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臨床 149 / 兩眦 1. 泪囊炎(루낭염)

Aktualisiert: 21. Juni 2021


루낭염 (泪囊炎), 루정 (漏睛) = 루정창(漏睛瘡)


루낭염 (泪囊炎)

1. 參考文

1) 루정창(漏睛瘡) 參照

2. 경험집방

症狀 : 慢性泪囊炎(만성루낭염) - 迎風流淚(영풍유루), 눈시울이 헤어지는 症

止泪補肝湯(지루보간탕)

≒ 當歸(당귀), 芍葯(작약), 川芎(천궁), 熟地(숙지) 各15, 木賊(목적), 白蒺藜

(백질려), 夏枯草(하고초), 防風(방풍) 各10.

症狀 : 急慢性泪囊炎(급만성루낭염)- 迎風流淚(영풍유루), 눈시울이 헤어지는 症

祛風止泪散(거풍지루산)

≒ 白蒺藜(백질려), 當歸(당귀), 熟地(숙지), 香附子(향부자,童便炒) 各100, 川

芎(천궁), 白芍(백작), 防風(방풍), 木賊(목적), 羌活(강활) 各50, 生姜(생강

5片, 大棗(대조)2枚.

① 身体實者(신체실자) : 加 夏枯草(하고초)50,

② 身體消瘦者(신체소수자) : 加 桂枝(계지)50. 硏末(거칠게 갈아서) 每次 30g.

- 水煎服(수전복)

症狀 : 冷流泪綿綿(냉류루면면)

菊花丸(국화환)

≒ 炒菊花(초국화)200, 巴戟(파극)(去心)150, 枸杞子(구기자)150, 肉蓗蓉(육종용,

酒洗去皮)100. 硏末(연말)하여 丸劑(환제)로 만들어서 溫酒(온주) 혹은 鹽水送

下(염수송하) 한다.




루정 (漏睛) = 루정창(漏睛瘡)

1. 參照

1) 루낭염(泪囊炎) 參照

2. 중의안과학(中醫眼科學)

漏睛(루정) 과 漏睛瘡(루정창)은 모두 눈물구멍에 열사가 침입하여(邪熱侵入泪竅) 일어

난 병변으로써(引起的病變), 다만 발병이 완급 할 뿐이다(但發病緩急).

1) 漏睛(루정) 본병은 항상 눈가(眦)에 큰 점액(涎水)이 있거나 혹은 고름 액(膿汁)이 눈물

구멍 밖으로 흘러나오는(自泪竅外漏) 임상 특징이 있는 눈병(爲臨床特徵的眼病) 임으

로 루정이라고 명한다(故名漏睛).

病因病機(병인병기)

⑴ 風熱外侵(풍열외침), 停留泪竅(정류루규), 積伏日久(적복일구), 潰而成膿(潰而成膿(궤

이성농).

⑵ 心有伏火(심유복화), 脾蘊濕熱(비온습열), 循經上攻內眦(순경상공내자), 積聚成膿(적

취성농), 浸漬泪竅(침지루규).

辨證論治(변증론치)

⑴ 內治(내치)

① 風熱停留(풍열정류)

證狀 : 눈 깃이 포개지는 눈초리(大眦頭皮)의 색은 늘 같은 색이고 혹 정명혈(睛明

穴) 아래쪽(下方)에 융기가 뾰족하게 일어낫는데(稍顯隆起) 손으로 만져도 아

프지 않으며(按之不通), 끈끈하고 탁한 눈물이 보이고(見有泪液粘濁) 절로 눈

물구멍으로 넘쳐 나와(自泪竅溢出) 은근히 껄끄럽고 불편함을 느끼는데(自

覺隱澁不舒) 때로는 눈물이 나오거나(時而泪出) 혹은 동자에 끈끈한 점액을

인식한다(覺涎水粘睛).

分析 : 장부진액(臟腑津液)이 위로 눈에 흐르는 것이 눈물이다(上注于目而爲泪).

풍열의 사기가(今風熱之邪) 눈초리에 숨어들어(伏于大眦) 눈물을 뜨겁게 살

라(泪液受灼) 점차 탁하고 빽빽하게 변해서(漸變稠濁) 오래 쌓이면 도랑이(積

久則溝) 되는 고로 절로 눈물구멍으로 쉬지 않고 끝임 없이 흘러나오거나(故

自泪竅不斷溢出) 혹은 압박을 주면 나온다(或壓之而出). 그와 같이 조색현상

(有阻塞現象)이 있다가 도랑이 터져 눈물 구멍으로 배출됨으로 불시에 눈물

이 떨어진다(不時泪下).

治法 : 疏風淸熱(소풍청열)

方葯 : 白薇丸(백미환) 加 蒲公英(포공영)

≒ 白薇(백미), 熟乾地黃(숙건지황), 川椒(천초, 炒出汗), 白龍骨(백용골),

車前子(차전자), 炒當歸(초당귀), 川芎(천궁), 蛇床子(사상자), 細辛(세

신), 炮乾姜(포건강), 藁本(고본), 卷柏(권백), 白芷(백지), 覆盆子(복분

자), 麩炒桃仁(부초도인), 人參(인삼), 桂心(계심), 菖蒲(창포), 茯苓(복

령), 麥冬(맥동, 去心), 遠志肉(원지육).

方解 - ㉠ 防風(방풍), 羌活(강활), 白蒺藜(백질려) : 祛散風邪(거산풍사)

㉡白薇(백미), 蒲公英(포공영) : 淸除熱邪(청제열사)

㉢ 石榴皮(석류피) : 收斂止泪(수렴지루)

加味 - ㉠ 눈초리 부위와 같이(如眦部) 뾰족하게 융기되어 있고((稍有隆起) 압박을

주어도 아프지 않으며(壓之不痛) 두혼안화(頭昏眼花)하며, 요슬산연(腰膝

痠軟)하는 간신부족의 증상을 위주로 한다(爲肝腎不足症)

可加 菊花(국화), 枸杞子(구기자), 補骨脂(보골지) 等.

② 心脾濕熱(심비습열)

證狀 : 大眦頭(대자두) 微紅潮濕(미홍조습), 膿液浸漬(농액침지)( 拭之又生 小便黃赤

舌苔黃膩(설태황니).

分析 : 大眦屬心(대자속심), 胞瞼屬脾(포륜속비), 今心有伏火(금심유복심), 脾有濕熱

(비유습열), 循經上攻瞼眦(순경상공검자), 故大眦微紅(고대자미홍), 潮濕膿液

浸漬不已(조습농액침지불이) ; 心移熱于小腸(심이열우소장), 故溲赤(고수적)

脾胃蘊積(비위온적), 濕熱 故舌苔黃膩(습열 고설태황니).

治法 : 淸心利濕(청심이습)

方葯 : 竹葉瀉經湯(죽엽사경탕) 加减.

≒ 죽엽(竹葉), 치자(梔子), 황금(黃芩), 황연(黃連), 대황(大黃), 차전

자(車前子), 복령(茯苓), 택사(澤瀉), 초결명(草決明), 적작(赤芍),

강활(羌活), 승마(升麻), 시호(柴胡), 감초(甘草).

方解 - 죽엽(竹葉), 황연(黃連) : 청심화(淸心火)

대황(大黃) 치자(梔子) 황금(黃芩) 승마(升麻) :청비사열(淸脾瀉熱)

택사(澤瀉), 차전자(車前子), 助 죽엽(竹葉) : 청열이습(淸熱利濕).

복령(茯苓), 감초(甘草), 配 승마(升麻) : 리비삼습(理脾滲濕)

用 시호(柴胡), 결명자(決明子) : 가강(加强) 청화지력(淸火之力)

강활(羌活) : 能除 방광경(膀胱經)의 풍습(風濕)을 잘 제거한다.

적작(赤芍) : 거어체(祛瘀滯) 加减 농액이 걸쭉하고 끈끈하면(稠粘)

去 강활(羌活),

加 천화분(天花粉), 루로(漏蘆), 유향(乳香), 몰약(沒葯).

-가강(加强) 청열배농(淸熱排膿) 거어소체(祛瘀消滯) 作用

⑵ 外治(외치)

① 八寶眼葯(팔보안약) 点眼(점안), 하루 3번(一日 三次).

② 泪道冲洗(루도충세) : 黃連水(황연수) 冲洗泪道(충세루도) 매일 1번 淸熱排膿(청열

배농) : 亦可用(역가용) 西葯(서약) 抗生素類(항생소류) 冲洗(충세)

③ 手術療法(수술료법) : 오래 낫지 않으면(漏睛久不愈) 수술을 고려해 볼 수 있다(可考

慮手術).


2) 漏睛瘡(루정창)

漏睛瘡是 大眦附近 睛明穴下方 突發赤腫高起 繼之 潰破出膿的病症. 西醫學的 急性泪囊炎.

病因病機(병인병기)

⑴ 心經蘊熱 或素有漏睛 復感風邪 風熱相搏 發爲本病.

⑵ 素食辛辣炙煿 心脾熱毒壅盛 上攻泪竅 氣血瘀滯 結聚成瘡.

辨證論治(변증론치)

⑴ 內治

① 風熱上攻(풍열상공)

證狀 : 환부(患部) 홍종동통(紅腫疼痛), 두통루다(頭痛泪多), 오한발열(惡寒發熱), 설태

박황(舌苔薄黃), 맥부삭(脈浮數). 分析 : 풍열상박(風熱相搏) 객우루규(客于泪

竅) 락맥실화(絡脈失和) 고 대자홍종동통루다(故大眦紅腫疼痛泪多).풍열습표

(風熱襲表) 고유두통(故有頭痛) 오한발열(惡寒發熱), 맥부삭(脈浮數) 등 전신증

상(全身症狀).

治法 : 疏風淸熱(소풍청열)

方葯 : 驅風散熱飮子(구풍산열음자) 加减.

≒ 연교(連翹), 우방자(牛蒡子), 강활(羌活), 박하(薄荷), 대황(大黃),

적작(赤芍), 방풍(防風), 당귀미(當歸尾), 감초(甘草), 산치인(山梔

仁), 천궁(川芎).

方解 - ① 연교(連翹), 대황(大黃), 산치(山梔) : 청심사열(淸心瀉熱)

② 강황(姜黃), 박하(薄荷),방풍(防風),우방자(牛蒡子) : 소풍산사(疏風散邪)

③ 당귀(當歸), 적작(赤芍), 천궁(川芎): 활혈통락(活血通絡),소체지통(消滯止痛)

④ 감초(甘草) : 조화제약(調和諸葯)

加减 - ① 대변통창자(大便通暢者) : 可去 대황(大黃),

加 황연(黃連)

② 熱毒熾盛(열독치성)

證狀 : 환처(患處)가 빨갛게 높이 부어오르고(紅腫高起) 단단하고 몹시 아파

서 손을 못 대게 한다(堅硬痛甚而拒按). 빨갛게 붙거나(紅腫) 혹은 뺨

에(面頰) 및 눈꺼풀에 만연괴고(蔓延至面頰及胞瞼), 신열과 구갈(身

熱口渴)이 나고 대변이 조결(大便燥結)하며, 설질홍(舌質紅) 태황조

(苔黃燥)하고 맥은 홍삭(脈洪數)하다.

分析 : 눈 깃이 포개지는 눈초리는 심에 속하고(大眦屬心), 눈자위와 뺨은 양

명에 속하는(眼眶面頰屬陽明) 지라 현제 심비의 열독이 상공(今心脾

熱毒上攻)하는 고로 해당 부위가 빨갛게 붙고 불을 사르듯이 아픈 것

이다(故該處紅腫焮痛). 열독이 쌓이면(熱毒蘊結) 기와 혈이 어체(氣

滯血瘀)되는 고로 단단하고 아파서 손을 못대게 하는 것이다(故痛硬

拒按). 비위에 열이 가득하니(脾胃熱盛) 구갈이 나고 변이 뭉치는 것

이다(則口渴便結). 신열(身熱), 설홍(舌紅), 태황조(苔黃燥)하며 맥이

홍삭(脈洪數)한 등은 역시 일맥(亦皆一派) 실화의 증후(實火證候) 이

다.

治法 : 淸熱解毒(청열해독), 消瘀散結(소어산결).

方葯 : 黃連解毒湯(황연해독탕) 加减.

≒ 황련(黃連), 황금(黃芩), 황백(黃柏), 산치자(山梔子).

方解 - 황연(黃連), 황금(黃芩), 황백(黃柏), 산치(山梔) : 苦寒淸熱(고한청열)

加味 - ㉠ 加 銀花(은화), 蒲公英(포공영) : 淸熱解毒(청열해독)

㉡ 大黃(대황) : 通腑瀉熱(통부사열)

㉢ 穿山甲(천산갑), 皂角刺(조각자) : 通絡祛瘀(통락거어), 消腫止痛

(소종지통), 淸熱解毒(청열해독)을 增强(증강)시키고 瘡腫(창종)을

줄이는 작용을 한다.

③ 正虛邪留(정허사류)

證狀 : 患處時發 微紅微腫 幷微有壓痛 但不潰破; 或潰后漏口難斂 濃汁稀少

而不絶 面色晄白 神疲食少 舌淡苔薄 脈弱无力.

分析 : 患者 面色晄白 神疲食少 舌淡苔薄 爲氣血不足之象. 患處時發紅腫 症

狀輕微或漏口難收 膿汁常流 爲氣血不足 正不勝邪 邪氣留戀 所致.

治法 : 托里排毒(탁리배독)

方葯 : 千金托里散(천금탁리산) 加减.

≒ 당삼(黨參), 황기(黃芪), 백작(白芍), 감초(甘草), 용담초(龍

膽草), 복령(茯苓), 은화(銀花), 연교(連翹), 황금(黃芩), 백

지(白芷), 옥길경(玉桔梗), 방풍(防風), 맥동(麥冬), 당귀(當

歸), 천궁궁(川芎窮). 죽엽(竹葉), 진미(陳米).

方解 - ㉠ 黨參(당삼), 黃芪(황기), 茯苓(복령), 甘草(감초), 當歸(당귀), 芍葯

(작약), 川芎(천궁) : 補氣養血(보기양혈)

㉡ 銀花(은화), 防風(방풍) : 祛風熱(거풍열).

㉢ 桔梗(길경), 白芷(백지),

配 當歸(당귀), 川芎(천궁) : 活血排膿(활혈배농).

㉣ 麥冬(맥동) : 養陰(양음)

⑵ 外治(외치)

① 未成膿者(미성농자)

如促其消散 : 可用 紫金錠 外涂 或用 新鮮 芙蓉葉 野菊花 洗凈搗爛 外敷. 亦可用 熱敷

② 已成膿者(이성농자)

應切開排膿 幷置放引流條 每日換葯. 待无膿時 除去引流條 使切口愈合. 切忌擠壓 避

免膿毒擴散.

③ 已形成漏管者(이형성루관자) : 可考慮(가고려) 手術治療(수술치료).


3. 임상 (臨床)

루정(漏睛)

1) 풍열복유(風熱伏留)

대자두피(大眦頭皮) 색여상(色如常), 혹견(或見) 정명혈하(睛明穴下) 방초현융기(方稍

顯隆起) 안지불통(按之不通), 유(有) 점탁루액(粘濁泪液) 자루(自泪) 규일출(竅溢出) 은

삽불서(隱澁不舒) 시이루출(時而泪出), 혹 각연수점정(覺涎水粘睛).

방 : 백미환(白薇丸)《竄視瑤函》치목제(治目劑)

≒ 백미(白薇), 석류피(石榴皮), 방풍(防風), 백질려(白疾藜), 천강활(川羌活).

- 세말(細末) 미분호(米粉糊) 위환(爲丸)

2) 비습열(脾濕熱)

대자두(大眦頭) 미홍조습(微紅潮濕), 농액침독(膿液浸瀆) 식지우생(拭之又生) 소변황

적(小便黃赤) 설태황니(舌苔黃膩).

방 : 죽엽사경탕(竹葉瀉經湯)《原機啓微》치목제(治目劑)

≒ 죽엽(竹葉), 치자(梔子), 황금(黃芩), 황연(黃連), 대황(大黃), 차전자(車

前子), 복령(茯苓), 택사(澤瀉), 초결명(草決明), 적작(赤芍), 강활(羌活),

승마(升麻), 시호(柴胡), 감초(甘草). - 십사미약조성(十四味葯組成)

3) 루정창(漏睛瘡)

풍열상공(風熱上攻) 대자부근(大眦附近) 혹 정명혈하방(睛明穴下方) 홍종동통(紅腫疼

痛) 두통루다(頭痛泪多) 오한발열(惡寒發熱) 설태박황(舌苔薄黃) 맥부삭(脈浮數).

방 : 구풍산열음자(驅風散熱飮子)《竄視瑤函》치목제(治目劑)

≒ 연교(連翹), 우방자(牛蒡子), 강활(羌活), 박하(薄荷), 대황(大黃), 적작

(赤芍), 방풍(防風), 당귀미(當歸尾), 감초(甘草), 산치인(山梔仁), 천

궁(川芎). - 소풍청열(疏風淸熱)

4) 루정창(漏睛瘡)

여독미정(余毒未凈) 정기이허(正氣已虛) 환처(患處) 시발(時發) 미홍미종(微紅微腫) 병

유압통(幷有壓痛) 단불궤파(但不潰破), 혹 궤후루구난렴(潰后漏口難斂) 농즙희소(濃汁

稀少) 이불절(而不絶) 면백(面白) 신피식소(神疲食少) 설태박백(舌苔薄白) 맥약무력(脈

弱无力).

방 : 천금탁리산(千金托里散)《眼科集成》치목제(治目劑)

≒ 당삼(黨參), 황기(黃芪), 백작(白芍), 감초(甘草), 용담초(龍膽草), 복령(茯

苓), 은화(銀花), 연교(連翹), 황금(黃芩), 백지(白芷), 옥길경(玉桔梗), 방

풍(防風), 맥동(麥冬), 당귀(當歸), 천궁궁(川芎窮). 죽엽(竹葉), 진미(陳

米). - 탁리배독(托里排毒)

12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Israel

臨床 363 /♧ 痔(치) - 痔疾(치질)

1 槪念(개념) 882 人体直腸末端粘膜下和(인체직장말단점막하화) 肛管皮膚下(항관피부하) 靜脈叢發生擴張和 (정맥총발생확장화) 屈曲所

臨床 362 / 耳部 3. 耳眩暈(이현운) ♧

耳眩暈(이현운) 1 槪念(개념) 1251 眩暈是目眩頭暈(현운시목현두운), 卽眼花潦亂(즉안화요란), 頭部旋轉不定的病證(두부선전 부정적병증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