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임상 33 / 外科 0. 癭病(영병)

Aktualisiert: 21. Juni 2021



영병(癭病)

中醫外科(중의외과) 癭病을 일반적으로 氣癭(기영), 肉癭(육영), 石癭(석영), 癭癰(영옹)

등 四種(사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임상에선 血癭(혈영)과 筋癭(근영)을 함께 考察(고찰)

하고 있다.

參照文(참조문) 1) 中醫內科(중의내과) - 癭病(영병)

1. 槪述(개술)

中醫對癭的命名有廣義(중의대영적명명유광의), 狹義及現代涵義之分(협의급현대함의

지분). 廣義者(광의자), 泛指頸前部的腫塊(범지경전부적종괴); 狹義者指頸部腫塊(협의자

지경부종괴); 現代涵義則專指甲狀腺腫大(현대함의칙전지갑상선종대) 或腫塊類疾病(혹종

괴류질병), 屬西醫的甲狀腺疾病範疇(속서의적갑상선질병범주).

癭病發病部位(영병발병부위) 在頸前結喉兩側的頸靨部(재경전결후양측적경엽부), 或爲結

塊(혹위결괴), 或爲漫腫(혹위만종), 多數皮色不變(다수피색불변), 能隨呑咽動作而上下移

動(능수탄인동작이상하이동). 亦可出現煩熱(역가출현번열), 心悸(심계), 震顫等症(진전등

증); 女性可有月經量少(여성가유월경량소),甚至閉經等症狀(심지폐경등증상). 癭病一般可

分(영병일반가분) 氣癭(기영), 肉癭(육영), 石癭(석영),癭癰四種(영옹사종). 歷代文獻中的筋

癭(역대문헌중적근영), 血癭多屬頸部血管瘤(혈영다속경부혈관류) 以及氣癭與石癭的合幷

症(이급기영여석영적합병증). 至于甲狀腺炎(지우갑상선염), 文獻无確切病名(문헌무확절

병명), 依據其局部腫脹木硬(의거기국부종창목경), 潮紅灼熱(조홍작열), 疼痛的特点(동통

적특점), 定名爲癭癰(정명위영옹).

2. 癭的病位(영적병위)

癭的病位(영적병위), 在頸前結喉兩側(재경전결후양측). 頸前屬任脈所主(경전속임맥소

주), 任脈起于小腹中極穴之下(임맥기우소복중극혈지하), 沿腹和胸部正中線直下(연복화

흉부정중선직하), 抵達咽喉(저달인후), 再上至頰部(재상지협부), 經過面部進入兩目(경과

면부진입양목); 頸部也屬督脈(경부야속독맥), 盖督脈其循少腹直上者(개독맥기순소복직

상자), 貫臍中央(관제중앙), 上貫心(상관심), 入喉(입후); 任督兩脈皆系于肝腎(임독양맥개

계우간신), 且肝腎之經脈(차간신지경맥), 皆循喉嚨(개순후롱). 所以頸前部位(소이경전부

위), 與任,督,肝,腎經絡(여임,독,간,신,경락) 有一定的聯系(유일정적연계). 癭的治療(영적치

료), 結合病位的經絡所屬(결합병위적경락소속) 辨證施治(변증시치), 對臨床有指導意義

(대임상유지도의의).

3. 癭病檢査(영병검사)

癭病檢査時(영병검사시), 應囑患者端坐(응촉환자단좌), 雙手放于兩膝(쌍수방우양슬), 顯

露頸部幷使患者(현로경부병사환자) 頭部略爲俯下(두부양위부하), 使頸部肌肉和筋膜松弛

(사경부기육화근막송이). 檢査者坐在患者對面(검사자좌재환자대면), 觀察頸部(관찰경

부), 如兩側是否對称(여양측시부대칭), 有无腫塊隆起(유무종괴융기), 有无血管怒脹(유무

혈관노창), 幷注意腫塊的位置(병주의종괴적위치), 數目(수목), 硬度(경도)(柔軟如棉饅(유

연여면만), 或堅硬如石等(혹견경여석등)), 光滑度(광활도, 光滑或高低不平), 活動度(활동

도,活動或固定), 有无觸痛(유무촉통), 邊界是否淸楚(변계시부청초), 頸塊有无震顫(경괴유

무진전), 呑咽動作而上下移動(탄인동작이상하이동), 氣管位置是否受壓移位(기관위치시

부수압이위), 頸部淋巴結有否腫大等(경부임파결유부종대등). 頸部非甲狀腺的腫塊(경부

비갑상선적종괴)

位置不在結喉兩側(위치불재결후양측), 如呑咽動作關系不明顯(여탄인동작괸계불명현).

常見的非甲狀腺頸部腫塊(상견적비갑상선경부종괴),有炎症性的淋巴結腫大(유염증성적

임파결종대), 先天性的(선천성적) 頸部囊狀淋巴管瘤(경부낭상임파류), 腮腺混合瘤(시선

혼합류), 惡性腫瘤的頸淋巴轉移等(악성종류적경임파전이등). 炎症性淋巴結腫大(염증성

임파결종대), 多發生在下頦部(다발생재하해부), 局部觸壓痛(촉압통). 先天性頸部囊腫(선

천성경부낭종) 多位于胸鎖乳突肌的外緣(다위우흉쇄유돌기적외연), 鎖骨上窩處(쇄골상와

처), 柔軟如一水囊(유연여일수낭), 有彈性(유탄성), 无壓痛(무압통), 透光試驗陽性(투광시

험양성), 囊腫穿刺(낭종천자), 可抽出草黃色有膽固醇結晶的液体(가추출초황색유담고순

경정적액체), 透明(투명), 易凝固(이응고), 性狀與淋巴液完全相同(성상여임파액완전상동).

腮腺混合瘤(시선혼합류) 以耳垂與頜角之間的无痛(이이수여합각지간적무통), 生長緩慢的

腫物爲特点(생장완만적종물위특점), 腫物質堅硬(종물질견경), 表面光滑(표면광활), 界限

淸晰(계한청석), 沒有壓痛(몰유압통), 與皮膚无粘連(여피부무점연). 腫物位于腮腺淺葉者

(종물위우시선천엽자), 活動度較大(활동도교대); 腫物位于腮腺深葉者(종물위우시선심엽

자), 則活動度較小(칙활동도교소). 對癌腫頸淋巴轉移(대암종경임파전이) 所出現的頸部腫

塊(소출현적경부종괴), 要十分重視(요십분중시), 頸部轉移癌的來源(경부전이암적래원)

與身体其他部位的轉移癌一樣(여신체기타부위적전이암일양), 與原發病灶和淋巴引流有

關(여원발병조화임파인류유관). 頭頸部器官的轉移癌(두경부기관적전이암), 多分布在頸

部(다분포재경부). 此外(차외), 胸腔흉강), 腹腔不少器官的腫瘤(복강불소기관적종류), 也

可轉移至頸部(야가전이지경부), 甚至以頸部腫塊爲首發症狀(심지이경부종괴위수발증상).

稍不警惕(초불경척), 易造成誤診(이조성오진).

4. 癭病常見的(영병상견적)

病因病機(병인병기)

1) 肝鬱氣滯(간울기체)

肝主疏泄(간주소설), 肝氣宜暢達升發(간기의창달승발). 肝氣鬱滯(간기울체) 能引起臟

腑氣機的失調(능인기장부기기적실조), 也能與多種外侵或內生的(야능여다종외침혹내

생적) 致病因素合邪爲病(치병인소합사위병). 如氣病及血(여기병급혈), 氣聚血結(기취

혈결), 或氣滯與痰濕相結(혹기체여담습상결), 均可釀成腫塊(균가양성종괴). 而足厥陰

肝經屬肝絡膽(이족궐음간경속간락담), 途經喉嚨(도경후롱), 故可導致頸部結塊而成癭

病(고가도치경부결괴이성영병).

2) 氣虛血瘀(기허혈어)

氣爲陽(기위양), 血爲陰(혈위음). 氣與血有陰陽相隨(기여혈유음양상수), 互爲依存的關

係(호위의존적관계). 氣之于血(기지우혈), 有溫煦(유온후), 化生(화생), 推動(추동), 統攝

的作用(통섭적작용). 氣虛无以生化(기허무이생화), 血必因之而虛少(혈필인지이허소);

氣衰无以推動(기쇠무이추동), 血必因之而瘀阻(혈필인지이어조). 久居水質缺碘地區的

癭病患者(구거수질결전(요드)지구적영병환자), 大多因(대다인) 山瘴邪氣而使氣血虛少

(산장사기이사기혈허소), 導致瘀阻成塊(도치어조성괴).

3) 痰凝(담응)

痰的生成與肺, 脾, 腎, 肝關系密切(담적생성여폐,비,신,간관계밀절). 脾爲生痰之源(비위

생담지원), 肺爲貯痰之器(폐위저담지기), 肝氣鬱滯(간기울체), 氣機不暢(기기불창), 腎

火不足(신화부족), 溫煦失職(온후실직), 氣化无權(기화무권), 則津液積聚爲痰(칙진액적

취위담). 而足太陰脾經(이족태음비경),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 足少陰腎經(족소음신

경), 足厥陰肝經均循行于喉頸部(족궐음간경균순행우경부), 痰循經結于頸部則爲癭(담

순경결우경부칙위영).

4) 冲任失調(충임실조)

冲脈爲總領諸經氣血的要冲(충맥위총령제경기혈적요충), 能調節十二經氣血(능조절십

이경기혈). 任脈主一身之陰經(임맥주일신지음경). 冲任失調(충임실조), 肝木失養(간목

실양), 腎陰不足(신음부족), 可引起甲狀腺的功能紊亂(가인기갑상선적공능문란) 而産

生一系列相應的症狀(이산생일계열상응적증상).

5) 痰火鬱結(담화울결)

多因肝鬱胃熱(다인간울위열), 風濕(풍습), 風火客于肺(풍화객우폐), 痰火相互凝聚(담화

상호응취), 搏結于頸(박결우경), 而成癭病(이성영병).


癭一般以內治爲主(영일반이내치위주). 綜觀歷代醫家治療癭病(종관역대의가치료영병),

較通常應用含豊富碘的植物葯(교통상응용함풍부젖적식물약), 如海藻(여해조), 昆布(곤

포), 海帶(해대), 黃葯子(황약자) 等(등), 以及含豊富甲狀腺素的動物類葯(이급함풍부갑상

선소적동물류약), 如猪靨(여저엽), 羊靨(양엽)等(등) 制劑(제제). 與現代非手術治療甲狀腺

疾病的觀点較接近(여현대비수술치료갑상선질병적관점교접근). 結合癭病的發病因素(결

합영병적발병인소), 現將癭病的辨證治療(要点分述于下(현장영병적변증치료 요점분술우

하)

1) 肝鬱氣滯(간울기체)

症狀 : 頸塊漫腫軟綿或堅硬如石(경괴만종연면혹견경여석), 發病與精神因素有關(발병

여정신인소유관), 苔薄白(태박백), 脈弦滑(맥현활), 如氣癭(여기영)

治宜 : 理氣解鬱(리기해울)

方用 : 逍遙散(소요산)

≒ 柴胡(시호), 川楝子(천련자), 延胡索(연호색), 香附(향부), 靑皮(청피), 陳

皮(진피), 木香(목향), 八月札(팔월찰), 砂仁(사인), 枳殼(지각),鬱金(울금).

2) 氣虛血瘀(기허혈어)

證狀 : 腫塊色紫堅硬(종괴색자견경), 或頸塊表面靑筋盤曲或网布紅絲(혹경괴표면청근

반곡망포홍사), 蟹爪紋絡(해조문락), 痛有定處(통유정처). 口渴欲潄而不欲飮(구

갈욕수이불욕음), 肌膚甲錯(기부갑착), 舌紫黯(설자암), 有瘀点瘀斑(유어점어

반), 脈澁或沉細(맥삽혹침세), 如石癭(여석영).

治宜 : 養血祛瘀(양혈거어).

方用 : 桃紅四物湯(도홍사물탕)

≒ 桃仁(도인), 紅花(홍화), 赤芍(적작), 丹參(단삼), 三棱(삼능), 莪朮(아

출), 澤瀉(택사), 香油(향유), 沒葯(몰약), 土鱉虫(토별충),血竭(혈갈).

3) 化痰軟堅(화담연견)

證狀 : 頸塊按指(경괴안지) 堅實或有囊性感(견실혹유낭성감), 患處不紅不熱(환처불홍

불열), 咽喉如有梅核堵塞(인후여유매핵도색), 胸膈痞悶(흉격비민), 女性患者(여

성환자) 常見月經不調(상견월경불조), 苔薄膩(태박니), 脈滑(맥활), 如氣癭(여기

영), 肉癭(육영) 等(등) 多屬痰氣互結(다속담기호결).

治宜 : 化痰軟堅(화담연견)

方用 : 海藻玉壺湯(해조옥호탕)

≒ 海藻(해조), 昆布(곤포), 夏枯草(하고초), 海蛤殼(해합각), 海浮石(해

부석), 生牡蠣(생모려), 半夏(반하), 貝母(패모), 黃葯子(황약자), 山

慈菇(산자고), 白芥子(백개자).

4) 調和冲任(조화충임)

證狀 : 氣癭漫腫(기영만종), 面色晄白无華(면색황백무화), 肢冷腰痠(지냉요산), 月經稀

少錯后(원경희소착후), 舌淡(설담), 太白(태백), 脈沉細(맥침세), 多屬于(다속우)

冲任不調(충임불조), 腎陽虛(신양허).

治宜 : 調和冲任(조화충임).

方用 : 右歸飮(우귀음)

≒ 熟地(숙지), 仙茅(선모), 淫羊藿(음양곽), 杜仲(두충), 枸杞(구기), 菟絲子

(토사자), 肉桂(육계), 附子(부자).

5) 淸熱化痰(청열화담)

證狀 : 頸部腫脹疼痛(경부종창동통), 伴有發熱(반유발열), 舌紅(설홍), 苔黃(태황), 脈弦

數(맥현삭). 如癭癰多屬痰火鬱結(여영옹다속담화울결).

治宜 : 淸熱化痰(청열화담).

方用 : 柴胡淸肝湯(시호청간탕)

≒ 柴胡(시호), 夏枯草(하고초), 梔子(치자), 象貝母(상패모), 靑皮(청피),

黃芩(황금), 海蛤粉(해합분), 瓜蔞仁(과루인), 天花粉(천화분), 連翹

(연교).


內科(내과)

영병(癭病)

단순성갑상선종대(單純性甲狀腺腫大)

參照(참조)

1) 갑상선병 (甲狀腺病) ⇒ 영병 (癭病)

2) 갑상선기능감퇴 (甲狀腺機能減退) 英 hypothyroidation,

獨 die Schilddruese-unterfunktion

3) 갑상선기능항진 (甲狀腺機能亢進) 獨 die Schilddruese-ueberfunktion.

4) 갑상선암 (甲狀腺癌) : 갑상선류(甲狀腺瘤), 시선암(腮腺癌)

1. 참조문(參照文) 1) 석영 (石癭) 參照 2) 실영 (失榮) 3) 外科 - 육영 (肉癭) 參照

2. 常用葯物 : 山慈菇(산자고), 蚤休(조휴), 丹參(단삼), 炒梔子(초치자), 浙貝母(절패

모), 柴胡(시호), 夏枯草(하고초). ☞ 取得了較好效果(취득료교호효과)

5) 갑상선염 (甲狀腺炎) 英 : strumitis, perithyreoiditis

1. 參照文 1) 영병 (癭病) 참조

2) 外科 영옹 (癭癰) : 急性甲狀腺炎(급성갑상선염).


갑상선종대 (甲狀腺腫大) 英 : goiter, goitrous, struma, 獨 : der Kropf

參照文 1) 영류 (癭瘤) - 內科的 病名

2) 기영 (氣癭) - 外科的 病名

중의내과학(中醫內科學)

영병(癭病)

단순성갑상선종대(單純性甲狀腺腫大)

영병(癭病)은 정지내상(情志內傷), 음식(飮食) 및 거주지역의 수토(水土)로 말미암아 경전(經

前)에 기체(氣滯), 담응(痰凝) 및 혈어옹결(血瘀壅結)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경전후결(頸

前喉結)의 양방결괴(兩旁結塊)가 종대(腫大)를 위주오하는 임상특징을 가진 일종의 질병(疾

病)으로서 癭候(영후), 癭氣(영기), 癭瘤(영류)라고 부르는데 또 癭囊(영낭), 影袋(영대)라고

부르는 자도 있다.

病因(병인)

情志內傷(정지내상), 飮食及水土失宜(음식급수토실의), 体質因素(체질인소)

辨證施治(변증시치)

1) 氣鬱痰阻(기울담조)

證狀 : 목 앞 정가운대가 붓는데(頸前正中腫大), 질은 연하고 아프지 않다(質軟不痛), 목

이 팽창하는 감이 있고(頸部覺脹), 가슴이 답답하며(胸悶), 한숨을 쉬며(喜太息), 혹

은 가슴과 옆구리에 약간 은은한 통증 같은 것을(胸脇竄痛) 겸하는데 病情(병정)의

波動(파동)은 언제나 情志(정지) 변화와 관계된다. 苔薄白(태박백)하고 脈弦(맥현)

하다.

分析 : 기기가 울체(氣機鬱滯)되어, 탁한 담이 경부를 막으므로(痰濁壅阻頸部) 목앞 정중

앙이 붓게 되는 것이며(故致頸前正中腫大) 질은연하고 아프지 않으나(質軟不痛),

목 부위가 팽창하는 감을 느낀다(頸部覺脹). 간기가 울체되고 정서가 불편함으로

(因情志不舒肝氣鬱滯) 가슴이 답답하고(故胸悶), 한숨을 잘 쉬고(太息), 가슴과 옆

구리에 스며든 뜻이 은은하게 아프고(胸脇竄痛), 또 언제나 정지 변화에 따라 심하

고 경한 파동을 일으킨다(且病情常隨情志而波動). 맥이 현함을 위주로 하는 것은

간기울체의 상이다(脈弦爲肝鬱氣滯之象).

治法 : 理氣舒鬱(리기서울), 化痰消癭(화담소영).

方葯 : 四海舒鬱丸(사해서울환) 加减(가감)

≒ 柴胡(시호)12, 香附(향부), 枳殼(지각), 陣皮(진피), 半夏(반하), 茯苓(복

령), 黃葯子(황약자), 浙貝母(절패모) 各10, 海藻(해조), 海蛤殼(해합각)

各15, 生牡蠣(생모려)25.

方解 : ① 靑木香(청목향), 陳皮(진피) : 疏肝理氣(소간리기).

② 昆布(곤포), 海帶(해대), 海藻(해조), 海螵蛸(해표소), 海蛤殼(해합각) : 化痰軟堅

(화담연견) 消癭散結(소영산결)

胸悶(흉민), 脇痛者(협통자) : 加 柴胡(시호), 鬱金(울금), 香附(향부) - 理氣解鬱

(리기해울) 咽頸不適(인경부적) : 加 桔梗(길경), 牛蒡子(우방자), 木蝴蝶(목호

접), 射干(사간) - 利咽消腫(이인소종).

2) 痰結瘀血(담결어혈)

證狀 : 頸前(경전)에 腫塊(종괴)가 나타나는데 비교적 단단하고(按之較硬) 혹은 마디가 져

있고(有結節), 종괴는 오래 경과해도 빠지지 않으며(腫塊經久未消) 가슴이 답답하

고(胸悶), 식욕부진, 오심, 구토 등 위의 수납기능이 감퇴되고(納差), 苔薄白(태박

백), 혹 白膩(백니), 脈弦或澁(맥현혹삽)

分析 : 기기가 울체되고(氣機鬱滯), 진액이 엉겨서 담이 되면(津凝成痰), 기와 담에 막히

고(痰氣交阻), 오래되면 혈액순환이 불창(日久則血循不暢)해지고, 혈맥이 어체(血

脈瘀滯)로 . 氣(기)와 痰瘀(담어)가 목 앞에 옹결(壅結頸前)하므로 영의 종물이 비

교적 단단하고(故癭腫較硬) 혹은 마디가 져 있으며(有結節), 오래되어도 줄지 않는

다(經久不消). 기울 담조(氣鬱痰阻)하고 비장이 운화기능을 상실(脾失健運)함으로

胸悶(흉민), 納差(납차)가 생기고, 苔白膩(태백니) 脈弦(맥현) 或澁(혹삽)을 위주로

하는 것은 안에 습담이 있거나(內有痰濕), 氣滯血瘀(기체혈어)의 象(상)이다.

治法 : 理氣活血(리기활혈), 化痰消癭(화담소영).

方葯 : 海藻玉壺湯(해조옥호탕) 加减(가감)

≒ 해조(海藻), 패모(貝母), 진피(陣皮), 곤포(昆布), 청피(靑皮), 천궁(川

芎), 당귀(當歸), 반하(半夏), 연교(連翹), 감초(甘草), 독활(獨活), 해대

(海帶). - 수전(水煎) 반전후복지(飯前后服之)

方解 : ① 海藻(해조), 昆布(곤포), 海帶(해대) - 化痰軟堅(화담연견), 消癭散結(소영산결)

② 靑皮(청피), 陳皮(진피), 半夏(반하), 貝母(패모), 連翹(연교), 甘草(감초) - 理氣化

痰散結(리기화담산결)

③ 當歸(당귀), 川芎(천궁) : 養血活血(양혈활혈)

- 共同起到(공동기도) 理氣活血(리기활혈), 化痰消癭(화담소영).

加减 -① 結塊較硬(결괴교경), 有結節者(유결절자) :

可酌加 黃葯子(황약자), 三稜(삼릉), 莪朮(아출), 露蜂房(로봉방), 山甲片(산갑편),

丹參(단삼) 等 - 增强活血軟堅(증강활혈연견), 消癭散結(소영산결).

② 胸悶不舒(흉민불서) :

加 鬱金(울금), 香附(향부).- 理氣開鬱(리기개울) 鬱久化火(울구화화),

③ 煩熱(번열), 舌紅苔黃(설홍태황), 脈數(맥삭) :

加 夏枯草(하고초), 丹皮(단피), 玄參(현삼),- 淸熱瀉火(청열사화).

④ 納差(납차), 便溏(변당) :

加 白朮(백출), 茯苓(복령), 淮山葯(회산약) - 健脾益氣(건비익기).

3) 肝火旺盛(간화왕성)

證狀 : 목 앞이(頸前), 輕度(경도) 혹은 中度(중도)로 腫大(종대)되는데 일반적으로 柔軟

(유연)하고, 光滑(광활)하다. 煩熱(번열)이 나고 용이하게 땀을 흘리며(容易汗出)

성정이 조급하고(性情急躁) 잘 노여워하며(易怒), 눈망울이 돌출하고(眼球突出),

손가락을 떨며(手指顫抖) 얼굴이 불을 쬔 것처럼 열이 나고(面部烘熱), 입은 쓰며

(口苦) 설장은 붉고(舌質紅) 태는 얇고 누르며(苔薄黃) 맥은 현삭(脈弦數)하다.

分析 : 담기가 옹결(痰氣壅結)되고 氣鬱化火(기울화화)를 위주로 하는 것이 본증의 主要

病機(주요병기)이다. 痰氣(담기)가 頸前(경전)에 壅結(옹결) 됨으로 癭腫(영종)이

출현하는데 鬱久(울구)하면 화로 변한다(化火). 간화가 왕성(肝火旺盛)하면 번열

(煩熱)하고, 조급해 하며 곧잘 노여워하며(急躁易怒), 얼굴이 불을 쬔 것처럼 열이

나고(面部烘熱), 입이 쓴(口苦) 등 증상을 제일 많이 보인다. 화열(火熱)이 진액(津

液)을 다그쳐서 밖으로 몰아내는(熱迫津液外泄)고로 땀을 잘 흘린다(故易出汗). 간

화상염(肝火上炎) 하면 풍양이 내성(風陽內盛)함으로 눈망울이 돌출(眼球突出)하

게 되고, 손가락을 떤다(手指顫抖). 설홍태황(舌紅苔黃), 맥현(脈弦)을 위주로 하는

것은 간화항왕(肝火亢旺)의 상(象)이다.

治法 : 淸泄肝火(청설간화)

方葯 : 梔子淸肝湯(치자청간탕) 合 藻葯散(조약산) 加減

≒ 치자(梔子), 모단피(牡丹皮), 당귀(當歸), 백작(白芍), 천궁(川芎), 시호

(北柴胡), 복령(茯苓), 감초(甘草), 대력자(大力子, 牛蒡子). ≒ 주세해조

(酒洗海藻), 황약자(黃葯子).

方解 : 梔子豉湯(치자시탕)

① 柴胡(시호), 芍葯(작약) - 疏肝解鬱(소간해울), 淸熱(청열)

② 茯苓(복령), 甘草(감초), 當歸(당귀), 川芎(천궁) : 益脾養血活血(익비양혈활혈)

③ 梔子(치자), 丹皮(단피) : 淸泄肝火(청설간화).

藻葯散(조약산)

≒ 海藻(해조), 黃葯子(황약자)는 消癭散結(소영산결)하고 또 黃葯子(황약자)

는 凉血降火(양혈강화)한다.

주의 - 가루를 내어서 수시로 혀로 핥아(舌時時舐) 진액을 목구멍으로 넘긴

다(津咽下). 본방(本方)은 약간 독성이 있어서(有小毒), 오래 복용하

면(久服于) 간장이 불리(肝臟不利)하므로 만약 오래 복용 하려면(若久服

則) 황약자(黃葯子)의 제량(劑量)을 매일(每日) 6g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不得超過二錢, 六克).

配合 - ① 牛蒡子(우방자) : 散熱利咽消腫(산열이인소종)

② 肝火亢旺(간화항왕)하고 煩躁易怒(번조이노)하며 脈弦數(맥현삭)하면

加 夏枯草(하고초), 龍膽草(용담초)하여 - 淸肝瀉火(청간사화)한다.

③ 風陽內盛(풍양내성) 手指顫抖(수지전두) :

加 石決明(석결명), 鉤藤(구등), 白蒺藜(백질려), 牡蠣(모려) - 平肝熄風

(평간식풍)

④ 兼見(겸견) 胃熱內盛(위열내성)하여 多食易飢(다식이기)에는 :

加 生石膏(생석고), 知母(지모) - 淸泄胃熱(청설위열)한다.

4) 心肝陰虛(심간음허)

證狀 : 癭腫(영종)이 혹 크거나 혹 적은 것이 질은 연하고(質軟), 발병이 비교적 완만(病起

較緩)하고 심동계가 빠르고 불안하며(心悸不寧) 마음이 괴로워 잠을 이루지 못하

며(心煩少寐), 땀을 잘 흘리고(易出汗), 손과 손가락을 떨고(手指顫動), 눈망울이 마

르고 눈이 아찔하며 캄캄해지고(眼乾目眩), 권태롭고 힘이 없으며(倦怠乏力) 舌質

紅(설질홍)하고, 혀가 떨리며(舌体顫動) 脈弦細數(맥현세삭)하다.

分析 : 痰氣(담기)가 頸前(경전)에 壅結(옹결)하므로 점차 癭腫(영종)이 일어난다. 화울되

어 상음(火鬱傷陰)하면 심음이 휴허(心陰虧虛)하므로 심이 실양(心失所養)하는 고

로 심계불녕(心悸不寧)하고 심번소매(心煩少寐)한다. 간음이 휴허(肝陰虧虛)하면

허풍이 내동(虛風內動)하므로 수지 및 설체를 떨고(則手指及舌體顫抖), 설질홍(舌

質紅), 맥현세삭(脈弦細數)을 위주로 하는 것은 음허유열(陰虛有熱)의 상(象)이다.

治法 : 滋養陰精(자양음정), 寧心柔肝(녕심유간).

方葯 : 天王補心丹(천왕보심단) 加减(가감)

≒ 당귀(當歸)60, 지황(地黃)120, 천동(天冬)60, 맥동(麥冬)60, 산조인(酸

棗仁)60, 백자인(炒柏子仁)60, 원지(遠志)15, 인삼(人蔘)15, 현삼(玄

參, 元參)15, 단삼(丹參)15, 운령(云苓)15, 길경(桔梗)15, 오미자(五味

子)15, 진사(辰砂).

方解 - ① 生地, 玄參, 麥冬, 天冬 : 養陰淸熱(양음청열)

② 人參, 茯苓, 五味子, 當歸 : 益氣生血(익기생혈)

③ 丹參, 酸棗仁, 柏子仁, 遠志 : 養心安神(양심안신)

加味 - ① 간음이 휴허(肝陰虧虛)하고 간경의 불화(肝經不和)로 은은한 협통(脇痛隱隱)이

있으면 일관전(一貫煎)에 구기자(枸杞子)와 천련자(川楝子)를 가미(加味)하여

양간소간(養肝疏肝)토록 할 수 있다.

② 허풍내동(虛風內動)으로 수지 및 설체가 떨리면(手指及舌体顫抖) :

加 구등(鉤藤), 백질려(白蒺藜), 백작(白芍)하여 - 평간식풍(平肝熄風)한다.

③ 비위가 운화를 실조(脾胃運化失調)하여 대변이 묽고 가볍게 되고(致大便稀薄),

대변차수가 늘어나면(便次增加) :

加 백출(白朮), 이인(苡仁), 회산약(淮山葯), 맥아(麥芽) - 건운비위(健運脾胃)

④ 신음이 휴허(腎陰虧虛)함으로 이명(耳鳴), 요산슬연(腰痠膝軟)하면 :

酌加 구판(龜板), 상기생(桑寄生), 우슬(牛膝), 토사자(菟絲子), - 자보신음(滋補

腎陰)한다.

⑤ 구병(久病)으로 정기를 소모, 손상(正氣傷耗)하고 정혈이 부족(精血不足)하면

몸이 파리하게 여위고 힘이 없게 된다(消瘦乏力).

부녀(婦女)는 월경량소(月經量少) 혹은 경폐(經閉)이 되고,

남자(男子)는 양위(陽萎)가 생기게 되면 :

加 황기(黃芪), 산수유(山茱萸), 숙지(熟地), 구기자(枸杞子), 제수오(制首烏) - 보

익정기(補益精氣), 자양정혈(滋養精血)할 수 있다.

영병(癭病)의 각종 증후 간에는(證候之間) 일정한 관계가 있다. 담결혈어(痰結血瘀)는 언제나

기울담조(氣鬱痰阻)를 위주로 하여 한층 발전(發展)해서,간화왕성(肝火旺盛) 및 심간음허(心

肝陰虛)로 분별(分別)하는 槪括 영병(癭病) 중에 화왕(火旺)과 음허(陰虛)의 두 가지 증후(兩種

證候)를 개괄(槪括)한다. 다만 화왕과 음허(火旺及陰虛) 양자의 병리상(病理上) 상호영향(相互

影響)을 주는 것을 위주로 표현하고 있다. 임상(臨床)에서 증상에 따라 항상 서로 나타나는 양

종증후(兩種證候)의 영병(癭病)은 자음강화(滋陰降火)를 중시하고 있다. 이때 소영산결(消癭

散結)의 약물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황약자(黃葯子)를 많이 선택한다. 그러나 황약자(黃

葯子)는 독성(少毒)이 있어서 장기간 복용(久服)하게 되면 간장이 불이(肝臟不利)해 지는데 무

엇보다 본병치료 기간이 비교적 길다는 점이다. 그럼으로 수요(需要)에 따라 비교적 오래 복

용하게 될 때는 황약자(黃葯子)의 제량(劑量)을 12g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간장(肝臟)의 손해

(損害)를 면하기 위해선 꼭 지켜야할 점은 제량(劑量)이다. 영병(癭病)의 예후(預后)가 대체로

많이 호전되고(大多較好). 영종(癭腫)이 작고 질이 연(質軟)하며 병정(病程)이 짧은 사람은 대

부분 치유(治愈)된다. 다만 영종(癭腫)이 비교적 큰 사람은 완전소산(完全消散)이 용이(容易)

하지 못하다. 만약 종괴가 단단하게 굳고(腫塊堅硬) 이동성이 없으며(移動性差) 또 신속(迅速)

하게 자라는(增長) 사람은 예후(預后)가 엄중(嚴重)하다. 간화왕성(肝火旺盛)이 심간음허(心肝

陰虛)에 미치는 영향이 경, 중증(輕, 中症)인 환자(患者)는 치료효과가 비교적 좋다(療效較好) ;

중증환자(重症患者)는 음허화왕(陰虛火旺)의 각종증상(各種證狀)이 항상 병정(病程)에 수반

하여 연장(延長)되고 가중(加重)되며 현재 출현하는 번조불안(煩躁不安), 고열(高熱), 맥질(脈

疾) 등의 증세를 증다(增多)시킨다. 증상(症狀)이 나타날 때는 병정(病情)이 위중(危重)함을 나

타낸다. 유쾌(愉快)한 정신(精神)을 유지함으로써 정지내상(情志內傷)을 방지하고, 침(針)은

수토(水土) 인소(因素)에 침감이 미치게 하며, 음식조섭(飮食調攝)에 주의하는 것이 영병(癭

病)을 예방(預防)하는 중요한 두 가지 방법이고, 영병(癭病)은 어디서나 용이하게 발생하므로

식이료법(食餌療法)으로는 해대(海帶, 미역)를 상식(常食)하도록 하며, 碘化食鹽(食鹽中加入

万分之一的 碘化나트리움(Na) 或碘化칼리움(K)등을 채용하여 예방(預防)하도록 한다.

41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Israel

臨床 363 /♧ 痔(치) - 痔疾(치질)

1 槪念(개념) 882 人体直腸末端粘膜下和(인체직장말단점막하화) 肛管皮膚下(항관피부하) 靜脈叢發生擴張和 (정맥총발생확장화) 屈曲所

臨床 362 / 耳部 3. 耳眩暈(이현운) ♧

耳眩暈(이현운) 1 槪念(개념) 1251 眩暈是目眩頭暈(현운시목현두운), 卽眼花潦亂(즉안화요란), 頭部旋轉不定的病證(두부선전 부정적병증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