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임상 61 / 氣血 2. 更年期綜合證



갱년기종합증 (更年期綜合證) - I


1. 參照文

1) 갱년기종합증 (更年期綜合證) - II

갱년기종합증 (更年期綜合證) - 여성(女性),

갱년기종합증 (更年期綜合證) - 남성(男性).

2. 配伍葯(배오약)

1) 黃芩(황금)10 + 黃連(황련)6. 治 婦人(부인) 更年期烘熱(갱년기홍열) 汗出(한출).

2) 仙茅(선모)10 + 淫羊藿(음양곽)15. 治 更年期綜合證(갱년기종합증).

3. 男女科

本病(본병)은 주로 女性(여성)에게만 발생하는 것으로 여겼던 것이 통례였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남성에게도 역시 갱년기가 있다는 학설을 미국으로부터 제출 하였다.

近年來 學術界 提出 男子亦有 更年期之說, 但最近 美國學者 認爲 男子一生沒有 急劇的

性激素 减少階段 而否認此說. 從臨床角度看 男性在中 老年轉折期 確實可以出現

類似更年期綜合徵的 症狀.

1) 肝腎陰虛(간신음허)

更年期(갱년기)에 들어선 후 폭발이나 하듯이 열이나고 알굴이 붉어지는(轟熱面紅) 것

을 自覺(자각)하게 되고 혹 手足心熱(수족심열), 發熱(발열), 頭昏目眩(두혼목현), 腰膝

酸軟(요슬산연), 耳中鳴響(이중명향), 記忔力减退(기흘력감퇴) 或兼(혹겸) 足跟疼痛(족

근동통), 經常无端煩躁(경상 무단번조), 뜻하지 않게 수족을 떨고 있는 것을 보게되고

(偶見手足震顫), 口乾舌燥(구건설조), 性欲减退(성욕감퇴) 혹은 增强(증강)한다.

女性(여성)에게서 볼 구 있는 것은 陰部瘙痒(음부소양), 陰道乾澁(음도건삽), 性交時(성

교시) 부적절하며 혹은 疼痛(동통)이 나고; 男子(남자)는 陰莖易擧(음경이거), 다만 쾌감

이 나지 않고 시들고 연약해지며(但很快痿軟) 정액배출이 날로 감소(日漸减少)되고 舌

苔微乾(설태미건), 脈細(맥세) 或弦細(혹현세), 或弦數(혹현삭) 하다.

⑴ 症狀 : 更年期綜合證(갱년기종합증), 證屬(증속) 肝腎陰虛者(간신음허자)

治 : 滋腎降火(자신강화)

方 : 復方紫草湯(복방자초탕)《中醫雜志》

【加减】① 肝腎陰虛型(간신음허형) : 加 熟地(숙지), 枸杞子(구기자).

② 脾腎陽虛型(비신양허형) : 加 肉桂(육계), 附子(제부자).

⑵ 症狀 : 男子(남자) - 更年期綜合證(갱년기종합증)

治 : 塡精補腎(전정보신)

方 : 乾健湯(건건탕)《河北中醫》

⑶ 症狀 : 婦女(부녀) - 更年期綜合證(갱년기종합증) 屬(속) 肝腎陰虛(간신음허), 肝陽上

亢(간양상항), 見有(견유) 頭暈頭痛(두운두통), 혹 血壓升高(혈압승고), 煩躁者

(번조자).

治 : 淸肝養血(청간양혈), 滋陰淸熱(자음청열).

方 : 淸眩平肝湯(청현평간탕)《劉奉五婦科經驗》

⑷ 症狀 : 婦人(부인) - 更年期綜合徵(갱년기종합징)

治 : 補益肝腎(보익간신), 養陰降火(양음강화).

方 : 更年舒糖漿(갱년서당장)《上海中醫葯雜志》

⑸ 症狀 : 腎陰虧虛(신음휴허) - 更年期綜合證(갱년기종합증)

治 : 滋補肝腎(자보간신)

方 : 地黃丸(지황환)《小兒葯證直訣》卷下

又名 : 六味地黃丸(육미지황환)《正體類要》卷下,

六味丸(육미환)《校注婦人良方》卷二十四.

2) 心腎不交(심신불교)

絶經期前(절경기전)에 開始(개시)되는 煩躁不安(번조불안), 膽怯易驚(담겁이경), 心悸

怔忡(심계정충), 常悲傷欲哭(상 비상욕곡), 不能自持(불능자지), 喜悲无常(희비무상), 失

眠多夢(실면다몽), 大便秘結(대변비결); 性欲减退(성욕감퇴), 夜間夢交(야간몽교). 男子

(남자)는 伴有早泄(반유조설), 舌尖紅(설첨홍), 苔薄(태박), 脈細弱(맥세약), 或細數(혹세

삭).

治宜 : 寧心補腎(녕심보신), 交通心腎(교통심신).

⑴ 症狀 : 婦人諸虛(부인제허) - 血海久冷(혈해구냉), 虛煩不寧(허번불녕), 悲傷欲哭(비

상욕곡), 月經漸稀(월경점희), 卽將絶經(즉장절경).

治 : 滋養營血(자양영혈).

方 : 滋血湯(자혈탕)《婦人大全良方》

3) 腎陽虛損(신양허손)

腰脊冷痛(요척냉통), 畏寒肢冷(외한지냉), 倦怠无力(권태무력), 性欲减退(성욕감퇴); 男

子(남자)는 陽萎(양위), 精液淸冷(정액청냉),. 혹 肢体面目浮腫(지체면목부종), 大便溏薄

(대변당박), 혹 納差腹脹(납차복창), 食欲不振(식욕부진), 혹 帶下量多(대하량다), 色白

淸稀(색백청희), 舌質淡嫩(설질담눈), 苔白而潤(태백이윤), 脈沉遲无力(맥침지무력).

治宜 : 溫補腎陽(온보신양).

⑴ 症狀 : 更年期綜合證(갱년기종합증) - 證屬(증속) 脾腎陽虛者(비신양허자).

治 : 溫補腎陽(온보신양)

方 : 右歸丸(우귀환)《景岳全書》

4) 肝氣鬱結(간기울결)

情志憂鬱(정지우울), 心煩易怒(심번이노), 性格多變(성격다변), 精神緊張(정신긴장), 胸

脇脹悶(흉협창민), 喜嘆氣(희탄기), 呼氣則舒(호기칙서); 心悸失眠(심계실면), 面熱陳發

(면열진발), 時而汗出(시이한출), 甚則兩脇肋刺痛(심칙 양협늑자통); 情緖不佳時(정서

불가시), 性欲减退(성욕감퇴), 緩解時(완해시) 性欲增强(성욕증강), 月經先后无定期(월

경선후무정기), 經量時多時少(경량시다시소); 可伴有(가반유) 性交不適(성교부적), 혹

性交疼痛(성교동통),. 舌淡苔薄(설담태박), 脈弦(맥현), 혹 弦數(현삭).

治宜 : 疏理肝氣(소리간기), 淸解鬱熱(청해울열).

⑴ 症狀 : 肝腎氣鬱(간신기울), 經來繼續(경래계속), 或前或后(혹전혹후), 行而不暢(행이

불창), 有塊(유괴), 色正常(색정상), 少腹脹痛(소복창통), 혹 乳房脹痛(유방창

통) 連及兩脇(연급양협), 現用于(현용우) 婦女(부녀) 更年期綜合徵(갱년기종

합징), 屬腎虛肝鬱者(속신허간울자).

治 : 舒肝補腎(서간보신), 養血調經(양혈조경).

方 : 定經湯(정경탕)《傳靑主女科》

⑵ 症狀 : 更年期綜合證(갱년기종합증).

治 : 舒肝滋腎(서간자신).

方 : 更期飮(갱기음)《浙江中醫雜志》

⑶ 症狀 : 婦女(부녀) - 更年期綜合徵(갱년기종합징), 證屬(증속) 肝鬱脾虛者(간울비허

자).

治 : 疏肝解鬱(소간해울).

方 : 四逆散(사역산)《傷寒論》

⑷ 症狀 : 更年期綜合徵(갱년기종합징), 症見(증견) 寒熱往來(한열왕래), 脇肋滿悶 (협늑

만민), 腹痛走竄(복통주찬), 等

治 : 疏肝行氣(소간행기), 解鬱泄熱(해울설열).

方 : 柴胡疏肝散(시호소간산)《景岳全書》

⑸ 症狀 : 更年期綜合徵(갱년기종합징), 證屬(증속) 肝氣鬱結者(간기울결자).

治 : 疏肝和脾(소간화비), 養血調中(양혈조중).

方 : 逍遙散(소요산)《太平惠民和劑局方》

5) 陰陽兩虛(음양양허)

更年期(갱년기) 후로 進入(진입)하면 陰虛證候(음허증후)가 있음을 보게 되는 것과 같

이 頭暈耳鳴(두운이명), 失眠心煩(실면심번), 口乾便秘(구건변비), 轟熱汗出(굉열한출),

面部潮紅(면부조홍)하는 등을 보게 된다. 또 陽虛表現(양허표현)으로는 畏寒怕冷(외한

파냉), 見風起粟(견풍기속), 浮腫帶下(부종대하), 腰膝冷痛(요슬냉통) 등을 본다. 舌質淡

(설질담), 苔薄(태박), 脈沉弱(맥침약), 或沉數(혹침삭).

治宜 : 益腎補虛(익신보허), 調理陰陽(조리음양).

⑴ 症狀 : 婦女(부녀) - 更年期綜合徵(갱년기종합징), 證屬(증속) 腎陰腎陽兩虛者(신음신

양양허자).

男性(남성) - 腎陽不足(신양부족), 虛火上浮(허화상부)에 의한 陽萎(양위), 早

泄(조설)에도 역시 사용한다.

治 : 溫腎陽(온신양), 補腎陰(보신음), 瀉腎火(사신화), 調理冲任(조리충임).

方 : 二仙湯(이선탕)《婦産科學》

【加减】可隨證(가수증)

① 加 益母草(익모초), 杜仲(두중), 桑寄生(상기생) 各 9 克 - 補腎調經(보신조경)

② 加 枸杞子(구기자)9, 白菊花(백국화)6. - 以平虛陽(이평허양)

⑵ 症狀 : 女子(여자) 更年期綜合證(갱년기종합증)

治 : 滋腎養肝(자신양간), 燮理陰陽(섭리음양).

方 : 婦更飮(부갱음)《中醫雜志》

【加减】① 肝鬱心虛(간울심허), 臟躁神煩(장조신번) :

加 淮小麥(회소맥), 炙甘草(자감초), 紅棗(홍조).

② 脾弱少運(비약소운), 納差便溏(납차변당) :

加 黨參(당삼), 白朮(백출), 山葯(산약), 茯苓(복령).

③ 水虧木旺(수휴목왕) 煩躁易怒(번조이노) 血壓偏高(혈압편고)

加 熟女貞(숙여정), 旱蓮草(한련초), 夏枯草(하고초), 石決明(석결명).

④ 陰虛血少(음허혈소), 失眠心悸(실면심계) :

加 北沙參(북사삼), 麥冬(맥동), 制首烏(제수오), 酸棗仁(산조인), 五味子

(오미자).

⑤ 陽浮液泄(양부액설), 自汗盜汗(자한도한) :

加 濡稻根(유도근), 浮小麥(부소맥), 白芍(백작).

⑶ 症狀 : 更年期綜合證(갱년기종합증), 證屬(증속) 腎陰陽俱虛者(신음양구허자)

治 : 溫補腎氣(온보신기)

方 : 腎氣丸(신기환)《金匱要略》

6) 脾虛濕盛(비허습성) 月經(월경) 日漸錯亂(일점착란), 水腫漸起(수종점기), 腫自下肢起

(종자하지기), 小便少(소변소), 食欲不振(식욕부진), 大便或溏(대변혹당), 兼有(겸유) 更

年期綜合徵(갱년기종합징). 其他症狀(기타증상)은 舌質淡胖(설질담반), 苔薄白(태박

백), 脈沉濡(맥침유).

治宜 : 健脾益氣(건비익기), 利水消腫(이수소종).

⑴ 症狀 : 更年期綜合證(갱년기종합증), 症見(증견) 水腫(수종)이 있고, 脈浮(맥부) 身重

者(신중자).

治 : 益氣固表(익기고표), 健脾利水(건비이수).

方 : 防己黃芪湯(방기황기탕)《金匱要略》

【加减】① 喘者(천자) : 加 麻黃(마황) 15 克.

② 胃中不和(위중불화) : 加 芍葯(작약) 22.5 克.

③ 氣上冲者(기상충자) : 加 桂枝(계지) 22.5 克.

④ 下有陳寒者(下有陳寒者(하유진한자) : 加 細辛(세신) 22.5 克.

7) 心脾不足(심비부족) 心悸失眠(심계실면), 月經(월경)이 日漸閉止(일점폐지)되는 患者

(환자). 食少神疲(식소신피), 情緖變異(정서변이), 喜悲无常(희비무상), 喜歡獨處暗處

(희환독처암처); 口脣淡白(구순담백), 脈細而弱(맥세이약).

治宜 : 補血寧心(보혈녕심), 益氣健脾(익기건비).

⑴ 症狀 : 更年期綜合徵(갱년기종합징), 證屬(증속) 心脾兩虛者(심비양허자).

治 : 益氣補血(익기보혈), 健脾養心(건비양심).

方 : 歸脾湯(귀비탕)《正體類要》


4. 임상 (臨床)

1) 辨證施治

診察要点(진찰요점) : 神經不安(신경불안, 衰弱), 煩躁不安(번조불안), 不眠症(불면증),

心悸亢進(심계항진), 遺精(유정), 夢精(몽정), 勃起不全(발기부

전), 强直度(강직도), 陰莖冷感(음경냉감), 精量感少(정량감소), 射精時(사정시) 快感减

消(쾌감감소), 精子活動性减弱(정자활동성감약), 性神經衰弱(성신경쇠약), 腎虛腰痛

(신허요통) 隱痛(은통) 早甚痛(조심통), 性交后腰痛甚(성교후요통심), 腰膝无力(요슬무

력), 頭重(두중) 頭痛(두통) 頭暈(두운), 耳鳴(이명), 食欲不振(식욕부진) 疲困(피곤) 食困

症(식곤증) 倦怠(권태) 氣虛(기허, 陽虛-无氣力), 言語動作无力(언어동작무력), 尿頻(뇨

빈) 尿后不爽(뇨후불상) 尿漏(뇨루) 尿失禁(뇨실금) 夜尿頻煩(야뇨빈번), 記憶力减退

(기억력감퇴) 集中力减退(집중력감퇴) 推理力(추리력) 및 意欲减退(의욕감퇴) 知覺(지

각)과 動作異常(동작이상), 偏集中(편집중) 妄想症(망상증) 疑妻症(의처증), 面紅(면홍),

齒松(치송), 口乾(구건), 充血眼(충혈안), 眼瞼色暗(안검색암), 視力减退(시력감퇴), 五

心煩熱(오심번열), 身体漸瘦(신체점수), 細股臂(세고비), 肋骨暴露(늑골폭로), 筋肉逸脫

(근육일탈), 虛熱(허열), 盜汗(도한), 自汗(자한), 易怒(이노), 腹脹矢氣(복창시기), 腸鳴

如水(장명여수), 消化障碍(소화장애), 便溏(변당), 泄瀉(설사), 身冷(신냉).

⑴ 更年期障碍(갱년기장애)로 神經不安(신경불안)이나 不眠症(불면증), 心悸亢進症(심

계항진증), 遺精(유정)이나 夢精(몽정) 등 腎經症狀(신경증상)이 뚜렷할 때 유효한

처방 柴胡加龍骨牡蠣湯(시호가용골모려탕)

≒ 柴胡(시호), 半夏(반하) 各3, 茯苓(복령), 桂枝(계지) 各2, 黃

芩(황금), 人參(인삼), 龍骨(용골), 牡蠣(모려), 大黃(대황),

大棗(대조), 生姜(생강) 各1.

이상의 약을 1첩으로 하여 1일 2첩을 물에 끓여 재탕까지

해서 3회 복용한다.

⑵ 갱년기에 접어들면서 勃起不全(발기부전), 不强(불강).

양위회춘탕 ≒ 人參(인삼), 枸杞子(구기자) 各200, 破故紙(파고지), 巴戟天(파극천)

各150, 肉蓗蓉(육종용)300.

이상의 약을 1.5배 분량의 소주에 담가 15일간 숙성시킨 다음 매일

한 잔씩 복용한다. 또 배합한 약제를 20첩으로 만든 뒤에 매일 2첩씩

달여 하루에 3회 공복에 복용해도 좋다.

⑶ 更年期로 인해 腎虛腰痛(신허요통)이 심할 때 쓰는 처방이다. 腎虛腰痛(신허요통)

은 內分泌(내분비) 호르몬 계통이 저하되면서 오는 腰痛(요통)으로 늘 허리가 무지

근한 통증이 있고,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 날 때 통증이 심해지며, 성관계 후 요통

이 더욱 악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또 頭重(두중), 耳鳴(이명), 口乾(구건), 目疲(목피),

尿頻(뇨빈), 排尿后不爽(배뇨후불상), 膝脛无力(슬경무력)일 때 효과를 볼 수 있는

처방 건요사륙탕 ≒ 白朮(백출), 薏苡仁(의이인) 各12, 續斷(속단), 龍眼肉(용안육) 各

8, 山葯(산약), 山茱萸(산수유), 金毛狗脊(금모구척) 各6, 白茯苓

(백복령), 澤瀉(택사), 當歸(당귀), 川芎(천궁), 白芍(백작), 牛膝

(우슬), 木瓜(목과), 羌活(강활), 杜仲(두중), 甘草(감초) 各4.

이상의 약을 한 첩으로 하여 1일 2첩씩 재탕까지 해서 공복에 3

회 복용한다.

⑷ 尿頻(뇨빈), 排尿后不爽(배뇨후불상) 자신도 모르게 尿失禁(뇨실금), 특히 야중 尿頻

尤甚(뇨빈우심), 熟面不可(숙면불가), 更年期(갱년기)에 男性(남성)에게 쓰는 처장이

다.

縮泉丸(축천환)

≒ 烏葯(오약), 益智仁(익지인). 各同量(각동량) 이상의 약을 배합해 가루 내어

서 山葯粉과 술로 쑨 산약풀로 반죽해서 0.3g 크기의 알약을 만들어 就寢前

에 鹽湯으로 70알씩 복용한다.

⑸ 更年期(갱년기)로 접어들면서 不安(불안) 焦躁(초조)해지고 不眠症(불면증)에 시달

리며 記憶力(기억력)이 減退(감퇴)하면서 痴呆(치매)의 氣運(기운)이 나타나기 시작

할 때 또 男性更年期(남성갱년기)에 흔히 나타날 수 있는 偏集中的(편집중적) 證狀

(증상)이나 妄想症(망상증), 疑妻症(의처증) 등에도 좋다.

加味歸脾湯(가미귀비탕)

≒ 半夏(반하), 陳皮(진피), 枳實(지실), 人參(인삼), 白朮(백출), 茯神(복신),

當歸(당귀), 遠志(원지), 炒棗仁(초조인), 黃芪(황기), 龍眼肉(용안육)各

3.75, 天麻(천마), 膽南星(담남성), 竹茹(죽여) 各2.62, 木香(목향), 甘草(감

초) 各1.87, 生姜(생강)3片, 大棗(대조)2枚.

이상의 약제를 1첩으로 하여 1일 2첩씩 재탕까지 해서 3회 복용한다.

⑹ 勃起力(발기력)이 顯著(현저)히 떨어지고 陰莖(음경)이 차갑게 느껴지며 精液量(정

액량)도 急激(급격)히 줄어들고 射精(사정)을 하도 快感(쾌감)이 느껴지지 않는 등

更年期(갱년기) 性機能低下(성기능저하) 現狀(현상)을 다스리는

처방 건양환 ≒ 附子(부자), 熟地黃(숙지황), 人參(인삼), 牛肉(우육), 鮮魚(선어) 各

3.75.

이상의 약을 배합한 후 乾燥시켜 가루로 만든다. 이것을 끓인 꿀로

반죽해서 0.3g 크기의 알약을 빚은 뒤에 30~60 알씩 하루에 두 번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處方중에 牛肉은 쇠고기이며, 鮮魚는 “두렁

허리”라고 불리는 민물고기로 뱀처럼 가늘고 긴 생김새를 하고 있

다.

⑺ 更年期障碍로 인해 精力이 떨어지고 얼굴이 벌겋게 달아오르면서 손발과 가슴도

견딜 수 없을 정도로 후끈거릴(五心煩熱) 때 熟眠을 취하기 어려우며 몸도 자꾸 마

르고(身体漸次消瘦) 치아도 들뜰(齒松) 때, 손이 마치 手顫症에 걸린 듯 후들거리고

눈이 充血 되면서 입이 마를 때, 어지럽고 머리도 무거울(頭重眩暈) 때, 또 氣運이

떨어져 盜汗을 많이 하며, 易怒 등 感情變化가 심할 때 효과를 볼 수 있는

처방 청리자감탕 ≒ 熟地黃(숙지황), 乾地黃(건지황), 寸冬(촌동), 麥冬(맥동), 當歸(당

귀), 白芍(백작), 山茱萸(산수유), 山葯(산약), 茯苓(복령), 白朮(백

출) 各3, 丹皮(단피), 澤瀉(택사), 黃柏(황백), 知母(지모), 炙甘草

(자감초) 各2.

이상의 약제를 1첩으로 하여 1일 2첩씩 재탕까지 해서 3회 복

용한다.

⑻ 更年期 障碍로 食欲不振, 가스가 저류하여 腹部膨脹(腹脹)이 오며, 갈비 뼈가 훤히

드러날 정도로 약해지고 팔다리도 가늘어지며 근육이 흐물거리면서 처질 때, 또 知

覺과 動作에도 이상이 있을 만큼 달라져서 記憶力이나 推理力이나 意慾 등이 减退

되며 動作에 힘이 빠져 있고, 쉬 疲勞해 하며, 눈꺼풀 밑이 거무스름해지고, 皮膚가

꺼칠하여질 때 쓰이는

처방 전씨이공산 ≒ 白朮(백출), 白茯苓(백복령), 人參(인삼), 陳皮(진피), 木香(목향),

甘草(감초) 各4, 生姜(생강), 大棗(대조)2枚.

이상의 약제를 1첩으로 하여 1일 2첩씩 재탕까지 해서 3회복

용한다.

⑼ 腸鳴如水(장명여수), 食欲不振(식욕부진), 食困症(식곤증), 便溏(변당) 혹 泄瀉(설사)

가 頻煩(빈번)하고, 쉽게 몸이 냉해지고, 이유 없이 걸핏하면 頭痛(두통), 頭暈(두운),

또는 消化障碍(소화장애)를 隨伴(수반)하는 神經衰弱症(신경쇠약증)의 경우에 이

처방이 응용된다. 이 처방은 虛證(허증)에 쓰이는 약이므로 腹部(복부)가 매우 연약

하고 혀에는 태가 끼지 않는 것이 특징인데 설령 태가 끼어 있다 해도 에나멜 칠을

한 것 같이 매끈매끈하며 촉촉하게 젖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香砂六君子湯(향사육군자탕)

≒ 香附子(향부자), 白朮(백출), 茯苓(복령), 半夏(반하), 陳皮(진피), 白豆

蔲(백두구), 厚朴(후박) 各3.75, 砂仁(사인), 人參(인삼), 木香(목향),

益智仁(익지인), 甘草(감초) 各1.87, 生姜(생강)3片, 大棗(대조)2枚.

이상의 약제를 1첩으로 하여 1일 2첩을 끓여 3회 복용한다.

⑽ 更年期(갱년기) 障碍(장애)중 특히 陽虛(양허)로 氣運(기운)이 없고 言語(언어)와 動

作(동작)에 힘이 없으며 无氣力(무기력)하고 극히 疲困(피곤)하며, 눈에 광체가 없

고, 식은땀(自汗)이 자꾸 흐르며, 脈(맥)은 가라앉아서 微弱(미약)하고 无力(무력)하

게 搏動(박동)하는 것을 느낄 때(脈沉微弱) 쓰이는 처방이다. 일반적으로 몸이 肥大

(비대)하면서 얼굴이 허옇고 약간 부은 뜻한 느낌을 주는 사람에게 효과가 있다.

녹용대보탕 ≒ 肉蓗蓉(육종용), 杜仲(두중) 各3.75, 白芍(백작), 白朮(백출), 炮附子(포

부자), 人參(인삼), 肉桂(육계), 半夏(반하), 石斛(석곡), 五味子(오미자)

各2.62, 鹿茸(녹용), 黃芪(황기), 當歸(당귀), 茯苓(복령), 熟地(숙지) 各

1.87, 甘草(감초)0.93, 生姜(생강)3片, 大棗(대조)2枚.

이상의 약제를 1첩으로 하여 1일 2첩을 끓여 3회 복용한다.

※ 肉蓗蓉(육종용) : 精液(정액)과 血液(혈액)을 補(보)하면서 命門(명문)의 烈火(열화)

를 强化(강화)시켜 陰莖(음경)을 勃起(발기)시키는 힘이 대단해 예

로 부터 興陽(흥양)의 聖葯(성약)이라고 正評(정평)이 나있다.

말의 정액이 交尾(교미)할 때 떨어진 곳에서 자란다는 애기가 있

듯이 寄生性(기생성), 濕殖植物(습식식물)이다.

杜仲(두중) : 精液(정액)을 늘려주고, 소변을 찔끔거리거나 근육과 뼈가 약한 것을

튼튼하게 한다. 허리와 무릎의 통증을 풀어주고, 肝臟(간장)과 腎臟(신

장)의 機能(기능)을 補强(보강)한다. 白芍(백작)은 腎陰(신음)을 滋養

(자양)하고, 津液(진액)을 補(보)하며, 体液(체액)의 循環(순환)과 利尿

作用(이뇨작용)이 있다.

白朮(백출) : 脾胃(비위)의 消化機能(소화기능)을 튼튼하게 하고, 附子(부자)는 陽氣

(양기)가 虛(허)하면서 冷(냉)한 것을 급히 恢復(회복)시키기 때문에 回

陽(회양)하는 공능을 가진 대표적 葯物(약물)이다.

人參(인삼) : 六臟(육장)을 保護(보호)하고 下焦(하초)의 元氣(원기)를 補强(보강)하

며, 모든 虛勞症(허로증)을 다스린다. 津液(진액)을 生成(생성)하기 때

문에 渴症(갈증)을 풀고, 눈을 밝게 하며, 血液(혈액)을 통하게 하며, 精

神(정신)을 安靜(안정)시킨다.

肉桂(육계) : 血液(혈액)을 通(통)하며, 虛(허)하고 冷(냉)한 것을 따뜻하게 하면서 補

益(보익)한다. 命門(명문)의 烈火(렬화)가 不足(부족)한 것을 補强(보

강)하며 精髓(정수)를 滋養(자양)한다.

石斛(석곡) : 心悸亢進(심계항진)을 鎭靜(진정)시키고 虛(허)한 것을 보하며 뼈를 强

(강)하게 한다. 氣力(기력)을 돋우고 특히 精液(정액)을 늘리며 生殖器

(생식기)와 陰氣(음기)를 强(강)하게 한다.

五味子(오미자) : 腎水(신수)를 補(보)하고, 津液(진액)을 生成(생성)하여 渴症(갈증)

을 풀고 오래된 기침을 다스린다.

黃芪(황기) : 땀을 멈추게 하며, 新生(신생), 肉芽組織(육아조직)의 生成(생성)을 促

進(촉진)하고, 脾胃虛弱(비위허약)을 도우며, 元氣(원기)를 북돋우고,

小便(소변)을 調節(조절)한다.

當歸(당귀) : 血液(혈액)을 生成(생성)하며 心臟機能(심장기능)을 强化(강화)하고 虛

(허)한 것을 補(보)한다.

熟地黃(숙지황) : 血液(혈액)을 補(보)하고 腎水(신수)를 滋養(자양)한다. 精液(정액)

을 늘리고 骨髓(골수)를 補益(보익)하며 오래 복용하면 머리털이

검어진다.

⑾ 갱년기 장애로 精子(정자)의 양이 적어지거나 活動性(활동성)이 약해진 때 쓰이는

처방이다. 男性(남성)의 精液(정액) 및 精子(정자) 異常(이상)에 의한 不姙症(불임증)

에도 쓸 수 있다.

毓麟珠(육린주) ≒ 熟地黃(숙지황), 菟絲子(토사자) 各150, 人參(인삼), 白朮(백출),

茯苓(복령), 白芍(백작 酒炒), 杜仲(두중, 酒炒), 鹿角霜(녹각상),

茜草(천초) 各75, 當歸(당귀)150, 川芎(천궁), 甘草(감초) 各37.5.

이상의 약제를 1첩으로 하여 1일 2첩을 끓여 3회 복용한다.

⑿ 更年期(갱년기) 障碍(장애)로 어지럽고 귀가 울리며(耳鳴), 가슴이 두근거리고(心

悸), 倦怠(권태)로우며 記憶力(기억력)이나 集中力(집중력)이 떨어지고 조금만 움직

여도 진땀이 비 오듯이 흐를 때 쓰이는

처방 雙和湯(쌍화탕) ≒ 白芍(백작)0.37, 黃芪(황기), 當歸(당귀), 熟地(숙지), 川芎(천

궁) 各3.75, 桂皮(계피), 甘草(감초) 各2.8, 生姜(생강)3片, 大

棗(대조)2枚. 이상의 약제를 1첩으로 하여 1일 2첩을 끓여

3회 복용한다.

【東醫寶鑑】에 의하면 氣血(기혈)이 모두 虛(허)해졌을 때 또는 過勞后(과로후)에 性

交(성교)나 性交后(성교후)에 過勞(과로)로 피로하고, 혹은 性交后(성교

후)의 感氣(감기) 證狀(증상)이 甚(심)할 때 쓸 수 있는 처방이라고 했다.

다시 말해서 虛勞(허로) 損傷(손상)으로 氣血(기혈)이 몹시 虛(허)해진 때, 血氣(혈

기)와 腎精(신정)이 모자라 感氣(감기)에 잘 걸리고, 感氣(감기)에 걸렸다 하면 잘 낫

지 않고 오래 끌 때, 식은땀이 잘 날 때, 몸의 抵抗力(저항력)을 높일 目的(목적)으로

쓴다는 것이다. 중년부부로서 위의 증상이 있고 아울러 抵抗力(저항력)이 약해져

있을 때 雙和湯(쌍화탕)만한 것이 없다.

⒀ 원래 性神經衰弱(성신경쇠약), 耳鳴(이명), 視力减退(시력감퇴), 眩暈(현운), 가슴 두

근거림(心悸), 치아 흔들림(齒松), 추위를 잘 탐, 記憶力减退(기억력감퇴), 虛熱(허

열) 등에 쓰이는 처방이지만 칼쓤의 보고인 鹿角(녹각)을 이용하여 처방을 구성했

기 때문에 骨多孔症(골다공증)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큰 것이다.

따라서 更年期障碍(갱년기장애)에 의해 뼈가 약해진 것을 豫防治療(예방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뼈의 再生(재생)에는 限界(한계)가 있다.

斑龍丸(반용환)

≒ 廘角膠(녹각교), 鹿角霜(녹각상), 菟絲子(토사자), 柏子仁(백자인), 熟地黃(숙

지황) 各300, 白茯苓(백복령), 破故紙(파고지) 各150.

위의 약을 가루 내어 술을 쑨 풀로 반죽하거나 혹은 鹿角膠를 술에 담가서

녹으면 거기에 葯劑의 가루를 넣어 반죽해서 0.3g 크기의 알약을 만들어 복

용한다. 空腹에 姜鹽湯(生姜, 鹽)으로 복용한다.

⒁ 更年期綜合證(갱년기종합증)

證狀 : 腎陰腎陽不足(신음신양부족)하고 虛火上炎(허화상염)하는 사람 眩暈(현운),

腰膝酸軟(요슬산연), 畏寒肢冷(외한지냉), 潮熱盜汗(조열도한), 煩躁不安(번

조불안), 五心煩熱(오심번열)을 辨證依据(변증의거)로 삼는다.

方葯 : 二仙湯(이선탕)《中醫方劑臨床手冊》

≒ 仙茅(선모), 淫羊藿(음양곽), 知母(지모), 黃柏(황백), 巴戟天(파극천),

當歸(당귀).

⒂ 갱년기종합증(更年期綜合證) 고혈압(高血壓) 폐경(閉經).- 신음신양(腎陰腎陽) 부족

이(不足而) 허화상염(虛火上炎), 현운(眩暈) 요슬산연(腰膝酸軟) 외한지냉(畏寒肢

冷) 조열도한(潮熱盜汗) 번조불안(煩躁不安) 오심번열(五心煩熱).

방 : 이선탕(二仙湯)《中醫方劑臨床手冊》경산제(經産劑)


5. 민방 (民方)

1) 更年期障碍(갱년기장애)

① 加味消遙散(가미소요산)

≒ 茯苓(복령), 白朮(백출), 當歸(당귀), 芍葯(작약) 各6, 甘草(감초)3, 柴胡

(시호), 丹皮(단삼), 梔子(치자) 各4, 生姜(생강), 薄荷(박하) 各2.

② 甘麥大棗湯(감맥대조탕)

≒ 甘草(감초), 小麥(소맥), 大棗(대조).

③ 桂枝加龍骨牡蠣湯(계지가용골모려탕)

≒ 桂枝(계지), 芍葯(작약), 甘草(감초), 生姜(생강), 大棗(대조), 龍骨

(용골), 牡蠣(모려).

④ 桂枝茯苓丸(계지복령환)

≒ 桂枝(계지), 茯苓(복령), 芍葯(작약), 桃仁(도인), 牡丹皮(모단피).

⑤ 當歸芍葯散(당귀작약산)

≒ 當歸(당귀), 芍葯(작약), 川芎(천궁), 茯苓(복령), 白朮(백출), 澤瀉(택사).

⑥ 桃仁承氣湯(도인승기탕)

≒ 桃仁(도인), 桂枝(계지), 大黃(대황), 芒硝(망초), 甘草(감초),.

⑦ 半夏厚朴湯(반하후박탕)

≒ 半夏(반하), 厚朴(후박), 茯苓(복령), 蘇葉(소엽), 生姜(생강).

⑧ 柴胡加龍骨牡蠣湯(시호가용골모려탕)

≒ 柴胡(시호), 半夏(반하), 茯苓(복령), 桂枝(계지), 人參(인삼), 大棗

(대조), 龍骨(용골), 牡蠣(모려), 黃芩(황금), 大黃(대황), 生姜(생강).

⑨ 五積散(오적산)

≒ 當歸(당귀), 川芎(천궁), 茯苓(복령), 白朮(백출), 芍葯(작약), 甘草(감초), 陳皮

(진피), 厚朴(후박), 枳實(지실), 大棗(대조), 生姜(생강), 半夏(반하), 麻黃(마

황), 白芷(백지), 桂枝(계지), 桔梗(길경).

⑩ 溫經湯(온경탕)

≒ 阿膠(아교), 當歸(당귀), 芍葯(작약), 川芎(천궁), 人參(인삼), 甘草(감초), 吳茱

萸(오수유), 桂枝(계지), 生姜(생강), 半夏(반하), 麥冬(맥동), 丹皮(단피).

⑪ 淸心蓮子飮(청심연자음)

≒ 茯苓(복령), 麥冬(맥동), 蓮子肉(연자육), 人參(인삼), 黃芩(황금), 車前子

(차전자), 黃芪(황기), 地骨皮(지골피), 甘草(감초).

30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