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종포산(棕蒲散)《陳素庵婦科補解》 - 죽력탕(竹瀝湯)《千金要方》
경산제(經産劑)
종포산(棕蒲散)《陳素庵婦科補解》
조성 ≒ 棕櫚炭(종려탄), 蒲黃炭(포황탄), 當身(당신), 炒白芍(초백작), 川芎(천궁), 生地
(생지), 丹皮(단피), 秦艽(진교), 澤蘭(택란), 杜仲(두중).
좌관전(佐關煎)《景岳全書》
조성 ≒ 후박(厚朴), 진피(陣皮), 산약(山葯), 백편두(白萹豆), 저령(猪苓), 택사(澤瀉), 건강
(乾姜), 육계(肉桂), 감초(甘草).
효용 : 온보비양(溫補脾陽).
주치 : 설사(泄瀉) - 비허습곤증(脾虛濕困證)의 중증(重證)을 치료한다.
좌귀음(左歸飮)《景岳全書》보익제(補益劑)
조성 ≒ 숙지황(熟地黃)9, 산약(山葯)6, 구기자(枸杞子)6, 자감초(炙甘草)3, 복령(茯苓)4,
산수유(山茱萸)5.- 水 300 毫升, 煎至 210 毫升, 空腹服.
효용 : 보익신음(補益腎陰), 양음보신(養陰補腎).
주치 : 1) 방사경통(房事莖痛), 증속(證屬) 간신음허자(肝腎陰虛者). 증견(症見) 음경은통
(陰莖隱痛) 사경사중(乍輕乍重), 반두혼이명(伴頭昏耳鳴), 요슬산연(腰膝酸軟),
권태핍력(倦怠乏力), 심칙조설(甚則早泄), 유정(遺精), 양위(陽萎).
亦治 : 진음부족(眞陰不足)으로 인한 요산유설(腰痠遺泄) 도한(盜汗) 구조인건
(口燥咽乾) 구갈욕음(口渴欲飮) 설광홍(舌光紅) 맥세삭(脈細數), 혹삭(或
數) 등
【加减】 ① 폐열이번자(肺熱而煩者) : 加 맥동(麥冬) 6 克.
② 혈체자(血滯者) : 加 단피(丹皮) 6 克.
③ 심열이조(心熱而躁者) : 加 현삼(玄參) 6 克.
④ 비열이기(脾熱易飢者) : 加 작약(芍葯) 6 克.
⑤ 신열(腎熱) 골증다한(骨蒸多汗者) : 加 지골피(地骨皮) 6 克.
⑥ 혈열망동(血熱妄動者) : 加 생지(生地) 6~9 克.
⑦ 음허불영(陰虛不寧者) : 加 여정자(女貞子) 6 克.
⑧ 상실하허(上實下虛者) : 加 우슬(牛膝) 6 克.
⑨ 혈허이조(血虛而燥者) : 加 당귀(當歸) 6 克.
2) 유루증(流泪症)
좌귀환(左歸丸)(飮)《景岳全書》보익제(補益劑)
조성 ≒ 숙지(熟地)240, 산약(山葯)120, 구기자(枸杞子)120, 산수유(山茱萸)120, 우슬(川
牛膝)90, 토사자(菟絲子)120, 녹각교(鹿角膠)120, 구판교(龜板膠)120.
효용 : 자음보신(滋陰補腎), 보신익정(補腎益精).
주치 : 1) 진음부족(眞陰不足)으로 인한 두목현운(頭目眩暈) 요산퇴연(腰痠腿軟) 유정활
설(遺精滑泄) 자한도한(自汗盜汗) 구조인건(口燥咽乾) 갈욕음수 (渴欲飮水) 설
광소태(舌光少苔) 맥세(脈細) 혹삭(或數).
2) 허로(虛勞) - 신음양양허증(腎陰陽兩虛證) 加 우귀환(右歸丸)
3) 피부병(皮膚病) 속(屬) 신음부족(腎陰不足).
4) 현운(眩暈) - 신정부족증(腎精不足證).
5) 간신음허증(肝腎陰虛證) -
⑴ 요통(腰痛)
좌금환(左金丸)《丹溪心法》청열제(淸熱劑)
조성 ≒ 황련(黃連)18, 오수유(吳茱萸)3. (6 : 1 비(比).
효용 : 신개고강(辛開苦降), 청간사화(淸肝瀉火).
주치 : 1) 간경화왕(肝經火旺).- 옆구리가 아프고 신물을 삼키며(脇痛呑酸), 설홍태황(舌
紅苔黃) 맥현삭(脈弦數).
2) 협통(脇痛) - 담열증(膽熱證) 合 금령자산(金鈴子散)《素問病機氣宜保命集》
3) 구토(嘔吐) 실증(實證) - 위기상역(胃氣上逆)
合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금궤요략(金匱要略)》
간기가 위를 침범한 사람은(若肝氣犯胃者) 시큼한 물이 목구멍까지 올라오고
구토하며(嘔吐呑酸) 배가 부르며 아픈 것이 옆구리까지 이어진다(脹痛連脇).
4) 녹풍내장(綠風內障)
좌창세제(痤瘡洗劑)《中醫外科學》옹양제(癰瘍劑)
조성 ≒ 장뇌지(樟腦酯)10, 침강유황(沈降硫黃)6, 서황기교(西黃芪膠)1, 석회수(石灰水),
가지(加至)100호승(毫升). 사미조성(四味組成)
외도환처(外涂患處) 매일(每日) 삼사차(三四次) 찰전(擦前) 선용열수(先用熱水)
유황(硫黃) 비조세척(肥皂洗滌) 환부(患部).
효용 : 감소(减少) 피지일출(皮脂溢出), 소염(消炎).
주치 : 좌창(痤瘡)
좌창평(痤瘡平)《經驗方》
조성 ≒ 銀花(은화), 蒲公英(포공영) 各15, 虎杖(호장), 山楂(산사) 各12, 炒枳殼(초지각),
酒大黃(주대황) 各10.- 共硏細末, 黃瓜汁 或絲瓜汁調成糊狀, 外涂患者皮損區, 保
留60 分鍾后洗去.
효용 : 淸熱解毒(청열해독), 祛脂平座(거지평좌).
주치 : 肺風粉刺(폐풍분자).
주마탕(走馬湯)《千金要方》공축제(攻逐劑) 사하제(瀉下劑)
조성 ≒ 행인(杏仁), 파두(巴豆).
주치 : 중오(中惡).- 복창심통(腹脹心痛) 대변불통(大便不通) 혹 심복(心腹)이 찌르는 돗
아프고, 호흡중에 기도(氣道)에 침이 말려들어 기침이 급하게 나고(氣息喘急), 복
부(腹部)가 창만(脹滿)하여 심흉부(心胸部)를 치받는등 증상이 돌연발작(突然發
作)하는 것을 다스린다.
주분산(珠紛散)《古今醫鑒》옹양제(癰瘍劑)
조성 ≒ 輕粉(경분)0.3, 珍珠粉(진주분)0.6, 天竹黃(천죽황)1.8.
細末, 先用 槐枝條煎湯, 洗凈患處 將葯搽上.
효용 : 공독(攻毒), 생기(生肌).
주치 : 양매창(楊梅瘡).
주사비찰제(酒渣鼻擦劑)《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輕粉(경분), 杏仁(행인), 硫黃(유황).
주사안신환(朱砂安神丸)《內外傷辨惑論》
조성 ≒ 주사(朱砂), 황련(黃連), 생지황(生地黃), 당귀(當歸), 감초(甘草).
효용 : 양음혈(養陰血), 청심안신(淸心安神).
주치 : 경계정충(驚悸怔忡) - 심신불교증(心腎不交證).
주사안신환(朱砂安神丸) 안신환(安神丸)《蘭室秘藏》《醫學發明》안신제(安神劑)
조성 ≒ 주사(朱砂)15, 황련(黃連)18, 생지(生地)8, 당귀(當歸)8, 자감초(炙甘草)16.
효용 : 진심안신(鎭心安神), 사화양음(瀉火養陰).
주치 : 심화상염(心火上炎) 작상음혈(灼傷陰血).- 심계(心悸) 실면(失眠) 다몽(多夢) 정충
(怔忡), 심하면 흉중에 기가 문란하며 열이 나고(胸中氣亂而熱), 헛구역질이 나며
(惡心), 마음속으로 뉘우치고 후회하며(胸中懊憹), 설홍(舌紅)에, 맥은 세삭맥(細
數脈)인 증상을 다스린다.
주사자(朱砂煮)《中醫眼科學講義》1964 年 치목제(治目劑)
조성 ≒ 黃連(황연), 黃柏(황백), 秦皮(진피), 細辛(세신), 白芷(백지) 各15, 乳香(유향)8, 朱
砂(주사, 飛過)0.3, 冰片(빙편)0.3, 蜂蜜(봉밀)60.- 先將前 五味 加水 500ml 入煮,
煮至 250ml 過濾, 然后 加 乳香 蜂蜜 朱砂 再加熱 微煮, 最后入 冰片, 略煮后過
濾, 凈得葯水 250ml 每隔 2h 滴眼一次.
주치 : 風輪赤豆(풍륜적두), 白膜侵睛(백막침정).
주의곤담환(朱衣滾痰丸)《醫宗金鑑》⇔ 몽석곤담환(礞石滾痰丸)《丹溪心法․附余》
조성 ≒ 礞石(몽석), 沉香(침향), 黃芩(황금), 大黃(대황).
水泛爲丸 朱砂爲衣.
주작환(朱雀丸)《百一選方》안신제(安神劑)
조성 ≒ 주사(朱砂), 복신(茯神), 침향(沉香), 인삼(人蔘).
주치 : 심신불교(心腎不交).- 마음이 황홀하고 건망증이 있으며(恍惚健忘), 자각적으로
심장박동이 심하게 뛰며 불안하고(心悸怔冲), 정신이 피로
하며 힘이 없는(神疲无力) 한 등 증상을 다스린다.
주주고(朱硃膏)《中醫外科學》
조성 ≒ 銀朱(은주), 朱砂(주사), 官粉(관분), 麻油(마유).
주차환(舟車丸)《景岳全書》공축제(攻逐劑) = 축수사하제(逐水瀉下劑)
조성 ≒ 감수(甘遂), 원화(芫花), 대극(大戟) 각30, 대황(大黃)60, 견우자(牽牛子)12, 목향
(木香), 청피(靑皮), 진피(陣皮), 빈낭(檳榔) 각15, 경분(輕粉)3.
효용 : 행기축수(行氣逐水)
주치 : 수열내옹(水熱內壅), 기기(氣機)의 조체(阻滯)로서 수종수창(水腫水脹) 구갈(口
渴) 기조(氣粗) 복견(腹堅) 대소변비(大小便秘) 맥침삭유력(脈沉數有力).
양수(陽水), 형기구실자(形氣俱實者).- 구갈(口渴) 기조(氣粗) 복견(腹堅) 대변비
(大便秘) 소변불리(小便不利) 맥침삭유력(脈沉數有力).
☞ 기기(氣機)란 기능(機能), 활동(活動)을 말하며 주로 각 장부기관(臟腑器官)의 생
리(生理), 혹은 병리성(病理性)의 활동을 말한다. 광의(廣義)로는 장부(臟腑)의 기
능활동(機能活動) 을 말하며, 협의(狹義)로는 삼초(三焦)의 승강기능(昇降機能)을
말하고, 흉격(胸膈)도 포함된다.
주차환(舟車丸)《단계심법(丹溪心法)》
조성 ≒ 감수(甘遂), 원화(芫花), 대극(大戟), 대황(大黃), 견우자(牽牛子), 목향(木香), 청피
(靑皮), 진피(陳皮), 경분(輕粉). 빈낭(檳榔).
효용 : 청열이습(淸熱利濕), 공하축수(攻下逐水).
주치 : 습열성(濕熱性) 고창(臌脹).
주차환(駐車丸)《千金方》고삽제(固澁劑)
조성 ≒ 아교(阿膠), 건강(乾姜), 당귀(當歸), 황련(黃連).
주치 : 습열구울(濕熱久鬱), 냉열불조(冷熱不調).-구리적백(久痢赤白),리급후중(里急后
重)복통(腹痛)
☞ 휴식리(休息痢) 도 역시 치료한다.
주홍산(珠紅散)《經驗方》
조성 ≒ 飛滑石(비활석), 乳香(유향), 蛤粉(합분), 黃連(황연), 煅石膏(단석고) 各30, 冰片
(빙편)3.
- 硏極細末,- 植物油調成 糊狀, 外涂.
효용 : 淸熱(청열), 解毒(해독), 生肌(생기).
주치 : 濕疹(습진), 臍濕瘡(제습창) 및 乳疳(유감).
주황산(珠黃散)《中國中葯成葯處方集》
조성 ≒ 珍珠(진주), 牛黃(우황).
주황산(珠黃散)《中醫耳鼻喉科學》인후제(咽喉劑)
조성 ≒ 진주분(珍珠粉), 우황(牛黃), 천황연(川黃連), 청대(靑黛), 빙편(冰片), 붕사(硼砂),
인중백(人中白), 마발분(馬勃粉), 해아차(孩兒茶), 박하(薄荷), 현명분(玄明粉).
주치 : 열풍유아(熱風乳蛾) 풍열후비(風熱喉痺) 후옹(喉癰) 음허후선(陰虛喉癬) 급후풍
(急喉風) 비양후(飛揚喉) 구창(口瘡).
주황산(珠黃散)《經驗方》치목제(治目劑)
조성 ≒ 珍珠粉(진주분)2.1, 犀黃(서황)3, 朱砂(주사)2.1.
共硏細末 瓷甁收貯 應用時 点于內眦(점우내자).
주치 : 火疳(화감) 白膜侵睛(백막침정)
죽력달담환(竹瀝達痰丸)《古今醫鑒》거담제(祛痰劑)
조성 ≒ 몽석척담환(礞石滌痰丸, 몽석(礞石), 황금(黃芩), 침향(沉香), 천대황(川大黃)) 加
죽력(竹瀝), 강즙(姜汁), 인삼(人蔘), 이진탕(二陣湯, 진피(陣皮), 반하(半夏), 복령
(茯苓), 감초(甘草)).
주치 : 노담(老痰).- 신체허약(身體虛弱) 경전일구(驚癲日久) 설태황니(舌苔黃膩) 맥활
(脈滑).
죽력달담환(竹瀝達痰丸)《醫方集解》
조성 ≒ 大黃(대황), 黃芩(황금), 半夏(반하), 橘紅(귤홍), 金礞石(금몽석), 沉香(침향), 甘草
(감초), 竹瀝(죽력), 姜汁(강즙).
죽력탕(竹瀝湯)《千金要方》경산제(經産劑)
조성 ≒ 죽력(竹瀝), 황금(黃芩), 운령(云苓), 맥동(麥冬), 방풍(防風).
§ 시지(是指) 임상용차방시(臨床用此方時) 다감거(多感去) 방풍(防風)
주치 : 자번(子煩).- 심흉번민(心胸煩悶) 두운심계(頭暈心悸) 오심구토(惡心嘔吐) 태황이
니(苔黃而膩) 맥활삭(脈滑數)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