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臨床 128 / 氣血 12. 糖尿病(당뇨병)



당뇨병 (糖尿病)

1. 參照文

1) 중의내과학(中醫內科學)의 소갈 (消渴)을 參照

2. 配伍葯

1) 知母(지모)10 + 石膏(석고)30 = 糖尿病(당뇨병) 上消口乾(상소구건), 口渴(구갈), 甚

則大渴引飮者(심칙 대갈인음자)

2) 天冬(천동)15 + 麥冬(맥동)15 = 糖尿病(당뇨병) 表現爲上消(표현위상소) 中渴諸症

者(중갈제증자)

3) 乾地黃(건지황)15 + 熟地黃(숙지황)10 = 糖尿病 表現中消者(표현위중소자)

4) 山茱萸(산수유)15 + 牡蠣(모려)25 = 糖尿病(당뇨병) 尿糖不降者(뇨당불강자)

5) 烏梅(오매)10 + 五味子(오미자)10 = 糖尿病(당뇨병) 尿糖不降者(뇨당불강자)

6) 黃芩(황금)10 + 黃連(황련)6 = 糖尿病(당뇨병) 症見燥熱者(증견조열자)

7) 白朮(백출)15 + 玄參(현삼)30 = 糖尿病 - 血糖增高者(혈당증고자) 用之可使降低 若

伴有膽固醇增高者 用于降低

8) 黃芪(황기)30 + 山葯(산약)30 = 表現爲 尿糖嚴重者(뇨당엄중자) 用之卽可消除

9) 綠豆衣(녹두의)10 + 薏苡仁(의이인)15 = 上消諸症者宜用(상소제증자의용)

10) 葛根(갈근)15 + 丹參(단삼)15 = 糖尿病 表現爲 瘀血指徵(어혈지징) - 舌質黯或有瘀

点 瘀斑 舌下靜脈瘀滯者 用之最宜

11) 玄參(현삼)30 + 麥冬(맥동)15 = 糖尿病 表現爲 津少口渴(진소구갈), 口渴多飮(구갈

다음) 舌紅少苔 等症

12) 知母(지모)10 + 黃柏(황백)10 + 肉桂(육계)1.5 = 糖尿病 腎消(신소) 也叫下消 症見

多尿(다뇨) 小便混濁(소변혼탁) 如膏如脂等

13) 地黃(지황)60 + 淫羊藿(음양곽)30 = 糖尿病 運用胰島素(이도소, 인슐린), 治療 不當

所導的 陰陽俱虛之症(음양구허지증)

3. 경험집방

糖尿病(당뇨병)

1) 症狀 : 口渴多飮(구갈다음), 小便頻數(소변빈삭), 量多(량다), 脈細數(맥세삭)

三消湯(삼소탕)

≒ 黨參(당삼), 白朮(백출), 當歸(당귀), 茯苓(복령), 生地(생지) 各15, 黃柏

(황백), 知母(지모), 黃連(황련), 麥冬(맥동), 天花粉(천화분), 黃芩(황금)

各10, 甘草(감초)7.5

2) 症狀 : 口渴多飮(구갈다음), 一飮二尿(일음이뇨), 左右尺脈沉細(좌우척맥침세)

合治湯(합치탕)

≒ 熟地(숙지)50, 山茱萸(산수유)35, 麥冬(맥동), 玄參(현삼) 各17.5, 車前

子(차전자)7.5

3) 症狀 : 胸悶(흉민), 口渴多飮(구갈다음), 尿赤(뇨적), 脈實(맥실).

麥門冬飮子(맥문동음자)

≒ 麥冬(맥동)20, 知母(지모), 天花粉(천화분), 人參(인삼), 五味子(오

미자), 葛根(갈근), 茯神(복신), 生地(생지), 甘草(감초)各10, 竹葉

(죽엽)7.5, 生姜(생강)2.5

4) 症狀 : 口渴多飮(구갈다음), 上焦熱(상초열).

生津養血湯(생진양혈탕)

≒ 當歸(당귀), 白芍(백작), 生地(생지), 麥冬(맥동) 各10, 川芎(천궁),

黃連(황련), 天花粉(천화분) 各7.5, 知母(지모, 蜜炒), 黃柏(황백),

蓮肉(연육), 烏梅肉(오매육), 薄荷(박하), 甘草(감초) 各5, 生姜(생

강)2.5

5) 症狀 : 糖尿病(당뇨병)

玉液湯(옥액탕)

≒ 山葯(산약)50, 黃芪(황기)25, 知母(지모)30, 五味子(오미자), 天花粉(천

화분) 各15, 生鷄內金(생계내금)10, 葛根(갈근)7.5

6) 症狀 : 糖尿病(당뇨병)

滋膵飮(자췌음)

≒ 大生地黃(대생지황), 山葯(산약) 各50, 黃芪(황기), 山茱萸(산수유) 各

25. 猪膵腸(저췌장)15.

水煎后(수전후) 猪膵腸(저췌장)7.5를 함께 먹고 제약하여 나머지 절반

을 함께 먹는다.

中焦(중초), 上焦(상초)에 實熱(실열)이 있고 脈(맥)이 洪(홍)하고 實

(실)하면 먼저 白虎加人參湯(백호가인삼탕)을 몇 첩 달여먹어 實熱(실

열)을 절반이상 제거한 후 본방을 사용하여도 효과가 있다.

7) 症狀 : 消渴病(소갈병)으로 一飮二尿(일음이뇨), 肥滿(비만), 面浮腫(면부종), 얼굴이

희끄므레하며 脈沉細遲(맥침세지) ※ 病發无久時 本方使用

桂附苓烏湯(계부령오탕)

≒ 茯苓(복령), 澤瀉(택사), 桂枝(계지), 乾姜(건강), 炮附子(포부자),

龍骨(용골), 牡蠣(모려), 何首烏(하수오) 各15. 4.


4. 민방 (民方)

1) 糖尿病

⑴ 當歸四逆加吳茱萸湯(당귀사역가오수유탕)

≒ 當歸(당귀), 芍葯(작약), 桂枝(계지), 木通(목통), 細辛(세신), 吳茱萸

(오수유), 甘草(감초), 生姜(생강), 大棗(대조).

⑵ 白虎加人參湯(백호가인삼탕)

≒ 知母(지모), 粳米(갱미), 石膏(석고), 甘草(감초), 人參(인삼).

⑶ 炙甘草湯(자감초탕)

≒ 甘草(감초), 人參(인삼), 生地(생지), 阿膠(아교), 麥冬(맥동), 生姜(생강),

大棗(대조), 桂枝(계지), 麻子仁(마자인).

? ≒ 생지황(生地黃), 천궁(川芎), 적작(赤芍), 당귀미(當歸尾), 도인(桃仁),

울금(鬱芩), 택란(澤蘭), 단삼(丹參), 한련초(旱蓮草), 선학초(仙鶴草).

⑷ 滋陰降火湯(자음강화탕)

≒ 地黃(지황), 當歸(당귀), 芍葯(작약), 白朮(백출), 甘草(감초), 陳皮(진

피), 知母(지모), 黃柏(황백), 天門冬(천문동), 麥門冬(맥문동), 阿膠

(아교).

⑸ 竹葉石膏湯(죽엽석고탕)

≒ 竹葉(죽엽), 石膏(석고), 粳米(갱미), 麥冬(맥동), 人參(인삼), 半夏(반

하), 甘草(감초).

⑹ 八味丸(팔미환)

≒ 地黃(지황), 茯苓(복령), 澤瀉(택사), 山葯(산약), 丹皮(단피), 山茱萸(산수

유), 桂枝(계지, 肉桂), 炮附子(포부자).

5. 臨床(임상)

1) 辨證施治(변증시치)

糖尿病(당뇨병)과 消渴證(소갈증)이 분명히 다른 것은 尿(뇨)에 糖(당)이 섞인 것과

섞이지 않은 것이 관건이다. 그 외에 밥을 많이 먹고, 물을 많이 마시고, 많이 배설하

고, 살이 빠진다(消瘦)는 三多一少症(삼다일소증)은 같다.

⑴ 上消(상소)

① 飮食(음식)을 잘 攝取(섭취)하면서 渴症(갈증)이 심한 것을 다스린다.

白虎加人參湯(백호가인삼탕)

≒ 石膏(석고)32, 知母(지모)12, 甘草(감초)4, 粳米(갱미)18, 人參

(인삼)6.

② 飮食(음식)은 잘 攝取(섭취)하지 못하면서 渴症(갈증)이 甚한 경우와 혹은 中消

(중소)에도 사용

가미전씨백출산 ≒ 葛根(갈근)8, 人參(인삼), 白朮(백출), 茯苓(복령),藿香(곽향),

甘草(감초) 各4, 木香(목향), 柴胡(시호), 枳殼(지각), 五味子

(오미자) 各2.

물 300 cc로 끓여 반으로 준다음 한번에 복용한다.

③ 心火(심화)가 위로 上冲(상충)하여 입이 마르고 渴症(갈증)이 甚(심)하며 尿紅

短赤(뇨홍단적)

淸心蓮子飮(청심연자음)

≒ 蓮子(연자)8, 赤茯苓(적복령), 人參(인삼), 黃芪(황기) 各4, 黃芩(황

금), 車前草(차전초), 麥門冬(맥문동), 地骨皮(지골피), 甘草(감초)

各3. 물 300 cc로 끓여 반으로 준 다음 한 번에 복용한다.

※ 鹿茸(녹용) 4g을 加味(가미)하면 더 效果的(효과적)이다.

⑵ 中消(중소)

① 中消(중소)에 通用方(통용방)

생진감로탕 ≒ 石膏(석고), 龍膽草(용담초), 黃柏(황백) 各4. 柴胡(시호), 羌活(강

활), 黃芪(황기), 知母(지모, 酒制), 黃芩(황금, 劑酒), 炒甘草(초감

초) 各3.2, 當歸(당귀)2.4, 升麻(승마)1.6, 防風(방풍), 防己(방기),

生地黃(생지황), 生甘草(생감초) 各1.2. 杏仁(행인)10枚, 桃仁(도

인)5枚, 紅花(홍화)微量.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 2잔(400CC)에 SUG고 절반으로 달

인다음 아무 때나 술 1숟가락 넣어서 溫服한다.

일명 淸凉飮滋(청량음자)라고도 한다.

② 음식을 지나치게 攝取(섭취)하면서 자꾸 여위어가고 便秘(변비)가 甚하며 尿

頻(뇨빈)인 사람

난향음자 ≒ 石膏(석고)12, 知母(지모)6, 生甘草(생감초), 防風(방풍) 各4, 炒甘

草(초감초), 人參(인삼), 蘭香葉(난향엽), 連翹(연교), 白豆蔲(백두

구), 桔梗(길경), 升麻(승마) 各2, 半夏(반하)0.8.

위에 약을 가루 내어 증병으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떡을 만들어

햇볕에 말려 가루 낸다. 한번에 8g씩 生姜湯으로 調服한다.

⑶ 下消(하소)

① 下消 通用方 - 특히 입이 마르고 煩渴(번갈)이 나며 양다리가 마르고 여위는 것

을 치료한다.

가감신기환 ≒ 熟地黃(숙지황)8, 牡丹皮(모단피), 白茯苓(백복령), 山茱萸(산수

유), 五味子(오미자), 澤瀉(택사), 鹿茸(녹용), 山葯(산약) 各40,

肉桂(육계), 沈香(침향) 各20.

위의 약을 가루 내어 꿀에 반죽해서 0.3g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 번에 70~80알씩 空腹에 鹽湯으로 먹는다

② 하소중에 虛證(허증)이 甚(심)한 경우로 小便(소변)이 지나치게 잦을 때 혹은

“强中證(강중증)”에 쓰는 처방이다.

鹿茸丸(녹용환)

≒ 麥門冬(맥문동)80, 鹿茸(녹용), 熟地黃(숙지황), 黃芪(황기), 五味子(오

미자), 鷄內金(계내금, 밀기울과 함께 볶은것), 肉蓗蓉(육종용,酒洗), 山

茱萸(산수유), 炒破故紙(초파고지), 牛膝(우슬, 酒浸), 人參(인삼) 各30,

白茯苓(백복령), 地骨皮(지골피), 玄參(현삼) 各20.

위의 약을 가루 내어서 꿀에 반죽한 다음 0.3g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0~70알씩 공복에 미음에 타서 먹는다.

③ 小便(소변)이 기름을 푼 듯 탁한 증상이 심한 경우에 쓰는 처방이다.

인삼복령산 ≒ 滑石(활석), 寒水石(한수석) 各6, 甘草(감초)2.8, 赤茯苓(적복령),

葛根(갈근), 黃芩(황금), 薄荷(박하), 大黃(대황) 各2, 連翹(연교)

1.2, 人參(인삼), 白朮(백출), 澤瀉(택사), 桔梗(길경), 山梔子(산

치자), 天花粉(천화분), 砂仁(사인) 各0.8.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일명 人參散(인삼

산)이라고도 한다.

④ 渴症(갈증)과 視力障碍(시력장애)등이 있는 경우에 渴症(갈증)을 解消(해소)시

키고 눈을 밝게 할 목적으로 쓰는 처방이다. 특히 心臟(심장)의 熱(열)을 내리

며 腎臟(신장)의 물(水)을 補(보)하고 消渴(소갈)을 멈추며 귀와 눈을 밝게 한

다.

보신지황원 ≒ 黃柏(황백)600, 生地黃(생지황, 酒浸2日 동안 담갔다가 푹 쪄서

갈은 다음 黃柏(황백)과 함께 햇볕에 말린다.), 白茯苓(백복령)

160, 熟地黃(숙지황), 天門冬(천문동), 人參(인삼), 甘菊(감국) 各

80, 條芩(조금, 黃芩나무가지 酒炒), 當歸(당귀), 枳殼(지각), 麥

門冬(맥문동), 生片芩(생편금) 各40.

위에 약을 가루 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0.3g 만하게 알약을 만든

다. 한번에 50~70알씩 空腹에 미움으로 먹는다.

※ 條芩(조금)과 片芩(편금)은 속이 썩은 풀(黃芩)중 여러해 묵어서

뿌리속이 썩어 구멍이 생긴 것을 片芩(편금)이라 하고, 여러 해

묵지 않고 뿌리 속이 썩지 않은 것을 條芩(조금) 또는 子芩(자금)

이라고 한다.

⑷ 통치방

① 消渴證(소갈증) 通用方(통용방)으로 津液(진액)을 助成(조성)하고 氣運(기운)

을 돋우며 血糖降下(혈당강하) 작용이 강한 처방이다. 또 消渴證(소갈증)의 傳

變證(전변증)으로 脫疽(탈저)가 생긴 경우에도 효과가 크다.

생맥산가장미근방 ≒ 麥門冬(맥문동)12, 五味子(오미자)8, 人參(인삼)20, 薔薇

根(장미근)40. 물 500~700cc로 끓여 하루 동안 나누어

마신다.

加减 - ㉠ 上消症(상소증)이 甚하면 四物湯(사물탕)을 合方(합방)하고

㉡ 下消症(하소증)이 甚하면 六味地黃湯(육미지황탕)을 合方한다.

㉢ 疲勞(피로)가 甚하면 黃芪(황기), 黃柏(황백), 紅花(홍화)를 加味(가

미)한다.

② 소갈방합생진음 ≒ 天花粉(천화분)24, 熟地黃(숙지황), 生地黃(생지황)各16, 麥

門冬(맥문동), 天門冬(천문동) 各20, 竹茹, 葛根 各12, 黃連

(황련), 五味子(오미자) 各6, 白茅根(백모근), 蔓蔘(만삼) 各

40.

물 500~700cc로 끓여 하룻 동안 나누어 마신다.

※ 활혈윤조생진음 ≒ 寸冬(촌동), 麥冬(맥동), 五味子(오미자), 瓜蔞仁(과루인),

麻子仁(마자인), 當歸(당귀), 熟地黃(숙지황), 生地黃(생지

황), 天花粉(천화분), 甘草(감초) 各4.

加减 ㉠ 天花粉(천화분)을 增量(증량)하고 또는 枸杞子(구기자) 12g을 加味

(가미)한다.

㉡ 便秘(변비) : 當歸(당귀), 麻子仁(마자인), 熟地黃(숙지황)을 각각 6g

으로 增量(증량)한다.

㉢ 高血壓(고혈압) : 生地黃(생지황)12g으로 늘리고 蚯蚓(구인)6g 加味

(가미) 한다.

③ 咽喉(인후)가 마르면서 渴症(갈증)이 甚한 경우

자음양영탕 ≒ 當歸(당귀)8, 人參(인삼), 生地黃(생지황) 各6, 麥冬(맥동), 白芍

(백작), 蜜炙知母(밀자지모), 蜜炙黃柏(밀자황백) 各4, 甘草(감

초)2, 五味子(오미자)15枚. - 水煎服

④ 老人(노인)이나 虛弱(허약)한 患者(환자)에게

문동음자 ≒ 麥門冬(맥문동)8, 五味子(오미자), 人參(인삼), 地骨皮(지골피), 白

茯苓(백복령), 甘草(감초) 各4. - 水煎服

⑤ 특히 遺精(유정), 夢精(몽정), 早漏(조루) 등 性神經衰弱症(성신경쇠약증)이 두

드러지고 小便(소변)이 濁(탁)한 白濁(백탁)의 症狀(증상)이 甚(심)한 경우에 사

용한다.

현토단 ≒ 菟絲子(토사자, 酒劑)380, 五味子(오미자)280, 白茯苓(백복령), 蓮子

肉(연자육), 山葯(산약) 各120.

위의 葯劑(약제)를 가루 내고 따로 山葯(산약) 120g을 가루내어 함

께 菟絲子(토사자)를 담갔던 술로 쑨 풀에 반죽하여 0.3g 만하게 알

약을 만들어서 한 번에 50~70알씩 공복에 미움으로 먹는다. 끌인

꿀로 알약을 만들어도 좋다.

⑥ 消渴(소갈)의 聖葯(성약)으로 손꼽힌다.

玉泉散(옥천산) ≒ 天花粉(천화분)8, 葛根(갈근), 麥門冬(맥문동), 生地黃(생지

황), 五味子(오미자), 甘草(감초) 各4.

위의 葯劑(약제)를 1첩으로 하여 찹쌀 1홉과 함께 水煎服한

다.

※ ㉠ 消渴證(소갈증)으로 입이 마르는 것을 치료 한다.

玉泉丸(옥천환) ≒ 天花粉(천화분), 葛根(갈근) 各60, 麥門冬(맥문동), 人

參(인삼), 白茯苓(백복령), 黃芪(황기, 生1/2, 蜜炙1/2),

烏梅(오매), 甘草(감초) 各40. 가루 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 만 하게 환약을 만들어 한 번에 1

알씩 씹어서 온수로 넘긴다.

㉡ 消渴을 치료한다.

오즙옥천환 ≒ 黃連(황련), 葛根(갈근), 天花粉(천화분), 知母(지모), 麥門

冬(맥문동), 五味子(오미자), 人參(인삼), 生地黃(생지황),

烏梅(오매), 蓮子肉(연자육), 當歸(당귀), 甘草(감초) 各40.

이상의 葯劑를 가루 내고, 따로 젖(人乳汁, 牛乳汁, 사탕수수즙(甘蔗汁

없으면 砂糖을 쓴다) 梨汁 연뿌리즙(藕汁)에 꿀 900g을 넣고 묽은 고약

처럼 되게 달인다음 여기에 약 가루를 넣고 다시 5~7번 끓어오르게 달

여서 한 번에 葯 숟가락으로 5숟가락씩 하루에 2~3번 미움을 타서 먹

는다.

注意 : 맛이 뱁고, 熱(열)이 나게 하는 飮食(음식)은 禁(금)한다.

⑦ 消渴證(소갈증) 通用方(통용방)으로【東醫寶鑑】에는 三消(삼소) 중에 가장 위

급한 병증에 가장 뛰어난 처방으로 꼽힌다고 했다.

위생천화원 ≒ 黃連(황련, 童便에 3일간 담근 것)120, 까치통(炒)80, 臑會(노

회)30, 朱砂(주사), 茯苓(복령), 牡蠣(모려), 知母(지모), 苦參(고

삼), 鐵粉(철분), 天花粉(천화분) 各20, 金箔(금박), 銀箔(은박) 各

20장 이상의 葯劑(약제)를 가루 내어 瓜蔞根汁(과루근즙)과 生

蜜(생밀)을 섞은 데 넣고 반죽하여 0.3g 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 번에 30~50알씩 麥門冬(맥문동)을 달인 물로 먹는다.

⑧【東醫寶鑑】에 消渴症(소갈증)중에 泄瀉(설사)가 잦을 때 쓰는 신효방이다.

梅花湯(매화탕) ≒ 糯米(나미, 찹쌀을 약간 볶아서 햇볕에 말린 것), 桑白皮(상

백피) 各20. 水煎服(수전복)하는데 아무 때나 渴症(갈증)이

날 때 마신다.

⑸ 傳變證(전변증)

① 中消(중소)와 强重症(강중증)으로 血精(혈정)을 절로 흘리며 憔悴(초췌)한 경

우 黃連猪肚丸(황련저두환) ≒ 雄猪肚(웅저두, 숫돼지의 밥통)1个, 黃連(황

련)200, 麥門冬(맥문동), 知母(지모), 瓜蔞根(과루근) 各160. 위의 葯草를 가루

내어, 돼지 胃腸속에 넣고 실로 입구를 봉해서 시루에 넣고 물크러지게 찐 다

음에 돌절구에 넣고 잘 짓찧어 꿀을 조금 넣고 섞어 0.3g 만하게 알약을 만든

다. 한번에 100씩 미움으로 먹는다.

② 强重症(강중증) 황저음 ≒ 乾地黃(건지황)8, 黃芪(황기), 茯神(복신), 天花粉(천

화분), 麥門冬(맥문동) 各4, 五味子(오미자), 甘草(감초) 各2. 水煎服한다. 먹을

때 현토단 혹은 八味丸을 함께 먹으면 효과가 있다.

③ 주갈에 쓰는 처방이다. 오매모과탕 ≒ 烏梅(오매, 씨째 부서뜨린 것), 木瓜(목

과) 各8, 炒麥芽(초맥아), 草果(초과), 甘草(감초) 各4.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

여 生姜(생강) 5片과 함께 달여 먹는다.

④ 충갈에 쓰는 처방 고련탕 ≒ 苦楝皮(고련피)1줌, 麝香(사향). 苦煉皮를 달인 물

2잔(400cc)에 麝香을 조금 넣어서 절반이 되게 달여 빈속에 먹는다.

⑤ 당뇨병성 足壞疽(족괴저) 고보보탈탕 ≒ 牛膝(우슬), 石斛(석곡), 黃芪(황기), 當

歸(당귀) 各38, 人參(인삼)12, 金銀花(금은화)120, 薔薇根(장미근)38, 蒲公英

(포공영), 紫花地丁(자화지정) 各40, 玄參(현삼), 白蘞(백렴) 各12, 土茯苓(토복

령)40. 물 700cc로 끓여 반으로 줄인 후 하루에 여러 차례 나누어 복용한다.

⑹ 四象方(사상방)

① 太陰人(태음인)의 消渴證(소갈증) 通治方(통치방) 淸肺瀉肝湯(청폐사간탕) ≒

葛根(갈근)16, 黃芩(황금), 藁本(고본) 各8, 萊菔子(래복자), 桔梗(길경), 升麻(승

마), 白芷(백지), 大黃(대황)各4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인 후 마신다.

② 少陰人(소음인)의 消渴證(소갈증) 通治方(통치방) 芎歸葱蘇散(궁귀총소산) ≒

香附子(향부자)6, 紫蘇葉(자소엽), 川芎(천궁), 當歸(당귀), 蒼朮(창출), 陳皮(진

피), 炙甘草(자감초) 各3, 葱白(총백)5枚, 生姜(생강)3片, 大棗(대조)2枚.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인 후 마신다.

③ 少陽人(소양인)의 消渴證(소갈증)의 通治方(통치방) - 少陽人(소양인)뿐 아니

라 모든 체질의 消渴證(소갈증) 熟地苦參湯(숙지고삼탕) ≒ 熟地黃(숙지황)16,

山茱萸(산수유)8, 白茯苓(백복령), 澤瀉(택사) 各6, 知母(지모), 黃柏(황백), 苦

參(고삼) 各4.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인 후 마신다.

⑺ 一般臨床(일반임상)

① 膵腸機能(췌장기능) 恢復葯(회복약) 紅蔘(홍삼), 貴箭羽(귀전우), 玄參(현삼),

地骨皮(지골피), 苦瓜(고과). 신재용

37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Israel

臨床 363 /♧ 痔(치) - 痔疾(치질)

1 槪念(개념) 882 人体直腸末端粘膜下和(인체직장말단점막하화) 肛管皮膚下(항관피부하) 靜脈叢發生擴張和 (정맥총발생확장화) 屈曲所

臨床 362 / 耳部 3. 耳眩暈(이현운) ♧

耳眩暈(이현운) 1 槪念(개념) 1251 眩暈是目眩頭暈(현운시목현두운), 卽眼花潦亂(즉안화요란), 頭部旋轉不定的病證(두부선전 부정적병증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