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臨床 152 / 腎系 4. 癃閉(융폐)



륭폐 (癃閉) - I

中醫內科(중의내과) 癃閉(륭폐) 185

槪述(개술)

癃閉(륭폐)는 小便量(소변량)이 적고, 물방울처럼 방울방울 떨어져 나가며(点滴而出) 심

하면 소변이 閉塞(폐색)되어 불통하는 증상을 위주로 하는 病症(병증)을 가리킨다.

癃(륭) : 小便不利(소변불리)로 조금씩 방울방울 떨어져 나가며 병세가 비교적 완만한(病

勢較緩) 것을 “륭” 이라 칭하고(称爲癃)

閉(폐) : 小便閉塞(소변폐색)로 방울방울 지며 불통하며(点滴不通), 병세가 비교적 급함을

(病勢較急) 위주로 하는 것을 폐라 칭한다(称爲閉).

歷史沿革 《內經》已是出 病名 膀胱病 小便閉, 膀胱不利爲癃 不約爲遺溺, 實則閉癃, 虛則

遺溺.

《金匱》 “小便不利(소변불이)” 漢代 : 劉癃 - 漢代 皇帝名 不可使用 癃字 張仲景

方(장중경방)

⑴ 膀胱氣化不利(방광기화불이) : 用 五苓散(오령산)

⑵ 水熱互結(수열호결) : 用 猪苓散(저령산)

《千金要方-손사막》導尿術 - 手術

《丹溪心法》 氣虛(기허), 血虛(혈허), 有痰(유담), 風閉(풍폐).

探吐法 譬如滴水之器 - 閉其上竅則 下竅不通

開其上竅則 下竅泌利

《明淸》進一步完善

臨床表現 : 主要是(주요시) 小便涓赤不利(소변연적불이), 或点滴全无(혹점적전 무), 小腹

或脹或不脹(소복혹창혹불창), 或急痛(혹급통), 但尿道无疼 痛感覺(단뇨도무

동통감각), 病情嚴重時(병정엄중시) 還可見到(환가 견도) 頭暈(두운), 頭痛(두

통), 惡心(오심), 嘔吐(구토), 胸滿(흉만), 喘促(천촉), 水腫(수종), 甚至(심지) 神

昏痙厥等(신혼경궐등) 危重病 證(위중병증).

病名參考 : 각종 원인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尿瀦留(뇨저유) 및 无尿症(무뇨증) 如 : 神經

性尿閉(신경성뇨폐), 膀胱括約肌痙攣(방광괄약기경련), 尿路結石(뇨로결석),

尿路損傷(뇨로손상), 尿道挾窄(뇨도협착), 前列腺增生(전열선증생), 脊髓炎

(척수염), 尿毒症(뇨독증).

2) 病因病機 小便通暢 → 三焦氣化正常 (肺脾腎)

⑴ 濕熱蘊結 : 中焦濕熱不解 →下注膀胱 ↘

腎移熱于膀胱 - - - - - - - - - → 膀胱濕熱阻滯 → 膀胱氣化不利 → 小便不利

┗ →癃閉

⑵ 肺熱氣壅 : 熱壅肺 → 肺氣不能肅降 → 津液輸布失常 → 水道通調不利 → 癃閉

⑶ 脾氣不升 : 勞倦傷脾 ↘

飮食不節 → 脾虛淸氣不能上升 濁陰難以下降 → 小便不利 → 癃閉

久病體弱 ↗

⑷ 腎元虧虛 : 年老體衰 →腎陽不足 命門火衰 → 膀胱氣化无權 → 癃閉

⑸ 肝鬱氣滯 : 七情內傷 →肝氣鬱結→ 疏泄不利→ 影響三焦的氣化→水道 通調受阻→癃閉

⑹ 尿路阻塞 : 瘀血敗精 肝塊結石 → 阻塞尿道 → 小便難而排出 → 癃閉

※ 本病的 病位 - 膀胱 但與 三焦, 肺, 脾, 腎, 關係密切

3) 病因病機

中焦濕熱 → 下注膀胱 ┓

腎熱 - - - → 移熱膀胱 ┛- - - → 膀胱氣化不利 - - - - - - - - - - - - - - - - - - - -┓

感受濕熱之邪 ┳ → 熱壅于肺 → 肺氣不能肅降 → 水道不通 ┳ - - - - - ┓ ┃

┗ → 熱氣閉阻膀胱 - - - - - - - - - → 氣化不利 ┛ ↓ ↓

勞倦過度 ┓ ┏ - - - ┓

飮食不節 ┛- - -→ 脾弱 → 運化无力 → 淸氣不升 濁氣不降 - - - - - →┃癃閉┃

病后體弱 ┗ - - - ┛

年老體弱 - ┓→ ┏ 腎陽不足 → 命門火衰 - ┓ ↑ ↑

久病體虛 - ┛ ┗ 下焦積熱 → 久致陰虧 - ┛ → 膀胱氣化无權 - - - ┛ ┃

瘀血敗精 - ┓ ┃

腫塊結石 - ┛→ 阻塞尿路 → 小便難而排出 - - - - - - - - - - - - - - - - - - - - - -┛


4) 類證鑒別(류증감별)

淋證(림증) : 尿頻(뇨빈), 尿急(뇨급), 尿痛(뇨통), 日排尿量(日排尿量(일배뇨량) 正常(정

상).

癃閉(륭폐) : 无尿痛(무뇨통) 日排尿量底(일배뇨량저) 于正常(우정상) 甚則无尿(심칙무

뇨)

5) 辨證論治(변증론치)

⑴ 辨證要点(변증요점)

① 辨證依据(변증의거) : 凡小便量少(범소변량소), 点滴而出(점적이출), 甚則小便閉塞

不通(심칙소변폐색불통), 尿道无疼痛感覺 (뇨도무동통감각)

診斷(진단).

病情嚴重時(병정엄중시) : 可以出現(가이출현) 頭暈(두훈), 頭痛(두통), 惡 心(오심),

嘔吐(구토), 胸悶(흉민), 喘促(천촉), 水腫(수종), 甚則神昏

(심칙신혼) 等症(등증)

② 辨虛實(변허실)

實證 : 發病急驟(발병급취), 小腹脹或疼痛(소복창혹동통), 小便短赤(소변 단적), 灼

熱(작열), 苔黃(태황), 脈弦(맥현) 或弦澁(혹현삽), 或弦數 (혹현삭)

虛證 : 發病緩慢(발병완만), 面色不華晄白(면색불화황백), 小便排出无力 (소변배출

무력), 精神疲乏(정신피핍), 氣短(기단), 語聲低細(어성저세), 舌淡(설담), 脈

沉細弱(맥침세약).

☞ 尿路感染(뇨로감염) 三大證(삼대증) : 尿頻(뇨빈), 尿急(뇨급), 尿痛(뇨통).

③ 權衡輕重(권형경중) : 初癃(초륭) → 轉閉(전폐) - 病勢由輕(병세유경) 傳重(전중)

閉 → 癃 - 病勢由重 轉輕

癃閉如見(륭폐여견) : 小腹脹滿(소복창만), 疼痛(동통), 胸悶(흉민), 氣喘 (기천), 嘔

吐(구토) 等症(등증) → 病情較重(병정교 중) 神昏煩躁(신혼번

조), 抽畜(추축) 等 病情危重(병 정위중)

⑵ 治療要点(치료요점)

治療原則(치료원칙) :

實證(실증) - 淸濕熱(청습열) 散瘀結(산어결) 利氣機(이기기) 通水道(통수도)

虛證(허증) - 補脾腎(보비신), 助氣化(조기화), 達治小便自通(달치소변자통)

⑶ 證治分型(증치분형)

① 膀胱濕熱(방광습열)

主證 : 小便量少(소변량소), 短赤灼熱(단적작열) 或閉塞不通(혹폐색불통), 小腹脹滿

(소복창만), 口苦(구고), 口粘(구점), 或口渴不欲飮(혹구갈불욕음), 大便不暢

(대변불창), 苔黃膩(태황니) 舌質紅(설질홍), 脈滑(맥활) 或滑數(혹활삭).

治法 : 淸熱利濕(청열이습), 通利小便(통리소변).

方葯 : 八正散(팔정산) 혹 八正散(팔정산) 合(합) 導赤散(도적산)

≒ 목통(木通), 차전자(車前子), 편축(篇蓄), 구맥(瞿麥), 활석(滑石), 감초

초(甘草梢), 대황(大黃), 치자인(梔子仁) 各500.

導赤散(도적산)

≒ 감초초(甘草梢), 목통(木通), 생지황(生地黃) 各等分.

② 肝熱壅盛(간열옹성)

主證 : 小便涓赤不出(소변연적불출) 或点滴不爽(혹점적불상), 咽乾(인건), 燥渴欲飮

(조갈욕음), 呼吸短促(호흡단촉), 或咳嗽(혹해수) 苔薄黃(태박황) 脈數(맥삭).

治法 : 淸肺熱(청폐열), 利水道(이수도)

方葯 : 淸肺飮(청폐음)

≒ 茯苓(복령), 黃芩(황금), 桑白皮(상백피), 寸冬(촌동), 車前子(차전자),

山梔子(산치자), 木通(목통)) 加 黃連(황연), 竹葉(죽엽), 沙參(사삼),

茅根(모근), 大黃(대황), 杏仁(행인).

③ 肝鬱氣滯(간울기체)

主證 : 情志抑鬱(정지억울), 或多熄善怒(혹다식선노), 小便量少(소변량소), 脇腹脹

滿(협복창만), 舌苔薄(설태박) 舌質紅(설질홍), 脈弦(맥현).

治法 : 疏調氣機(소조기기), 通利小便(통리소변).

方葯 : 沈香散(침향산) 合 六磨湯(육마탕) 沈香散(침향산)

≒ 침향(沉香), 석위(石葦), 활석(滑石), 당귀(當歸), 진피(陣皮), 백작(白

芍), 동규자(冬葵子), 왕불유행(王不留行), 감초(甘草).

六磨湯(육마탕)

≒ 심향(沈香), 목향(木香), 빈낭(檳榔), 오약(烏葯), 지각(枳殼), 대황(大

黃).

④ 尿路阻塞(뇨로조색)

主證 : 小便量少(소변량소), 或尿如細線(혹뇨여세선), 甚則阻塞不通(심칙조색불통),

小腹脹滿疼痛(소복창만동통), 舌質紫黯(설질자암), 舌瘀点(설어점), 或瘀斑

(혹어반), 脈澁(맥삽)

治法 : 行瘀散結(행어산결), 通利小便(통리소변).

方葯 : 桃紅四物湯(도홍사물탕)

≒ 桃仁(도인), 紅花(홍화), 四物湯(사물탕).

代抵當湯(대저당탕)

≒ 大黃(대황), 歸尾(귀미), 生地(생지), 穿山甲(천산갑), 芒硝(망초),

桃仁(도인), 肉桂(육계).

⑤ 中氣不足(중기부족)

主證 : 小腹墜脹(소복추창), 小便量少不暢(소변량소불창), 食欲不振(식욕부진), 精

神疲乏(정신피핍), 語聲低微(어성저미), 舌淡(설담) 脈細弱(맥세약).

治法 : 升淸降濁(승청강탁), 化氣利水(화기이수).

方葯 : 補中益氣湯(보중익기탕) 合 春澤湯(춘택탕)

≒ 황기(黃芪), 인삼(人蔘), 백출(白朮), 당귀신(當歸身), 승마(升麻),

시호(柴胡), 진피(陣皮), 자감초(炙甘草). 【宜忌】陰虛內熱者 忌服

春澤湯(춘택탕)

≒ 오령산(五苓散, 白朮(백출), 桂枝(계지), 猪苓(저령), 澤瀉(택사), 茯苓

(복령)), 加 人參(인삼).

⑥ 腎陽衰憊(신양쇠비)

主證 : 小便量少(소변량소), 点滴不爽(점적불상), 排出无力(배출무력), 面色晄白(면

색황백), 畏寒(외한), 腰膝酸冷无力(요슬산냉무력), 舌質淡(설질담), 脈沉細

而弱(맥침세이약)

治法 : 溫陽益氣(온양익기), 補腎利水(보신이수).

方葯 : 濟生腎氣丸(제생신기환)

≒ 六味(육미) 加 附子(부자), 肉桂(육계), 車前子(차전자).

⑦ 腎陰虧耗(신음휴모)

主證 : 小便量少(소변량소), 咽乾(인건), 心煩(심번), 手足心熱(수족심열), 舌紅苔少

(설홍태소), 脈細數(맥세삭).

治法 : 滋補腎陰(자보신음)

方葯 : 六味丸(육미환) 合 猪苓湯(저령탕) 六味地黃丸(육미지황환)

≒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택사(澤瀉), 복령(茯苓),

모단피(牡丹皮).

猪苓湯(저령탕)

≒ 저령(猪苓), 복령(茯苓), 택사(澤瀉), 활석(滑石), 아교(阿膠).

☞ 尿閉症(뇨폐증)

1) 外敷法(외부법) - 溫法(온법)

2) 針灸法(침구법) - 中極(중극), 三陰交穴(삼음교혈).

3) 瓜蔞(과루)60 煎湯水(전탕수) 坐浴(좌욕) 10分 程度(정도)




륭폐(癃閉) - II

소변이 나가지 않거나 배뇨곤난(排尿困難)이 생기고 아랫배가 창만하는 증후이다. 륭

(癃)이란 아랫배가 천천히 창만되는 것이고, 폐(閉)란 소변이 나가지 않고 방울방울 떨어

지지 않으며 병세가 비교적 급한 것인데 일반적으로 이것을 륭폐(癃閉)라고 한다. 이병에

는 방광(膀胱), 뇨도(尿道)의 기질성질병(器質性疾病) 혹은 기능성질병(機能性疾病)에 의

한 배뇨곤난(排尿困難)과 뇨저류(尿瀦留) 혹은 각종 원인에 의하여 일어나는 신기능감퇴

(腎機能减退) 혹은 쇠약에서 일어나는 소변량의 심한 감소 등이 포괄되어 있다. 륭폐를

초래시키는 원인은 많이만 임상에서 보는 것은 허증(虛證)과 실증(實證) 2가지를 벗어나

지 못한다. 예를 들면 습열하주(濕熱下注) 혹은 어혈(瘀血), 결석저색(結石沮塞) 등인데

이는 대부분 실증(實證)에 속한다. 또 예를 들면 신양이 부족(腎陽不足)하고 기화(氣化)가

되지 못하거나 혹은 신음휴손(腎陰虧損), 진액내허(津液內虛) 등인데 이는 대부분 허증

(虛證)에 속한다.

1) 기폐증(氣閉證) 30

臨床 : 기폐증(氣閉證)으로 오는 융폐는 대부분 폐가 숙강하는 기능을 상실(肺失肅降)함

으로 해서 수도의 소통과 조절하는 기능이 불가능해 지고(不能通調水道) 혹은 습

열이 방관 안에 결집되어(濕熱內結膀胱) 뇨도를 여닫는 직분을 잃게 되고(開闔失

司) 폐색되어서 불통(閉塞不通)하기 때문이다.

症見 : 소변이 시원스럽게 나가지 못하고 방울방울 떨어지는(点滴不暢), 배뇨곤난(排尿困

難)이 있고, 심하면 소변불통(小便不通)이 된다. 또 소복이 그득하게 부를 수 있고

(少腹脹滿), 구갈이 나지만 물을 마시려하지 않거나(口渴不欲飮) 혹 호흡이 급촉하

고 기침을 하며(咳嗽氣促), 태가 누렇고 혹은 누런데다가 미끈거리며(苔黃或黃膩),

맥은 힘을 주어 눌러야 짚이고 순조롭고 원활한 맥이거나 혹은 순조롭고 원활한

맥에다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뛴다(脈沉滑或滑數).

治宜 : 폐기이계폐(肺氣而啓閉), 청습열(淸濕熱), 이소변(利小便).

方用 : 청폐음(淸肺飮)《증치회보(證治滙補)》거습제(祛濕劑)

≒ 복령(茯苓), 상백피(桑白皮), 차전자(車前子), 택사(澤瀉) 목통(木通), 맥문동

(麥門冬), 황금(黃芩), 산치자(山梔子).

合 침향산(沈香散)《금궤익(金匱翼)》가감(加减)

≒ 침향(沉香), 석위(石葦), 활석(滑石), 당귀(當歸), 진피(陳皮), 백작(白

芍), 동규자(冬葵子), 왕불유행(王不留行), 감초(甘草).

또한《단계심법(丹溪心法)》적 “제호게개법(提壺揭盖法) 즉 복약할 때 동시에 재체

기를 하도록하여(運用取嚔), 토하게 하는 방법(探吐的方法).

- 재채기를 하도록(取嚔)

方 : 개관산(開關散)《沈氏尊生書》《雜病源流犀燭》

≒ 남성(南星), 빙편(氷片). - 토하도록(催吐)

方 : 과체산(瓜蒂散)《상한론(傷寒論)》용토제(湧吐劑)

≒ 과체(瓜蒂), 적소두(赤小豆), 두시(豆豉).

폐기의 선발과 숙강(肺氣宣肅)은 상중(上中) 이초(二焦)의 기를 통창(通暢)케하므

로 소변자통(小便自通)케 한다.

2) 탁음불강증(濁陰不降證) 56

臨床 : 탁음불강증 중에 출현하는 융폐병의 임상표현은 아랫배가 부르고 아래로 쳐지며

(小腹墜脹), 소변을 보려 해도 나오질 않고 혹은 소변을 보긴 하지만 극히 소량이

여서 상쾌하지 않으며, 기력이 없고 정신이 피로하며(神疲乏力), 소화불량 식욕감

퇴 등 위의 수납기능의 정체로 소식하고(食少納呆), 목소리가 낮고 약하며 호흡이

짧은(氣短聲低) 등 증상을 보인다.

治宜 : 승청강탁(升淸降濁), 보기행수(補氣行水)

方用 :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비위론(脾胃論)》加减

≒ 인삼(人參), 황기(黃芪), 백출(白朮), 당귀신(當歸身), 승마(升麻), 시호

(柴胡), 진피(陳皮), 자감초(炙甘草).

3) 습열증(濕熱證) 67

復床 : 임병(淋病)은 융폐병(癃閉病) 중에 출현하는 습열증(濕熱證)으로서 그 임상표현은

소변볼 때 뜨겁게 따끔거리며 아프고(小便熱澁疼痛), 혹 심하면 소변이 불통하고

점점이 방울져서 떨어지며(点滴不通), 오줌색이 진한 황색 이거나(尿色黃赤), 혹은

혼탁한 쌀뜨물 같고(混濁如米泔), 아랫배가 창만(小腹脹滿) 하며, 입 안이 쓰고 끈

끈하거나(口苦口粘), 혹은 목은 마른데 물을 마시려 하지 않는(口渴不欲飮) 등 하

초습열(下焦濕熱)의 특징적 증상을 나타낸다. 이는 대체로 방광(膀胱)에 습열이 맺

혔거나(濕熱蘊結) 혹은 신(腎)이 방광(膀胱)에 열(熱)을 옮긴 것으로 습과 열이 함

께 결합하여 방광의 기화작을 불이(不利) 하게 하기 때문이다.

治宜 : 청열이습(淸熱利濕) 통림(通淋).

方用 : 팔정산(八正散)《화제국방(和劑局方)》

≒ 목통(木通), 차전자(車前子), 편축(萹蓄), 구맥(瞿麥), 활석(滑石), 감초초(甘

草梢), 대황(大黃), 치자인(梔子仁). 或 : 비해분청음(程氏萆解分淸飮)《의학

심오(醫學心悟)》祛濕劑 ≒ 비해(萆薢), 복령(茯苓), 석창포(石菖蒲), 차전자

(車前子), 연자심(蓮子心), 황백(黃柏), 백출(白朮), 단삼(丹參).

4) 수한사폐증(水寒射肺證) 145

臨床 : 수한사폐증 중에 출현하는 융폐병(癃閉病)의 임상특징은 소변량이 적고(小便量

少), 심지어 오줌을 누지 않으며(甚至无尿), 얼굴색이 백지장 같이 희고(面色晄白),

정신이 지치고 허리가 아프며(神疲腰痛), 머리가 어지럽고 메스꺼우며(頭暈泛惡),

가슴이 답답하고 숨을 헐떡거린다(氣喘胸悶). 이는 신양이 줄고 약하여(腎陽衰微),

뇨독이 안으로 처 들어와(尿毒內攻), 수기가 상역해서 폐를 다그치기(迫水逆肺) 때

문이다.

治宜 : 온양익기(溫陽益氣), 이뇨강역(利尿降逆).

方用 : 제생신기환(濟生腎氣丸)《제생방(濟生方)》

≒ 熟地(숙지), 山葯(산약, 炒), 山茱肉(산수육), 丹皮(단피), 茯苓(복령), 澤

瀉(택사), 附子(부자, 炮), 肉桂(육계), 車前子(차전자, 酒蒸), 川牛膝(천

우슬, 酒浸).

▷ 범오(泛噁) : 오심(惡心, 메스꺼움)이라고도 한다. 위완내(胃脘內)에 담탁(痰濁), 습사

(濕邪), 식체(食滯) 등이 있어 토하려 하지만 토가기 어렵고, 맑은 침이 올

라 오거나 신물이 올라오는 증상이 나타난다.

5) 신양허증(腎陽虛證) 149

臨床 : 신양허증 중에 출현하는 융폐병(癃閉病)은 항상 소변이 불통하거나 혹 시원스럽게

나가질 않고 방울방울 떨어지며(滴瀝不暢), 배출력이 없고(排出无力), 허리와 무릎

이 서늘하고 시큰거림을(腰膝酸冷) 위주로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은 대부분 신양이

부족하여(腎陽不足), 명문화가 약하기(命門火衰) 때문에 방광이 기화작용을 잃게

된(膀胱氣化失織) 때문이다. “无陽則陰无以化(무양칙음무이화)”

治宜 : 온신익기(溫腎益氣), 보신통규(補腎通竅).

方用 : 제생신기환(濟生腎氣丸)《제생방(濟生方)》

≒ 熟地(숙지), 山葯(산약, 炒), 山茱肉(산수육), 丹皮(단피), 茯苓(복령), 澤

瀉(택사), 附子(부자, 炮), 肉桂(육계), 車前子(차전자, 酒蒸), 川牛膝(천

우슬, 酒浸).

6) 신음양양허증(腎陰陽兩虛證) 151

臨床 : 신음양양허증(腎陰陽兩虛證)일 때 보는 융폐병은 소변이 불통하거나 혹은 화락하

게 잘 나가지 못하고 방울져 떨어지는(滴瀝不暢), 배출이 무력(排出无力)하고, 허

리와 무릎이 시큰거리며 연약하고(腰膝酸軟), 조열이 나고 잠이 들면 땀을 흘리는

(潮熱盜汗) 등 특징이 있다. 대부분 신양이 부족(腎陽不足)하고 명문화가 쇠약한

(命門火衰) 것이다. 이는 오랜 동안 양(陽)의 손상이 음(陰)에 미침으로(日久陽損及

陰) 해서 신의 음양이 모두 허하고(腎陰陽兩虛), 기기작용의 경중을 가리지 못하며

(氣化无權), 기가 진액을 생화하지 못하기(氣不化津) 때문이다.화락

治宜 : 온신자음통규(溫腎滋陰通竅)

方用 : 제생신기환(濟生腎氣丸)《제생방(濟生方)》

≒ 熟地(숙지), 山葯(산약, 炒) 山茱肉(산수육), 丹皮(단피), 茯苓(복령), 澤

瀉(택사), 附子(포부자), 肉桂(육계), 車前子(차전자, 酒蒸), 川牛膝(천

우슬, 酒浸).

7) 방광습열증(膀胱濕熱證) 199

臨床 : 방광습열증(膀胱濕熱證) 중에 보는 륭폐병(癃閉病)의 그 주요임상표현은 소변이

한점한점 방울져서 떨어지며 나가지 못하고(小便点滴 不下), 매일 소변량(小便量)

이 확실하게 줄고, 아랫배가 그득하게 붓거나(小腹脹滿), 혹은 구갈이 나지만 물을

마시려 하지 않는다(口渴不欲飮). 이는 습사가 열로 변하고(濕邪化熱), 사열이 방

광에 맺혀서(邪熱結于膀胱), 기화를 이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氣化不行所致). 《素

問 ․ 宣明五氣篇》指出 “膀胱不利爲癃(방광불리위융), 不約爲遺溺(불약위유익).” 즉

방광이 느슨해져 불리하고, 뇨도를 열고 닫는 약속을 할 수 없어서 오줌을 싼다.

治宜 : 청열이뇨(淸熱利尿).

方用 : 팔정산(八正散)《화제국방(和劑局方)》

≒ 목통(木通), 차전자(車前子), 편축(篇蓄), 구맥(瞿麥), 활석(滑石), 감초초(甘

草梢), 대황(大黃), 치자인(梔子仁)

8) 방광허한증(膀胱虛寒證) 200

臨床 : 륭폐병(癃閉病) 중에 보는 방광허한증(膀胱虛寒證)의 표현은 소변을 상쾌하게 보

지 못하고 방울방울 떨어지고(小便滴瀝不爽), 배출이 무력(排出无力)하며, 얼굴색

이 백지장 같이 희고(面色晄白), 정신적으로 겁이 많고 기가 약하며(神氣怯弱), 허

리 아래로는 서늘하고(腰以下冷), 정강이와 무릎에 힘이 없다(腿膝无力). 이는 명

문화가 쇠약함으로(命門火衰) 말미암아 기화기능이 방광에 미치지 못하는(氣化不

及膀胱) 것이다. “无陽則陰无以化” 즉 양이 없으면 음이 변화하지 않는다. 라고 했

다.

治宜 : 온보신양(溫補腎陽), 화기행수(化氣行水).

方用 : 제생신기환(濟生腎氣丸)《제생방(濟生方)》

≒ 熟地(숙지), 山葯(산약, 炒) 山茱肉(산수육) 丹皮(단피) 茯苓(복령) 澤瀉

(택사), 附子(부자, 炮), 肉桂(육계), 車前子(차전자, 酒蒸), 川牛膝(천우

슬, 酒浸).

9) 간담습열증(肝膽濕熱證)

臨床 : 간담습열증(肝膽濕熱證)은 습과 열이 서로 맺힌(濕熱互結) 것이 원인이 되어 방광

(膀胱)의 기화(氣化)를 장애(障碍)함으로 륭폐(癃閉)를 형성하며 겸하여 아랫배가

그득히 붓고(小腹脹滿), 설태가 누렇고 미끈거리며(苔黃膩), 맥은 힘주어 눌러야

짚이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沉數).

治宜 : 청리습열(淸利濕熱), 통리소변(通利小便).

方用 : 팔정산(八正散)《화제국방(和劑局方)》 가입(加入) 통폐이규(通閉利竅)하는 약품

≒ 목통(木通), 차전자(車前子), 편축(篇蓄), 구맥(瞿麥), 활석(滑石), 감초초(甘

草梢), 대황(大黃), 치자인(梔子仁).


28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Israel

臨床 363 /♧ 痔(치) - 痔疾(치질)

1 槪念(개념) 882 人体直腸末端粘膜下和(인체직장말단점막하화) 肛管皮膚下(항관피부하) 靜脈叢發生擴張和 (정맥총발생확장화) 屈曲所

臨床 362 / 耳部 3. 耳眩暈(이현운) ♧

耳眩暈(이현운) 1 槪念(개념) 1251 眩暈是目眩頭暈(현운시목현두운), 卽眼花潦亂(즉안화요란), 頭部旋轉不定的病證(두부선전 부정적병증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