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의방 95 竹茹湯 - 增益歸茸元

Aktualisiert: 29. Aug. 2019




醫方集成

죽여탕(竹茹湯)《普濟本事方》

청열제(淸熱劑) - 증익귀용원(增益歸茸元)《得効(득효)》

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죽여탕(竹茹湯)《普濟本事方》청열제(淸熱劑)

조성 ≒ 죽여(竹茹), 생강(生姜), 대조(大棗), 반하(半夏), 생감초(生甘草), 건갈(乾渴).

주치 : 위(胃)에 열(熱)이 쌓여 위기(胃氣)가 상역(上逆)하므로 일어나는 구토병(胃中積

熱) (上冲嘔吐).- 음식을 먹으면 곧 토하고(食已卽吐), 목이 마르며 입에서 냄새가

나고 (口臭而渴), 혀의 태가 누렇고(苔黃), 맥은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

며 빠르다(脈數).

죽여탕(竹茹湯)《万氏女科》卷二

조성 ≒ 人參(인삼), 麥冬(맥동), 茯苓(복령), 炙甘草(자감초) 各3, 小麥(소맥)30, 靑竹茹(청

죽여) 10., 生姜(생강)3片, 大棗(대조)5枚.- 水煎 食后服

효용 : 益氣養陰(익기양음), 寧心安胃(영심안위).

주치 : 孕婦(잉부) 心虛驚恐(심허경공), 臟燥悲泣(장조비읍).

죽엽사경탕(竹葉瀉經湯)《原機啓微》치목제(治目劑)

조성 ≒ 죽엽(竹葉), 치자(梔子), 황금(黃芩), 황연(黃連), 대황(大黃), 차전자(車前子), 복령

(茯苓), 택사(澤瀉), 초결명(草決明), 적작(赤芍), 강활(羌活), 승마(升麻), 시호(柴

胡), 감초(甘草). - 십사미약조성(十四味葯組成)

효용 : 청심이습(淸心利濕)

주치 : 심비습열(心脾濕熱)의 루정(漏睛).- 대자두(大眦頭) 미홍조습(微紅潮濕) 농액침지

(膿液浸漬) 식지우생(拭之又生) 소변황적(小便黃赤) 설태황니(舌苔黃膩).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傷寒論》청열제(淸熱劑) - 청기분열(淸氣分熱)

조성 ≒ 죽엽(竹葉)15, 석고(石膏)30, 반하(半夏)9, 맥동(麥冬)15, 인삼(人蔘)5, 감초(甘

草)3, 갱미(粳米)15.

효용 : 청열생진(淸熱生津), 익기화위(益氣和胃).

주치 : 1) 상한(傷寒) 온열(溫熱) 서병(暑病) 후에 여열(餘熱)이 미청(未淸)되고 기진(氣

津)의 양상(兩傷)으로, 신열다한(身熱多汗) 심흉번민(心胸煩悶) 기역욕구(氣逆

欲嘔) 구건희음(口乾喜飮) 또는 허번불침(虛煩不寢) 설홍태소(舌紅苔少) 맥허

삭(脈虛數).

2) 만약 사열이 남아 있어서(邪熱未盡), 기음을 모상한(氣陰耗傷) 환자는

3) 서열상진(暑熱傷津) 위음부족(胃陰不足) 자(者) 역시 본방을 응용한다.

4) 구토(嘔吐) - 위열증(胃熱證) 去 인삼(人參), 加 대자석(代赭石).

죽엽유방탕(竹葉柳蒡湯)《先醒齋醫學廣筆記》영아제(嬰兒劑)

조성 ≒ 죽엽(竹葉), 서하유(西河柳), 우방(牛蒡), 원삼(元參), 백호탕(白虎湯, 석고(石膏),

지모(知母), 갱미(粳米), 감초(甘草)) 형개(荊芥), 갈근(葛根), 선의(蟬衣), 박하(薄

荷), 맥동(麥冬).- 십삼미조성(十三味組成)

주치 : 사진(痧疹) 인(因) 열독내옹(熱毒內壅) 투발불출(透發不出).- 사진투발불출(痧疹透發不出) 천해(喘咳) 번민조난(煩悶躁亂).

죽엽탕(竹葉湯)《金匱要略》경산제(經産劑)

조성 ≒ 죽엽(竹葉), 갈근(葛根), 방풍(防風), 계지(桂枝), 감초(甘草), 길경(桔梗), 인삼(人

蔘), 부자(附子), 생강(生姜), 대조(大棗).

주치 : 산후중풍(産后中風) 겸양허자(兼陽虛者).- 산후발열(産后發熱) 두통(頭痛), 무한

오한(无汗惡寒) 면정적(面正赤) 천식불안(喘息不安) 맥침이무력(脈沉而无力) 혹

(或) 부대이허(浮大而虛).

죽엽황기탕(竹葉黃芪湯)《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죽엽(竹葉), 황기(黃芪), 사물탕(四物湯, 천궁(川芎), 당귀(當歸), 백작(白芍), 생지

황(生地黃)) 인삼(人蔘), 황금(黃芩), 석고(石膏), 반하(半夏), 맥동(麥冬), 감초(甘

草)., 생강(生姜), 정심(灯心).

주치 : 옹저(癰疽) 발배(發背) 정종음허자(疔腫陰虛者).- 표리열심(表里熱甚) 구건대갈

(口乾大渴).

죽엽황기탕(竹葉黃芪湯)《醫宗金鑑》

조성 ≒ 人參(인삼), 黃芪(황기), 煅石膏(단석고), 炙半夏(자반하), 麥冬(맥동), 白芍(백

작), 川芎(천궁), 當歸(당귀), 黃芩(황금), 生地(생지), 甘草(감초), 竹葉(죽엽), 生姜

(생강), 燈芯(등심). - 水煎服(수전복)

효용 : 滋陰(자음), 生津(생진), 淸熱(청열).

주치 : 乳頭疽(유두저) 屬(속) 陰液不足(음액부족) 熱甚口渴者(열심구갈자).

죽피대환(竹皮大丸)《金匱要略》卷下, 경산제(經産劑)

조성 ≒ 죽피(竹皮, 竹茹)15, 백미(白薇)7.5, 감초(甘草)18, 석고(石膏)15, 계지(桂枝)7.5,

조육(棗肉).

六味組成 : 上五味 爲末, 棗肉和丸, 如彈子大. 以飮服 1 丸, 日 3, 夜 2 服.

효용 : 청열지구(淸熱止嘔), 안중익기(安中益氣).

주치 : 1) 산후허열번구(産后虛熱煩嘔).- 산후기혈허약(産后氣血虛弱) 허열(虛熱), 소기

무력(少氣无力), 심번불안(心煩不安), 오심구토(惡心嘔吐) 번란구역(煩亂嘔逆),

맥 삭이무력(脈數而无力) 설태미황(舌苔微黃)

2) 정실온열(精室蘊熱)의 不育症(불육증)

【加减】有熱者(유열자) : 倍加 白薇(백미). 頻喘者(빈천자) : 加 枳實(지실) 7.5 克.

3) 肝陰不足(간음부족), 火擾心神(화요심신)에 의한 臟躁(장조, 癔病(억병))

【臨證擧例】《中醫雜志》1986. 6 : 43

① 郭某某 男 26 歲. 1977年 8月 19日 診. 婚后 2 年无子. 經檢査 精子成活率

爲 30~40 %, 身體健壯 性生活正常, 惟自覺 有時發熱 頭暈 舌淡紅 苔略黃

脈滑數. 此爲過服 溫燥峻補之品, 造成 精室蘊熱, 精子被灼(피작), 致使 精

子成活率大降. 治用本方 連服 9 劑以獲效, 其妻已孕.

② 孫某某 女 40 歲. 1972 年 2 月 23 日診. 患者于前年因驚恐, 受氣而出現

精 神恍惚, 時悲時喜 悲時哭泣不止, 喜時大笑不已, 時而黙黙 不欲飮食, 心

煩喜嘔 喜居暗處 失眠多夢, 面色黃 舌質葯烘 苔薄白 脈弦數. 屬肝火灼陰

神明被擾. 予以淸熱舒肝 調和胃氣. 用本方 3 劑 病愈.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蘭室秘藏》

조성 ≒ 천오(川烏), 택사(澤瀉), 황련(黃連), 인삼(人蔘), 청피(靑皮), 당귀(當歸), 생강 (生

姜), 마황(麻黃), 시호(柴胡), 건강(乾姜), 비징가(비澄茄), 익지인(益智仁), 반하(半

夏), 복령(茯苓), 목향(木香), 승마(升麻), 황기(黃芪), 오수유(吳茱萸), 후박(厚朴),

초두구인(草豆寇仁), 황백(黃柏).

중만분소환(中滿分消丸)《蘭室秘藏》거습제(祛濕劑)

조성 ≒ 후박(厚朴), 지실(枳實), 황련(黃連), 황금(黃芩), 지모(知母), 반하(半夏), 귤피(橘

皮), 복령(茯苓), 저령(猪苓), 택사(澤瀉), 사인(砂仁), 건강(乾姜), 강황(姜黃), 인삼

(人蔘), 백출(白朮), 감초(甘草).

효용 : 청리습열(淸利濕熱), 공하축수(攻下逐水).

주치 : 1) 열창(熱脹).- 완복창만(脘腹脹滿) 이변불이(二便不利) 설태황후(舌苔黃厚) 맥삭

(脈數).

2) 고창(臌脹) - 비위습열증(脾胃濕熱證).

중화탕(中和湯)《醫宗金鑑》구치제(口齒劑)

조성 ≒ 인삼(人蔘), 황기(黃芪), 백출(白朮), 감초(甘草), 당귀(當歸), 백작(白芍), 천궁궁

(川芎窮), 맥동(麥冬), 곽향(藿香), 유육계(油肉桂), 길경(桔梗), 백지(白芷), 생강

(生姜), 대조(大棗).

《方解》 人蔘, 黃芪, 白朮, 當歸, 白芍, 大棗, 甘草, 川芎 : 보기보혈(補氣補血), 배

원부정(培元扶正).

白芷 桔梗 : 배농(排膿).

川芎 當歸 : 화혈(和血), 활혈(活血).

肉桂 生姜 : 온중(溫中).

주치 : 기혈휴허(氣血虧虛)지 골조풍(骨槽風).- 궤구일구불유(潰口日久不愈) 류농청희

(流膿淸稀) 부골형성(腐骨形成) 궤구노출(潰口露出); 신유미열(身有微熱) 두혼목

현(頭昏目眩) 정신곤권(精神困倦) 식소(食少)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세약(脈細

弱).

증색산(增色散)《經驗方》

조성 ≒ 雄黃(웅황), 硫黃(유황), 雌黃(자황), 密陀僧(밀타승), 冰片(빙편), 麝香(사향), 斑蝥

(반모).

- 分別硏極細末, 兌入混勻, 甁貯, 勿令泄氣.- 用新鮮茄蔕, 或黃瓜, 胡蘿卜等任選

一 種, 蘸葯末 外搽 損害區, 日 2~3 次.

§ 注意事項 : 皮膚粘膜交界部位 愼用, 頭面部則用 米醋調搽.

효용 : 調和氣血(조화기혈) 刺激色素(자격색소)

주치 : 白駁風(백박풍), 脫色斑(탈색반) 等.

증손삼재환(增損三才丸)《醫學綱目》

조성 ≒ 天門冬(천문동, 酒浸, 去心), 熟地黃(숙지황, 酒蒸), 人蔘(인삼), 遠志肉(원지육),

五味子(오미자), 茯苓(복령, 酒浸), 鹿角(녹각, 酥炙) 各等分.

上爲細末, 煉蜜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50 丸, 空腹時 用好酒送下.

효용 : 補氣養陰(보기양음), 寧心益腎(영심익신).

주치 : 婦人(부인) 体瘦无血(체수무혈), 不孕(불잉).

加减 - 相火不足者(상화부족자) : 加 백마경(白馬莖) 혹 부자(附子).

氣力虛弱者(기력허약자) : 加 맥문동(麥門冬).

筋骨痿軟者(근골위연자) : 加 천단(川斷).

下焦虛冷者(하초허냉자) : 加 침향(沉香).

年長欲補者(연장욕보자) : 加 자하차(紫河車) 1 具.

증손약령탕(增損葯令湯)《得効》

조성 ≒ 半夏(반하) 一錢半(일전반), 黃芪(황기), 人蔘(인삼), 橘皮(귤피), 白茯苓(백복령),

當歸(당귀), 桂心(계심), 細辛(세신), 前胡(전호), 麥門冬(맥문동), 白芍葯(백작약),

甘草(감초) 各七分(각칠분), 炮附子(포부자), 熟地黃(숙지황) 各三分半(각삼분반),

遠志(원지) 二分(이분). 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생강) 三片(삼편), 大棗

(대조) 二枚(이매)를 넣어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虛勞(허로)에 陽氣(양기)가 부족한 症(증)을 다스린다.

증신탕(拯腎湯)《羅氏會約醫鏡》卷二

조성 ≒ 熟地(숙지)12, 山茱肉(산수육), 山葯(산약), 枸杞子(구기자), 杜仲(두중, 鹽水炒),

巴戟肉(파극육) 各4.5, 茯苓(복령)3, 五味子(오미자)0.9, 補骨脂(보골지, 鹽水

炒)3. 水煎服. 服完有效 可按以上分量 加 20 倍, 再加 菟絲子(酒蒸)120 克, 靑鹽

15 克, 煉蜜爲丸. 每服 21~24 克, 空腹時 淡塩湯 送下.

효용 : 養陰補腎(양음보신).

주치 : 腎陰虛(신음허) 玉莖隱痛(옥경은통) 神昏身倦(신혼신권).

증액승기탕(增液承氣湯)《溫病條辨》공축제(攻逐劑) = 사하제(瀉下劑)

조성 ≒ 현삼(玄參), 맥문동(麥門冬), 생지황(生地黃), 대황(大黃), 망초(芒硝).

효용 : 공하여구음(攻下與救陰)

주치 : 1) 양명부실(陽明腑實) 겸(兼) 음액휴손(陰液虧損).- 신열(身熱) 복만변비(腹滿便

秘) 구건(口乾) 순열(唇裂) 설태초조(舌苔焦燥) 변증의거(辨證依据).

2) 평소에 위장에 적체(積滯)가 있는 사람이, 결열(結熱)하며, 온병질환 후기에(患

溫病后), 양쪽의 열이 서로 합하며(兩熱相合), 열체호결(熱滯互結)하면, 극히 쉽

게 양명경에 리실증을 조성(極易造成, 陽明里實)하므로, 부기가 불통(腑氣不

通)하는 현상(現象)이 나타난다. 열이 출로가 없게 됨으로써(致使熱无出 路), 점

점 변결(便結)을 형성하게 된다. 화(火)가 더욱 성해지면(火愈盛) 음 (陰)이 더욱

상하는(陰愈傷) 악성순환(惡性循環) 현상이다.

이 증후의 특점은 발병이 오래지 않은(發病不久) 즉 복만경통(腹滿硬痛)하며,

변결불행(便結不行)하고, 신체는 장열불퇴(身体壯熱不退)하며, 혹 심하면 조열

섬어(潮熱譫語)하고, 설태노황(舌苔老黃)하거나 혹은 황후(黃厚) 등 실열징상

(實熱徵象)이 있고 동시에 역시 점차 구갈순열(口渴脣裂)하고, 설조소진(舌燥

少津)하며, 맥세무력(脈細无力) 등 음액모상(陰液耗傷)의 상(象)을 보는데 이

는 “반실반허(半實半虛)”에 속하는 허실래잡(虛實來雜)이므로 공하(攻下)와 구

음(救陰)을 겸시(兼施)해야 한다.

증액탕(增液湯)《溫病條辨》치조제(治燥劑)

조성 ≒ 玄參(현삼), 麥冬(맥동), 生地黃(생지황).- 水煎服(수전복)

효용 : 養陰增液(양음증액), 증수행주(增水行舟).

주치 : 1) 瘡瘍(창양) 皮膚病(피부병) 陰液受損(음액수손).

2) 양명온병(陽明溫病) 진액부족(津液不足) 환자 - 대변비결(大便秘結) 구갈(口渴)

설건홍(舌乾紅) 맥세삭(脈細數) 혹 침이유력(沉而有力).

3) 液干便結證(액간변결증)

⑴ 온병(溫病) 후기(后期)에, 왕성했던 열사(邪熱太盛)를 말끔히 청제(淸除)할

수 없을 때에 사열이 증작(邪熱蒸灼)하게 되어, 상진모액(傷津耗液)하며, 위

장이 고조(胃腸枯燥)하고, 수송이 불리(輸送不利)하여, 조박이 정결(糟粕停

結)되는 “无 水舟停(무수주정)”이 출현하는 현상에 이른다.

이와 같은 환자는 화성(火盛)과 진상(津傷)이 모두 심한 것이 명확하고, 대체

로 구조순열(口燥脣裂)하며, 신열유한(身熱有汗)하고, 맥세설간(脈細舌干)

등 증상이 있다.

변결(便結) 초기에는 일반적으로 복만복통(腹滿腹痛)이 없고, 다만 변결(便

結)이 오래 되었을 때 배가 부르고 불편한(腹滿不適) 감을 느끼게 된다(始

感). 다만 복통거안(腹痛拒按) 등의 현상은 적다. 이 증후에 대하여 공하법

(攻下法)을 사용하면 진액(津液)을 상하게 됨으로 불가하다.

⑵ 풍온(風溫) 사기(邪氣)의 외습(外襲)으로 인하여 병이 일어나므로(起病), 항

상 해수(咳嗽)가 있고, 머리와 목구멍에 동통이 나며(頭疼咽痛), 맥이 부대

(脈浮大)한 등 태음표증(太陰表證)의 증상을 나타낸다. 설질은 약간 붉은 빛

이 돌고(稍紅) 설태는 얇고 희기만하다(仍薄白). 풍온(風溫)은 전변이 가장

빨라(傳變最速) 흔쾌(很快)히 대변을 볼 수 없고, 저녁 해질녘(신시 4시 전

후)에 열이 나며 땀이 절로 흐르고(晡熱自汗), 구갈(口渴), 맥세삭(脈細數) 등

의 증상(症狀)이다. 다만 배가 붙고 아프지 않기를 바라며(只要 无腹滿腹痛)

거듭 열상진액(熱傷津液)으로 물이 없어 배가 뜨지 못하는(无水舟停) 형국

이니 당연히 증액탕(增液湯)으로 적셔야(潤) 한다.

증양리노탕(拯陽理勞湯)《醫宗金鑑》보익제(補益劑)

조성 ≒ 황기(黃芪), 백출(白朮), 진피(陣皮), 인삼(人蔘), 감초(甘草), 당귀(當歸), 육계 (肉

桂), 오미자(五味子).

주치 : 비신기허(脾腎氣虛).- 면색창백(面色蒼白), 호흡의 기가 약하고 말이 느리다(少氣

懶言), 정신이 지치고 나태해지다((精神倦怠), 땀이 절로 나고(自汗), 식욕부진(食

少) 등을 다스린다.

증음리노탕(拯陰理勞湯)《醫宗必讀》

조성 ≒ 모단피(牡丹皮), 당귀신(當歸身), 맥문동(麥門冬), 귤홍(橘紅), 감초(甘草), 의이인

(薏苡仁), 연자(蓮子), 백작(白芍), 오미자(五味子), 인삼(人蔘), 생지황(生地黃), 대

조(大棗).

효능 : 양음윤폐(養陰潤肺), 자신익정(滋腎益精).

주치 : 허로(虛老) - 폐신음허증(肺腎陰虛證) 合 대보원전(大補元煎)《景岳全書》

증익귀용원(增益歸茸元)《得効(득효)》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熟地黃(숙지황), 鹿茸(녹용), 五味子(오미자), 大當歸(대당귀) 各四兩(각사량), 山

葯(산약), 山茱萸(산수유), 大炮附子(대포부자), 酒浸牛膝(주침우슬), 肉桂(육계)

各二兩(각이량), 白茯苓(백복령), 牡丹皮(모단피), 一宿(일숙) 酒浸澤瀉(주침택사)

各一兩(각일량)을 作末(작말)하고, 廘角膠(녹각교) 半斤(반근)을 썰어서 石器(석

기)에 술과 같이 熔化(용화)하여 五味子(오미자) 대로 和丸(화환)해서 空心(공심)

에 溫酒(온주) 혹은 鹽湯(염탕)으로 50~70환을 呑下(탄하, 삼키다) 한다. 또 한

방법으로는 膠(교)를 作末(작말)하여 술에 타서 作丸(작환)한다 했다.

주치 : 虛勞(허로)의 腎虛(신허)를 다스리고 精血(정혈)을 補(보)하며 陽氣(양기)를 기른

다.

11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兒茶(아차, 硏末), 制乳香(제유향), 制沒葯(제몰약), 冰片(빙편) 各1.5, 人中白(인중백, 煅 爲末)3. - 極細末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乳香(유향), 沒葯(몰약), 松香(송향), 𥓲砂(뇌사), 冰片(빙편), 麝香(사향). 흑퇴소(黑退消)《外科學》《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枳殼), 적작(赤芍), 감초(甘草), 길경(桔梗). 주치 : 기체혈어(氣滯血瘀) 담응지만후음(痰凝之慢喉瘖). 성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