 中臟

腑(중장부)라 하는데 病勢(병세)의 輕重(경중)으로 보면 外感六淫(외감육음)에 의한 中

經絡(중경락)은 比較的(비교적) 輕證(경증)에 속하고, 內傷七情(내상칠정)에 의한 中臟

腑(중장부)는 比較的(비교적) 重證(중증)에 속한다. 本節(본절)에서는 輕證(경증)에 속

하는 外感(외감)으로 인한 中經絡(중경락)만을 다룬다. 重證(중증)은 中風(중풍)에서 거

론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診斷要点(진단요점)

⑴ 風寒性(풍한성) : 患側(환측) 面部(면부) 두텁고 딱딱한 緊張感(긴장감) 疼痛(동통) -

葛根湯(갈근탕)

⑵ 風熱性(풍열성) : 患側(환측) 筋肉弛緩(근육이완) 顔面(안면)이 축 늘어지고, 皮膚熱

感(피부열감). - 柴葛解肌湯(시갈해기탕)

⑶ 風濕性(풍습성) : 患側(환측) 顔面浮腫(안면부종), 眼瞼浮腫(안검부종). - 羌活勝濕

湯(강활승습탕)

⑷ 情志異常(정지이상) : 易怒(이노), 面紅(면홍), 耳周緊張(이주긴장) 疼痛(동통), 頭重

頭暈(두중두운), 甚則(심칙) 顔面筋肉痙攣(안면근육경련), 手

足麻痺感(수족마비감) - 天麻鉤藤飮(천마구등음)

⑸ 氣血虛弱(기혈허약) : 中風后遺證(중풍후유증), 久病后遺證(구병후유증), 顔面筋肉

弛緩(안면근육이완), 眼瞼下垂 (안검하수), 言語 无力(언어무

력), 脈弱(맥약) - 大秦艽湯(대진구탕)

⑹ 中風口斜(중풍구사) ㉠ - 不換金丹(불환금단)

㉡ 頰部(협부)가 몹시 켕기며, 汗出不止(한출불지), 尿頻(뇨빈)

- 淸陽湯(청양탕)

⑺ 口眼喎斜(구안괘사)

㉠ 牽正散(견정산), 理氣祛風散(리기거풍산)

㉡ 手足陽明經(수족양명경)에 中風(중풍) - 秦艽升麻湯(진구승마탕)

㉢ 涎流不止(연류불지)- 通天兪風湯(통천유풍탕) + 淸心導痰湯(청심도담탕)

㉣ 半身不遂(반신불수), 痰涎茂盛(담연무성), 言語不利(언어불리) - 通氣救風湯(통

기구풍탕)

㉤ 半身不遂(반신불수), 精神不淸(정신불청), 言語蹇澁(언어건삽) - 瘀風丹(어풍단)

⑻ 濕溫(습온) : 沐浴中(목욕중), 或雨中(혹우중), 或水中步行(혹수중보행), 手足感覺遲

鈍(수족감각지둔), 口眼喎斜(구안괘사) - 영출탕

⑼ 風毒(풍독)

㉠ 足陽明經(족양명경) : 兩眉間痛(양미간통), 頦部疼痛(해부(아래턱)동통)), 開口不

利(개구불리), 左側前頭(좌측전두)와 頰部(협부)에 풀을 바

른 것처럼 조여들면서 痛甚 拒按.- 犀角升麻湯(서각승마탕)


① 속칭 “風(풍)” 이라 불리는 외적 요인에 寒冷(한냉)이 겹쳐서 발생하는 風寒性(풍

한성) 顔面神經麻痹(안면신경마비)에 효과적인 처방이다. 痲痹(마비)된 쪽 얼굴

에 緊張感(긴장감)과 疼痛(동통)이 느껴지고 皮膚(피부)가 두텁고 딱딱한 느낌이

드는 것이 특징이다.

葛根湯(갈근탕)

≒ 葛根(갈근)8, 升麻(승마), 秦艽(진교), 荊芥(형개), 赤芍(적작) 各4, 蘇葉(소

엽), 白芷(백지) 各3, 甘草(감초)2, 生姜(생강)3片 이상의 약을 1첩으로 하

여 하루에 2첩을 달여 3회로 分服한다.

② 風(풍)과 熱(열)이 겹쳐서 일어나는 風熱性(풍열성) 顔面神經麻痹(안면신경마

비)에 쓰이는 처방이다. 마비된 쪽 얼굴 근육이 이완되어 축 늘어지면서 皮膚

(피부)에 熱感(열감)이 느껴지는 증상을 다스린다.

柴葛解肌湯(시갈해기탕)

≒ 葛根(갈근), 柴胡(시호), 黃芩(황금), 赤芍(적작), 羌活(강활), 石膏(석

고), 升麻(승마), 白芷(백지), 桔梗(길경) 各4, 甘草(감초)2, 生姜(생

강)3片, 大棗(대조)2枚.

이상의 약을 1첩으로 하여 하루에 2첩을 달여 3회로 分服한다.

③ 風(풍)과 濕(습)이 겹처서 발생하는 風濕性(풍습성) 顔面神經麻痹(안면신경마

비)를 다스리는 처방이다. 痲痹(마비)된 얼굴이 부어 오른 듯 느껴지면서 눈꺼풀

이 붓는 증상

羌活勝濕湯(강활승습탕)

≒ 羌活(강활), 獨活(독활) 各4, 藁本(고본), 防風(방풍), 炙甘草(자감초)

各2, 蔓荊子(만형자)1.2, 川芎(천궁)2.

이상의 약을 1첩으로 하여 하루에 2첩을 달여 재탕까지 해서 3 회로

分服한다.

④ 갑작스러운 화나 분노 등 정신정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顔面神經麻痹(안면신

경마비)를 다스린다. 얼굴이 붉게 달아오르고 귓불이 팽팽한 듯 느껴지면서 아

프기도 하고 머리가 무거우면서 어지러운 것이 특징이다. 甚하면顔面筋肉(안면

근육)이 부들부들 떨리면서 손발도 마비된 듯 저려온다.

天麻鉤藤飮(천마구등음)

≒ 天麻(천마), 梔子(치자), 黃芩(황금) 各9, 釣鉤藤(조구등, 后下) 白茯

神(백복신) 各15, 石決明(석결명, 先煎), 桑寄生(상기생) 各24, 杜仲

(두중), 牛膝(우슬), 益母草(익모초) 各12, 夜交藤(야교등)30.

- 水煎服(수전복)

⑤ 氣血(기혈)이 虛弱(허약)해 발생하는 안면신경마비, 예를 들면 中風(중풍)의 后

遺症(후유증)이나 産后(산후) 또는 어떤 질환을 앓은 후 나타날 수 있는 顔面神

經麻痹(안면신경마비)를 다스리는 처방이다. 마비된 얼굴의 근육이 현저하게

이완되고 눈꺼풀에 힘이 없으며 말하는 것조차 귀찮을 만큼 기력이 떨어지고 맥

박도 약한 증상을 보인다.

大秦艽湯(대진교탕)

≒ 秦艽(진교), 石膏(석고) 各4, 羌活(강활), 獨活(독활), 川芎(천궁), 白芷

(백지), 生地(생지), 熟地(숙지), 當歸(당귀), 白芍(백작), 黃芩(황금), 茯

苓(복령), 防風(방풍), 白朮(백출), 甘草(감초) 各2.8, 細辛(세신)1.2.

이상의 약을 1첩으로 하여 하루에 2첩을 달여 재탕까지 해서 3회로

分服한다.

⑥ 中風(중풍)으로 입이 비뚤어지고 뺨이 몹시 켕기며 땀이 계속 나오고 오즘이 잦

을 때 쓰는 처방이다.

淸陽湯(청양탕)

≒ 升麻(승마), 黃芪(황기), 當歸(당귀) 各8, 葛根(갈근)6, 炒甘草(초감초)4,

蘇木(소목), 生甘草(생감초) 各2. 黃柏(황백, 酒制), 紅花(홍화), 桂枝(계

지) 各0.8.

위의 葯劑를 썰러서 1 첩으로 하여 술 3잔에 넣고 1잔이 되게 달인 것을

3 번에 나누어 溫服(온복)한다.

⑦ 中風(중풍)으로 口斜(구사) 不換金丹(불환금단) ≒ 薄荷(박하)120, 荊芥穗(형개

수), 白僵蚕(백강잠), 防風(방풍), 天麻(천마), 甘草(감초) 各40, 烏頭(오두), 白附

子(백부자, 生), 羌活(강활), 細辛(세신), 川芎(천궁), 蝎梢(갈초), 藿香(곽향) 各20.

위의 葯劑를 가루 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 만하게 환을 지어서 한

번에 1알씩 씹어서 물로 삼킨다. 【東醫寶鑑】에는“만일 왼쪽으로 비뚤어졌을 때

에 약을 오른쪽 뺨에 바르면 곧바로 선다.”고 했다. ⑧ 中風(중풍)으로 口眼喎斜

(구안괘사)

理氣祛風散(이기거풍산)

≒ 羌活(강활), 獨活(독활), 靑皮(청피), 陳皮(진피), 枳殼(지각), 桔梗(길

경), 天南星(천남성), 半夏(반하), 烏葯(오약), 天麻(천마), 川芎(천궁),

白芷(백지), 防風(방풍), 荊芥(형개), 白芍(백작), 甘草(감초) 各2.4.

위의 葯劑를 1첩으로 하여 生姜5片과 함께 水煎服 한다.

⑨ 手足陽明經(수족양명경)이 風(풍)을 맞아서 입과 눈이 비뚤어진 것을 치료 한다.

秦艽升麻湯(진교승마탕)

≒ 升麻(승마), 葛根(갈근), 白芍(백작), 人參(인삼), 甘草(감초) 各6, 秦

艽(진구), 白芷(백지), 防風(방풍), 桂枝(계지) 各2.8.

위의 葯劑를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葱白(총백)3枚를 根 (근)

과 함께 물로 달여서 食后(식후)에 먹는다.

⑩ 中風(중풍)으로 口眼喎斜(구안괘사)

牽正散(견정산)

≒ 白附子(백부자), 白僵蚕(백강잠), 全蝎(전갈, 生用) 各同量(각동량). 가루

내어 한 번에 8g씩 溫酒(온주)에 타서 마신다.

⑪ 口眼喎斜(구안괘사), 涎流不止(연류불지)

通天兪風湯(통천유풍탕)

≒ 桔梗(길경)12, 白朮(백출)6, 人參(인삼), 天南星(천남성, 炮炙) 炒 貝

母(초패모) 各4, 威靈仙(위령선), 連翹(연교), 防風(방풍), 荊芥 穗(형

개수), 甘草(감초) 各2, 瓜蔞仁(과루인)15个.

위의 약을 한 첩으로 하여 生姜3片과 함깨 물에 달인 후 竹瀝 한 목

음, 生薑汁(생강즙)을 약간 타서 溫服(온복)하는데 淸心導 痰丸(청

심도담환)을 送下(송하) 한다.

淸心導痰丸(청심도담환)

≒ 天南星(천남성), 法半夏(법반하) 各80, 白附子(백부자), 瓜蔞根 (과

루근) 各40, 炒黃連(초황연), 鬱金(울금) 各30, 炒姜蚕(초강 잠), 天

麻(천마), 羌活(강활) 各20, 烏頭(오두, 鹽制)8.

가루 내어 生薑汁(생강즙)으로 쑨 풀에 반죽해서 0.3g만하게 환을

짓는다.

⑫ 口眼喎斜(구안괘사), 半身不遂(반신불수)하고 痰涎(담연)이 몹시 성해서 말 을

잘 하지 못하고 걷기 힘들며 정신이 맑지 못할 때 (일명 祛風通氣散(거 풍통기

산))

通氣救風湯(통기구풍탕)

≒ 烏葯(오약)6, 川芎(천궁), 白芷(백지), 桔梗(길경), 陳皮(진피), 白 朮

(백출), 甘草(감초) 各4, 麻黃(마황), 枳殼(지각), 人參(인삼) 各2.

위의 葯劑(약제)를 1첩으로 하여 生姜(생강)3片 大棗(대조)2枚 와

함께 水煎服(수전복)

⑬ 中風(중풍), 口眼喎斜(구안괘사), 半身不遂(반신불수), 精神不淸(정신불청), 言

語蹇澁(언어건삽)

瘀風丹(어풍단)

≒ 麻黃(마황), 防風(방풍), 白芷(백지) 各60, 乾姜(건강), 甘草(감초) 各 30,

川芎(천궁), 白芍(백작), 桔梗(길경), 細辛(세신), 白僵蚕(백강잠), 羌活(강

활), 天南星(천남성) 各20.

위의 葯劑(약제)를 가루 내어 꿀에 반죽해서 달걀 노른자위 만하게 환을

지어서 겉에 朱砂(주사)를 입힌다. 한 번에 1알씩 溫酒(온주) 에 풀어서

먹는다.

⑭ 더위 먹고 비를 맞아 더위와 습이 몰려서 팔다리에 감각이 둔해지고 半身不遂

(반신불 수)가 되거나 목욕하다가 어지러워 넘어지며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손

발을 쓰지 못하게 될 때 이것은 모두 濕溫病(습온병)에 속한다.

苓朮湯(령출탕)

≒ 赤茯苓(적복령), 白朮(백출), 乾姜(건강), 澤瀉(택사), 桂心(계심) 各4.

- 水煎服(수전복)

⑮ 中風(중풍)으로 眉間痛(미간통), 下頜(하합) 頦隆部位(해융부위) 疼痛(동통), 開

口不利(개구불리), 왼쪽 이마와 뺨이 풀을 바른 것처럼 조여들면서 아파서 손을

댈 수 없을 때는 足陽明經(족양명경)이 風毒(풍독)을 받아 血(혈)이 잘 돌지 못

하기 때문이다.

犀角升麻湯(서각승마탕)

≒ 犀角(서각)6, 升麻(승마)5, 防風(방풍), 羌活(강활) 各4, 川芎(천 궁),

白附子(백부자), 白芷(백지), 黃芩(황금) 各3, 甘草(감초)2.

- 水煎(수전) 食后服(식후복)

18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Israel

臨床 363 /♧ 痔(치) - 痔疾(치질)

1 槪念(개념) 882 人体直腸末端粘膜下和(인체직장말단점막하화) 肛管皮膚下(항관피부하) 靜脈叢發生擴張和 (정맥총발생확장화) 屈曲所

臨床 362 / 耳部 3. 耳眩暈(이현운) ♧

耳眩暈(이현운) 1 槪念(개념) 1251 眩暈是目眩頭暈(현운시목현두운), 卽眼花潦亂(즉안화요란), 頭部旋轉不定的病證(두부선전 부정적병증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