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임상 46 / 內科 - 氣血 1. 각혈 (咯血)


각혈 (咯血)

기침 없이 목안으로부터 핏방울 혹은 핏덩어리를 뱉거나 혹은 가래에 피가 섞인 것을

뱉는 것을 말한다. 뱉으면 속히 나오기 때문에 각혈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갑자기 각혈

하거나 약간 기침을 하면서 각혈하는 것은 폐에 조열(燥熱)이 있는 것이다. 만일 각혈이

빈번하고 얼굴색이 붉으며 마음이 초조하고, 목안이 마르고, 설질이 붉고, 맥(脈)이 세삭

(細數)한 것은 음허화왕(陰虛火旺)으로서 대부분 폐신음휴(肺腎陰虧), 심간화왕(心肝火

旺)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각혈은 흔히 폐결핵(肺結核), 기관지확장(氣管支擴張), 기

관지암(氣管支癌) 등 병에서 나타난다. 타혈(唾血) : 침을 뱉을 때 나오는 피를 타혈이라

고 한다.

1. 참조문 (參照文)

1) 해혈(咳血) 참조

2. 常用葯

1) 淸肺(청폐), 利咽(이인), 解毒(해독), 止血(지혈) : ☆ 馬勃(마발).

2) 治肺結核(치폐결핵) 咯血(각혈), 宜首選葯(의수선약) : ☆ 白及(백급).

3. 配伍葯(배오약)

1) 天冬(천동)15 + 麥冬(맥동)15. 治 熱傷肺絡(열상폐락) 血不循經(혈불순경) 而致咳血諸

症(이치 해혈제증)

2) 馬勃(마발)6 + 黛蛤散(대합산)10. 治 咯血(각혈) 痰中帶血(담중대혈), 熱傷肺絡(열상

폐락), 肝火犯肺(간화범폐).

3) 阿膠(아교)10 + 紫菀(자원)10. 治 支氣管支擴張(지기관지확장) 引起 咯血諸症(인기각

혈제증)

4) 花蕊石(화예석)10 + 鐘乳石(종유석)15. 治 氣管支擴張(기관지확장), 肺結核(폐결핵),

肺膿瘍(폐농양) 등 引起的咯血(인기적각혈).

5) 三七(삼칠)10 + 白及(백급)10. 治 肺組織損傷(폐조직손상, 氣管支擴張 肺結核), 引起

的咯血(인기적각혈)

6) 女貞子(여정자)10 + 旱蓮草(한련초)10. 治 陰虛火旺(음허화왕), 迫血妄行而致(박혈망

행 이치).

7) 龍骨(용골)30 + 牡蠣(모려)30 (打先煎(타선전)) = 治 咯血(각혈) 久不愈(구불유) - 陰虛

陽亢(음허양항)

8) 白茅根(백모근)30 + 白茅花(백모화)10 = 治 咯血(각혈) - 血熱妄行(혈열망행).

4. 임상 (臨床)

1) 肺虛咯血(폐허각혈)

紫菀湯(자원탕) ≒ 紫菀(자원), 阿膠(아교), 知母(지모), 貝母(패모).

2) 각혈(咯血).- 陰虛潮熱(음허조열), 口乾咽燥(구건인조), 咳嗽咯血(해수각혈) 舌紅少

苔(설홍소태), 脈細數(맥세삭).

방 : 백급비파환(白芨枇杷丸)《證治要訣》리혈제(理血劑)

3) 각혈(咯血).- 폐로해혈(肺勞咳血) 각혈(咯血).- 해혈(咳血) 각혈(咯血) 일구불유(日久

不愈) 혈색선홍(血色鮮紅) 조열도한(潮熱盜汗) 맥세삭(脈細數)

방 : 보락보관탕(補絡補管湯)《醫學衷中參西彔》리혈제(理血劑)

4) 비음허증(脾陰虛證)

臨床 : 혈증(血證)으로 비음허자(脾陰虛者)의 타혈(唾血) 혹은 각혈(咯血)의 경우

변증할 때 비음허(脾陰虛)를 위주로 표현 하는가, 혹은 음허화왕(陰虛火旺)

을 위주로 하는가를 분별하여 시치(施治)해야 한다. 《血證論 ․ 唾血》說 “비

(脾)는 능히 혈(血)을 통솔한다, 때문에 혈은 경맥을 순행하며 망동(妄動)하

지 않는 것이다. 그런 혈이 위(胃) 안에서 출혈하게 되어 침(唾)과 함께 나오

는 것은 비(脾)의 음분(陰分)이 병이 들어서 통혈(統血)을 상실하게 된 것이

다”. 라 하였다. 또 말하기를

㉠ 비경이 음허하고(脾經陰虛), 맥이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며 한번 호흡 하

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며(脈細數), 진액이 마르는(津液枯), 혈병이 있는

환자(血不寧者)는

맥동양영탕(麥冬養榮湯)《혈증론(血證論)》

加 포황(蒲黃), 아교(阿膠)

≒ 인삼(人蔘), 맥동(麥冬), 오미자(五味子), 당귀(當歸), 백작(白

芍), 생지황(生地黃), 지모(知母), 진피(陣皮), 황기(黃芪), 감

초(甘草).

㉡ 비경이 화가 중하고(脾經火重), 입과 입술이 건조하며(脣口乾燥), 대변이

뭉쳐 잘 나오지 않고(大便秘結), 맥이 순조롭고 원활하며 촌, 관, 척 3부

맥이 모두 유력하다(脈滑實).

사심탕(瀉心湯)《금궤요략(金匱要略)》청열제(淸熱劑).

加 당귀(當歸), 생지(生地), 백작(白芍), 화분(花粉), 촌동(寸冬), 지

각(枳殼), 포황(蒲黃), 감초(甘草).

≒ 대황(大黃), 황련(黃連), 황금(黃芩).

㉢ 비음(脾陰)이 허(虛)해서 섭혈(攝血)하지 못하는 것은 언재나 과도한 사

려(思慮)로 인하여 비음을 상한 때문이다. 누워서 잠을 자는 것이 불편하

고(睡臥不寧), 일하지 않고 앉아서 편하게 지내며(勞倦), 심장이 몹시 뛰

어 두려워 근심하며(怔忡勞倦), 음식이 건전하지 못하다(飮食不健).

귀비탕(歸脾湯)《제생방(濟生方)》보익제(補益劑)

≒ 인삼(人蔘), 백출(白朮), 황기(黃芪), 복령(茯苓), 용안육(龍眼肉),

산조인(酸棗仁), 목향(木香), 당귀(當歸), 원지(遠志),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5) 조사범폐증(燥邪犯肺證)

臨床 : 각혈병(咯血病) 중에 조사범폐증(燥邪犯肺證)의 임상특징은 기침을 해서 목

구멍이 헐고(咳嗽咽痒), 가래에 혈사(血絲)가 묻어나오며(痰中帶血), 입과

코가 건조하고(口鼻乾燥), 혹은 몸에 열이 있으며(或有身熱), 혀는 붉고 태는

누렇고 얇으며(舌紅苔薄黃), 맥은 약간 눌러도 짚이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

에 5번 이상 뛰며 빠르다(脈浮數). 이는 조열이 폐의 락맥을 소상한(燥熱損

傷肺絡) 때문이다.

治宜 : 청폐윤조(淸肺潤燥), 생진지혈(生津止血).

方用 : 사백산(瀉白散)《소아약증직결(小兒葯證直訣)》청열제(淸熱劑) 加味

≒ 상백피(桑白皮), 지골피(地骨皮), 갱미(粳米), 감초(甘草).

6) 간화범폐증(肝火犯肺證)

臨床 : 간화범폐증(肝火犯肺證) 중에 각혈(咯血)의 표현은 기침을 하며 가래에 피

가 실같이 섞여 나오는(咳嗽痰中帶血) 것을 위주로 하거나 혹은 기침과 함

께 맑은 피를 토하며(咳吐鮮血), 가슴과 옆구리가 잡아당기듯이 아프고(胸

脇牽痛), 괴롭고 조급해하며 화를 잘 내고(煩躁易怒), 대변이 건조하여 뭉치

며(大便干結), 소변이 황적색이고(小便黃赤), 설질이 붉으며(舌質紅), 설태

는 누렇고 얇다(苔薄黃)., 맥은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한 것이 한번 호

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弦數). 이는 간화가 편파적으로

항진하므로(乃肝火偏亢), 화사가 폐를 핍박(火邪迫肺)하여 폐가 숙청기능을

상실하고(肺失淸肅), 양락이 손상을 받아(陽絡受損), 혈액이 경맥을 이탈하

기(血液離經) 때문이다.

治宜 : 청열숙폐(淸熱肅肺), 평간영락(平肝寧絡), 양혈지혈(凉血止血).

方用 : 사백산(瀉白散)《소아약증직결(小兒葯證直訣)》

≒ 상백피(桑白皮), 지골피(地骨皮), 갱미(粳米), 감초(甘草).

대합산(黛蛤散)《험방(驗方)》

≒ 청대(靑黛), 해합각(海蛤殼).

合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의종금감(醫宗金鑑)》가감(加减)

≒ 용담초(龍膽草), 택사(澤瀉), 목통(木通), 차전자(車前子), 당

귀(當歸), 생지(生地), 시호(柴胡), 황금(黃芩), 치자(梔子), 감

초(甘草).

5. 民方

1) 喀血(객혈) ① 梔子豉湯(치자시탕)

≒ 香豉(향시), 梔子(치자).

10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Israel

臨床 363 /♧ 痔(치) - 痔疾(치질)

1 槪念(개념) 882 人体直腸末端粘膜下和(인체직장말단점막하화) 肛管皮膚下(항관피부하) 靜脈叢發生擴張和 (정맥총발생확장화) 屈曲所

臨床 362 / 耳部 3. 耳眩暈(이현운) ♧

耳眩暈(이현운) 1 槪念(개념) 1251 眩暈是目眩頭暈(현운시목현두운), 卽眼花潦亂(즉안화요란), 頭部旋轉不定的病證(두부선전 부정적병증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