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통 (頭痛) - I
1. 常用葯(상용약)
1) 風寒頭痛(풍한두통) : ☆ 羌活(강활).
2) 陽明頭痛(양명두통) 首選葯(수선약) : ☆ 白芷(백지). - 祛風止痛(거풍지통 -風寒前額頭
痛(풍한전액두통), 消腫排膿(소종배농), 宣通鼻竅(선통비규).
3) 厥陰頭痛(궐음두통) : ☆ 吳茱萸(오수유) - 中焦虛寒(중초허한), 肝胃虛寒(간위허한), 肝
氣上逆(간기상역), 嘔吐涎沫(구토연말), 頭痛(두통)
4) 風寒表證(풍한표증) 頭痛(두통) : ☆ 細辛(세신) - 鼻淵頭痛(비연두통)
5) 偏頭痛(편두통) - 온화한담(溫化寒痰) : 白附子(백부자).
6) 頭痛眩暈(두통현운) - 補血(보혈) : 白芍(백작).
2. 配伍葯(배오약)
1) 蔓荊子(만형자) + 連翹(연교) = 風化頭痛(풍화두통), 暴發火眼(폭발화안) 等症
2) 石膏(석고)30 + 細辛(세신)3 = 頭痛(두통) - 感受風熱(감수풍열), 上竄淸竅(상찬청규)
3) 細辛(세신)3 + 乾地黃(건지황)10 = 風化頭痛(풍화두통)
4) 當歸(당귀)10 + 川芎(천궁)10 = 頭痛(두통) - 血虛(혈허), 血瘀(혈어) 以左側爲甚者(이좌
측위심자)
5) 石決明(석결명)12 + 紫石英(자석영)12 = 打先煎(타선전) 肝陽上亢以致(간양상항
이치)
6) 石決明(석결명)12 + 磁石(자석)30 = 打先煎(타선전) 肝腎陰虛(간신음허) 水不涵木(수
불함목), 肝陽上擾(간양상요), 以致頭痛(이치두통)
7) 刺蒺藜(자질려)15 + 姜蚕(강잠)10 = ⑴ 頭痛(두통) - 肝陽上亢(간양상항)
⑵ 神經性頭痛(신경성두통)
8) 姜蚕(강잠)6 + 地龍(지룡)10 = 頭痛久久不愈(두통구구불유)
9) 全蝎(전갈)4.5 (硏末呑服 每 1) + 鉤藤(구등)15 = ⑴ 頑固性頭痛(완고성두통) - 風熱爲
患(풍열위환) 久久不愈(구구불유).
⑵ 動脈硬化所引起的頭痛(동맥경화인기적두통)
10) 全蝎(전갈)4.5 + 蜈蚣(오공)3 =(硏末冲服 每 各1) 頑固(완고성) 偏,正頭痛(편정두통), 以
抽掣疼痛爲主(이추체동통위주).
11) 茺尉子(충위자)10 + 天麻(천마)10 = 頭痛(두통)
⑴ 絡道不暢(락도불창), 癲癎爲患(전간위환)
⑵ 中風絡道(중풍락도), 氣血循行不暢(기혈순행불창)
12) 白芷(백지)10 + 姜蚕(강잠)10 = 眉棱骨痛(미능골통), 證屬風熱爲患(증속풍열위환)
13) 桑枝(상지)30 + 桑寄生(상기생)30 = 頭痛(두통) - 症屬肝腎不足(증속간신부족), 陰虛陽
亢(음허양항), 頭暈(두운), 耳鳴(이명), 痲木(마목)
14) 白芍(백작)60 + 甘草(감초)10 = 血虛頭痛(혈허두통)
15) 全蝎(전갈)4.5 + 蜈蚣(오공)3 =(涎沫冲服(연말충복) 매 각1) 頑固性(완고성) 正頭痛(정
두통), 偏頭痛(편두통).
16) 白薇(백미)10 + 刺蒺藜(자질려)10 = 頭脹(두창) 頭痛(두통) - 血虛肝熱(혈허간열) 肝陽
上擾(간양상요)
17) 枸杞子(구기자)15 + 菊花(국화)10 = 頭脹頭痛(두창두통) - 肝腎不足(간신부족)- 以致視
物不明(이치시물불명), 頭昏眼花(두혼안화).
頭暈頭痛(두훈두통)
1) 磁石(자석)30 + 石菖蒲(석창포)10 = 頭暈頭痛(두훈두통) - 陰虛陽亢(음허양항) 或兼有
(혹겸유) 心悸(심계), 心煩(심번), 失眠(실면).
2) 石決明(석결명)12 + 紫石英(자석영)12 =(打先煎) 肝陽上亢以致(간양상항)
3) 紫石英(자석영)12 + 鐵落(철락)30 =(打先煎) 頭暈(두훈) 頭痛(두통)
頭昏頭痛(두혼두통)
1) 何首烏(하수오)15 + 刺蒺藜(자질려)15 = 頭昏頭痛(두혼두통) - 用腦過度(용뇌과도),
肝腎陰虛(간신음허), 失眠(실면)
2) 半夏(반하)10 + 夏枯草(하고초)15 = 頭昏(두혼) 頭痛(두통) - 痰熱爲患(담열위환), 遏阻
中焦(알조중초) 以致(이치).
3) 龍齒(용치)15 + 紫貝齒(자패치)15 =(打先煎) 頭昏(두혼), 頭痛(두통) - 陽不得入于陰(양
불득입우음), 睡眠困難(수면곤난).
4) 茺尉子(충위자)10 + 天麻(천마)10 = 頭昏頭痛(두혼두통) - 絡道不暢(락도불창) 癜癎爲
患(전간위환).
5) 桑枝(상지)30 + 桑寄生(상기생)30 = 頭痛頭暈(두통두운), 耳鳴(이명), 心悸(심계), 痲木
(마목)-肝腎不足(간신부족), 陰虛陽亢(음허양항)
3. 中醫葯學(중의약학)
1) 頑固性頭痛(완고성두통) 偏正頭痛(편정두통)
葯 : 蜈蚣(오공), 川芎(천궁), 天麻(천마), 白僵蚕(백강잠).
4. 中醫內科學(중의내과학)의 頭痛(두통)
外感(외감) 혹은 內傷(내상)으로 일어나는 頭痛(두통)을 위주로 하는 病證(병증)으로써 頭
痛(두통)만 보이거나 병행하여 기타 疾病(질병)중에 疼痛性質(동통성질)을 지닌 首風(수
풍), 腦風(뇌풍), 癲疾(전질), 眞頭痛(진두통), 厥頭痛(궐두통), 頭風(두풍),腦頭風(뇌두풍)
등
歷史沿革(역사연혁)
《內經》 原因(원인) - 外感(외감) 風寒之邪(풍한지사)
《傷寒論》按六經命名(안육경명명) 太陽之爲病(태양지위병) : 頭項强痛而惡寒(두항강통
이오한)
陽明病(양명병) : 二三日嘔而咳(이삼일구이해), 手足厥者(수족궐자), 必苦頭痛(필고두
통)
傷寒脈弦細(상한맥현세) 頭痛發熱者(두통발열자) - 屬少陽(속소양) 乾嘔吐涎沫(건구토연
말) 頭痛者(두통자) 吳茱萸湯主之(오수유탕주지) - 厥陰(궐음)
《元金》李東垣(이동원) 頭痛分爲外感(두통분위외감) 轉內傷(전내상), 補充了太陽(보충료
태양), 少陰頭痛(소음두통).
朱丹溪(주단계) 原因(원인) : 痰(담), 引經葯(인경약) : 川芎(천궁)
如不愈名加引經葯(여불유명가인경약)
太陽(태양) - 川芎(천궁), 陽明(양명) - 白芷(백지),
少陽(소양) - 柴胡(시호), 太陰(태음) - 蒼朮(창출),
少陰(소음) - 細辛(세신), 厥陰(궐음) - 吳茱萸(오수유).
《明靑》張景岳(장경악) 按部住辨證(안부주변증 ) - 病性(병성)
病名參考(병명참고)
高血壓(고혈압), 腦動脈硬化(뇌동맥경화), 副鼻돌炎(부비돌염), 神經官能症(신경관능증),
偏頭痛(편두통), 腦震蕩后遺證(뇌진탕후유증) → 頭痛(두통).
病因病機(병인병기)
두통(頭痛)의 병인(病因)은 외감두통(外感頭痛)과 내상두통(內傷頭痛)으로 나눈다. 외감
두통(外感頭痛)은 풍한(風寒), 풍열(風熱), 풍습(風濕)에 의한 3 종의 두통(頭痛)으로 분류
하고 내상두통(內傷頭痛)은 간양(肝陽), 담탁(痰濁), 혈허(血虛), 어혈瘀血)과 신허(腎虛)
등 5 종으로 두통을 분류(分類)하고 있다.
이 같은 각종 두통(頭痛)의 병인병기(病因病機)를 도표(圖表) 형식으로 보면 아래와 같다.
風 →┏ 寒 → 寒凝血滯 → 阻遏脈絡 ┓
┣ 熱 → 上擾淸空 → 氣血逆亂 ┫
┗ 濕 → 蒙蔽淸竅 → 淸陽不升 ┛→ 外感頭痛
肝 →┏ 情志不和 ━→ 肝氣不舒 → 鬱而化火 ┓
┣ 火盛傷陰 ┓→ 肝腎陰虧 → 肝陽上亢 ┛→ 上擾淸竅
┗ 腎水不足 ┛
腎 → ┏ 稟賦不足 ↘ ↗ 不能上充于腦 → 腦髓空虛
┗ 腎精俱虧 ↗ ↘ 陰損及陽 → 腎陽衰微 → 淸陽不展
脾胃 →┏ 飮食不節 ┓
┣ 勞倦過度 ┫→ 脾胃受傷 →┏ 氣血化源不足 → 腦失濡養
┗ 病后體虛 ┛ ┗ 痰濕內生 → 阻遏淸陽
瘀血 →┌ 頭部外傷 ┏ 腦失濡養
└ 久病入絡 → 血行不暢 → 絡脈瘀阻 → ┗ 腦絡不通
類證鑒別(류증감별)
與 眩暈鑒別 : 同時幷見 何者爲主
① 頭痛病因 → ┏ 外感 - ┓
┗ 內傷 - ┛→ 實
② 眩暈病因 → 內傷爲主 → 虛
辨證施治(변증시치) - 치료분류(治療分類)
1) 外感頭痛(외감두통)
⑴ 풍한두통(風寒頭痛) - 外感
主證 : 풍(風)과 한사(寒邪)에 의한 두통으로 목덜미와 등이 연이어 아픈 통연항배(痛
連項背)가 있고, 찬바람을 두려워하여 피하는 오풍외한(惡風畏寒)과 바람을
맞으면 더욱 심해지는 우풍우극(遇風尤劇)의 증세가 있고, 목은 마르지 않고,
설태(舌苔)는 희며, 맥(脈)은 부(浮)하거나 혹은 부긴(浮緊)하다.
治法 : 풍한(風寒)의 사기(邪氣)를 발산시켜서 흩어지게 하여 두통을 멈추게하는 소
풍산한(疏風散寒)의 방법으로 치료한다.
方葯 : 川芎茶調散(천궁다조산)
≒ 천궁(川芎), 형개(荊芥), 방풍(防風), 세신(細辛), 백지(白芷), 박하
(薄荷), 강활(羌活), 감초(甘草).
만일 기침하며 담(痰)을 뱉는 담해(痰咳)일 때는 :
행인(杏仁), 전호(前胡)를 가(加)하여 거담지해(祛痰止咳)시킨다.
⑵ 風熱頭痛(풍열두통) - 外感(외감)
主證 : 머리가 터질 듯이 아픈 두통이창(頭痛而脹)과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몸에 열
이 있고 바람을 두려워하는 발열오풍(發熱惡風)과 얼굴은 붉고, 눈이 빨갛게
되는 면홍목적(面紅目赤)에 목이 말라 물을 찾는 구갈욕음(口渴欲飮), 변비가
있고 소변이 붉은 변비뇨적(便秘尿赤)에 설질이 붉고 설태(舌苔)가 황색이며
맥은 부삭(浮數)하다.
治法 : 풍사(風邪)를 흩어지게 하고 열을 내리는 소풍청열(疏風淸熱) 법으로 치료(治
療)한다.
方葯 : 芎芷石膏湯(궁지석고탕) 加减(가감)
≒ 천궁(川芎), 백지(白芷), 석고(石膏), 국화(菊花), 고본(藁本), 강활
(羌活).
减 : 강활(羌活)
加 : 박하(薄荷), 만형자(蔓荊子), 황금(黃芩), 치자(梔子).
혹가(或可) : 상국음(桑菊飮) 가감(加减)
⑶ 風濕頭痛(풍습두통) - 外感(외감)
主證 : 머리를 잡아 맨 것 같이 아픈 두통여과(頭痛如裹)증과 팔다리 전신이 무겁고
괴로운 지체곤중(肢體困重)과 가슴이 답답하며 소화불량 등 위의 수납기능이
정체되는 흉민납매(胸悶納呆)증이 있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며 소변불리
(小便不利), 묽은 대변을 보고(大便溏薄), 설태는 희고 끈적끈적한 태백니(苔
白膩)에 맥(脈)은 유(濡)하다.
治法 : 풍사(風邪)를 제거(除祛)시킴으로 습사(濕邪)가 따라 소감(消减) 되는 거풍승
습(祛風勝濕)법으로 치료(治療)한다.
方葯 : 羌活勝濕湯(강활승습탕)
≒ 강활(羌活), 독활(獨活), 고본(藁本), 방풍(防風), 천궁(川芎), 만형
자(蔓荊子), 감초(甘草).
肢體困重(지체곤중) 胸悶納呆(흉민납매) 大便溏薄(대변당박) :
加 蒼朮(창출), 厚朴(후박), 陳皮(진피)
2) 내상두통(內傷頭痛)
⑴ 肝陽頭痛(간양두통) - 內傷(내상)
主證 : 간(肝)의 양기(陽氣)가 항진(亢進)하여 생긴 두통으로 머리가 아찔한 두통이현
(頭痛而眩)하고, 마음이 초조(焦躁)하고 버럭 화를 잘 내는 심번이노(心煩易
怒)와 밤잠이 불편한 야매불령(夜寐不寧), 안면이 붉고 눈이 빨갛게 충혈된 면
홍목적(面紅目赤)에 입안이 쓴 구고(口苦), 혹은 겸하여 협통이 있거나 하며,
설질은 붉고 설태는 적은데 색이 누런 舌質紅(설질홍), 苔薄黃(태박황)에 맥은
현하고 유력한 맥현유력(脈弦有力)이다.
治法 : 보익간신(補益肝腎)하여 편항(偏亢)된 간양(肝陽)을 내리는 평간잠양(平肝潛
陽) 법으로 치료하여 두통(頭痛)을 사라지게 한다.
方葯 : 天麻鉤藤飮(천마구등음)
≒ 천마(天麻)9, 구등(鉤藤)12, 석결명(石決明)18, 치자(梔子)9, 황금
(黃芩)9, 천우슬(川牛膝)12, 두중(杜仲) 익모초(益母草) 상기생(桑
寄生) 야교등(夜交藤) 주복신(朱茯神) 각(各)9.
加 생용골(生龍骨), 생모려(生牡蠣), 국화(菊花).
⑵ 痰濁頭痛(담탁두통) - 內傷(내상)
主證 : 두통(頭痛)으로 앞이 어두워 혼몽(昏蒙)해 지며, 가슴과 위완부가 답답한 흉완
만민(胸脘滿悶)에 구역질이 나며 침을 흘리는 구오담연(嘔惡痰涎)이 있고, 설
태는 희며 끈적끈적한 태백니(苔白膩)에 맥은 활(滑)하거나 혹은 현활(弦滑)
하다.
治法 : 담을 삭이여 상역(上逆)하는 기(氣)를 아래로 내려가도록 하는 화담강역(化痰
降逆)의 방법으로 치료(治療)한다.
方葯 :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 반하(半夏), 백출(白朮), 천마(天麻), 인삼(人蔘), 황기(黃芪),
건강(乾姜), 운령(云苓), 택사(澤瀉), 진피(陣皮), 창출(蒼朮),
황백(黃柏), 맥아(麥芽), 신곡(神曲).
加 厚朴(후박), 蔓荊子(만형자), 白蒺藜(백질려).
⑶ 血虛頭痛(혈허두통) - 內傷(내상)
主證 : 두통으로 머리가 아찔한 두통이현(頭痛而眩)이 있고, 안색이 그리 밝지 못한
면색소화(面色少華)에 가슴이 두근거리는 심계정충(心悸怔冲)과 정신이 피로
하고 힘이 빠지는 뜻한 신피핍력(神疲乏力)에 혀가 담담한 설담(舌淡)과 설태
가 희고 적은 태박백(苔薄白)에 맥은 세약(細弱)하다.
治法 : 滋陰養血(자음양혈) (以養血爲主)
方葯 : 四物湯(사물탕)
≒ 숙지황(熟地黃)12, 당귀(當歸)10, 백작(白芍)12, 천궁(川芎)8, 加 국화
(菊花), 만형자(蔓荊子), 황금(黃芩), 감초(甘草).
① 氣虛(기허) 神疲乏力(신피핍력), 汗出氣短(한출기단)
加 黨參(당삼), 黃芪(황기), 太子參(태자삼).
② 失眠(실면) : 加 炒棗仁(초조인), 合歡花(합환화).
⑷ 瘀血頭痛(어혈두통) - 內傷(내상)
主證 : 頭痛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경구불유(經久不愈)에 아픈 곳이 고정되어 이동
하지 않는 통처고정(痛處固定) 불이(不移)하며, 증이 마치 바늘로 찌르는 뜻한
통여침자(痛如針刺)하고, 혹 예전에 머리에 외상을 받은 일이 있어도 이런 두
통이 생긴다(或有頭部外傷史), 혀에 어반이 나 어점이 있겠고(舌有瘀斑 瘀点),
맥은 세(細)하거나 혹은 세삽(細澁)하다.
治法 : 혈관(血管)의 혈(血)이 활발하게 활동하도록 하여 뭉친 혈이 풀어지도록 하는
활혈화어(活血化瘀) 하는 방법으로 치료(治療)한다.
方葯 : 通竅活血湯(통규활혈탕)
≒ 사향(麝香), 도인(桃仁), 홍화(紅花), 천궁(川芎), 적작(赤芍), 총백
(葱白), 생강(生姜),
加 울금(鬱芩), 창포(菖蒲) ,백지(白芷), 세신(細辛), 삼칠(三七).
久痛入絡(구통입락) 頭痛芒者(두통망자) :
加 전갈(全蝎), 오공(蜈蚣), 강잠(姜蚕), 지별충(地鱉虫).
⑸ 腎虛頭痛(신허두통) - 內傷(내상)
主證 : 머리에 구멍이 뚫리는 듯이 아픈 두통차규(頭痛且竅)에 머리가 아찔하며 어
지러운 현운(眩暈)과 허리와 무릎이 저리고 힘이 없는 요슬산연(腰膝痠軟), 정
신이 피로하고 힘이 빠지는 뜻한 신피핍력(神疲乏力)에 남자는 유정(遺精), 여
자는 대하(帶下)가 있고, 귀에서 소리가 나는 이명(耳鳴), 밤잠을 적게 자는 소
매(少寐)와 혀가 붉고 태가 적은 설홍소태(舌紅少苔)에 맥은 침세(沉細)하고
무력(无力)한 등등의 - 음허증(陰虛證)
治法 : 자음(滋陰)하여 신장(腎臟)을 보익(補益)시키는 양음보신(養陰補腎)의 방법으
로 치료한다.
方葯 : 大補元煎(대보원전)
≒ 인삼(人蔘), 산약(山葯), 숙지황(熟地黃), 두중(杜仲), 구기자(枸杞子),
당귀(當歸), 산수유(山茱萸), 감초(甘草).
加 여정자(女貞子), 토사자(菟絲子), 국화(菊花), 만형자(蔓荊子), 천궁
(川芎).
신양허(腎陽虛) : 두통(頭痛), 추운 것을 두려워하는 외한(畏寒), 면색이 창백
하고, 수족이 찬 면백지냉(面白肢冷)에는 좌귀환(左歸丸)으
로 자음신(滋陰補腎)하여 신양(腎陽)을 견고히 해야 한다.
功效 : 자음보신(滋陰補腎)
方葯 : 左歸丸(좌귀환)
≒ 숙지(熟地), 산약(山葯), 구기자(枸杞子), 산수유(山茱
萸), 우슬(牛膝), 토사자(菟絲子), 녹각교(鹿角膠), 구
판교(龜板膠). 加 만형자(蔓荊子) 세신(細辛)
3) 其他(기타)
☞ ⑴ 偏頭痛(편두통)
主證 : 머리의 오른쪽 또는 외쪽에 오는 두통이 마치 폭탄이 터지듯이, 통세가 극심
(痛勢甚劇)하나, 그 통세(痛勢)가 이((齒) 또는 눈(眼)에는 미치지 않는다.
中醫 : 肝火偏盛(간화편성) - 동양의학의 변증(辨證)에서는 간(肝)의 화열(火
熱)이 편파적으로 왕성(旺盛)해져서 일어나는 두통(頭痛)이라고 판단한
다.
治法 : 평간식풍(平肝熄風)하고 청열위주(淸熱爲主)로 치료(治療)한다.
① 方葯 : 국화(菊花), 구등(鉤藤), 천마(天麻), 천궁(川芎), 백지(白芷), 생석고(生石膏), 만
형자(蔓荊子), 전갈(全蝎) 加 지용(地龍).
㉠ 간(肝)의 화열(火熱)이 편파적으로 왕성(旺盛)해지는 간화편성(肝火偏盛)
에는 : 가(加) 용담초(龍膽草), 치자(梔子), 모단피(牡丹皮).
㉡ 오랜병으로 락맥(絡脈)을 손상(損傷)받는 구병입락(久病入絡)은 : 도인(桃
仁), 홍화(紅花), 적작(赤芍)을 가미(加味)한다.
② 方葯 : 川芎(천궁)30, 蔓荊子(만형자)15, 牛膝(우슬)60, 茺尉子(충위자)15, 香附(향
부)10, 菊花(국화)15, 桂枝(계지)6, 甘草(감초)6, 鉤藤(구등)15, 白蒺藜(백질
려)10, 天麻(천마)10, 桃仁(도인)9, 紅花(홍화)9. - 水煎服
Hozzászólás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