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임상 12 / 外感 急病 1. 感冒(감모)

Aktualisiert: 17. Okt. 2019



外感病(외감병)

感冒(감모)

참조문 1) 外感病(외감병) 感氣(감기) - II

1 槪述(개술)

感冒是指感受觸冒風邪(감모시지감수촉모풍사), 出現鼻塞(출현비색), 流涕(류체), 噴嚔(분

체), 咳嗽(해수), 頭痛(두통), 惡寒發熱(오한발열), 全身不適等症狀的一種常見外感病(전신

부적등증상적일종상견외감병). 亦称(역칭) “傷風(상풍)”, 如見廣泛流行(여견광범유행), 症

狀較重(증상교중), 則又称爲(칙우칭위) “時行感冒(시행감모)”. 本病一年四季節均可發生

(본병일년사계절균가발생), 但以冬春兩季(단이동춘양계) 最爲多見(최위다견). 年齡(연령)

性別之間(성별지간) 發病无明顯差異(발병무명현차이), 有時可呈一定范圍的流行(유시가

정일정범위적유행). 感冒的主要病因是感受外邪(감모적주요병인시감수외사), 其中以風

邪爲主(기중이풍사위주), 多發生于氣候寒暖失常之時(다발생우기후한난실상지시), 因季

節不同風邪(인계절부동풍사) 又往往挾時氣之邪入侵(우와왕협시기지사입침), 其中以風

寒(기중이풍한), 風熱爲多見(풍열위다견), 其他如(기타여) 暑,燥,濕邪(서,조,습사) 亦能致

病(역능치병); 此外(차외), 感冒的發生(감모적발생), 還與人体御邪能力的强弱密切相關(환

여인체어사능력적강약밀절상관), 人体正氣不足是感冒發生的內在原因(인체정기부족시

감모발생적내재원인). 感冒的病位在肺衛(감모적병위제폐위), 治療上應因勢利導(치료상

응인이도), 從表而解(종표이해), 故解表是(고해표시) 治療感冒的總原則(치료감모적총원

칙), 但在具体應用時(단재구체응용시), 要正確掌握(요정확장악) 辛溫與辛凉(신온여신량),

祛邪與扶正的關系(거사여부정적관계).

2 辨證要点(변증요점)

1) 辨寒熱(변한열) :

首辨風寒(수변풍한), 風熱對于治療感冒非常重要(풍열대우치료감모비상중요).

風寒感冒以惡寒重(풍한감모이오한중), 頭身疼痛(두신동통), 鼻塞流淸涕(비색류청체),

舌苔薄白而潤(설태박백이윤), 脈浮緩或脈浮緊爲特徵(맥부완혹맥부긴위특징); 風熱感

冒(풍열감모)則(칙)以(이)惡寒輕(오한경), 口渴(구갈), 咽痛(인통), 舌苔薄黃(설태박황),

舌邊尖紅(설변첨홍), 脈浮數爲特徵(맥부삭위특징). 其中(기중), 咽喉疼痛與否(인후동통

여부), 常可作爲風熱(상가작위풍열), 風寒的重要辨別指徵(풍한적중요변별지징).

2) 辨時令(변시령) :

感冒病邪(감모병사), 除風寒(제풍한), 風熱之外(풍열지외), 亦有夏之暑邪(역유하지서

사), 長夏之濕邪(장하지습사), 秋之燥邪染感爲患者(추지조사염감위환자). 因此(인차),

應結合季節和節氣(응결합계절화절기), 詳審其證候表現(상심기증후표현). 暑邪爲患者

(서사위환자), 以身熱有汗(신열유한), 心煩口渴(심번구갈), 小便短赤(소변단적), 舌苔黃

爲表現(설태황위표현); 濕邪爲患者(습사위환자), 以身熱不揚(이신열불양), 頭重如裹(두

중여과), 骨節疼痛重濁(골절동통중탁), 胸悶脘痞(흉민완비), 舌苔白膩(설태백니) 爲特

徵(위특징); 燥邪爲患者(조사위환자), 以身熱頭痛(이신열두통), 鼻干咽燥(비간인조), 咳

嗽无痰或少痰(해수무담혹소담), 舌上少津爲見證(설상소진위견증). 就臨床而言(취임상

이언), 風寒(풍한), 風熱之候有來濕(풍열지후유래습), 來燥者(래조자), 此時舌苔變化常

可提供重要指徵(차시설태변화상가제공중요지징).

3) 辨虛實(변허실) :

感冒有表實(감모유표실), 表虛之分(표허지분). 若發熱(약발열), 无汗(무한), 惡寒(오한),

身痛者(신통자), 證屬表實(증속표실); 若發熱汗出(약발열한출), 惡風者(오풍자), 證屬表

虛(증속표허). 不過表實(불과표실), 表虛只是相對而言(표허지시상대이언), 二者皆屬實

證(이자개속실증). 另外(령외), 有素体虛弱(유소체허약), 感受外邪者(감수외사자), 称爲

体虛感冒(칭위체허감모). 其臨床表現可按(기임상표현가안) 氣虛(기허), 血虛(혈허), 陰

虛(음허), 陽虛的(양허적) 不同兼症來區別(부동겸증래구별), 其中以氣虛感冒和陰虛感

冒爲多見(기중이기허감모화음허감모위다견).

4) 辨時毒(변시독) :

當四季六氣反常之時(당사계육기반상지시), 每有時行感冒(매유시행감모), 其特点是(기

특점시) : 發病急(발병급), 症狀重(증상중), 甚至出現高熱(심지출현고열), 譫妄(섬망), 有

明顯的流行性(유명현적유행성), 可在同一地區(가재동일지구), 多人同時發病(다인동시

발병), 有時可出現傳變(유시가출현전변), 應與一般感冒有所區別(응여일반감모유소구

별).

3 類證鑒別(류증감별)

1) 風溫(풍온) :

風溫初起症狀與感冒頗似(풍온초기증상여감모파사), 但風溫病勢(세)急驟(단풍온병세

급취), 熱勢較重(열세교중), 多伴有咳嗽(다반유해수), 胸痛等肺經見證(흉통등폐경견

증), 多可出現傳變(다가출현전변). 而感冒一般熱象不甚高(이감모일반열상불심고), 以

鼻腔症狀較突出(이비강증상교돌출), 病情較輕(병정교경), 一般不傳變(일반불전변), 病

程短(병정단), 豫后良好(예후양호).

2) 鼻淵(비연) :

感冒與鼻淵均有鼻塞(감모여비연균유비색), 流涕(류체), 頭痛等症狀(두통등증상).

但鼻淵多流濁涕且腥臭(단비연다류탁체차성취), 病程長(병정장), 反復發作(반복발작),

无發熱惡寒等表證(무발열오한등표증); 感冒多流淸涕而无腥臭之味(감모다류청체이무

성취지미), 病程短(병정단), 幷可伴見其他外感表證(병가반견기타외감표증).

3) 乳蛾(유아) :

感冒與乳蛾均有發熱(감모여유아균유발열), 惡寒(오한), 咽痛等症(인통등증). 但乳蛾患

者(단유아환자) 有兩側或一側乳蛾紅腫脹大(유양측혹일측유아홍종창대), 常有黃(상유

황), 白色膿樣分泌物(백색농양분비물). 甚至可見(심지가견) 憎寒壯熱(증한장열), 與一

般感冒有別(여일반감모유별).

4) 痲疹(마진) :

麻疹初起(마진초기), 有發熱惡寒(유발열오한), 鼻塞流涕(비색류체), 咳嗽咯痰等(해수

각담등), 與感冒相似(여감모상사), 但痲疹還有目赤畏光(단마진환유목적외광), 眼胞微

腫(안포미종), 眼泪汪汪(안루왕왕), 口腔粘膜疹等(구강점막진등), 詳細辨析(상세변석),

不難區分(불난구분).

5) 傷寒(상한) :

感冒與傷寒都是(감모여상한도시) 感受外邪而致病(감수외사이치병), 但感冒受外邪(단

감모수외사), 發病輕(발병경), 雖邪犯肺衛(수사범폐위), 但很少有辨證(단흔소유변증);

而傷寒感受外邪發病重(이상한감수외사발병중), 內傳經絡(내전경락), 甚則侵犯臟腑

(심칙침범장부), 變證較多(변증교다). 臨床表現上(임상표현상), 感冒之惡風寒不甚(감

모지오풍한불심), 發熱不高(발열불고); 而傷寒之惡風寒較重(이상한지오풍한교중), 多

見頭痛(다견두통), 腰痛(요통), 骨節疼痛等(골절동통등), 且發熱較甚(차발열교심).

6) 熱痹(열비) :

熱痹初起有與感冒相似之處(열비초기유여감모상사지처), 如發熱(여발열), 肢體關節疼

痛等(지체관절동통등), 但熱痹有局部關節紅腫疼痛(단열비유국부관절홍종동통), 病程

較長(병정교장), 病勢較重(병세교중); 而感冒則多无關節紅腫(이감모칙다무관절홍종),

以此爲辨(이차위변).

4 辨證施治(변증시치)

治法(치법)

辛溫解表法(신온해표법)은 外感風寒(외감풍한)의 表證(표증) 治法(치법)이고

辛凉解表法(신량해표법)은 外感風熱(외감풍열)의 表證(표증) 治法(치법)이며

扶正解表法(부정해표법)은 体質虛弱(체질허약)의 表證(표증) 治法(치법)이다.

1) 外感風寒(외감풍한)

症狀 : 鼻塞聲重(비색성중), 鼻痒噴嚔(비양분체), 流涕淸稀(류체청희), 咳嗽痰多淸稀

(해수담다청희), 甚則發熱惡寒(심칙발열오한), 无汗頭痛(무한두통), 肢体酸痛

(지체산통), 舌苔薄白(설태박백), 脈浮緊(맥부긴).

治法 : 辛溫解表(신온해표), 宣肺散寒(선폐산한).

方葯 : 荊防敗毒散(형방패독산)

≒ 荊芥(형개), 防風(방풍), 柴胡(시호), 川芎(천궁), 枳殼(지각), 羌活(강

활), 獨活(독활), 茯苓(복령), 桔梗(길경), 前胡(전호), 甘草(감초).

加减 : ① 若風寒鬱閉較甚者(약풍한울폐교심자)

可加 麻黃(마황), 桂枝(계지).- 增强散寒解表之力(증강산한해표지력).

② 咳嗽較甚者(해수교심자)

加 杏仁(행인), 浙貝(절패).- 化痰止咳(화담지해).

2) 風寒夾濕(풍한협습)

症狀 : 惡寒少汗(오한소한), 頭重如裹(두중여과), 肢体關節酸楚疼痛(지체관절산초동

통), 咳嗽聲重(해수성중), 鼻塞流涕(비색류체), 舌苔白膩(설태백니), 脈濡(맥유).

治法 : 疏風祛濕(소풍거습), 散寒解表(산한해표).

方葯 : 羌活勝濕湯(강활승습탕)

≒ 羌活(강활), 獨活(독활), 藁本(고본), 防風(방풍), 甘草(감초), 川芎(천

궁), 蔓荊子(만형자).

加减 : ① 若无汗(약무한) 可加 豆卷(두권), 蒼朮(창출).- 解表祛濕(해표거습).

② 痰多(담다) 可加 半夏(반하), 陳皮(진피).- 宣肺化痰(선폐화담).

3) 外感風熱(외감풍열)

症狀 : 發熱惡風(발열오풍), 或微惡寒(혹미오한), 頭痛(두통), 鼻塞流濁涕(비색류탁체),

咳嗽痰黃(해수담황), 口干渴(구간갈), 咽喉紅腫疼痛(인후홍종동통), 舌邊尖紅

(설변첨홍), 苔薄黃(태박황), 脈浮數(맥부삭).

治法 : 辛凉解表(신량해표), 宣肺淸熱(선폐청열).

方葯 : 銀翹散(은교산)

≒ 銀花(은화), 連翹(연교), 苦桔梗(고길경), 薄荷(박하), 竹葉(죽엽), 生甘草

(생감초), 芥穗(개수), 淡豆豉(담두시), 牛蒡子(우방자), 鮮蘆根(선로근).

加减 : ① 若鼻塞頭痛較著者(약비색두통교저자)

加 蒼耳子(창이자), 辛夷(신이), 白芷(백지).- 辛溫散寒通竅(신온산한통규)

② 咽痛甚者(인통심자)

酌選 元參(원삼), 馬勃(마발), 板藍根(판람근).- 淸熱利咽(청열이인).

③ 口渴甚者(구갈심자) 加 花粉(화분).- 生津止渴(생진지갈).

④ 熱甚者(열심자) 加 黃芩(황금).- 淸宣肺熱(청선폐열).

4) 風熱夾濕(풍열협습)

症狀 : 發熱微惡風寒(발열미오풍한), 鼻咽干燥(비인간조), 咳嗽无痰或少痰(해수무담

혹소담), 頭身疼痛(두신동통), 口干而渴(구간이갈), 舌紅少津(설홍소진), 脈浮數

(맥부삭).

治法 : 疏風淸熱(소풍청열), 潤燥止咳(윤조지해).

方葯 : 銀翹散(은교산) 合 桑杏湯(상행탕)

≒ 銀花(은화), 連翹(연교), 竹葉(죽엽), 荊芥穗(형개수), 牛蒡子(우방자), 薄

荷(박하), 豆豉(두시), 甘草(감초), 桔梗(길경), 蘆根(로근), 桑葉(상엽), 杏

仁(행인), 沙參(사삼), 象貝(상패), 梔子皮(치자피), 梨皮(이피).

5) 外寒內熱(외한내열)

症狀 : 惡寒无汗(오한무한), 肢体酸痛(지체산통), 心煩(심번), 咳嗽氣急(해수기급), 聲音

嘶啞(성음시아), 咽喉腫痛(인후종통), 舌尖紅(설첨홍) 苔微黃(태미황), 脈數(맥

삭).

治法 : 宣肺散寒(선폐산한), 淸熱止咳(청열지해).

方葯 : 麻杏石甘湯(마행석감탕) ≒ 麻黃(마황), 杏仁(행인), 生石膏(생석고), 甘草(감초).

加减 : ① 若无汗而喘者(약무한이천자), 爲熱閉于肺(위열폐우폐). 可增加 麻黃用量(마

황용량).- 加强宣透之力(가강선투지력).

② 里熱甚者(리열심자)

加 黃芩(황금), 梔子(치자), 蘆根(로근).- 淸宣里熱(청선리열).

③ 咳甚(해심) 加 前胡(전호), 桑白皮(상백피).- 宣肺止咳(선폐지해).

④ 肢体酸痛明顯者(지체산통명현자)

加 羌活(강활), 獨活(독활).- 疏風散寒(소풍산한), 除濕通絡(제습통락).

6) 外感暑濕(외감서습)

症狀 : 身熱微惡風寒(신열미오풍한), 少汗(소한), 肢体酸重疼痛(지체산중동통), 咳嗽痰

粘(해수담점), 鼻塞流涕(비색류체), 胸脘痞悶(흉완비민), 惡心嘔吐(오심구토),

口中粘膩(구중점니), 口不渴(구불갈) 或渴飮不多(혹갈음불다), 或心煩(혹심번),

或大便不爽(혹대변불상), 小便短赤(소변단적), 舌苔薄黃膩(설태박황니), 脈濡數

(맥유삭).

治法 : 淸暑祛濕(청서거습), 宣肺解表(선폐해표).

方葯 : 五味香薷飮加味(오미향유음가미)

≒ 香薷(향유), 扁豆(편두), 厚朴(후박), 茯苓(복령), 甘草(감초), 靑

蒿(청호), 山梔(산치), 鮮荷葉(선하엽).

加减 : ① 若濕困衛表(약습곤위표), 肢酸頭昏重者(지산두혼중자)

可加 豆卷(두권), 藿香(곽향), 偑蘭(풍란).- 芳化宣表(방화선표).

② 里濕偏重(리습편중), 脘痞惡嘔甚者(완비오구심자).

加 蒼朮(창출), 白蔲仁(백구인), 淸半夏(청반하), 陳皮(진피).

- 化濕和中(화습화중).

③ 里熱盛而小便短赤者(리열성이소변단적자)

加 六一散(육일산), 滑石(활석).- 淸熱利濕(청열이습).

7) 氣虛感冒(기허감모)

症狀 : 發熱惡寒(발열오한), 頭身疼痛(두신동통), 咳嗽鼻塞(해수비색), 自汗出(자한출),

倦怠无力(권태무력), 短氣懶言(단기나언), 舌淡苔白(설담태백), 脈浮而无力(맥

부이무력).

治法 : 益氣解表(익기해표), 調和營衛(조화영위).

方葯 : 參蘇飮(삼소음)

≒ 黨參(당삼), 甘草(감초), 茯苓(복령), 蘇葉(소엽), 葛根(갈근), 半夏(반하),

陳皮(진피), 前胡(전호), 桔梗(길경), 木香(목향), 枳殼(지각), 生姜(생강),

大棗(대조).

加减 : ① 若平素氣虛自汗(약평소기허자한), 反復感冒者(반복감모자)

加常服 玉屛風散(옥병풍산)

≒ 黃芪(황기), 白朮(백출), 防風(방풍). - 益氣固表(익기고표),

增强衛外功能(증강위외공능).

8) 陽虛感冒(양허감모)

症狀 : 惡寒重而發熱輕(오한중이발열경), 頭身疼痛(두신동통), 自汗出(자한출), 咳吐

白痰(해토백담), 鼻塞流淸涕(비색류청체), 面色晄白(면색황백), 形寒肢冷(형한

지냉), 語聲低微(어성저미), 舌淡胖苔白(설담반태백), 脈沉无力(맥침무력).

治法 : 助陽解表(조양해표), 宣肺止咳(선폐지해).

方葯 : 麻黃附子細辛湯(마황부자세신탕)

≒ 麻黃(마황), 附子(부자), 細辛(세신).

加减 : ① 若咳嗽痰多(약해수담다) 可加 杏仁(행인), 半夏(반하).- 化痰止咳(화담지해).

9) 血虛感冒(혈허감모)

症狀 : 發熱微惡寒(발열미오한), 惡風(오풍), 无汗頭痛(무한두통), 面色无華(면색무화),

脣甲色淡(순갑색담), 心悸頭暈(심계두운), 舌淡苔白(설담태백), 脈細(맥세).

治法 : 養血解表(양혈해표), 疏風散寒(소풍산한).

方葯 : 葱白七味飮(총백칠미음)

≒ 葱白(총백), 豆豉(두시), 葛根(갈근), 生姜(생강), 生地(생지), 麥冬

(맥동), 勞水(노수).

加减 : ① 口渴咽干者(구갈인간자) 可加 花粉(화분), 蘆根(로근).- 淸熱生津(청열생진).

② 熱重(열중) 可加 銀花(은화), 連翹(연교), 黃芩(황금),- 淸熱解毒(청열해독).

10) 陰虛感冒(음허감모)

症狀 : 身熱微惡風寒(신열미오풍한), 頭痛无汗(두통무한), 頭暈心煩(두운심번), 口渴

咽干(구갈인간), 手足心熱(수족심열), 咳嗽少痰(해수소담), 舌紅(설홍), 脈細數

(맥세삭).

治法 : 滋陰解表(자음해표), 疏風宣肺(소풍선폐).

方葯 : 加减葳蕤湯(가감위유탕)

≒ 玉竹(옥죽), 葱白(총백), 豆豉(두시), 桔梗(길경), 薄荷(박하), 白薇

(백미), 甘草(감초), 大棗(대조).

加减 : ① 若心煩口渴甚者(약심번구갈심자)

可加 黃連(황연), 竹葉(죽엽), 天花粉(천화분).- 淸熱生津(청열생진), 除煩止

渴(제번지갈)

② 如咳嗽咽干(여해수인간), 咯痰不爽(각담불상).

可加 牛蒡子(우방자), 射干(사간), 瓜蔞皮(과루피).- 利咽化痰(이인화담).

③ 若咳嗽胸痛(약해수흉통), 痰中帶血者(담중대혈자).

可加 鮮茅根(선모근), 生蒲黃(생포황), 藕節(우절).- 淸肺凉血(청폐량혈).

④ 大便干燥者(대변간조자) 可加 生地(생지), 玄參(현삼).- 增液潤腸(증액윤장)

5 驗方單方(험방단방)

1) 可預防和治療流行性感冒(가예방화치료유행성감모).

≒ 大靑葉(대청엽), 板藍根(판람근), 貫衆(관중) 各30.- 水煎代茶飮(수전대차음)

2) 可預防和治療(가예방화치료) 冬春季的風寒感冒(동춘계적풍한감모)

≒ 貫衆(관중), 紫蘇(자소), 荊芥(형개) 各10, 甘草(감초)3.

- 水煎頓服(수전돈복), 連服(연복) 3天(천).

3) 風熱感冒(풍열감모) 蟬蚕解表湯(선잠해표탕)

≒ 蟬蛻(선태), 僵蚕(강잠), 板藍根(판람근), 連翹(연교), 桑葉(상엽) 各10, 薄荷(박하)9,

蘆根(로근)15. - 先將上葯用水浸泡(선장상약용수침포) 30分鍾(분종), 武火煎(무화

전) 15分鍾(분종), 每劑煎 2 次(매제전 2 차), 將 2 次煎出的葯液相混合(장 2 차전출

적약액상혼합). 根据病情輕重(근거병정경중), 每日(매일) 1∼2 劑(제), 分 2∼4 次溫

服(차온복).

4) 預防和治療(예방화치료) 夏日暑濕型感冒(하일서습형감모)

≒ 藿香(곽향), 偑蘭(풍란) 各5, 薄荷(박하)2.- 煮湯以代飮料(자탕이대음료).

5) 夏季暑熱感冒(하계서열감모) 暑令感冒合劑(서령감모합제)

≒ 香薷(향유)6, 藿香(곽향), 偑蘭(풍란), 厚朴(후박) 各10, 炙枇杷葉(자비파엽)12, 鴨跖

草(압척초)15.

- 每劑加水適量(매제가수적량), 浸泡半小時(침포반소시), 武火煎(무화전) 10分鍾

(분종), 過濾取葯液備用(과려취약액비용), 每日 1 齊(매일 1 제), 分 2 次溫服(분 2

차온복).

6) 陰虛感冒(음허감모), 藍地湯(람지탕)

≒ 板藍根(판람근)50, 生地(생지)50, 寸冬(촌동)20, 知母(지모)20, 桑葉(상엽)20, 桔梗

(길경)15, 蟬蛻(선태)15. - 每日 1 齊, 水煎 2 次, 分 2∼3 次溫服, 一般連服 3天.

6 外治(외치)

1) 風寒感冒(풍한감모)

≒ 葱白頭(총백두), 生姜(생강) 各30, 食鹽(식염)6, 白酒(백주)1盅.

- 將前三味葯(장전삼미약) 共搗爛呈糊狀(공도란정호상), 入酒調勻(입주조

균), 用紗布包緊(용사포포긴), 涂擦前胸后背(도찰전흉후배), 手足心及膕窩

(수족심급괵와), 涂擦 1遍后(도찰 1편후), 讓患者安臥(양환자안와), 一般

(일반) 30分鍾后(30분종후) 卽有汗出(즉유한출).

2) 風寒感冒(풍한감모)

≒ 白芷(백지)3, 冰片(빙편)0.6, 白酒(백주)1盅.

- 共硏細末(공연세말), 過篩(과사), 貯甁密封(저병밀봉), 用時取葯粉適量(용

시취약분적량), 葯棉裹之(약면과지), 塞入一側鼻孔內(색입일측비공내), 每

側鼻孔交替塞(매측비공교체색) 30分鍾(분종), 每日三次(매일삼차), 三日

爲一療程(삼일위일료정).

3) 風熱感冒(풍열감모)

≒ 桑葉(상엽), 菊花(국화), 薄荷(박하) 各10, 連翹(연교)20, 生姜(생강)10, 桂枝

(계지)6, 靑葱(청총)1根. - 將諸葯打碎(장제약타쇄) 分二分裝入布袋(분 2분

장입포대), 水煎(수전) 20分鍾(분종), 先取一袋(선취 1대) 熨頸(위경),項(항),

肩(견), 背等處(배등처), 稍冷則更換葯袋(초냉칙갱환약대), 交替使用(교체

사용), 每次(매차) 30∼40 分鍾(분종), 每日二次(매일이차), 三日爲一療程

(삼일위일료정), 同時也可用葯汁熏洗各部(동시야가용약즙훈세각부), 以加

强療效(이가강료효)

4) 風熱感冒(풍열감모)

≒ 銀花(은화)4, 連翹(연교)4, 桔梗(길경)2.4, 荊芥(형개)1.6, 薄荷(박하)2.4, 牛

蒡子(우방자)2.4, 淡豆豉(담두시)2, 甘草(감초)2, 竹葉(죽엽)1.6.

- 上葯共硏細末(상약공연세말), 過篩(과사), 取葯粉適量(취약분적량), 紗布

包裹(사포포과), 敷神闕穴(부신궐혈), 包扎固定(포찰고정), 每次貼葯(매차

첩약) 4 ∼6小時(소시), 每日二次(매일이차).



感氣(감기) : 感冒(감모) - II

감기 (感氣) 英 : cold, common cold, 獨 : die Erkaeltung

感氣(감기) 즉 感冒病(감모병)은 風寒(풍한)과 風熱(풍열)에 感染(감염)된 外感病(외감병)으로서 溫病(온병)에 속하는 風溫(풍온), 春溫(춘온), 濕溫(습온)과 附證(부증) 伏暑(복서), 疰夏(주하)와 暑溫(서온), 中暑(중서), 秋燥(추조), 大頭瘟(대두온), 爛喉痧(란후사), 痢疾(이질), 瘧疾(학질) 등 11개의 主證(주증)과 2개의 附證(부증)과 더불어 모두 溫病(온병)에 속한다. 이 외에 高熱(고열)이 있는데 이는 狀態(상태)가 위급함으로 急症(급증)에서 論述(논술)한다.


1. 參照文

1) 외감병 (外感病)

2) 태양병 (太陽病)

3) 해표약(解表葯) 參照

2. 配伍葯

1) 麻黃(마황)6 + 桂枝(계지)10. 治 風寒表實證(풍한표실증)

2) 葱白(총백)10 + 淡豆豉(담두시)12. 治 外感病初起(외감병초기), 邪在衛分(사재위분), 惡寒

發熱(오한발열), 頭痛(두통), 四肢酸痛(사지산통), 苔薄

白(태박백), 脈浮數(맥부삭) 혹 鼻塞(비색),咳嗽(해수)등

3) 桑葉(상엽)10 + 桑枝(상지)30. 治 外感初起(외감초기) - 身熱不甚(신열불심) 頭痛(두통), 周

身不適(주신부적), 疼痛(동통) 등

4) 桑葉(상엽)10 + 菊花(국화)10. 治 風熱感冒(풍열감모) - 身熱不甚(신열불심) 有汗表不解(유

한표불해), 咳嗽(해수), 口微渴(구미갈).

5) 金銀花(금은화)15 + 連翹(연교)15. 治 四時感冒(사시감모) 風熱者(풍열자), 頭痛(두통), 目

痛(목통), 牙痛(아통), 鼻淵(비연), 咽喉腫痛(인후종통).

6) 江天(강천)10 + 荊芥穗(형개수)10. 治 風寒感冒(풍한감모), 鼻塞流涕(비색류체),无汗頭痛

(무한두통) 등증

7) 白茅根(백모근)15 + 蘆根(로근)15. 治 感冒發燒(감모발소), 感冒之初(감모지초), 只用蘆根

(지용로근) 2~3일 不解(불해), 加 白茅根(백모근).

8) 杏仁(행인)10 + 豆豉(두시)10. 治 外感表證(외감표증), 无論寒熱(무론한열), 凡見咽痒者宜

選用(범견 인양자 의선용)

9) 黃芪(황기)15 + 防風(방풍)10. 治 虛人易患的感冒(허인 이환적 감모) 諸症(제증).

10) 蒼耳子(창이자)10 + 辛夷(신이)6. 治 風寒感冒(풍한감모) 頭痛鼻塞(두통비색) 鼻流靑涕(비

류청체) 等症(등증)

11) 白前(백전)10 + 百部(백부)10. 治 感冒日久(감모일구), 咽已不痒(인이불양), 但肺氣肅降失

常(단폐기숙강실상), 氣仍上逆(기잉상역), 久咳不已(구

해불이), 胸悶(흉민), 氣喘(기천) 等症(등증)

12) 杏仁(행인)10 + 川貝母(천패모)10. 治 外感風邪(외감풍사) 痰熱鬱肺(담열울폐), 咳嗽不已

(해수불이), 咯吐黃痰(각토황담) 등

13) 五味子(오미자)10 + 細辛(세신)3, 治 ⑴ 風寒感冒(풍한감모) 咳吐白痰(해토백담), 或寒飮

咳喘諸症(혹한음해천제증)

⑵ 肺腎兩虛(폐신양허) 久咳虛喘(구해허천) 等症(등증).

14) 五味子(오미자)10 + 乾姜(건강)10. 治 肺寒咳嗽(폐한해수) 痰稀而多(담희이다), 狀如白沫

(상여백말), 或寒痰爲患(혹한담위환), 陰滯氣機(음

체기기), 咳逆上氣(해역상기) 등증

15) 蘇子(소자)10 + 紫菀(자원)10. 治 咳嗽氣喘(해수기천) 咯痰不爽(각담불상) 胸膈滿悶(흉격

만민) 등증, 慢性氣管支炎(만성기관지염), 支氣管哮喘(지

기관효천)등 病兼見上述諸症(병겸견상술제증)

16) 荊芥(형개)10 + 防風(방풍)10. 治 四時感冒(사시감모) - 發熱惡寒(발열오한) 无汗(무한), 鼻

塞(비색), 聲重(성중), 頭身疼痛(두신동통).

17) 鉤藤(구등)15 + 薄荷(박하)10. 治 風熱感冒(풍열감모) - 發熱微惡風(발열미오풍), 无汗(무

한), 頭痛(두통), 身痛者(신통자).

3. 金匱要略

1) 婦人中風七八日 續來寒熱 發作有時 經水適斷 此爲熱入血室. 其血必結 故使如虐狀 發作

有時 小柴胡湯主之. - (377)

婦人(부인)이 太陽中風證(태양중풍증)에 걸려 七八日(칠팔일)이 지날 무렵 惡寒(오한)과

發熱(발열)이 發作(발작)하는 時間(시간)이 비교적 規則的(규칙적)이며 月經(월경)도 이때

에는 멈추게 된다. 이런 症狀(증상)은 邪熱(사열)이 子宮(자궁)으로 들어간 것이다. 熱(열)

을 받은 그 經水(경수)는 子宮(자궁)에서 必是(필시) 凝結(응결)하게 된다. 따라서 患者(환

자)는 마치 瘧疾(학질)에 걸린 사람처럼 寒熱(한열)의 發作(발작)이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일어나는데 이런 경우에는 小柴胡湯(소시호탕)으로 主治(주치)한다.

小柴胡湯(소시호탕)

≒ 柴胡(시호)12, 黃芩(황금)9, 人參(인삼)6, 半夏(반하)9, 炙甘草(자감초)5, 生姜(생

강)9, 大棗(대조)4~12枚.

主解 ≡ 小柴胡湯(소시호탕)은 和解劑(화해제)로서 寒熱往來(한열왕래)를 治療(치료)하는

少陽證(소양증)의 代表方(대표방)이다.

본조에서는 邪熱(사열)이 穴室(혈실, 子宮)에 鬱積(울적)하여 少陽證(소양증)의 氣(기)가

밖으로 通(통)할 수 없고, 陰陽(음양)이 서로 다투므로 閉塞(폐색)되고, 寒熱(한열)의 往來

(왕래)가 마치 瘧疾(학질)에 걸린 患者(환자)처럼 되는 경우에는 小柴胡湯(소시호탕)으로

少陽經(소양경)에 表里(표리)의 邪氣(사기)를 和解(화해)시키는 處方(처방)으로서 邪熱(사

열)이 發表(발표)하는 氣(기)와 더불어 밖으로 나오도록 하는 方法(방법)이다. 氣(기)가 움

직이면 血(혈)도 움직이므로(氣行則血行) 자연히 寒熱(한열)이 멈추게 된다.

2) 婦人傷寒發熱 經水適來 晝日明了 暮則譫語 如見鬼狀者 此爲熱入血室. 治之無犯胃氣及

上二焦 必自愈. - (378)

여견귀상자 婦人(부인)이 太陽病(태양병) 傷寒證(상한증)에 걸려 發熱(발열)하는데 月經

(월경)이 시작되었다. 낮에는 精神傷(정신상)태가 明了(명료)한데 밤이 되면 헛소리를 치

는 것이 마치 鬼神(귀신)같은데 이것은 邪熱(사열)이 子宮(자궁)을 侵襲(침습)했기 때문이

다. 治療(치료)에 있어서는 胃氣(위기)와 上焦(상초), 中焦(중초)를 傷(상)하지 않도록 愼重

(신중)히 하면 자연히 治愈(치유)된다. 主解 - 邪氣(사기)가 下焦(하초)에 侵入(침입)하여

發熱(발열)하고 있으므로 病邪(병사)가 氣分(기분)과 脾胃(비위)에는 없으므로 治療(치료)

할 때 胃氣(위기)와 上焦(상초), 中焦(중초)를 傷(상)하게 해서는 안 된다고 指摘(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이유에서이던지 醫者(의자)에게 “傷(상)하게 하는 방법으로 治療(치

료)한다”는 말은 있을 수 없는 말이다.

이 말의 의미는 현재 환자의 병을 치료하는데 있어서는 邪氣(사기)가 子宮(자궁)에만 있

으므로 下焦(하초) 이외의 기타 臟器(장기)에 대해서 直接(직접)이던 間接(간접)이던 治療

(치료)에 應用(응용)할 필요가 없다는 뜻으로 이해된다.

3) 婦人中風 發熱惡寒 經水適來 得七八日 熱除脈遲 身涼和 胸脅滿 如結胸狀 譫語者 此爲熱

入血室. 當刺期門 隨其實而取之. - (379)

婦人(부인)이 傷寒中風證(상한중풍증)에 걸려 發熱(발열)하고 惡寒(오한)을 하는데 月經

(월경)을 시작하였다. 7~8日이 지나서 熱(열)은 가시고, 脈象(맥상)이 遲(지)하며, 몸은 시

원해졌으나 胸脇(흉협)이 그득한 脹滿感(창만감)이 드는 것이 마치 結胸證(결흉증) 같고,

헛소리를 치는 것은 熱(열)이 子宮(자궁)에 침입했기 때문이다. 期門穴(기문혈)에 針(침)을

놓아 實熱(실열)을 除去(제거)해야 한다.

4) 陽明病 下血譫語者 此爲熱入血室 但頭汗出 當刺期門 隨其實而瀉之 湒然汗出者愈.-(380)

陽明病(양명병)에 걸려 大便(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고, 意識(의식)이 朦朧(몽롱)해서 헛소

리를 하는 것은 邪熱(사열)이 子宮(자궁)에 侵襲(침습)했기 때문이다. 만일 頭部(두부)에만

땀을 흘린다면 期門穴(기문혈)에 針(침)을 놓아 實熱(실열)을 瀉火(사화)시켜야 한다. 全身

(전신)에 흠뻑 땀을 흘리면 病(병)은 治愈(치유)된다.


3. 감기(感氣) 치료법(治療法)

감기는 크게 나누어서 풍한감모(風寒感冒), 풍열감모(風熱感冒)와 체허감모(體虛感冒)의 삼

종(三種)으로 분류하게 된다. 따라서 감기를 치료하는데 있어서도 풍한감모(風寒感冒)에는

따뜻한 약으로, 풍열감모(風熱感冒)에는 서늘한 약으로, 체허감모(體虛感冒)에는 보신(補身)

하는 약으로 치료하되 사기(邪氣, 病)가 체표(體表)에 있는 관계로 겸하여 표사(表邪)를 해제

시키기에 적합한 땀이 나는 발한약을 써서 해표(解表)시키는 치료법을 쓰는 것이다.

종합해서 말하자면

1) 풍한감모(風寒感冒)는 신온해표제(辛溫解表劑)로 발한해기(發汗解肌)하고

2) 풍열감모(風熱感冒)는 신양해표제(辛凉解表劑)로 발한해기(發汗解肌)하며

3) 체허감모(體虛感冒)는 부정해표제(扶正解表劑)로 미한해기(微汗解肌)한다.

증상에 따른 치료에 있어서 그 치법과 대표방은 아래와 같다.

⑴ 신온해표(辛溫解表)의 대표방(代表方)

① 마황탕(麻黃湯) : 오한발열(惡寒發熱)이 있고, 땀이 나지 않으며, 맥이 부긴(浮緊)하다.

마황탕(麻黃湯)속에 계지(桂枝)를 합용하면 발한력(發汗力)이 비교적

강해지고 아울러 선폐평천(宣肺平喘)도 잘된다.

신온발한(辛溫發汗)의 중제(重劑)는 외감풍한(外感風寒)으로 인한 오

한(惡寒)과 발열(發熱)이 있으나 땀은 나지 않고, 천해(喘咳)가있는 표

실증(表實證)에 적용된다.

造成 ≒ 마황(麻黃)6, 계지(桂枝)4, 감초(甘草)3, 행인(杏仁)9.

效能 : 발한해표(發汗解表), 선폐평천(宣肺平喘).

主治 : 외감풍한(外感風寒)으로 오한(惡寒)과 발열(發熱)이 있고, 두통(頭痛)과 신동(身

疼)이 있으며, 무한이천(无汗而喘)에 설태(舌苔)는 박백(薄白)하고 맥(脈)이 부긴

(浮緊)한 것을 다스린다.

② 계지탕(桂枝湯)에는 계지(桂枝)와 작약(芍葯)을 합용 발한해표(發汗解表)하는 힘은 마

황탕(麻黃湯)보다는 못하지만 영기(營氣)와 위기(衛氣)를 조화(調和)하

는 효능이 있으므로 외감풍한(外感風寒)으로 인한 발열(發熱)과 땀을

흘리며, 바람을 두려워하는 유한오풍(有汗惡風)의 표허증(表虛證)에

적용된다.

造成 ≒ 계지(桂枝)9, 작약(芍葯)9, 감초(甘草)6, 생강(生姜)9, 대조(大棗)3枚.

效能 : 해기발표(解肌發表), 조화영위기(調和營衛氣).

主治 : 외감풍한(外感風寒)으로 인한 두통(頭痛)과 발열(發熱)이 있고, 땀을 흘리며 바람

을 두려워하고(汗出惡風), 숨울 쉴 때 콧소리가 나고, 헛구역질을 하며, 설태(舌

苔)는 희고, 목이 마르지 않으며, 맥(脈)은 부완(浮緩)하거나 부약(浮弱)한 증상

(證狀)을 다스린다.

③ 소청용탕(小靑龍湯)은 발한해표(發汗解表)함으로 풍한(風寒)을 제거(除去)하고 폐기

(肺氣)를 선통(宣通)하게 한다. 또한 수음(水飮)을 온(溫)하게 함으

로써 한음(寒飮)을 물리치고, 해천(咳喘)을 다스린다. 그래서 원래

부터 수음(水飮)이 정체(停滯)되어있는 데다 풍한(風寒)의 침습(侵

襲)으로 기침하며 숨을 몰아쉬게 되고 가래가 많은 해천담다(咳喘

痰多)가 쉽게 낫지 않는 자(者)에게 적용된다.

造成 ≒ 마황(麻黃)9, 작약(芍葯)9, 세신(細辛)3, 건강(乾姜)3, 감초(甘草)6, 계지(桂枝)6,

반하(半夏)9, 오미자(五味子)3.

效能 : 해표청음(解表淸飮), 지해평천(止咳平喘).

主治 : 풍한객표(風寒客表), 수음내정(水飮內停)으로 오한(惡寒)과 발열(發 熱)이 있으

나 무한(无汗)하며, 기침하며 호흡을 몰아쉬고, 가래가 많고 잘나오는 해천(咳

喘), 담다이희(痰多而稀) 혹은 담음해천(痰飮咳喘)으로 평와(平臥)할 수 없거나

혹은 몸이 무겁고 아픈 신체동중(身体疼重)에 두면(頭面)과 사지부종(四肢浮腫)

이 일고 설태(舌苔)는 백활(白滑)하며, 맥(脈)은 부(浮)한 증상을 다스린다.

④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은 신온발한(辛溫發汗)과 아울러 리열(里熱)을 풀어 주므로 외

감풍한(外感風寒)에 습(濕)이 섞이고 오한(惡寒)과 발열(發熱)

이 있으나, 땀은 나지 않고 전신이 쑤시고 아픈(无汗身痛)에

겸하여 입 안이 쓰고, 약간 목마른(口苦微渴)에 적용된다.

造成 ≒ 강활(羌活)5, 방풍(防風)5, 창출(蒼朮)5, 세신(細辛)1, 천궁(川芎)3, 백지(白芷)3,

생지(生地)3, 황금(黃芩)3, 감초(甘草)3.

效能 : 발한거습(發汗祛濕), 겸청리열(兼淸里熱).

主治 : 외감풍한습사(外感風寒濕邪)로 인한 오한(惡寒)과 발열(發熱)이 있으나 기표무

한(肌表无汗)하며, 머리와 목덜미가 뻣뻣하게 굳고 아픈 두항강통(頭項强痛)과

사지(四肢)와 몸 전체가 저리고 아픈 肢體痠楚疼痛(지체산초동통)에 입은 쓰고

(口苦), 목마른 증상을 다스린다.

⑵ 신양해표(辛凉解表)의 대표방(代表方)

① 상국음(桑菊飮)은 해표력(解表力)은 적으나 폐(肺)를 잘 소통시키므로 풍열습폐(風熱

襲肺) 해이미발열자(解弛微發熱者)에게 적용된다.

造成 ≒ 상엽(桑葉)7.5, 국화(菊花)3, 행인(杏仁)6, 연교(連翹)5, 박하(薄荷)2.5, 길경(桔

梗)6, 감초(甘草)2.5, 위근(葦根)6.

效能 : 소풍청열(疏風淸熱), 선폐지해(宣肺止咳).

主治 : 풍온초기(風溫初起)로서 다만 기침을 하며, 신열(身熱)이 심(甚)하지 않고, 구미

갈(口微渴)을 치료(治療)한다.

② 은교산(銀翹散)은 해표력(解表力)이 강하고 청열(淸熱)하고 해독(解毒)하므로 온열병

(溫熱病)의 초기(初起)와 열(熱)이 심(甚)하고, 한(寒)은 가벼운 해수인

통(咳嗽咽痛), 구갈(口渴) 등 증(證)에 적용된다.

造成 ≒ 연교(連翹)9, 은화(銀花)9, 길경(桔梗)6, 박하(薄荷)6, 죽엽(竹 葉)4, 생감초(生甘

草)5, 형개수(荊芥穗)5, 두시(豆豉)5, 우방자(牛蒡子)9.

效能 : 신량투표(辛凉透表), 청열해독(淸熱解毒).

主治 : 온병초기(溫病初起)로서 발열무한(發熱无汗)이거나 혹은 유한 불창(有汗不暢),

미오풍한(微惡風寒), 두통구갈(頭痛口渴), 해수인통(咳嗽咽痛), 설첨홍(舌尖紅)

태박백(苔薄白) 혹은 박황(薄黃)하고 맥(脈)이 부삭(浮數)한 등이다.

③ 마행석감탕(麻杏石甘湯)은 신량중제(辛凉重劑)로서 폐열(肺熱)을 청설(淸泄)하는 효능

(效能)이 현저(顯著)하다. 폐(肺)의 열옹(熱壅)이란 폐(肺)의 열

폐(熱閉)로서 신열천해(身熱喘咳)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다

만 발열(發熱)의 경중(輕重)과 한(汗)의 유무(有无)를 참작하여

마황(麻黃)과 석고(石膏)의 용량(用量)을 정한다.

造成 ≒ 마황(麻黃)5, 행인(杏仁)9, 감초(甘草)6, 석고(石膏)18.

效能 : 신량선설(辛凉宣泄), 청폐평천(淸肺平喘).

主治 : 외감풍사(外感風邪)로 인한 신열불해(身熱不解), 해역기급(咳逆氣急), 비통(鼻

痛), 구갈(口渴) 유한(有汗) 또는 무한(无汗), 설태박백(舌苔薄白) 혹은 황(黃)하며

맥(脈)은 활맥(滑脈)과 산(散)한 증상(證狀)을 다스린다.

⑶ 부정해표(扶正解表)의 대표방(代表方)

① 패독산(敗毒散)은 익기해표(益氣解表)하므로 체허(体虛)와 풍한습사(風寒濕邪)를 받은

표증(表證)에 적응된다. 또한 류행성감모(流行性感冒)의 표한증자

(表寒證者)에게도 역시 쓸 수가 있다.

造成 ≒ 시호(柴胡), 전호(前胡), 천궁(川芎), 지각(枳殼), 강활(羌 活), 독활(獨活), 복령(茯

苓), 길경(桔梗) 인삼(人參) 各量3.

效能 : 발한해표(發汗解表), 산풍거습(散風祛濕).

主治 : 감모풍한습사(感冒風寒濕邪)로 인한 몸에 열(熱)이 심한 편이나 추운 것을 싫어

하는 증한장열(憎寒壯熱)에 머리와 목덜미 부위가 뻣뻣하고 아픈 두항강통(頭

項强痛)과 사지와 전신이 저리고 아픈 지체산통(肢体酸痛)에 땀은 나지않고, 코

가 막혀 숨소리가 큰 비색성중(鼻塞聲重)에 기침하고 가래를 뱉는 해수유담(咳

嗽有痰)과 가슴과 옆구리가 답답하고 체한 것처럼 그득한 흉격비만(胸膈痞滿)

에 설태(舌苔)는 백니(白膩)하고 맥(脈)은 부유(浮濡)하거나 부삭(浮數)하고 세게

누르면 무력(无力)한 맥을 다스린다.

② 재조산(再造散)은 조양익기(助陽益氣)하고 신온발한(辛溫發汗)하므로 양기허약(陽氣

虛弱)의 표한증(表寒證)과 땀이 나지 않아 풀어지지 않은 자에게 적

용된다.

造成 ≒ 황기(黃芪)6, 인삼(人參)3, 계지(桂枝)3, 감초(甘草)1.5, 숙부 자(熟附子)3, 세신

(細辛)2, 강활(羌活)3, 방풍(防風)3, 천궁(川芎)3, 배생강(焙生姜)3.

效能 : 조양익기(助陽益氣), 발한해표(發汗解表).

主治 : 양기허약(陽氣虛弱)으로 감모풍한(感冒風寒) - 두통(頭痛), 신열(身熱), 오한(惡

寒)이 있고, 열(熱)은 심(甚)하지 않으나 추위를 몹시 타는 열경한중(熱輕寒重)으

로 땀은 나지 않고 사지(四肢)가 찬 무한지냉(无汗肢冷)이며, 양허(陽虛)하고 핍

력(乏力)하므로 눕기를 좋아하는 권태기와(倦怠嗜臥)하고, 면색(面色)이 창백

(蒼白)하다. 말수가 적은 것은 물론이며 말소리가 안으로 스며들 듯 언어저미(言

語低微)하며, 설담태백(舌淡苔白)하고 맥침무력(脈沉无力) 혹은 부대무력(浮大

无力) 등의 증상을 다스린다.

③ 총백칠미음(葱白七味飮)은 양혈해표(養血解表)하므로 혈허(血虛)와 풍한(風寒)을 받은

표한증자(表寒證者)에게 적용된다.

造成 ≒ 총백(葱白)9, 갈근(葛根)9, 두시(豆豉)6, 생강(生姜)6, 맥동(麥冬)9, 건지(乾地)9.

效能 : 양혈해표(養血解表).

主治 : 병을 앓고 난 후에 음(陰)과 혈(血)이 모두 부족(不足)한 음혈휴 허(陰血虧虛)에

조섭(調攝) 마저 좋지 못한 중에 외사(外邪)의 침습을 받았거나, 또는 실혈(失血,

吐血, 便血, 咳血, 衄血)이 된 후에 다시 풍한감모(風寒感冒)에 걸려 두통(頭痛)과

신열(身熱)이 있으며 미한무한(微汗无汗)의 증상(證狀)을 다스린다.

④ 가감위유탕(加减葳蕤湯)은 양음해표(養陰解表)하므로 음허(陰虛)한 자(者)와 풍열(風

熱)을 받은 표열증(表熱證)에 적용(適用)된다.

造成 ≒ 생위유(生葳蕤)9, 생총백(生葱白)6(2枚), 길경(桔梗)5, 동백미(東 白薇)3, 두시

(豆豉)9, 소박하(蘇薄荷)5, 자감초(炙甘草)1.5, 홍조(紅棗)2枚.

效能 : 자음청열(滋陰淸熱), 발한해표(發汗解表)

主治 : 음허(陰虛)하고, 외사(外邪)를 받은 몸으로 두통(頭痛)과 신열(身熱)이 있고, 미오

풍한(微惡風寒)에 무한(无汗) 또는 유한(有汗) 하지만 땀이 많이 나지 않으며, 설

적(舌赤)하고 맥삭(脈數)하며, 기침하고 마음이 초조(焦躁)한 해수심번(咳嗽心

煩)에, 구갈(口渴)과 인건(咽乾)한 증상(證狀)을 다스린다.

⑷ 中醫內科學

① 風寒感冒(풍한감모)

證狀 : 鼻塞聲重(비색성중), 流淸涕(류청체), 喉痒(후양), 咳嗽(해수), 痰吐稀薄而白(담

토희박이백), 甚則惡寒發熱(심칙오한발열), 无汗(무한), 頭痛(두통), 身痛(신통),

口不渴(구불갈), 혹 渴喜熱飮(혹갈희열음), 舌苔薄白(설태박백) 脈浮(맥부), 浮緊

(부긴).

治法 : 辛溫解表(신온해표), 散寒宣肺(산한선폐).

- 發汗解表(발한해표), 消脹止痛(소창지통).

方葯 : 荊防敗毒散(형방패독산)

≒ 羌活(강활), 獨活(독활), 柴胡(시호), 前胡(전호), 枳殼(지각), 茯苓(복

령), 荊芥(형개), 防風(방풍), 桔梗(길경), 川芎(천궁) 各5, 甘草(감

초)3,

加减 - ㉠ 寒重(표한중) : 加 麻黃(마황) 桂枝(계지)

㉡ 咳嗽痰多 : 加 萊菔子(래복자), 陳皮(진피), 半夏(반하)

② 風熱感冒(풍열감모)

證狀 : 發熱較著(발열교저), 微惡風寒(미오풍한), 或有汗出(혹유한출), 頭痛且脹(두통차

창), 鼻塞流涕(비색류체), 口乾口渴(구건구갈), 咽喉紅腫而痛(인후홍종이통), 咳

嗽痰粘(해수담점), 或黃(혹황), 舌苔薄黃(설태박황), 脈浮數(맥부삭)

治法 : 辛凉解表(신양해표), 淸肺透熱(청폐투열).

方葯 : 銀翹散(은교산)

≒ 連翹(연교), 銀花(은화) 各9, 桔梗(길경), 薄荷(박하) 各6, 竹葉(죽엽)4, 甘

草(감초), 荊芥穗(형개수), 淡豆豉(담두시) 各5, 牛蒡子(우방자)9.

加减 - ㉠ 頭痛甚(두통심) : 加 桑葉(상엽), 菊花(국화)

㉡ 咳嗽痰多(해수담다) : 加 杏仁(행인), 貝母(패모), 瓜蔞(과루)

㉢ 咽喉腫痛(인후종통) : 加 板藍根(판람근), 馬勃(마발), 元參(玄參)

㉣ 高熱(고열) : 加 葛根(갈근), 黃芩(황금), 生石膏(생석고)

③ 서습감모(暑濕感冒)

治法 : 해표청서(解表淸暑)

方葯 : 신가향유음(新加香薷飮)

≒ 향유(香薷), 은화(銀花), 선편두화(鮮扁豆花), 후박(厚朴), 연교(連翹).

加 풍란(偑蘭), 하엽(荷葉), 서과취의(西瓜翠衣), 활석(滑石), 감초(甘草).

④ 감모협조(感冒挾燥)

證狀 : 발열(發熱), 미오풍한(微惡風寒), 두통(頭痛), 인건(咽乾), 구조(口燥),번열구갈(煩

熱口渴), 해담(咳痰), 황조불상(黃燥不爽), 혹 건해소담(乾咳少痰), 설홍소진(舌

紅少津), 맥세삭(脈細數) 혹부삭(或浮數).

治法 : 신양해표(辛凉解表), 양음청열(養陰淸熱) - (청선온조(淸宣溫燥)

方葯 : 상행탕(桑杏湯)

≒ 상엽(桑葉)3, 행인(杏仁) 4.5, 사삼(沙參)6, 상패(象貝), 향시(香豉), 치피

(梔皮), 이피(梨皮) 各3.

加 은화(銀花), 연교(連翹), 패모(貝母), 산치(山梔), 대청엽(大靑葉).

⑤ 체허감모(體虛感冒)

㉠ 氣虛 : 경상 반복발작(經常反復發作), 오한중(惡寒重), 발열경(發熱輕), 두통(頭痛),

비색(鼻塞), 해수(咳嗽), 담백(淡白), 기단핍력(氣短乏力), 설담태백(舌淡苔白),

맥부무력(脈浮无力).

治法 : 익기해표(益氣解表)

方葯 : 삼소음(參蘇飮)

≒ 인삼(人參), 소엽(蘇葉), 갈근(葛根), 반하(半 夏), 복령(茯苓) 各7.5, 진피

(陳皮), 감초(甘草), 길경(桔梗), 지각(枳殼, 麩炒), 목향(木香) 各5, 생강

(生姜)3片, 대조(大棗)3枚.- 수전복(水煎服).

혹 연말(硏末) 매번(每番) 12g씩, 물 반잔(水半盞)에 생강(生姜) 7片 대

조(大棗)1枚 전탕취(煎湯取) 6分 온복(溫服)

㉡ 陽虛 : 경상반복발작(經常反復發作), 오한중(惡寒重), 발열경(發熱輕), 두통(頭痛), 비

색(鼻塞), 신통(身痛), 사지흠온(四肢欠溫), 해수담희박(咳嗽痰稀薄), 설담반

(舌淡胖), 태백(太白), 맥침무력(脈沉无力).

治法 : 조양해표(助陽解表).

方葯 : 마황부자세신탕(麻黃附子細辛湯)

≒ 마황(麻黃)5, 포부자(炮附子)3, 세신(細辛)3. 加 계지(桂枝)

황기(黃芪) 당삼(黨參) 자감초(炙甘草)

㉢ 血虛 : 두통(頭痛), 신열미한(身熱微寒), 무한(无汗), 면색불화(面色不華), 혹창백(或

蒼白), 순갑색담(脣甲色淡), 심계두운(心悸頭暈),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세

(脈細) 혹부이무력(或浮而无力)

治法 : 양혈해표(養血解表).

方葯 : 총백칠미음(葱白七味飮)

≒ 총백(葱白), 갈근(葛根), 맥동(麥冬), 지황(地黃) 各9, 신두시(新豆

豉), 생강(生姜) 各6, 노수(勞水,淨水) - 국자로 1천번 떠올린 물

㉣ 陰虛 : 두통(頭痛), 신열(身熱), 미오풍한(微惡風寒), 무한(无汗), 혹미한 (或微汗), 두

운(頭暈), 동통(疼痛), 심계(心悸), 구갈인건(口渴咽乾), 건해소담(乾咳少痰),

수족심열(手足心熱), 설홍(舌紅), 맥세삭(脈細數).

治法 : 양음해표(養陰解表)

方葯 : 가감위유탕(加减葳蕤湯)

≒ 옥죽(玉竹)9, 총백(葱白)6, 길경(桔梗)5, 동백미(東白薇)3, 두시(豆

豉)9, 박하(薄荷)5, 자감초(炙甘草)1.5, 대조(大棗)2枚.

⑥ 時行 : 발열오한(發熱惡寒), 심칙 장열한전(甚則壯熱寒戰), 두신동통(頭身疼痛), 비색류

체(鼻塞流涕), 해수(咳嗽), 인후종통(咽喉腫痛), 설태박황(舌苔薄黃), 맥부삭(脈

浮數).

治法 : 청온해표(淸溫解表)

方葯 : 시갈해기탕(柴葛解肌湯)(傷寒六書)

≒ 시호(柴胡)6, 갈근(葛根)9, 감초(甘草)3, 황금(黃芩)6, 강활(羌活), 백

지(白芷) 各3.

시갈해기탕(柴葛解肌湯)(醫學心悟)

≒ 시호(柴胡)6, 갈근(葛根)9, 감초(甘草)3, 황금(黃芩)6, 작약(芍葯)6, 지

모(知母)5, 생지(生地)9, 단피(丹皮)3, 패모(貝母)6. - 수전복(水煎服)

加减 : ㉠ 오한신통(惡寒身痛) 무한(无汗) : 加 형개(荊芥), 박하(薄荷)

㉡ 인통심(咽痛甚) : 減 강활(羌活) 加 판람근(板藍根)

㉢ 해수심(咳嗽甚) : 加 행인(杏仁), 패모(貝母)

⑸ 豫防

① 약물예방(葯物預防) : 대청엽(大靑葉)30, 판람근(板藍根)30, 관중(貫衆)30. - 수전대차

음(水煎代茶飮)

② 식초(食醋) : 5 - 10ml를 방안에서 방문을 닫고 끓인다.

③ 대산즙(大蒜汁) : 산즙(蒜汁)을 코안에 1-2 방울 넣는다., 5. 임상 (臨床)


1) 외감풍한(外感風寒) 표실증(表實證)

⑴ 증상 : 오한발열(惡寒發熱) 무한이천(无汗而喘) 두신동통(頭身疼痛) 맥부긴(脈浮緊). 방 :

마황탕(麻黃湯)《傷寒論》해표제(解表劑)

≒ 마황(麻黃)6, 행인(杏仁)9, 감초(炙甘草)3, 계지(桂枝)4.

⑵ 증상 : 이겸리열(而兼裏熱),발열오한(發熱惡寒) 한불출(汗不出)번조(煩躁)맥부긴(脈浮緊).

방 : 대청용탕(大靑龍湯)《傷寒論》해표제(解表劑)

≒ 麻黃湯(마황(麻黃)12, 계지(桂枝)4, 자감초(炙甘草)5, 행인(杏仁)6.)

加 석고(石膏)12, 생강(生姜)9, 대조(大棗)3~12매(枚).

⑶ 증상 : 내정수음(內停水飮), 오한발열(惡寒發熱) 무한이천(无汗而喘) 담다이희백(痰多而

稀白) 설태백윤(舌苔白潤).

방 : 소청용탕(小靑龍湯)《傷寒論》해표제(解表劑)

≒ 마황(麻黃)9, 작약(芍葯)9, 자감초(炙甘草)6, 법반하(法半夏)9, 건강(乾

姜)3, 계지(桂枝)6, 세신(細辛)3, 오미자(五味子)3.

⑷ 증상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표울경증(表鬱輕證).- 太陽病八九日不解), 병여학질(病如

虐疾), 발열오한(發熱惡寒) 열다한소(熱多寒少) 일일이삼차발(一日二三次發), 면색

발홍(面色發紅), 양울(陽鬱) 불신이(不伸而) 주신발양(周身發痒).

방 : 계지마황각반탕(桂枝麻黃各半湯)《傷寒論》해표제(解表劑)

≒ 계지탕(桂枝湯) 합(合) 마황탕(麻黃湯).각취(各取) 1/3. 계지(桂枝)

3, 작약(芍葯)3, 자감초(炙甘草)2, 생강(生姜)3, 대조(大棗)1~4매

(枚), 마황(麻黃)2, 계지(桂枝)1.5, 자감초(炙甘草)1, 행인(杏仁)3.

⑸ 증상 : 외감풍한(外感風寒) 한울화열(寒鬱化熱).- 오한경(惡寒輕) 발열중(發熱重), 두통(頭

痛) 안광동(眼眶疼) 비건(鼻乾) 맥부미홍(脈浮微洪).

방 : 시갈해기탕(柴葛解肌湯)《傷寒六書》해표제(解表劑)

≒ 시호(柴胡) 갈근(葛根) 황금(黃芩) 석고(石膏) 길경(桔梗) 강활(羌活) 향

백지(香白芷) 백작(白芍) 감초(甘草).

⑹ 증상 : 외감풍한(外感風寒).- 두통발열(頭痛發熱) 오한무한(惡寒无汗) 구조인건(口燥咽乾)

맥부세(脈浮細).

방 : 위유탕(葳蕤湯)《千金方》해표제(解表劑)

≒ 위유(葳蕤) 석고(石膏) 목향(木香) 감초(甘草) 백미(白薇) 천궁(川芎) 독활(獨

活) 행인(杏仁) 마황(麻黃).

⑺ 증상 : 외감풍한(外感風寒) 내유기체(內有氣滯).- 오한발열(惡寒發熱) 두통무한(頭痛无汗),

흉완비민(胸脘痞悶), 불사음식(不思飮食), 설태박백(舌苔 薄白).

방 : 향소산(香蘇散)《和劑局方》해표제(解表劑)

≒ 향부(香附) 소엽(蘇葉) 진피(陣皮) 감초(甘草).

⑻ 증상 : 외감풍한(外感風寒).- 오한발열(惡寒發熱) 두신동통(頭身疼痛) 무한(无汗) 해수흉민

(咳嗽胸悶) 비색(鼻塞) 맥부긴(脈浮緊).

방 : 십신탕(十神湯)《和劑局方》해표제(解表劑)

≒ 진피(陣皮), 감초(甘草), 갈근(葛根), 승마(升麻), 적작약(赤芍葯), 천궁(川芎),

백지(白芷), 향부미(香附米), 마황(麻黃), 소엽(蘇葉).

⑼ 증상 : 풍한습사(風寒濕邪).- 증한장열(憎寒壯熱) 두항강통(頭項强痛) 지체산통(肢體痠痛)

무한(无汗) 비색성중(鼻塞聲重) 해수유담(咳嗽有痰) 흉격비만(胸膈痞滿) 설태백니

(舌苔白膩) 맥부유(脈浮濡) 혹 부삭(浮數), 중취흠력(重取欠力).

치 : 발한해표(發汗解表) 산풍거습(散風祛濕)

방 : 패독산(敗毒散)《小兒葯證直訣》해표제(解表劑)

≒ 시호(柴胡) 전호(前胡) 천궁(川芎) 지각(枳殼) 강활(羌活) 독활(獨活) 복령(茯

苓) 길경(桔梗) 인삼(人蔘) 각30, 감초(甘草)15., 생강(生姜) 박하(薄荷).

⑽ 증상 : 풍한습사(風寒濕邪).- 표증중자(表證重者), 오한발열(惡寒發熱) 무한불갈(无汗不渴)

설태박백(舌苔薄白) 맥부삭(脈浮數). 역치(亦治) 창종초기(瘡腫初起) 유표증자(有

表證者).

치 : 발한해표(發汗解表) 소창지통(消瘡止痛)

방 :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攝生衆妙方》해표제(解表劑)

≒ 패독산(敗毒散) 减 인삼(人蔘),

加 형개(荊芥) 방풍(防風).

: 강활(羌活) 독활(獨活) 시호(柴胡) 전호(前胡) 지각(枳殼) 복령(茯苓) 형

개(荊芥) 방풍(防風) 길경(桔梗) 천궁(川芎) 각5, 감초(甘草)3.

⑾ 증상 : 외감풍한습사(外感風寒濕邪).- 오한발열(惡寒發熱) 무한두통(无汗頭痛) 지체산초

동통(肢體痠楚疼痛) 구고미갈(口苦微渴) 설태백(舌苔白) 맥부(脈浮).

치 : 발한거습(發汗祛濕) 겸청리열(兼淸裏熱)

방 :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此事難知》해표제(解表劑)

≒ 강활(羌活) 방풍(防風) 창출(蒼朮) 각5,세신(細辛)1, 천궁(川芎) 백지(白

芷) 생지(生地) 황금(黃芩) 감초(甘草) 각3.

⑿ 증상 : 양기허약(陽氣虛弱) 자(者) 감수풍한(感受風寒).- 발열오한(發熱惡寒) 두통무한(頭

痛无汗) 면백지냉(面白肢冷) 태담백(苔淡白) 맥침이무력(脈沉而无力) 혹 부대무력

(浮大无力).

방 : 재조산(再造散)《傷寒六書》해표제(解表劑)

≒ 인삼(人蔘), 황기(黃芪), 감초(甘草), 계지(桂枝), 부자(附子), 강활(羌活), 방풍

(防風), 천궁(川芎), 백작(白芍), 세신(細辛), 대조(大棗), 생강(生姜).

⒀ 증상 : 음허지체(陰虛之体) 감수외사(感受外邪).- 두통신열(頭痛身熱) 미오풍한(微惡風寒)

해수인건(咳嗽咽乾) 무한(无汗) 혹 한불다(汗不多),구갈심번(口渴心煩) 설홍(舌紅)

맥삭(脈數).

방 : 가감위유탕(加減葳蕤湯)《通俗傷寒論》해표제(解表劑)

≒ 위유(葳蕤), 총백(葱白), 두시(豆豉), 박하(薄荷), 길경(桔梗), 백미(白薇),

감초(甘草), 대조(大棗).

⒁ 증상 : 외감초기(外感初起).- 오한발열(惡寒發熱) 무한(无汗) 두통비색(頭痛鼻塞) 맥부(脈

浮)

방 : 총시탕(葱豉湯)《肘后方》해표제(解表劑)

1) ≒ 총백(葱白) 두시(豆豉). - 약복후무한(若服后无汗),

방 : 2) 가(加) 갈근(葛根) 승마(升麻). - 약재불한(若再不汗),

방 : 3) 갱가(更加) 마황(麻黃).

⒂ 증상 : 태양병초기(太陽病初起).- 발열오한(發熱惡寒) 무한(无汗) 두항요배통(頭項腰背痛)

맥부긴(脈浮緊).

방 : 활인총시탕(活人葱豉湯)《類證活人書》해표제(解表劑)

조성 ≒ 총백(葱白), 두시(豆豉), 마황(麻黃), 갈근(葛根).

⒃ 증상 : 병후(病后), 음혈휴허(陰血虧虛) 혹 실혈지후(失血之后), 복감외사(復感外邪).- 두통

발열(頭痛發熱) 미오풍한(微惡風寒) 무한(无汗) 맥부(脈浮).

방 : 총백칠미음(葱白七味飮)《外台秘要》해표제(解表劑)

≒ 총백(葱白), 생강(生姜), 맥동(麥冬), 생지황(生地黃), 두시(豆豉), 건갈(乾

渴), 천양수(千揚水).

⒄ 숙유담음(宿有痰飮) 복감풍한(復感風寒).- 해수담다(咳嗽痰多) 발열오한(發熱惡寒) 태백

니(苔白膩) 맥부활(脈浮滑).

방 : 금비초산(金沸草散)《南陽活人書》거담제(祛痰劑)

⒅ 풍한감모(風寒感冒).- 사지구권(四肢拘倦) 해수담다(咳嗽痰多) 흉만기단(胸滿氣短).

방 : 삼요탕(三坳湯)《和劑局方》거담제(祛痰劑)

풍한범폐증(風寒犯肺證) - 감모(感冒)

臨床 : 감모병(感冒病)에 나타나는 풍한범폐증(風寒犯肺證)의 임상특징은 코가 막히고 목

소리가 무거우며(鼻塞聲重), 재채기와 기침을 하고(噴嚔咳嗽), 가래가 엷고 묽으며

(痰質稀薄), 머리와 몸이 아프고(頭痛身痛), 목구멍이 헐고 땀을 많이 흘리며(喉痒

汗多), 열이 나고 바람을 싫어하며(惡風發熱), 맑은 콧물을 흘리는(流淸涕) 등 이는

풍한의 사기가 체표에 침습하여(風寒束表), 폐기가 순통하는 기능을 잃고(肺氣失

宣), 코가 막힌 것이다(上竅不利).

治宜 : 신온해표(辛溫解表), 선폐산한(宣肺散寒).

方用 :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외과리예(外科理例)》

≒ 형개(荊芥), 방풍(防風), 강활(羌活), 독활(獨活), 시호(柴胡), 전호(前胡),

천궁(川芎), 지실(枳實), 인삼(人蔘), 복령(茯苓), 길경(桔梗), 감초(甘草).

비폐기허증(脾肺氣虛證)

臨床 : 비폐기허증(脾肺氣虛證)인 사람이 감모(感冒)에 걸린 것을 보게되는 경우는 늙고

몸이 약하며(年高体弱), 큰 병을 앓고 난 직후(大病初愈)거나 이런 저런 병으로 오

래 동안 앓고 지내거나(久病纏綿), 부녀자(婦女子)가 산후에 정기가 아직 회복되지

못한 사람(正氣未復者)에게서 대부분 보게 된다. 비기가 부족(脾氣不足)한 것은 기

가 생화하는 원천이 핍패(氣乏生化之源)한 때문이고, 폐기가 부족(肺氣不足)하여

호흡이 짧고 숨이 차며(少氣短氣), 체표의 위기가 견고하지 못한(表衛不固) 때문에

외사에 극히 쉽게 감수되어(極易外感) 풍한(風寒)에 의한 감모(感冒)에 걸리게 되면

발열(發熱), 오한(惡寒), 두신동통(頭身疼痛), 설태박백(舌苔薄白), 맥부(脈浮) 등 풍

한에 의해 체표가 묵인(風寒束表) 증상(症狀)이 일어나는 이외에 땀을 절로 흘리고

(自汗), 호흡이 짧고(短氣), 권태(倦怠)로우며, 맥은 힘을 주어 눌러야 짚이는 삼부

맥이 무력(脈虛无力)한 등 폐비기허(肺脾氣虛, 주로 肺氣不足)의 표현을 한다. 만

약 담음(痰飮)을 겸하여 해수담백(咳嗽痰白)하면

治宜 : 익기해표(益氣解表), 선폐화담(宣肺化痰).

方用 : 삼소음(參蘇飮)《화제국방(和劑局方)》

≒ 인삼(人蔘), 자소엽(紫蘇葉), 갈근(葛根), 전호(前胡), 길경(桔梗), 지각(枳殼),

반하(半夏), 진피(陣皮), 복령(茯苓), 목향(木香),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

조(大棗).

만약 위기불고(衛氣不固)하여 자한(自汗)을 많이 하고, 항상 감모(感冒)에 잘 걸리면

治宜 : 익기고표(益氣固表), 탁사외출(托邪外出), 거풍지한(祛風止汗)

方用 : 옥병풍산(玉屛風散)《단계심법(丹溪心法)》

≒ 방풍(防風), 황기(黃芪), 백출(白朮).

기가 심하게 부족한 사람은(氣虛甚者)

方用 :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비위론(脾胃論)》

≒ 황기(黃芪), 인삼(人蔘), 백출(白朮), 당귀신(當歸身), 승마(升麻), 시호

(柴胡), 진피(陣皮), 자감초(炙甘草).


2) 외감풍한(外感風寒) 표허증(表虛證)

⑴ 증상 : 두통발열(頭痛發熱) 한출오풍(汗出惡風) 비명건구(鼻鳴乾嘔) 불갈(不渴) 태백(苔白)

맥부완(脈浮緩) 혹 부약(浮弱)

방 : 계지탕(桂枝湯)《傷寒論》해표제(解表劑)

≒ 계지(桂枝)9, 작약(芍葯)9, 자감초(炙甘草)6, 생강(生姜)9, 대조(大棗)3~12

매(枚).

⑵ 증상 : 외감풍한(外感風寒) 내유담습(內有痰濕) 두통비색(頭痛鼻塞) 해수담다(咳嗽痰多)

흉격비민(胸膈痞悶) 태백(苔白) 맥약(脈弱).

방 : 삼소음(蔘蘇飮)《和劑局方》해표제(解表劑)

≒ 인삼(人蔘) 소엽(蘇葉) 진피(陣皮) 반하(半夏) 복령(茯苓) 감초(甘草) 지각(枳

殼) 길경(桔梗)) 목향(木香) 전호(前胡) 갈근(葛根).

⑶ 증상 : 비위허한(脾胃虛寒) 이겸유(而兼有) 감모풍한(感冒風寒)적 증후(證候)

방 : 계지인삼탕(桂枝人蔘湯)《傷寒論》온리제(溫里劑)

3) 외감풍열(外感風熱)

⑴ 증상 : 풍온초기(風溫初起).- 두통발열(頭痛發熱) 미오풍한(微惡風寒) 무한(无汗) 혹 유한

불다(有汗不多), 심번구갈(心煩口渴) 해수인동(咳嗽咽疼) 맥부삭(脈浮數).

방 : 총시길경탕(葱豉桔梗湯)《通俗傷寒論》해표제(解表劑)

≒ 총백(葱白) 두시(豆豉) 길경(桔梗) 박하(薄荷) 죽엽(竹葉) 산치(山梔) 감

초(甘草) 연교(連翹).

⑵ 증상 : 온병초기(溫病初起) 풍열표증(風熱表證).- 발열(發熱) 미오풍한(微惡風寒) 구갈(口

渴) 설홍(舌紅) 태박백(苔薄白) 맥부삭(脈浮數).

치 : 신양투표(辛凉透表) 청열해독(淸熱解毒)

방 : 은교산(銀翹散)《溫病條辨》해표제(解表劑)

≒ 은화(銀花)9, 연교(連翹)9, 형개수(荊芥穗)5, 두시(豆豉)5, 죽엽(竹葉)4, 길경

(桔梗)6, 위근(葦根) 하엽(荷葉)6, 우방자(牛蒡子)9, 감초(甘草)5.

⑶ 증상 : 양명온병(陽明溫病).- 하후무한(下后无汗) 맥부(脈浮).

방 : 은교탕(銀翹湯)《溫病條辨》해표제(解表劑)

≒ 은화(銀花) 연교(連翹) 생지황(生地黃) 맥동(麥冬) 죽엽(竹葉) 감초(甘草).

⑷ 증상 : 풍온초기(風溫初起).- 해수(咳嗽), 신열불심(身熱不甚) 구미갈(口微渴).

방 : 상국음(桑菊飮)《溫病條辨》해표제(解表劑)

≒ 상엽(桑葉)7.5, 국화(菊花)3, 박하(薄荷)2.5, 행인(杏仁)6, 길경(桔梗)6, 연교

(連翹)5, 감초(甘草)2.5, 선위근(鮮葦根)6.

⑸ 풍열표증(風熱表證). 방 : 계소산(鷄蘇散)《傷寒直格》거서제(祛暑劑)

온사침습폐위증(溫邪侵襲肺衛證)

臨床 : 본증에서 볼 수 있는 감모(感冒)는 갑자기 나타나는 유행성 감기로써 발병이 더욱

빠르고(其發病快), 또 전염성이 있으며(且有傳染性), 남녀노소가 모두 걸릴 수 있는

병이다(皆可罹病). 전신증상은 비교적 밝게 드러난다(較爲明顯)., 발열(發熱), 오풍

한(惡風寒), 두통(頭痛), 비색류체(鼻塞流涕), 해수인통(咳嗽咽痛)등 증상을 보이고,

설태는 누렇고 얇으며(苔薄黃), 맥은 가볍게 눌러도 짚이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맥이다(脈浮數). 이는 풍열(風熱) 객사(客邪)가 폐위(肺衛)를 침습함

으로 말미암아 정기와 사기가 서로 다툼으로(正邪相爭), 폐가 설발과 숙강 기능을

잃었기(肺失宣肅) 때문이다.

治宜 : 청열해독(淸熱解毒), 거풍해표(祛風解表).

方用 : 은교산(銀翹散)《온병조변(溫病條辨)》

≒ 은화(銀花), 연교(連翹), 우방자(牛蒡子), 길경(桔梗), 박하(薄荷), 죽엽(竹葉),

형개수(荊芥穗), 두시(豆豉), 감초(甘草), 노근(蘆根).

或 :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외과리예(外科理例)》가감(加减)

≒ 형개(荊芥), 방풍(防風), 강활(羌活), 독활(獨活), 시호(柴胡), 전호(前胡),

천궁(川芎), 지실(枳實), 인삼(人蔘), 복령(茯苓), 길경(桔梗), 감초(甘草).

풍열습폐증(風熱襲肺證)

臨床 : 감모병(感冒病)에 나타나는 풍열습폐증(風熱襲肺證)의 임상특징은 열이 나고(發

熱), 바람과 추위를 싫어하며(微惡風寒), 탁한 콧물을 흘리고 코가 막히며(鼻塞涕

濁), 목이 마르고 갈증이 나며(口乾而渴), 목구멍이 붉게 붓고 욱신거리며 아프다

(咽喉紅腫疼痛)., 기침을 하고(咳嗽), 누런 가래가 빽빽한 것이 끈끈하며(痰黃粘稠),

태는 누렇고 얇으며(苔薄黃), 맥은 약간 눌러도 짚이고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浮數)., 이는 상초가 풍열을 받아(風熱上受), 폐가 깨끗하

게 숙강을(肺失淸肅)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엽천사(葉天士)가《외감온열편(外感溫

熱篇)》에서 “溫邪上受(온사상수), 首先犯肺(수선범폐).” 라 하였다.

治宜 : 신량해표(辛凉解表), 청폐투열(淸肺透熱).

方用 : 은교산(銀翹散)《온병조변(溫病條辨)》해표제(解表劑)

≒ 은화(銀花), 연교(連翹), 우방자(牛蒡子), 길경(桔梗), 박하(薄荷), 죽엽(竹葉),

형개수(荊芥穗), 두시(豆豉), 감초(甘草), 노근(蘆根).- 수전복(水煎服)

4) 외감조사(外感燥邪)

⑴ 외감양조(外感凉燥).- 두미통(頭微痛) 오한무한(惡寒无汗) 해수담희(咳嗽痰稀) 비색익색

(鼻塞嗌塞) 태백(苔白) 맥현(脈弦).

방 : 행소산(杏蘇散)《溫病條辨》치조제(治燥劑)

5) 서습감모(暑濕感冒)

⑴ 新加香薷飮(신가향유음)

加 偑蘭(풍란), 荷葉(하엽), 西瓜翠衣(서과취의), 滑石(활석), 甘草(감초).

⑵ 서온초기(暑溫初起) 모서감한(冒暑感寒)

방 : 신가향유음(新加香薷飮)《溫病條辨》거서제(祛暑劑)

⑶ 중서(中暑) 협습지음서증(挾濕之陰暑證).- 하월상냉수(夏月傷冷水), 신열동중(身熱疼重)

맥미약(脈微弱).

방 : 일물과체탕(一物瓜蒂湯)《金匱要略》거서제(祛暑劑)

⑷ 서습(暑濕).- 신열한출(身熱汗出) 심번구갈(心煩口渴) 소변단적(小便短赤)

방 : 육일산(六一散)《傷寒標本》거서제(祛暑劑)

⑸ 기허서습(氣虛暑濕).- 신열두통(身熱頭痛) 구갈자한(口渴自汗) 사지곤권(四肢困倦) 납매

(納呆) 흉만신중(胸滿身重) 대변당박(大便溏薄) 소변단적(小便短赤) 태니(苔膩) 맥허(脈

虛). 방 :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脾胃論》거서제(祛暑劑)

⑹ 서열상진모기(暑熱傷津耗氣).- 신열다한(身熱多汗) 구갈심번(口渴心煩) 체권소기(體倦少

氣) 맥허삭(脈虛數).

방 :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溫熱經緯》거서제(祛暑劑)

⑺ 중서수습(中暑受濕).- 두통발열(頭痛發熱) 번갈인음(煩渴引飮) 소변불리(小便不利) 혹 곽

란토사(霍亂吐瀉) 완민심번(脘悶心煩) 설태황니(舌苔黃膩) 맥유삭(脈濡數). 방 : 계령감로

산(桂苓甘露散)《宣明論》거서제(祛暑劑)

⑻ 서열협습(暑熱挾濕), 범우폐위지모서증(犯于肺衛之冒暑證), 두운(頭暈) 한열한출(寒熱汗

出) 해수(咳嗽) 태박미니(苔薄微膩).

방 : 뢰씨청양척서법(雷氏淸凉滌暑法)《時病論》거서제(祛暑劑)

⑼ 서상폐경(暑傷肺經).- 신열구갈(身熱口渴) 두목불청(頭目不淸) 병사경천(病邪輕淺).

방 : 청락음(淸絡飮)《溫病條辨》거서제(祛暑劑)

⑽ 복서(伏暑).- 열재심영(熱在心營) 하이소장(下移小腸), 발열(發熱) 일경야중(日輕夜重), 심

번불매(心煩不寐) 구건(口乾) 갈불욕음(渴不欲飮) 소변단적열통(小便短赤熱

痛) 설강(舌絳) 맥삭(脈數).

방 : 도적청심탕(導赤淸心湯)《通俗傷寒論》거서제(祛暑劑)

⑾ 복서사(伏暑邪) 결장부(結腸腑).- 흉복작열(胸腹灼熱) 구오(嘔惡) 변당불상(便溏不爽) 색

황여장(色黃如醬) 색황구니(色黃垢膩) 맥유삭(脈濡數).

방 : 지실도체탕(枳實導滯湯)《通俗傷寒論》거서제(祛暑劑)

6) 感冒挾燥(감모협조)

桑杏湯(상행탕)

≒ 상엽(桑葉), 행인(杏仁), 사삼(沙蔘), 상패모(象貝母), 두시(豆豉), 치자피(梔子皮), 이피

(梨皮). 加 銀花(은화), 連翹(연교), 貝母(패모), 山梔(산치), 大靑葉(대청엽).

7) 內傷感冒(내상감모)

⑴ 氣虛感冒(기허감모) : 參蘇飮(삼소음)

⑵ 陽虛感冒(양허감모) : 麻黃附子細辛湯(마황부자세신탕)

加 桂枝(계지), 黃芪(황기), 黨參(당삼), 炙甘草(자감초).

⑶ 血虛感冒(혈허감모) : 葱白七味飮(총백칠미음)

⑷ 陰虛感冒(음허감모) : 加减葳蕤湯(가감위유탕) (위유 = 玉竹)

⑸ 時行感冒(시행감모) : 柴葛解肌湯(시갈해기탕)


8) 四時感冒(사시감모)

⑴ 荊芥(형개) + 防風(방풍). 治 發熱惡寒(발열오한), 无汗(무한), 鼻塞聲重(비색성중), 頭身疼

痛(두신동통) 등

⑵ 증상 : 두통항강(頭痛項强) 비색류체(鼻塞流涕) 신체동통(身體疼痛)발열오한(發熱惡寒)

혹 오풍무한(惡風无汗) 설태박백(舌苔薄白) 맥부(脈浮).

방 :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醫學心悟》해표제(解表劑)

≒ 자소엽(紫蘇葉) 향부(香附) 진피(陣皮) 감초(甘草) 형개(荊芥) 방풍(防

風) 만형자(蔓荊子) 대천궁(大川芎) 진교(秦艽) 생강(生姜).

⑶ 증상 : 풍한(風寒), 오한발열(惡寒發熱) 두통무한(頭痛无汗) 맥부(脈浮)

방 : 신백산(神白散)《衛生家寶》해표제(解表劑)

≒ 백지(白芷) 생강(生姜) 총백(葱白) 감초(甘草) 두시(豆豉).

9) 임부감모(姙婦感冒)

⑴ 증상 : 임부상한(姙婦傷寒)

방 : 향소총시탕(香蘇葱豉湯)《通俗傷寒論》해표제(解表劑)

≒ 총시탕(葱豉湯) 합(合) 향소산(香蘇散).

총백(葱白) 두시(豆豉) 향부자(香附子) 자소엽(紫蘇葉) 자감초(炙甘草)

진피(陣皮).


6. 民方

1) 感氣 頭痛 : 질경이(20-30g)를 진하게 달여서 하루 세 번(2-3일) 밥먹기 전에 마시면 대개

낫는다.

2) 感氣 : 葛根湯(갈근탕) 3) 잦은 감기

① 甘草附子湯(감초부자탕)

② 補中益氣湯(보중익기탕)

≒ 人參(인삼), 白朮(백출), 當歸(당귀), 黃芪(황기), 陳皮(진피), 甘草(감

초), 乾姜(건강), 大棗(대조), 柴胡(시호), 升麻(승마).

3) 感氣

① 桂枝麻黃各半湯(계지마황각반탕) ≒ 桂枝(계지), 芍葯(작약), 甘草(감초), 生姜(생강), 大

棗(대조), 麻黃(마황), 杏仁(행인).

② 大靑龍湯 ≒ 麻黃(마황), 桂枝(계지), 生姜(생강), 杏仁(행인), 石膏(석고), 甘草(감초), 大

棗(대조).

③ 麻黃附子細辛湯(마황부자세신탕) ≒ 麻黃(마황), 附子(부자), 細辛(세신).

④ 麻黃湯(마황탕) ≒ 麻黃(마황), 杏仁(행인), 桂枝(계지), 甘草(감초).

⑤ 麥門冬湯(맥문동탕) ≒ 麥門冬(맥문동), 半夏(반하), 人參(인삼), 甘草(감초), 粳米(갱미),

大棗(대조).

⑥ 小靑龍湯(소청용탕) ≒ 半夏(반하), 麻黃(마황), 甘草(감초), 桂枝(계지), 芍葯(작약), 細辛

(세신), 五味子(오미자), 乾姜(건강).

⑦ 柴胡桂枝湯(시호계지탕) ≒ 柴胡(시호), 桂枝(계지), 半夏(반하), 黃芩(황금), 甘草(감초),

人參(인삼), 芍葯(작약), 生姜(생강), 大棗(대조).

⑧ 五積散(오적산) ≒ 當歸(당귀), 川芎(천궁), 茯苓(복령), 白朮(백출), 芍葯(작약), 甘草(감

초), 陳皮(진피), 厚朴(후박), 枳實(지실), 大棗(대조), 生姜(생강), 半夏

(반하), 麻黃(마황), 白芷(백지), 桂枝(계지), 桔梗(길경).

⑨ 越婢加半夏湯(월비가반하탕) ≒ 麻黃(마황), 石膏(석고), 大棗(대조), 甘草(감초), 生姜(생

강), 半夏(반하).

⑩ 竹茹溫痰湯(죽여온담탕) ≒ 竹茹(죽여), 柴胡(시호), 茯苓(복령), 生姜(생강), 半夏(반하),

桔梗(길경), 陳皮(진피), 香附子(향부자), 枳實(지실), 黃連

(황련), 甘草(감초), 人參(인삼).

⑪ 香蘇散(향소산) ≒ 香附子(향부자), 陳皮(진피), 蘇葉(소엽), 甘草(감초), 生姜(생강).

⑫ 華蓋散(화개산) ≒ 麻黃(마황), 杏仁(행인), 蘇子(소자), 桑白皮(상백피), 陳皮(진피), 茯苓

(복령), 甘草(감초).









49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Israel

臨床 363 /♧ 痔(치) - 痔疾(치질)

1 槪念(개념) 882 人体直腸末端粘膜下和(인체직장말단점막하화) 肛管皮膚下(항관피부하) 靜脈叢發生擴張和 (정맥총발생확장화) 屈曲所

臨床 362 / 耳部 3. 耳眩暈(이현운) ♧

耳眩暈(이현운) 1 槪念(개념) 1251 眩暈是目眩頭暈(현운시목현두운), 卽眼花潦亂(즉안화요란), 頭部旋轉不定的病證(두부선전 부정적병증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