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臨床 136 / 心系 7. 動脈硬化(동맥경화)


동맥경화 (動脈硬化)


1. 상용약(常用葯)

1) 動脈粥樣硬化(동맥죽양경화) : 金櫻子(금앵자)

2. 배오약 (配伍葯)

1) 何首烏(하수오)15 + 刺蒺藜(자질려)15 = 動脈硬化(동맥경화)

3. 민방 (民方)

1) 動脈硬化(동맥경화)

⑴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 防風(방풍), 麻黃(마황), 荊芥(형개), 連翹(연교), 薄荷(박

하), 生姜(생강), 梔子(치자), 當歸(당귀), 芍葯(작약), 川芎

(천궁), 白朮(백출), 甘草(감초), 黃芩(황금), 大黃(대황),

芒硝(망초), 滑石(활석), 石膏(석고), 桔梗(길경).

⑵ 三黃瀉心湯(삼황사심탕) ≒ 大黃(대황), 黃連(황련), 黃芩(황금).

4. 임상(臨床)

1) 太陰人(태음인)의 動脈硬化症(동맥경화증), 高血壓(고혈압) 등에 두루 쓸 수 있는 처방

인데 특히 胃(위)는 熱(열)이 있어 渴症(갈증)과 煩躁(번조), 가슴 두근거림(心悸), 垂眠

障碍(수면장애) 등의 증상이 있고, 아래로는 冷(냉)하여 小便頻數(소변빈삭), 腹部冷症

(복부냉증), 夢精(몽정), 早漏(조루) 등 上熱下寒證(상열하한증)이 있는 경우, 또는 神經

(신경)이 過勞(과로)한 경우에 쓰여 진다.

淸心連子湯(청심연자탕)

≒ 蓮子肉(연자육), 山葯(산약) 各7.5, 天門冬(천문동), 麥門冬(맥문동), 遠志

(원지), 石菖蒲(석창포), 酸棗仁(산조인), 龍眼肉(용안육), 柏子仁(백자인),

黃芩(황금), 萊菔子(래복자) 各3.75, 甘菊花(감국화)2. 물 500CC로 끓여 반

으로 줄은 후 복용하거나 혹은 天門冬(천문동)과 麥門冬(맥문동)을 제한

나머지 약제를 거칠게 가루 내어 寸冬(촌동), 麥冬(맥동)과 함께 물로 끓여

食前(식전)에 冷服(냉복)한다.

2) 少陽人(소양인)의 動脈硬化症(동맥경화증), 또는 머리가 아프고, 가슴에서 열이 나서

답답하고, 기침하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명치 밑이 아픈 등 증상을 호소할 때 바로 이

처방이 합당하다. 메스껍다. 얼굴이 벌겋다. 뒷골이 당긴다 하는 증상이 있을 때도 좋

다.

荊防導赤散(형방도적산)

≒ 生地黃(생지황)11, 木通(목통)7.5, 玄參(현삼), 瓜蔞仁(과루인) 各5.5, 前胡

(전호), 羌活(강활), 獨活(독활), 荊芥(형개), 防風(방풍)各3.75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인 후 마신다. 1일 2첩으로 재탕까지 3회 食間에 복용한다.

3) 少陽人(소양인)의 動脈硬化症(동맥경화증)으로 위로 心臟(심장)과 아래로 腎臟(신장)

의 氣(기)가 오르내리며 相交(상교)하지 못하므로(心腎不交 또는 水火不濟) 心臟(심장)

의 火(화)가 위로 혼자 들뜨고, 腎臟(신장)의 水氣(수기)가 아래로 혼자 枯竭(고갈)한 때

쓰는 처방이다.

地黃苦參湯(숙지황고삼탕)

≒ 熟地黃(숙지황)15, 山茱萸(산수유)7.5, 白茯苓(백복령), 澤瀉(택사) 各5.5,

知母(지모), 荊芥(형개), 苦參(고삼) 各3.75.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인

후 1일 3회 分服하거나 혹은 1일 2첩으로 재탕까지 3회 복용해도 좋다.

4) 少陰人(소음인)의 動脈硬化症(동맥경화증)을 비롯해서 感氣(감기), 毒感(독감), 頭痛

(두통), 腹痛(복통), 泄瀉(설사) 등 여러 가지 병세에 두루 응용할 수 있다. 특히 少陰人

(소음인) 体質(체질)이 스트레스성 胃腸病(위장병)으로 고생할 때 좋은 처방이다.

芎歸香蘇散(궁귀향소산)

≒ 香附子(향부자)7.5, 紫蘇葉(자소엽), 川芎(천궁), 當歸(당귀), 蒼朮(창출), 陳

皮(진피), 炙甘草(자감초) 各3.75, 葱白(총백) 5枚, 生姜(생강)3片, 大棗(대

조)2枚.

香附子(향부자)는 볶고, 紫蘇葉(자소엽)은 去根(거근)하고, 蒼朮(창출)은 쌀

뜨물에 담갔다가 황색이 되도록 볶고, 甘草는 구운 후 거칠게 가루 내어 매

회 12g씩 生姜(생강) 3片과 葱白(총백) 2枚를 함께 넣어 물에 달여서 시간

에 관계없이 복용하되 이마에서 땀이 날 때까지 복용한다. 혹은 위의 약제

를 물 300cc로 끓여 반으로 줄인 후 마신다. 1일 2첩으로 재탕까지 3회 복

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動脈硬化(동맥경화)에 통용할 수 있는 처방

補陽環伍湯(보양환오탕) ≒ 黃芪(황기)6, 桃仁(도인), 紅花(홍화), 川芎(천궁), 地龍(지

용), 赤芍(적작), 當歸(당귀) 各10.

위의 약을 물 1000cc로 끓여 반으로 줄인 후 2일간 分服

(분복) 한다.

6) 動脈硬化症(동맥경화증)중 몸이 여위고 약한 환자에게 많이 쓰인다. 특히 어지럽고,

眼花(안화)가 어른거리는 증상이 있으며, 顔面筋肉(안면근육)이 떨리거나 손이 떨리고

손끝이 저릴 때 좋다. 일반적으로 上體(상체)는 무겁고, 下體(하체)는 가벼움을 느끼며

(上重下輕), 상체에는 열이 나지만 하체는 싸늘한(上熱下寒) 경향일 때 적용되는 처방

이다.

天麻鉤藤飮(천마구등음)

≒ 天麻(천마), 梔子(치자), 黃芩(황금) 各9, 釣鉤藤(조구등), 茯神(복신) 各15,

石決明(석결명), 桑寄生(상기생) 各24, 杜仲(두중), 益母草(익모초) 各12,

夜交藤(야교등)30.

물 500CC로 石決明을 먼저 끓여 약물이 2/3이 되면 釣鉤藤(조구등)을 뺀

나머지 약을 넣고 끓여 반으로 줄면 이 때 釣鉤藤(조구등)을 넣고 5~10분

간 은근한 불로 끓여 한 번에 마신다. 1일 2첩으로 재탕까지 해서 3회 복

용한다.

7) 動脈硬化症(동맥경화증)중 나이가 들고 肥滿(비만)하며 저산성 消化機能(소화기능) 障

碍(장애)를 겸하고 있을 때 쓰는 처방이다. 어지럽고 머리가 맑지 못하며 극도로 피로

와 무력감을 느끼고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나고 메스꺼우며 침이 많거나 가래를 잘 吐

(토)해 내며 齒痕(치흔)이 뚜렷한 경우에 쓰는 처방이다.

六君子湯加味方(육군자탕가미방)

≒ 半夏(반하), 白朮(백출) 各5.62, 代赭石(대자석)4.5, 旋覆花(선복화),

陳皮(진피), 白茯苓(백복령), 人參(인삼) 各3.75, 炙甘草(자감초)1.87,

生姜(생강)3片, 大棗(대조)2枚.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인 후 한 번에 마신다. 1일 2첩으로 재탕

까지 해서 3회에 복용한다.

8) 高脂血症(고지혈증)을 改善(개선)하는 처방

혈지령방 ≒ 山楂肉(산사육), 何首烏(하수오) 各15, 決明子(결명자)9, 橘皮(귤피)45, 猪

膽汁粉(저담즙분)0.2.

곱게 가루 내어 캡슬에 담아 1회 4알씩 1일 3회, 약 3개월 동안 복용한다.

9) 腦動脈硬化(뇌동맥경화)

⑴ 腦動脈硬化(뇌동맥경화), 腎動脈硬化(신동맥경화)일 때 쓸 수 있다. 특히 動脈硬化

(동맥경화)로 頭重(두중), 眩氣症(현기증)이 심하고 입 안이 쓰 며 耳鳴(이명), 熱感

(열감)이 있고 잠자리가 불편할 때 효과가 있다. 주로 건장한 체격의 사람에게 쓴다.

龍膽瀉肝湯(용담사간탕)

≒ 龍膽草(용담초), 柴胡(시호), 澤瀉(택사), 木通(목통) 各3.75, 車前子(차

전자), 赤茯苓(적복령), 生地黃(생지황), 當歸(당귀), 梔子(치자), 黃芩(황

금), 甘草(감초) 各1.87.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면 한번에 마신다. 1일 2첩을 재탕까지 해서

3회 복용한다

⑵ 動脈硬化症(동맥경화증)중에 腦動脈硬化(뇌동맥경화)가 심할 때 효과가 있다. 頭重

(두중), 頭痛(두통), 眼花(안화), 耳鳴(이명)을 비롯해서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며, 손

발과 가슴 및 입안에 열감이 있으나 허리나 다리는 시리고(上熱下寒) 잘 놀라며(易

驚), 筋肉(근육)을 움찔거리기를 잘 할 때 좋다.

大補陰丸加味方(대보음환가미방)

≒ 炒黃柏(초황백), 知母(지모, 酒炒), 何首烏(하수오), 牛膝(우슬), 菟

絲子(토사자), 女貞子(여정자, 회첨(술로 찌고 말리기를 9번 한

것)), 桑葉(상엽), 金銀花(금은화), 杜仲(두중) 各120, 生地黃(생지

황), 熟地黃(숙지황,술로 찐 것), 龜板(구판, 醋炒) 各180.

가루 내어 돼지 脊髓를 넣고 끌로 반죽하여 0.3g 크기로 알을 만들

어 1회에 50~70알씩 공복에 소금물로 먹는다.

⑶ 腦動脈硬化(뇌동맥경화) 및 腎動脈硬化(신동맥경화)에 쓰인다. 추위를 잘 타고 몸

이 냉하여 소변이 잦고 대변이 묽으며 잘 붓고 消化不良(소화가 덜되며) 심장이 두

근거리고(心悸) 호흡이 가쁠*氣短) 때 효과가 있는 처방이다.

二仙湯加味方(이선탕가미방)

≒ 仙茅(선모), 淫羊藿(음양곽) 各12, 巴戟天(파극천), 當歸(당귀), 女貞

子(여정자), 旱蓮草(한련초) 各9, 黃柏(황백), 知母(지모), 炙甘草(자감

초) 各6, 乾地黃(건지황, 酒炒), 桂枝(계지), 火麻仁(화마인), 麥門冬

(맥문동) 各4.5, 人參(인삼), 阿膠珠(아교주) 各3, 生姜(생강)5片, 大棗

(대조)3枚.

물 300cc와 술 100cc를 함께 섞은 것으로 阿膠珠(아교주)를 뺀 나머

지 약을 끓여 반으로 줄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약물에 阿膠珠(아교주)

를 넣고 다시 끓여 한 번에 마신다. 1일 2첩으로 재탕까지 해서 3

회 복용한다.

17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Israel

臨床 363 /♧ 痔(치) - 痔疾(치질)

1 槪念(개념) 882 人体直腸末端粘膜下和(인체직장말단점막하화) 肛管皮膚下(항관피부하) 靜脈叢發生擴張和 (정맥총발생확장화) 屈曲所

臨床 362 / 耳部 3. 耳眩暈(이현운) ♧

耳眩暈(이현운) 1 槪念(개념) 1251 眩暈是目眩頭暈(현운시목현두운), 卽眼花潦亂(즉안화요란), 頭部旋轉不定的病證(두부선전 부정적병증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