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의방 91 正氣補虛湯 - 丁香柿滯湯

Aktualisiert: 29. Aug. 2019



정기보허탕(正氣補虛湯)《入門》 - 정향시체탕(丁香柿滯湯)《症因脈治》

리기제(理氣劑)


정기보허탕(正氣補虛湯)《入門》

조성 ≒ 人蔘(인삼), 藿香(곽향), 厚朴(후박), 黃芪(황기), 白芷(백지), 當歸(당귀), 熟地黃

(숙지황), 川芎(천궁), 茯神(복신) 各七分(각칠분), 肉桂(육계), 五味子(오미자), 白

朮(백출), 半夏(반하), 附子(부자), 丁香(정향), 木香(목향), 乾姜(건강), 甘草(감초)

各四分(각사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

枚(이매)를 넣어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모든 虛(허)의 冷氣(냉기)를 다스린다.

정기산(正氣散)(加味不換金正氣散)《福建中醫葯雜志》거습제(祛濕劑)

조성 ≒ 평위산(平胃散, 후박(厚朴), 창출(蒼朮), 진피(陣皮), 감초(甘草)) 가(加) 곽향(藿

香), 초과(草果), 풍란(偑蘭), 반하(半夏), 빈낭(檳榔), 구절창포(九節菖蒲), 하엽(荷

葉).

주치 : 냉장(冷瘴).- 한심열미(寒甚熱微) 혹 단한불열(但寒不熱) 혹 구토복사(嘔吐腹瀉)

태백후니(苔白厚膩) 맥현(脈弦).

정기천향산(正氣天香散)《保命歌括》경산제(經産劑)

조성 ≒ 진피(陣皮), 오약(烏葯), 향부(香附), 애엽(艾葉), 건강(乾姜).

주치 : 부인(婦人) 일절제기작통(一切諸氣作痛).- 상충심흉(上冲心胸) 혹 공축협늑(或攻

筑脇肋) 복중결괴(腹中結塊) 발칙자통(發則刺痛).

정력대조사폐탕(葶藶大棗瀉肺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정력자(葶藶子), 대조(大棗).

주치 : 폐옹(肺癰) 형기구실자(形氣俱實者).- 천불득와(喘不得臥) 흉만흉통(胸滿胸痛) 담

탁옹색(痰濁壅塞).

정력환(葶藶丸)《小兒葯證直訣》

조성 ≒ 葶藶子(정력자), 黑牽牛子(흑견우자), 漢防己(한방기), 杏仁(행인).

정명산(定命散)《普濟方》치풍제(治風劑)

조성 ≒ 오공(蜈蚣), 오초사(烏梢蛇), 백화사(白花蛇).

주치 : 파상풍(破傷風).- 각궁반장(角弓反張), 추축(抽畜).

정백환(定魄丸)《東醫寶鑑》

조성 ≒ 人參(인삼), 琥珀(호박), 茯神(복신), 遠志(원지), 朱砂(주사), 天麻(천마), 石菖蒲

(석창포), 天門冬(천문동), 酸棗仁(산조인), 甘草(감초). 各等分.

右爲末 蜜丸皂子大 朱砂爲衣 每丸燈芯 薄荷煎湯化下.

정부제(凈膚劑)《上海中醫葯雜志》

조성 ≒ 浮石(부석), 爐甘石(로감석).

정순탕(靜順湯(정순탕)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白茯苓(백복령), 木瓜(목과) 各一錢二分半(각일전이분반), 炮附子(포부자), 牛膝

(우슬) 各一錢(각일전), 防風(방풍), 訶子(가자), 炮姜(포강), 炙甘草(자감초) 各七

分半(각칠분반)을 剉(좌)하여 一貼(일첩)으로 水煎服(수전복) 한다.

주치 : 六十歲運氣(육십세운기)의 主客(주객)과 民病(민병) 編(편) - 辰戌(진술)의 歲(세)

의 경우 참조정씨비해분청음(程氏萆解分淸飮) ⇒ 비해분청음(萆薢分淸飮).

정양산(正陽散)《太平聖惠方》온리제(溫裏劑)

조성 ≒ 四逆湯(부자(附子), 건강(乾姜), 감초(甘草)) 가(加) 조협(皂莢), 사향(麝香).

주치 : 음독상한(陰毒傷寒).- 얼굴색이 프르고(面靑), 하품을 길게 하며(張口出氣, 長太

息), 심하부가 단단하고(心下硬), 몸에는 열이 없고(身不熱), 단지 이마에만 땀이

나며(只額上有汗), 번거롭게 갈증이 나고(煩渴), 혀는 검고 가래가 많다(舌黑多

唾), 팔다리가 모두 찬(四肢俱冷) 증상을 다스린다.

정양탕(正陽湯(정양탕)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白薇(백미), 玄蔘(현삼), 川芎(천궁), 桑白皮(상백피), 當歸(당귀), 白芍葯(백작약),

旋覆花(선복화), 炙甘草(자감초) 各一錢(각일전)을 剉(좌)하여 生薑(생강) 五片

(오편)을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六十歲運氣(육십세운기)의 主客(주객)과 民病(민병) 編(편) - 子午(자오)의 歲(세)

경우 참조

정용탕(正容湯)《審視瑤函》치목제(治目劑)

조성 ≒ 강활(羌活), 방풍(防風), 백부자(白附子), 번목과(番木瓜), 진구(秦艽), 담성(膽星),

법반하(法半夏), 생강(生姜), 감초(甘草), 천충(天虫), 송절(松節).

주치 : 풍담조락(風痰阻絡)의 편시(偏視, 風牽偏視).- 안구돌연편사(眼球突然偏斜) 전동

수조(轉動受阻) 시일위이(視一爲二) 평소식소납매(平素食少納呆) 완비흉민(脘痞

胸悶) 범토담연(泛吐痰涎) 설태후니(舌苔厚膩) 맥현활(脈弦滑).

정원음(貞元飮)《景岳全書》보익제(補益劑)

조성 ≒ 숙지황(熟地黃), 자감초(炙甘草), 천당귀(川當歸).

주치 : 신불납기(腎不納氣).- 호흡이 촉박한 것이 마치 숨이차서 헐떡거리는 것과 같고

(氣短似喘), 호흡촉급(呼吸促急), 경계하여 목으로 올려 뱉

지 못하고 안으로 사켜 넘기지 못하며(提不能升咽不能降), 호흡도(氣管支)가 막

히는(氣道噎塞) 극히 위급하여질병세(勢劇垂急) 를 다스린다.

정유리중탕(丁萸理中湯)《醫宗金鑑》

조성 ≒ 丁香(정향), 吳萸(오유), 黨參(당삼), 白朮(백출), 乾姜(건강), 炙甘草(자감초).

정지환(定志丸)《千金要方》안신제(安神劑)

조성 ≒ 창포(菖蒲), 원지(遠志), 인삼(人蔘), 복령(茯苓).

주치 : 심기부족(心氣不足) 심신부정(心神不定).- 정신적으로 지치고 계을러지며(精神倦

怠), 실면건망(失眠健忘), 잠을 잘 때 꿈이 많고(多夢), 놀래어 가슴이 두근거이고

(驚悸), 자각적으로 가슴이 심하게 두근거리고 불안해하며(怔忡), 우울한 생각과

정지가 억울하고(懮思抑鬱), 설담(舌淡),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한 세맥(細脈)

등의 증상을 다스린다.

정지환(定志丸)《雜病源流犀燭》안신제(安神劑)

조성 ≒ 창포(菖蒲), 원지(遠志), 인삼(人蔘), 복령(茯苓), 복신(茯神), 정주사(凈朱砂), 맥문

동(麥門冬), 백출(白朮).

주치 : 겁이 많고 화를 잘 내며(心怯善怒), 밤에 잠자리에 누우면 불안한(夜臥不安)등 증

상을 다스린다.

정지환(定志丸)《審視瑤函》치목제(治目劑)

조성 ≒ 遠志(원지), 菖蒲(창포), 黨參(당삼), 茯神(복신).

주치 : 近視(근시).

정천탕(定喘湯)《攝生衆妙方》

조성 ≒ 백과(白果), 마황(麻黃), 상백피(桑白皮), 관동화(款冬花), 법반하(法半夏), 행인

(杏仁), 소자(蘇子), 황금(黃芩), 감초(甘草).

효용 : 청열화담(淸熱化痰), 선폐강기(宣肺降氣).

주치 : 1) 풍한외속(風寒外束), 담열내온(痰熱內蘊)의 효천증(哮喘證).- 담다기급(痰多氣

急), 담조색황(痰稠色黃), 혹유표증(或有表證) 오한발열(惡寒發熱), 태황(苔黃),

맥활삭 (脈滑數).

2) 효증(哮證) - 담열옹폐증(痰熱壅肺證).

정침투격산(丁沉透膈散)《和劑局方》리기제(理氣劑)

조성 ≒ 정향(丁香), 침향(沉香), 인삼(人蔘), 백출(白朮), 신곡(神曲), 맥아(麥芽), 백두구

(白豆寇), 곽향(藿香), 반하(半夏), 사인(砂仁), 자감초(炙甘草), 청피(靑皮), 진피

(陣皮), 초과(草果), 목향(木香), 향부(香附), 후박(厚朴).

주치 : 중허유한(中虛有寒), 기체습조(氣滯濕阻) 반위(反胃).- 식후(食后) 완복창만(脘腹

脹滿), 조식모토(朝食暮吐) 모식조토(暮食朝吐), 토출(吐出) 숙곡불화(宿谷不化),

토후(吐后) 즉각서적(卽刻舒適), 신피핍력(神疲乏力), 면색소화(面色少華), 설담

태박(舌淡苔薄), 맥완이무력(脈緩而无力).

정토환(定吐丸)《醫宗金鑑》영아제(嬰兒劑)

조성 ≒ 정향(丁香), 반하(半夏), 갈미(蝎尾).- 삼미조성(三味組成) 전조육위환(煎棗肉爲

丸).

주치 : 경공토(驚恐吐).- 폭수경공지후(暴受驚恐之后) 구토청연(嘔吐淸涎) 면색홀청홀백

(面色忽靑忽白) 심신번란(心神煩亂) 수와불안(睡臥不安).

정통탕(定痛湯) 《臨床經驗方》

조성 ≒ 炙甘草(자감초)35, 乾姜(건강)25, 白芍(백작)20, 桂心(계심)15, 陳皮(진피)5, 草

果(초과), 神曲(신곡)各5.

주치 : 十二指腸潰瘍(십이지장궤양).

정통화혈탕(定痛和血湯)《傷科補要》골상제(骨傷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유향(乳香), 몰약(沒葯), 당귀(當歸), 오령지(五靈脂), 진구

(秦艽), 천속단(川續斷), 포황분(蒲黃粉).

- 구미약(九味葯) 수주각반전복 (水酒各半煎服)

주치 : 질타손상(跌打損傷) 어혈동통(瘀血疼痛).- 통유정처(痛有定處) 자통거안(刺痛拒

按) 국부유청자종괴(局部有靑紫腫塊) 설질자암(舌質紫暗) 맥세삽(脈細澁).

정풍병자(定風餠子)《得効․東醫寶鑑》

조성 ≒ 川烏(천오), 川芎(천궁), 南星(남성), 半夏(반하), 乾姜(건강), 天麻(천마), 白茯苓

(백복령), 白附子(백부자), 甘草(감초) 各等分, 生用(생용)을 作末(작말)하고 薑汁

糊(강즙호)에 芡實大(검실대)로 餠子(병자)를 만들어 朱砂(주사)로 옷을 입혀서

每一餠(매일병)을 씹어서 薑湯(강탕)으로 送下(송하)한다.

주치 : 痰厥頭痛(담궐두통)과 嘔吐(구토) 眩暈(현운)을 다스린다.

정향복령탕(丁香茯苓湯) 《臨床經驗方》

조성 ≒ 茯苓(복령)30, 半夏(반하)30, 桂枝(계지)15, 陳皮(진피)10, 乾姜(건강)7.5, 砂仁(사

인)7.5, 丁香(정향)5, 炮附子(포부자)2.5-5.

주치 : 胃潰瘍(위궤양) - 胃痛(위통), 嘔吐(구토), 病日久則(병일구칙) 營養不良(영양불

량), 腹部陷沒无力(복부함몰무력).

정향산(丁香散)《古今醫統》리기제(理氣劑)

조성 ≒ 정향(丁香), 시체(柿蒂), 자감초(炙甘草), 고량강(高良姜).

주치 : 위한애역(胃寒呃逆).- 득한유심(得寒愈甚), 음식감소(飮食减少), 맥지완(脈遲緩).

정향시체탕(丁香柿滯湯)《症因脈治》리기제(理氣劑)

조성 ≒ 정향(丁香), 시체(柿蒂), 인삼(人蔘), 생강(生姜).

효능 : 강역지애(降逆止呃)

주치 : 1) 위기허한(胃氣虛寒) 기역불강(氣逆不降)한 애역(呃逆).- 애역(呃逆) 설담백(舌

淡白), 맥침지(脈沉遲).

2) 애역(呃逆) - 위기상역증(胃氣上逆證)

加 선복화(仙復花), 비파엽(枇杷葉), 도두자(刀豆子).

2. 시체탕(柿滯湯)《濟生方》

조성 ≒ 정향시체탕(丁香柿滯湯) 거(去) 인삼(人蔘).

주치 : 흉만(胸滿) 애역불지(呃逆不止), 속한애(屬寒呃) 위기불허(胃氣不虛) 者

3. 시전산(柿錢散)《洁古家珍》

조성 ≒ 정향시체탕(丁香柿滯湯) 거(去) 생강(生姜).

주치 : 애역(呃逆).- 위기허(胃氣虛) 한불심(寒不甚) 자(者).

16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兒茶(아차, 硏末), 制乳香(제유향), 制沒葯(제몰약), 冰片(빙편) 各1.5, 人中白(인중백, 煅 爲末)3. - 極細末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乳香(유향), 沒葯(몰약), 松香(송향), 𥓲砂(뇌사), 冰片(빙편), 麝香(사향). 흑퇴소(黑退消)《外科學》《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枳殼), 적작(赤芍), 감초(甘草), 길경(桔梗). 주치 : 기체혈어(氣滯血瘀) 담응지만후음(痰凝之慢喉瘖). 성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