癨亂(곽란)
癨亂是多發于夏秋季節的急性病證(곽란시다발우하추계절적급성병증), 以卒然發作(이
졸연발작), 上吐下瀉(상토하사), 腹痛或不通爲特徵(복통혹불통위특징). 起病急驟(기병
급취), 病情嚴重(병정엄중), 傾刻之間揮霍撩亂是其臨床特点(경각지간휘곽료란시기임 상
특점). 癨亂的病因(곽란적병인) 不外感受時邪和飮食不愼(불외감수시사화음식불신) 兩
方面(양방면). 時邪以暑濕(시사이서습), 疫病穢濁之氣和寒濕爲主(역병예탁지기화한 습
위주); 飮食不慎則(음식불신칙) 包括飮食不節和(포괄음식불절화) 飮食過量過冷等 情况
(음식과량과냉등정황). 由于時邪入侵(유우시사입침) 或濕邪困扰脾胃運化失常(혹 사곤
우비위운화실상), 氣機升降失常(기기승강실상),淸陽不升(청양불승), 濁陰不降(탁음불
강), 亂于腸胃(란우장위), 遂成霍亂(수성곽란), 此爲本病主要病機(차위본병주요병 기). 本
病病勢凶險(본병병세흉험), 故治療應采取綜合急救措施(고치료응채취종합급구 조시), 葯
物治療應着眼宣壅利氣(약물치료응착안선옹이기), 因勢利導和護津防變等幾 方面(인세
이도화호진방변등기방면)
1) 辨證要点(변증요점)
⑴ 辨寒熱眞假(변한열진가)
病往往出現(본병왕왕출현) 眞熱假寒或眞寒假熱之證(진열가한혹진한가열지증), 須
細辨(수세변). 如身凉肢冷(여신량지냉), 應屬寒證(응속한증), 但在熱極 陽鬱時亦可見
到(단재열극양울시역가견도), 似有所同(사유소동), 但眞熱假寒(단 진열가한) 必見吐
出物酸穢(토출물산예), 瀉下惡臭(사하오취), 小便黃赤(소변황 적), 舌苔粘膩或白厚(설
태점니혹백후); 而煩躁口渴(이번조구갈), 脈大等症(맥대등증) 一般屬于熱盛(일반속
우열성), 但陰寒過盛(단음한과성), 格陽于外(격양 우외), 也可有類似表現(야가유류사
표현), 但眞寒假熱者(단진한가열자), 必煩躁 而不欲去衣被(필번조이불욕거의피), 兩
者不同(양자부동).
⑵ 辨嘔吐泄瀉(변구토설사)
癨亂若見嘔吐劇烈(곽란약견구토극열), 幷呈噴射狀(병정분사상), 嘔吐物多爲米 泔水
樣(구토물다위미감수양), 其病重(기병중); 若嘔吐伴有惡心(약구토반유오 심), 嘔吐物
多爲食物殘渣(구토물다위식물잔사), 其病較輕(기병교경), 癨亂泄瀉 (곽란설사), 次數
頻繁(차수빈번), 如果泄下物呈米泔水樣(여과설하물정미감수 양), 其病重(기병중); 若
泄瀉呈黃水樣或混有粘液(약설사정황수양혹혼유점액), 氣味較臭(기미교취), 其病較
輕(기병교경).
⑶ 辨轉筋有无(변전근유무) 霍亂暴吐暴瀉(곽란폭토폭사), 四肢抽畜(사지추축), 拘急攣
縮(구급련축), 甚則陰 囊緊縮者(심칙음낭긴축자) 爲轉筋(위전근), 說明津液喪失嚴重
(설명진액상실엄 중), 其病較重(기병교중); 若霍亂未見轉筋(약곽란미견전근), 則津液
損失程度較 輕(칙진액손실정도교경), 病情亦較輕(병정역교경).
⑷ 辨亡陰亡陽(변망음망양)
亡陰亡陽是(망음망양시) 霍亂病后期的危重階段(곽란병후기적위중계단). 若見 皮膚
松弛(약견피부송이), 目眶凹陷(목광요함), 指紋癟凹(지문별요), 轉筋囊縮 (전근낭축),
小便量少爲亡陰(소변량소위망음); 若出現面色蒼白(약출현면색창 백), 汗出肢冷(한출
지냉), 脣甲靑紫爲亡陽(순갑청자위망양).
2) 類證鑒別(류증감별)
霍亂應與嘔吐(곽란응여구토), 泄瀉及痙證相鑒別(설사급경증상감별)
⑴ 嘔吐(구토), 泄瀉(설사)
嘔吐可伴泄瀉(구토가반설사), 泄瀉多兼嘔吐(설사다겸구토), 但均以各自本病主 症(단
균이각자본병주증) 爲主要表現(위주요표현), 兼症次之(겸증차지). 霍亂起 病急驟(곽
란기병급취), 倉卒之間吐瀉交作(창졸지간토사교작), 揮霍撩亂(휘곽료 란), 與單純之
嘔吐(여단순지구토), 泄瀉不同(설사부동).
⑵ 痙證(경증)
霍亂轉筋與痙證(곽란전근여경증) 都有筋脈攣急之症(도유근맥련급지증), 但二 者表
現不同(단이자표현부동). 痙證是以項背强急(경증시이항배강급), 口噤(구 금), 砎齒(개
치), 甚至角弓反張爲主症(심지각궁반장위주증); 而霍亂轉筋則爲而 腿攣縮(이곽란전
근칙위이퇴련축), 甚則陰囊緊縮(심칙음낭긴축), 腹部拘急(복부 구급), 幷見劇烈吐瀉
(병견극열토사), 津液大量耗傷之后(진액대량모상지후), 二 者不難鑒別(이자불난감
별).
3) 辨證施治(변증시치)
⑴ 寒霍亂(한곽란)
證狀 : 驟發嘔吐泄瀉(취발구토설사), 吐出物如淸水樣(토출물여청수양), 或如米 泔水
樣(혹여미감수양), 瀉下始有稀糞(사하시유희분), 繼則下利淸稀或如 米泔水(계
칙하리청희혹여미감수), 不甚臭穢(불심취예), 胸脘痞悶(흉완비민), 腹部冷痛(복
부냉통), 喜按喜溫(희안희온), 口不渴(구불갈), 或喜 熱飮(혹희열음), 四肢淸冷
(사지청냉), 或見惡寒重(혹견오한중), 發熱輕 (발열경), 頭身疼痛(두신동통), 苔
白膩(태백니), 脈濡弱(맥유약).
治法 : 芳香化濕(방향화습), 溫中散寒(온중산한).
方葯 : 藿香正氣散(곽향정기산) 加减(가감)
≒ 藿香(곽향), 紫蘇(자소), 白芷(백지), 大腹皮(대복피), 白朮 (백출), 陳
皮(진피), 半夏(반하), 茯苓(복령), 厚朴(후박), 苦 桔梗(고길경), 甘草
(감초), 蒼朮(창출), 丁香(정향), 肉桂(육 계), 靑木香(청목향).
加减 - ① 本方系(본방계) 藿香正氣散(곽향정기산) -
去 姜(거강), 棗(조),
加 蒼朮(창출), 丁香(정향), 靑木香(청목향), 肉桂(육계) 而成(이성).
② 若陽虛寒勝明顯(양허한승명현), 四肢淸冷(사지청냉), 吐瀉頻作者(토 사빈작
자). 宜加 附子(부자), 干姜(간강).- 溫陽散寒(온양산한).
⑵ 熱癨亂(열곽란)
證狀 : 突然暴吐暴瀉(돌연폭토폭사), 嘔吐如噴(구토여분), 嘔吐物酸腐熱臭(구 토물산
부열취), 瀉下如米泔汁(사하여미감즙), 臭穢難聞(취예난문), 腹 中絞痛(복중교
통), 犮熱較重(발열교중), 頭身疼痛(두신동통), 口渴(구 갈), 心煩(심번), 甚則轉
筋拘攣(심칙전근구련), 舌苔黃膩(설태황니), 脈 濡數(맥유삭).
治法 : 淸熱化濕(청열화습), 辟穢泄濁(벽예설탁).
方葯 : 燃照湯(연조탕).
≒ 滑石(활석), 豆豉(두시), 焦山梔(초산치), 酒黃芩(주황금), 省頭草 (성두
초), 制厚朴(제후박), 制半夏(제반하), 白蔲仁(백구인).
加减 - ① 本病若兼轉筋者(본병약겸전근자)
可用 蚕矢湯(잠시탕) ≒ 黃連(황연), 黃芩(황금), 山梔(산치), 豆卷(두권), 薏米
(의미),半夏(반하), 通草(통초), 蚕沙(잠사),木瓜(목과),
吳茱萸(오수유).
- 淸熱利濕(청열이습), 除穢降濁 (제예강탁), 舒筋活絡
(서근활락).
⑶ 干霍亂(간곽란)
證狀 : 卒然腹中絞痛(졸연복중교통), 欲吐不得吐(욕토불득토), 欲瀉不得瀉(욕 사불득
사), 煩躁悶亂(번조민란), 甚則面色靑慘(심칙면색청참), 四肢逆 冷(사지역냉),
頭汗如雨(두한여우), 昏憒如迷(혼궤여미), 脈沉伏(맥침 복).
治法 : 辟穢泄濁(벽예설탁), 利氣宣壅(리기선옹).
方葯 : 玉樞丹(옥추단)
≒ 朱砂(주사), 山慈菇(산자고), 紅芽大戟(홍아대극), 麝香(사향), 腰 黃(요
황), 五倍子(오배자).
加减 - ① 若因邪氣閉塞過甚(약인사기폐색과심), 吐瀉不得者(토사불득자), 可 選用(가
선용) 燒鹽方(소염방) 熱湯調服(열탕조복), 吐后症减(토후증 감), 再與本方服
之(재여본방복지)
4) 驗方單方(험방단방)
⑴ 糞霍亂(분곽란)
方 : 止瀉丸(지사환) ≒ 馬齒莧(마치현), 棗樹皮(조수피). 組成(조성)
每次(매차)3∼5 克, 每日(매일) 3 次(차).
⑵ 熱癨亂(열곽란)
方葯 : 藿香(곽향)9, 厚朴(후박)6, 銀花(은화)9, 枳殼(지각)9, 黃芩(황금)6, 木通 (목통)6,
砂仁(사인)3, 黃連(황연)3, 石菖蒲(석창포)6, 連翹(연교)9. - 水煎服(수전복).
⑶ 寒霍亂初起(한곽란초기)
方葯 : 吳茱萸(오수유)2, 黃連(황연)3, 桂枝(계지)6, 干姜(간강)3, 白朮(백출)6, 茯苓(복
령), 白芍(백작) 各9, 新會皮(신회피)3.- 水煎服(수전복)
⑷ 霍亂轉筋之證(곽란전근지증)
方葯 : 木瓜(목과)100, - 水煎服(수전복)
⑸ 干霍亂(간곽란)
方 : 三聖散(삼성산) ≒ 防風(방풍), 瓜蒂(과체) 各6, 黎蘆(여로)3.- 水煎服(수 전복)
以吐爲度(이토위도).
곽란 (霍亂)
1. 配伍葯
1) 紫疏梗(자소경)10 + 藿香梗(곽향경)10 = 嘔吐泄瀉(구토설사)-夏日中暑(하일중서)
2) 吳茱萸(오수유)10 + 木瓜(목과)15 = 嘔吐腹瀉(구토복사)- 暑濕病(서습병)
2. 中醫葯學
1) 嘔吐泄瀉(구토설사) 腹痛轉筋(복통전근) :
木果湯(목과탕) ≒ 木瓜(목과), 吳茱萸(오수유), 半夏(반하), 黃連(황련)
2) 吐瀉拘攣(토사구련) : 木瓜(목과), 蚕沙(잠사), 薏苡仁(의이인), 吳茱萸(오수유), 黃連(황
련).
3 임상(臨床)
1) 異功散(이공산)
≒ (使君子(사군자) 加 陳皮(진피))
人參(인삼)10, 白朮(백출), 茯苓(복령) 各9, 炙甘草(자감초)6, 陳皮(진피)9.
- 健脾(건비), 益氣(익기), 和胃(화위).
2) 香砂六君子湯(향사육군자탕)
≒ 六君子(육군자, 四君子(사군자) 加 陳皮(진피), 半夏(반하)) 加 香附子(향
부자)(木香), 砂仁(사인).
3) 症狀 : 脾胃久虛(비위구허)로 인한 嘔吐泄瀉(구토설사)가 자주 일어나며 不止.
處方 : 七味白朮散(칠미백출산)
≒ 人參(인삼)10, 白朮(백출), 茯苓(복령) 各9, 炙甘草(자감초)6, 葛根(갈
근), 藿香(곽향), 木香(목향).
4) 症狀 : 惡寒發熱(오한발열), 頭痛脘痞(두통완비), 嘔惡泄瀉(구오설사).
處方 : 藿香正氣散(곽향정기산)
≒ 藿香(곽향)90, 大腹皮(대복피), 白芷(백지), 紫蘇(자소), 茯苓(복령) 各
30, 半夏(반하), 白朮(백출), 陳皮(진피), 厚朴(후박,姜炒), 苦桔梗(고길
경) 各60, 炙甘草(자감초)75.
- 解表化濕(해표화습), 理氣和中(리기화중).
5) 곽란(霍亂).- 졸연(卒然) 복중교통(腹中絞痛), 욕토불토(欲吐不吐) 욕사불사(欲瀉不瀉),
번조민란(煩躁悶亂), 사지궐냉(四肢厥冷) 맥침복(脈沉伏).
방 : 후박탕(厚朴湯)《蘇沈良方》사하제(瀉下劑)
≒ 후박(厚朴), 낭편(榔片), 지각(枳殼), 고량강(高良姜), 망초(芒硝), 대황(大黃).
6) 곽란(霍亂).- 토사(吐瀉), 신양지냉(身凉肢冷) 한다맥약(汗多脈弱) 양허욕탈(陽虛欲脫).
방 : 장수산(漿水散)《保命集》온리제(溫里劑)
7) 곽란사창(霍亂痧脹).- 산강장려(山崗瘴癘) 급(及) 서열예오(暑熱穢惡) 직건포락(直乾包
絡), 두목혼운(頭目昏暈) 불성인사(不省人事).
방 : 행군산(行軍散)《霍亂論》개규제(開竅劑)
≒ 우황(牛黃) 당문자(當門子) 진주(眞珠) 매편(梅片) 붕사(硼砂) 웅황(雄黃) 화
초(火硝) 비금(飛金).
8) 곽란사창(霍亂痧脹).- 산강장려(山崗瘴癘) 급(及) 서열예오(暑熱穢惡) 직건포락(直乾包
絡), 토사복통(吐瀉腹痛) 번민욕절(煩悶欲絶) 두목혼운(頭目昏暈)
불성인사(不省人事).
방 : 행군산(行軍散)《霍亂論》개규제(開竅劑)
≒ 우황(牛黃) 사향(麝香) 매빙편(梅冰片) 진주(珍珠) 웅정(雄精) 서붕사(西硼
砂) 초석(硝石) 비금(飛金).
9) 곽란교장(霍亂絞腸) 설사이질(泄瀉痢疾).
방 : 玉樞丹(옥추단)《百一選方》開竅劑(개규제)
≒ 山慈菇(산자고), 五倍子(오배자), 千金子霜(천금자상), 雄黃(웅황), 砂(주사),
紅芽大戟(홍아대극), 麝香(사향). 용박하탕하(用薄荷湯下)
10) 곽란사창(霍亂痧脹).- 산강장려(山崗瘴癘) 급(及) 서열예오제사(暑熱穢惡諸邪), 직간포
락(直干胞絡), 토사복통(吐瀉腹痛) 번민욕절(煩悶欲絶) 두목혼운
(頭目昏暈) 불성인사(不省人事).
방 : 인마평안산(人馬平安散)《霍亂論》개규제(開竅劑)
≒ 사향(麝香), 빙편(冰片), 월석(月石, 硼砂), 초석(硝石), 비금(飛金), 웅황
(雄黃), 주사(朱砂).
11) 시역곽란(時疫霍亂).- 속기체한응(屬氣滯寒凝), 면색청백(面色靑白) 구비기냉(口鼻氣
冷) 수족불온(手足不溫) 흉부불작열(胸部不灼熱) 설태백활(舌苔
白滑) 맥침지유력(脈沉遲有力) 혹 현긴유력(弦緊有力).
방 : 소합향환(蘇合香丸)《和劑局方》개규제(開竅劑)
≒ 백출(白朮), 청목향(靑木香), 서각(犀角), 향부자(香附子), 주사(朱砂), 가
자(訶子), 단향(檀香), 안식향(安息香), 침향(沉香), 사향(麝香), 정향(丁
香), 필발(蓽茇), 용뇌(龍腦), 소합향(蘇合香), 유향(乳香).
12) 습열내온(濕熱內蘊)적 곽란(霍亂).- 구토설사(嘔吐泄瀉) 흉완비민(胸脘痞悶) 소변단적
(小便短赤) 설태황니(舌苔黃膩).
방 : 연박음(連朴飮)《霍亂論》거습제(祛濕劑)
≒ 후박(厚朴), 황련(黃連), 석창포(石菖蒲), 반하(半夏), 두시(豆豉), 산치자(山
梔子), 로근(蘆根).
13) 곽란(霍亂).- 토사복통(吐瀉腹痛) 설태황후이건(舌苔黃厚而乾) 맥유삭(脈濡數)
방 : 잠시탕(蚕矢湯)《霍亂論》거습제(祛濕劑)
≒ 잠사(蚕砂), 통초(通草), 목과(木瓜), 의이인(薏苡仁), 대두황권(大豆黃卷),
황련(黃連), 반하(半夏), 황금(黃芩), 오수유(吳茱萸), 치자(梔子).
14) 열곽란(熱霍亂).- 토사취작(吐瀉驟作) 구갈(口渴) 수황적(溲黃赤) 복중교통(腹中絞痛)
태황니(苔黃膩) 맥유삭(脈濡數).
방 : 연조탕(燃照湯)《霍亂論》거습제(祛濕劑)
≒ 활석(滑石), 두시(豆豉), 산치자(山梔子), 황금(黃芩), 후박(厚朴), 반하(半夏),
백두구(白豆寇), 패란(佩蘭).
15) 한습증(寒濕證)
臨床 : 곽란병중에 한습증의 임상표현은 갑자기 위로 토하고 아래로 설사를 하며(突然
上吐下瀉), 초기에는 묽은 똥을 설사했으나(初起時下利稀糞), 계속되는 설사는
맑고 묽거나(繼則瀉下淸稀) 혹은 쌀뜨물과 같고(如米泔水), 앞가슴과 격기가 결
리고 답답하며(胸膈痞悶), 복통(腹痛)이 있거나 혹은 없으며, 팔다리가 차고(四
肢淸冷), 설태는 희며 미끈거리고(舌苔白膩), 맥은 부상(浮上)한 것이 실같이 가
늘고 연하며 힘을 주어야 짚인다(脈濡弱). 이것은 더럽고 흐린 한습(寒濕穢濁)의
기(氣)가 증초를 막고(壅滯中焦), 양기를 뒤덮어 씨우고(陽氣被遏) 기의 승강을
반역하여 어긋나게(升降悖逆) 하므로 청탁이 서로 뒤섞였기(淸濁相混) 때문이
다.
治宜 : 산한조습(散寒燥濕) 방향화탁(芳香化濁).
方用 :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和劑局方》 合 : 순양정기환(純陽正氣丸)《北京市中葯
成方選集》溫裏劑 加减
≒ 곽향(藿香), 자소(紫蘇), 백지(白芷), 길경(桔梗), 백출(白朮), 후박(厚
朴), 반하곡(半夏曲), 대복피(大腹皮), 복령(茯苓), 귤피(橘皮), 감초
(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合 진피(陳皮), 공정향(公丁香), 복령
(茯苓), 창출(蒼朮), 백출(白朮), 곽향(藿香), 반하(半夏), 관계(官桂),
청목향(靑木香), 화초(花椒), 홍령단(紅靈丹).
16) 진액휴손증(津液虧損證) 폭사(暴瀉)
臨床 : 본증에 이른 환자는 대부분 음식을 절제하지 못하고(飮食不節), 전염성 서열사
독(暑邪疫毒)이 안으로 비위를 손상시킴(內傷脾胃)으로 해서, 중초에 청탁이 서
로뒤섞이고 혼탁해져(中焦淸濁相混), 구토와 설사를 반복발작(吐瀉驟作)하게
됨으로 진액을 크게 상하다(津液大傷). 症見 : 쌀뜨물과 같은 설사를 하고(瀉下
如米泔汁), 고약한 더러운 냄새가 나며(臭穢難聞), 구토를 하고 구갈이 나며(嘔
吐口渴), 배가 아프고 열이 나며(發熱腹痛), 정신이 시들어 버리고 눈을 감고 있
으며(目陷神萎), 근육경련과 마비가 일어나고(轉筋拘攣), 태는 누렇고 미끈거리
며(苔黃膩), 맥은 촌관척 3부맥이 모두 무력하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띈다(脈虛數). 전근(轉筋) : 근육경련(抽筋)이라고 한다. 이는 대부분 비장근(腓
腸肌)의 경련(痙攣)에서 많이 나타나는 일종에 진액손상(津液損傷)의 표현이다.
治宜 : 청열화습(淸熱化濕), 벽예설탁(辟穢泄濁)
方用 : 연조탕(燃照湯)《곽란론(霍亂論)》거습제(祛濕劑)
≒ 활석(滑石), 두시(豆豉), 산치자(山梔子), 황금(黃芩), 후박(厚朴), 반하(半
夏), 백두구(白豆蔲), 패란(佩蘭). 或 : 잠시탕(蚕矢湯)《곽란론(霍亂論)》거
습제(祛濕劑) 加减 ≒ 잠사(蚕沙), 통초(通草), 목과(木瓜), 의이인(薏苡仁),
대두황권(大豆黃卷), 황련(黃連), 반하(半夏), 황금(黃芩), 오수유(吳茱
萸), 치자(梔子).
註▷ 구련(拘攣) : 구(拘)는 전신의 근육이 수축된다는 뜻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소문․
생기통천론》에 “근육이 수축되어 손발이 구급됨으로 잘 펼 수 없다.”
하였고《소문․지진요대론》에는 “內爲痙强拘瘛(내위경강구계)” 라하였다. 拘瘛
(구계)란 구급되어 경풍을 일으킨다는 것을 말한다.《소문․육원정기 대론》에는
“筋絡拘强(근락구강)이라고 했는데 拘强(구강)이란 구급되어 꿋꿋하다는 말이
다. 따라서 拘攣(구련)이란 이로 인하여 마비와 경련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말
한다.
17) 비허습곤증(脾虛濕困證)
臨床 : 습곤비양증(濕困脾陽證)의 곽란병(癨亂病) 환자의 임상표현은 병이 매우 급하
고신속하게 일어나고(起病急驟), 위로는 토하며 아래로는 설사를 하기를(上吐
下瀉), 하루에 십여 번 이상 심하게 행하는데, 소화되지 않은 맑은 곡식을 설사
하거나(下利淸谷) 혹은 쌀뜨물 같은(如米泔水) 것을 설사하고, 냄새는 심하지 않
으나(不甚臭穢), 배가 아프고 가슴이 답답하며(胸悶腹痛), 팔다리가 청량하게 시
리다(四肢淸冷), 이는 한습이 중초에 옹체됨으로 해서(此因寒濕壅滯中焦), 비양
을 가로막고요해함으로(遏阻脾陽), 청탁을 가리지 못하기 때문에(所以淸濁不
分), 위로는 토하고 아래로는 설사를 한다(上吐下瀉).
治宜 : 방향조습(芳香燥濕), 온중건비(溫中健脾).
方用 :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화제국방(和劑局方)》거습제(祛濕劑)
≒ 곽향(藿香), 자소(紫蘇), 백지(白芷), 길경(桔梗), 백출(白朮), 후박(厚
朴), 반하곡(半夏曲), 대복피(大腹皮), 복령(茯苓), 귤피(橘皮), 감초
(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화제국방(和劑局方)》
≒ 평위산(平胃散, 진피(陣皮), 후박(厚朴), 창출(蒼朮), 감초(甘草))
가(加) 곽향(藿香), 반하(半夏).
18) 위한증(胃寒證)
臨床 : 위한증(胃寒證) 중에 출현하는 구토(嘔吐), 설사병(泄瀉病)의 임상표현의 특징은
구토(嘔吐), 복사(腹瀉)를 위주로 한다. 그 위완동통(胃脘疼痛)은 병세가 비교적
경(輕)하지만 병행하여 장명(腸鳴) 및 배꼽주위에 창통(臍周脹痛)을 수반한다.
대체로 무더운 여름철에(暑夏之季), 차고 서늘한 음식을 과식(過食寒凉)하거나
혹은 이슬과 서늘한 바람이 부는 로천(露天)의 땅에 누워 밤잠을 잠으로 말미암
아(夜臥風凉露天之地), 한사가 경락을 거치지 않고 직접 위부에 침습하여 병리
변화를 일으킨다(寒邪直中胃府引起). 한의 성질은 엉기고 껄끄러워(寒性凝澁),
기화기능이 막혀서 요해되고(阻滯氣機), 중초의 양기가 손상을 받으므로(中陽
受損), 위의 화강기능이 상실되고(胃失和降), 또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과 수양
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이 상교(相交)함으로서 한사(寒邪)가 장 사이에 들어가
머물게(竄留腸間) 됨으로, 배꼽 주위에 창통(臍周脹痛), 장명(腸鳴), 복사(腹瀉)
등 장한증상(腸寒症狀)을 나타내게 된다.
治宜 : 온중산한지통(溫中散寒止痛).
方用 : 후박온중탕(厚朴溫中湯)《내외상변혹론(內外傷辨惑論)》
≒ 후박(厚朴), 운령(云苓), 감초(甘草), 초구인(草蔲仁), 건강(乾姜), 생강
(生姜), 진피(陣皮), 목향(木香).
본증의 임상소견은 대부분 외감(外感)에 의한 오한(惡寒), 신통(身痛
), 두통(頭痛) 등 증상(症狀)을 겸한다.
治宜 : 온중해표(溫中解表).
方用 : 향소산(香蘇散)《화제국방(和劑局方)》
≒ 향부(香附), 자소엽(紫蘇葉), 진피(陣皮), 감초(甘草).
Opmerkin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