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임상 52 / 肝系 4. 肝炎(간염)

Aktualisiert: 8. Mai 2020



4. 肝炎(간염) / 肝癰(간옹)


간염 (肝炎) 英 : hepatitis, 獨 : die Leberentzuendung

1. 參照文

1) 中醫內科學(중의내과학)에 嘔吐(구토), 脇痛(협통), 黃疸(황달).

- 病毒性肝炎(병독성간염)

2. 配伍葯 :

1) 枳殼(지각)10 + 鬱金(울금)15. 治 慢性肝炎(만성간염)

2) 橘皮(귤피)10 + 沉香(침향)10. 治 慢性肝炎(만성간염)

3) 香附(향부)15 + 烏葯(오약)10. 治 急慢性肝炎(급만성간염)

4) 延胡索(연호색)10 + 川楝子(천련자)10 = 肝炎(간염)

5) 合歡皮(합환피)15 + 刺蒺藜(자질려)15 = 慢性肝炎(만성간염)

3. 김명욱임상경험집방

1) 慢性肝炎(만성간염)

⑴ 證狀 : 兩脇下(양협하)에 있는 肝臟(간장)과 脾臟部位(비장부위)에 痛症(통증)이 있

고, 肝臟(간장)이 2~3cm정도 腫大(종대)되었으며, 胸腹部墜痛(흉복부추

통),多夢(다몽), 頭暈頭痛(두운두통), 午后微熱(오후미열, 37-8℃), 消化不良

(소화불량), 腹脹(복창), 大便不利(대변불리), 小便黃濁(소변황탁), 脈弦有力

(맥현유력).

處方 : 加味淸肝湯(가미청간탕)

≒ 白芍(백작), 白朮(백출), 柴胡(시호), 鷄血藤(계혈등) 各15, 枳實

(지실), 鬱金(울금), 姜黃(강황), 炒梔子(초치자), 丹參(단삼), 茵陳

(인진), 山楂(산사), 神曲(신곡), 麥芽(맥아) 各10, 靑皮(청피), 木

香(목향), 甘草(감초)5.

⑵ 證狀 : 右脇墜脹(우협추창), 胸悶(흉민), 噯氣(애기), 呑酸(탄산), 消化不良(소화불

량), 全身乏力(전신핍력), 脈弦細(맥현세).

處方 : 和肝健脾湯(화간건비탕)

≒ 白芍(백작), 白朮(백출) 各25, 黨參(당삼), 當歸(당귀) 各15, 茯苓

(복령), 川芎(천궁), 白豆蔲(백두구), 旋覆花(선복화), 代赭石(대자

석), 神曲(신곡), 陳皮(진피) 各10, 木香(목향), 枳實(지실), 茵陳

(인진), 半夏(반하), 甘草(감초) 各7.5, 生姜(생강)2.5.

⑶ 傳染性肝炎(전염성간염)

證狀 : 肝臟部位 疼痛(간장부위 동통), 頭暈(두운), 惡寒發熱(오한발열), 小便黃赤(소

변황적), 色沉混濁(색침혼탁), 大便異常(대변이상), 脈弦數(맥현삭).

處方 : 淸肝解鬱湯(청간해울탕)

≒ 茵陳(인진)25, 茯苓(복령)15, 木通(목통), 鬱金(울금), 龍膽草(용

담초), 車前子(차전자), 澤瀉(택사), 柴胡(시호), 梔子(치자) 各10.

加减 - ① 消化不良(소화불량) : 加 山楂(산사), 枳實(지실), 陳皮(진피).

② 大便秘結(대변비결) : 加 黃芩(황금).

⑷ 肝脾腫大(간비종대)

證狀 : 兩側脇痛(양측협통), 壓痛(압통), 혹 刺痛(자통), 腹脹滿(복창만), 飮食无味(음

식무미), 消化不良(소화불량), 脈緩弦(맥완현).

處方 : 加味平肝消瘕湯(가미평간소하탕)

≒ 白朮(백출), 白芍(백작) 各25, 當歸(당귀), 鱉甲(별갑, 醋炒),

牡蠣(모려) 各15, 半夏(반하), 茯苓(복령), 川芎(천궁), 陳皮

(진피), 枳實(지실), 山楂(산사) 各10, 神曲(신곡), 麥芽(맥아),

木香(목향), 砂仁(사인), 靑皮(청피), 甘草(감초) 各5.

§ 本處方(본처방) 長服有效(장복유효).

加减 - ① 發熱(발열) : 加 柴胡(시호), 鬱金(울금).

② 无熱(무열), 혹 冬季(동계) : 加 桂枝(계지), 附子(부자).

⑸ 慢性肝炎(만성간염) 및 胃酸過多症(위산과다증)

證狀 : 脇脹滿(협창만), 呑酸(탄산), 吐酸(토산), 消化不良(소화불량), 胃脘部刺痛(위

완부자통), 胸悶嘈囃(흉민조잡), 脈滑數(맥활삭) 或弦細(혹현세).

處方 : 解鬱湯(해울탕)

≒ 白芍(백작)25, 丹皮(단피)15, 柴胡(시호)10, 蒼朮(창출), 茯苓(복령),

半夏(반하), 甘草(감초), 梔子(치자) 各5, 神曲(신곡)2.5.

加 當歸(당귀) 해도 된다.

4. 臨床

1) 急性黃疸型(급성황달형)

⑴ 傳染性肝炎(전염성간염)

① 茵陳蒿湯(인진호탕) ≒ 茵陳(인진)30, 梔子(치자)15, 大黃(대황)9.

② 甘露消毒丹(감로소독단)

≒ 飛滑石(비활석)450, 綿茵陳(면인진)330, 淡黃芩(담황금)300, 石菖

蒲(석창포)180, 川貝母(천패모)150, 木通(목통)150, 藿香(곽향), 射

干(사간), 連翹(연교), 薄荷(박하), 白豆蔲(백두구) 各120.

2) 慢性肝炎(만성간염)

⑴ 濕熱困脾型(습열곤비형)

持續的(지속적)인 濕熱(습열)로 바이러스가 肝細胞(간세포) 내에서 끊임없이繁殖

(번식)하고 반복감염을 일으키면 免疫機能(면역기능)이 低下(저하), 缺如(결여), 失

調(실조)되고 濕熱困脾(습열곤비)의 慢性肝炎(만성간염)을 일으킨다. 進行性(진행

성), 活動性(활동성)으로 肝(간) 및 脾臟腫大(비장종대)가 발생하여 疼痛(동통)이 있

으며, 毛細膽管(모세담관)이나 膽道(담도)에 感染(감염)을 일으키거나 黃疸(황달)

을 隨伴(수반)하고, 上腹部(상복부)가 크게 부풀어 오르고 메스꺼우며, 大便(대변)

은 일반적으로 처음엔 굳고 나중에 묽게나오고, 小便(소변)은 탁한 梔子色(치자색)

을 띄고 惡臭(악취)가 나며 량이 많이 않다. 머리가 어지럽고, 전신에 때때로 微熱

(미열)이 오르며 무겁고 疲勞(피로)가 심하다. 입 안이 쓰고 끈적거리며 냄새가 나

고 혀는 홍색을 띄며 黃苔(황태)가 낀다.

① 간염의 대표적 처방인 小柴胡湯證(소시호탕증)보다 炎症(염증)이 더 심하고 水

分代謝(수분대사)에 障碍(장애)가 있을 때 쓰는 處方이다.

蒿芩淸膽湯(호금청담탕) 合 龍膽瀉肝湯(용담사간탕)

≒ 靑蒿(청호), 黃芩(황금), 竹茹(죽여), 赤茯苓(적복령), 陳皮(진피), 碧

玉散(벽옥산 包煎., 滑石, 甘草 靑黛) 各10, 制半夏(제반하), 枳殼(지

각), 各6, 龍膽草(용담초), 柴胡(시호), 澤瀉(택사), 木通(목통) 各4, 車

前子(차전자), 生地黃(생지황), 當歸(당귀), 山梔(산치), 甘草(감초)

各2. 이상의 약들을 1 첩으로 하여 물 500cc로 끓여 1~2회 복용한

다. 1 일 1~2 첩을 마신다.

② 甘露消毒丹(감로소독단) 合 生脈散(생맥산)

≒ 滑石(활석), 茵蔯蒿(인진호) 各15, 黃芩(황금), 射干(사간), 連翹(연

교), 薄荷(박하) 各9, 木通(목통), 貝母(패모), 藿香(곽향) 各6, 菖蒲

(창포), 白豆蔲(백두구) 各3, 麥門冬(맥문동)8, 人參(인삼), 五味子(오

미자)4. 이상을 1 첩으로 하여 물 500cc로 끓여 1~2회 복용한다. 1

일 1~2 첩을 마신다.

⑵ 氣滯血瘀型(기체혈어형)

肝鬱氣滯(간울기체)하면 氣滯(기체)로 인하여 血滯(혈체)까지 야기되어 氣滯血瘀

(기체혈어)의 慢性肝炎(만성간염)을 일으킨다. 간상내피세포나 간섬유조직의 증식

또는 지방침윤 따위로 肝臟(간장) 혹은 脾臟腫大(비장종대)가 생기고, 血液凝固(혈

액응고) 기전의 이상으로 잇몸 등에서 출혈증상이 보이며, 지주상혈관종, 수장홍반

등이 나타나고 입술이나 혀도 자홍색을 띄며 瘀点(어점)이 보인다. 舌苔(설태)는 더

럽게 끼어서 번들거린다. 脇部(협부)에 단단한 積塊(적괴)가 고정되어 있으며 疼痛

(동통) 혹은 刺痛(자통)이 있다. 손톱(爪甲)에는 핏기가 없이 창백하고 피부가 건조

해지며 살이 빠져 야윈다. 얼굴이 검어지고 가슴이 답답해지며 호흡이 짧고 빠르

다. 배가 더부룩해지며 때로 북처럼 부풀어 오르고 脇腹部(협복부)에 脹痛(창통)이

있다. 食欲(식욕)이 減退(감퇴)하며 헛구역질이 난다. 大便排泄(대변배설)이 시원

치않다.

① 精神(정신), 情志變化(정지변화)에 의한 肝臟(간장), 脾臟腫大(비장종대)

大七氣湯(대칠기탕)

≒ 三稜(삼릉), 莪朮(아출, 봉출), 靑皮(청피), 陳皮(진피), 桔梗(길경), 藿香

(곽향), 益智仁(익지인), 香附子(향부자), 官桂(관계), 甘草(감초) 各4,

生姜(생강)3片, 大棗(대조)2枚.

이상의 약들을 1 첩으로 하여 물 500cc로 달여 1~2회 복용한다. 1일

1~2 첩을 마신다.

② 桃紅四物湯(도홍사물탕)

≒ 當歸(당귀), 川芎(천궁), 白芍(백작), 熟地黃(숙지황), 制香附(제향부),

牡丹皮(모단피) 各5, 桃仁(도인), 紅花(홍화), 甘草(감초) 各2.

이상의 약들을 1 첩으로 하여 물 500cc로 달여 1~2회 복용한다.

1일 1~2 첩을 마신다.

③ 七制香附丸(칠제향부환) 合 四君子湯(사군자탕)

≒ 七制香附(칠제향부)10, 人參(인삼), 白朮(백출), 茯苓(복령), 甘草(감

초) 各5.

칠제향부환 : 香附子 560g을 7 등분하여, 1 등분 80g은 當歸 80g과

함께 술에 담그고, 1 등분 80g은 莪朮(봉출)과 함께 童

尿(동뇨)에 담그며, 1 등분은 牡丹皮(모단피), 艾葉(애엽) 各40g과

함께 쌀뜨물에 담그고 1등분은 烏葯(오약) 80g과 함께 쌀뜨물에 담

그며, 1 등분은 玄胡索(현호색), 川芎(천궁) 各40g과 함께 물에 담그

고, 1 등분은 三稜(삼릉), 柴胡(시호) 各40g과 함께 식초에 담그며, 1

등분은 紅花(홍화), 烏梅(오매) 各40g과 함께 소금물에 담그기를 봄

이면 3일, 여름이면 2일, 가을이면 7일, 겨울이면 10일 동안 한다.

이후 건져서 햇볕에 말린 다음 香附子(향부자) 만을 골라내어서 가

루 내어 약을 담갔던 물로 밀가루 풀을 쑤어서 반죽하여 0.3g 크기

의 알약을 만들어 매회 80알씩 취침 전에 술로 복용하는 처방이다.

그런데 이 처방에서는 말린 香附子(향부자)만은 골라내어 使君子

(사군자)와 함께 약첩에 넣고 끓여 먹도록 한다. 이상의 약들을 1첩

으로 하여 물 500cc로 달여 1~2회 복용한다. 1일 1~2 첩을 마신

다.

⑶ 肝脾兩虛型(간비양허형)

肝鬱(간울)이 持續(지속)되면 脾虛(비허)해져서 精血(정혈)마저 부족해지므로 肝脾

兩虛(간비양허)의 慢性肝炎(만성간염)을 일으킨다. 肝(간)이 비교적 단단히 腫大(종

대)되며 兩脇部(양협부)가 부풀어 오르면서 아프고, 疲勞(피로), 倦怠(권태), 无力

(무력)하여 자꾸 누우려하나 잠을 잘 이루지 못한다. 또한 精神(정신)이 鈍化(둔화)

하며, 안색이 어둡고 누렇게 들뜨면서 붓고, 皮膚(피부)에는 희미한 血点(혈점)이

보인다. 飽滿感(포만감, 腹脹), 食欲不振(식욕부진), 메스꺼움(惡心) 등의 증상이 나

타난다. 혹은 맑은 액체를 조금씩 뱉고 溏便(당변), 소변 량이 줄면서 下肢浮腫(하

지부종)이 오고 視力低下(시력저하) 등이 나타나며 혀에 齒痕(치흔)이 생기고 윤기

없는 黯赤色(암적색)을 띄고 白苔(백태)가 낀다.

① 逍遙散(소요산)

≒ 白朮(백출), 白芍(백작), 白茯苓(백복령), 柴胡(시호), 當歸(당귀), 麥冬(맥

동) 各4, 甘草(감초), 薄荷(박하) 各2, 生姜(생강) 3片,

加味 乾姜(건강), 麥芽(맥아), 半夏(반하), 人參(인삼), 厚朴(후박), 枳實(지

실), 黃連(황련).

이상의 약들을 1 첩으로 하여 물 500cc로 달여 1~2회 복용한다.

1일 1~2 첩을 마신다.

② 귀작육군자탕 ≒ 制半夏(제반하), 白朮(백출) 各6, 陳皮(진피), 白茯苓(백복령),

人參(인삼), 蒼朮(창출), 南星(남성) 各4, 炙甘草(자감초)2, 生姜

(생강)3片, 大棗(대조)2枚. 加 茵陳(인진), 車前子(차전자).

이상의 약들을 1 첩으로 하여 물 500cc로 달여 1~2회 복용한

다. 1 일 1~2 첩을 마신다.

⑷ 肝腎陰虛型(간신음허형)

肝脾兩虛(간비양허)와 같은 損傷(손상)이 繼續(계속)되면 肝腎陰虛(간신음허) 또는

腎脾陽虛(신비양허)의 慢性肝炎(만성간염)을 일으킨다. 이중 肝腎陰虂(간신음허)

의 경우는 肝腫大(간종대)보다 脾臟腫大(비장종대)가 심하며, 배가 북처럼 커져 있

지만 手足(수족)은 야위어있다. 脇部(협부)에 은은한 隱痛(은통)이 있으며, 飽滿感

(포만감), 食欲不振(식욕부진) 등이 있다. 면색이 검고 어두우며 열이 오르거나 口

脣(구순) 및 咽喉(인후)가 乾燥(건조)해지고, 手足(수족)이 붉어지면서 煩熱(번열)하

며, 全身微熱(전신미열) 혹은 午后潮熱(오후조열) 등 陰虛(음허)에 따른 虛火(허화)

의 증상이 나타난다. 머리가 어지럽고(頭暈), 눈이 껄끄러우며(目澁), 귀가 울리고

(耳鳴), 코피(衄血) 혹은 잇몸 출혈 등이 있고 尿黃(뇨황), 便結(변결)이 생긴다. 男性

(남성)의 유방이 부풀어 오르며 허리나 다리가 시리고 힘이 없으며 혀에 진액이나

설태도 별로 없고, 진한 붉은 빛을 띤다.

① 自律神經(자율신경)의 過多亢進(과다항진)을 조절하며 간장의 보호 작용이 뚜

렷하다. 肝陰虛(간음허), 腎陰虛(신음허), 氣滯(기체)를 겸한 증후를 목표로 한

처방 一貫煎(일관전)

≒ 沙參(사삼), 麥冬(맥동), 當歸(당귀) 各9, 生地黃(생지황)30, 枸杞子

(구기자)18, 川楝子(천련자)6.

加味 : ㉠ 白芍(백작), 川芎(천궁), 梔子(치자), 丹皮(단피), 柴胡(시호).

㉡ 兩地湯(양지탕)

≒ 生地(생지,酒炒), 玄參(현삼) 各40, 白芍(백작,酒炒), 麥冬(맥동)

各20, 地骨皮(지골피), 阿膠珠(아교주) 各12) 加 靑蒿(청호) 銀

柴胡(은시호).

이상의 약들을 1 첩으로 하여 물 700cc로 닳여 1일 분복한다.

⑸ 脾腎陽虛型(비신양허형)

肝脾兩虛(간비양허)와 같은 損傷(손상)이 계속되면 肝腎陰虛(간신음허) 또는 脾腎

陽虛(비신양허)의 慢性肝炎(만성간염)을 일으킨다고 했는데 이중 脾腎陽虛(비신양

허)의 경우는 肝(간) 및 脾臟腫大(비장종대)가 있되는데 그중 비장종대가 더 뚜렷하

며 脇部脹滿(협부창만), 飽滿感(포만감), 顔面(안면)과 精神暗鬱(정신암울), 疲勞倦

怠(피로권태), 手足寒冷(수족한냉), 便溏(변당), 勃起不全(발기부전), 下肢浮腫(하지

부종)이 있다. 또한 자꾸 누우려하고, 허리와 다리가 시큰하고 힘이 없으며, 두툼하

고 말랑한 혀에 白苔(백태)가 낀다. 血漿蛋白(혈장단백)의 缺乏(결핍) 혹은 副腎皮

質(부신피질)이나 性腺機能(성선기능) 低下(저하) 등에 의한 것이다.

① 眞武湯(진무탕)

≒ 白茯苓(백복령), 白芍(백작), 炮附子(포부자) 各12, 白朮(백출)8, 生姜(생

강)3片.

加味 : 當歸(당귀), 川芎(천궁), 肉桂(육계), 莪朮(아출), 丹皮(단피), 人參(인삼), 牛

膝(우슬), 甘草(감초).

이상을 1 첩으로 하여 물 500cc로 끓여 하룻 동안 소량씩 나누어 식혀서

冷服(냉복)한다.


5. 민방 (民方)

1) 肝炎(간염)

① 補中益氣湯(보중익기탕)

≒ 人參(인삼), 白朮(백출), 當歸(당귀), 黃芪(황기), 陳皮(진피), 甘草(감초),

乾姜(건강), 大棗(대조), 柴胡(시호), 升麻(승마).

② 小柴胡湯(소시호탕)

≒ 柴胡(시호), 半夏(반하), 黃芩(황금), 甘草(감초), 人參(인삼), 生姜(생강),

大棗(대조).

③ 柴胡桂枝湯(시호계지탕)

≒ 柴胡(시호), 桂枝(계지), 半夏(반하), 黃芩(황금), 甘草(감초), 人參(인삼),

芍葯(작약), 生姜(생강), 大棗(대조).

④ 茵陳蒿湯(인진호탕) ≒ 茵陳(인진), 梔子(치자), 大黃(대황).

2) 慢性肝炎(만성간염)

⑴ 車前子(차전자, 질경이씨) 한 숟가락에 물 200ml를 넣고 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

지 달여서 1일 3회 分服(분복)한다. 뉴스메이커 363호 2000.3.9. 최진규

22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Israel

臨床 363 /♧ 痔(치) - 痔疾(치질)

1 槪念(개념) 882 人体直腸末端粘膜下和(인체직장말단점막하화) 肛管皮膚下(항관피부하) 靜脈叢發生擴張和 (정맥총발생확장화) 屈曲所

臨床 362 / 耳部 3. 耳眩暈(이현운) ♧

耳眩暈(이현운) 1 槪念(개념) 1251 眩暈是目眩頭暈(현운시목현두운), 卽眼花潦亂(즉안화요란), 頭部旋轉不定的病證(두부선전 부정적병증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