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입문대조환 (入門大造丸)《入門》補益劑(보익제) - 자소음(紫蘇飮)
《濟生方》
입문대조환 (入門大造丸)《入門》補益劑(보익제)
조성 ≒ 大造丸(대조환, 보천대조환)과 동일하게 紫河車(자하차) 一具(일구)를 뜬물에 담
가서 깨끗이 씻고 竹器(죽기)에 담아 長流水(장류수)에 1~2 시간 쯤 담가서 生
氣(생기)를 돌리고 작은 瓦盆(와분)에 넣어 큰 시루에다 爛熟(난숙) 하도록 쪄서
풀과 같이 되거든 퍼내어 먼저 自然汁(자연즙)을 따라서 두고 건더기는 石臼(석
구)에다 爛搗(난도)하여 前汁(전즙)과 함께 和勻(화균)하고, 生地黃(생지황) 二兩
半(이량반)에 白茯苓(백복령) 二兩(이량), 縮砂(축사) 六錢(육전). 이상의 三物(삼
물)을 紗絹(사견)으로 싸서 磁缸(자항) 속에 넣고 酒煮(주자)하되 마르면 다시 술
을 부어 달이기를 七次(칠차)한 뒤에 取出(취출)하여 砂(사)와 苓(령)은 버리고 쓰
지 않는다. 대개 地黃(지황)이 砂仁(사인)과 茯苓(복령)을 얻으면 腎經(신경)에 들
어가기 때문이다. 製法 (제법)은 大造丸(대조환), 補天大造丸(보천대조환)과 같
다.
主治 : 氣血(기혈)이 虛弱(허약)하고 陽莖(양경)이 겨우 形狀(형상)만 갖추고 面色(면색)
이 萎黃(위황)한 症(증)과 또 大病后(대병후)에 呼喚(호환)하는 소리를 내지 못하
는 症(증)을 다스리고, 오래 먹으면 耳目(이목)이 聰明(총명)하며 鬚髮(수발)이 모
두 검어지고 延年益壽(연년익수)한다. - 東醫寶鑑(동의보감).
입승자(立勝煮)《中醫眼科學講義》1964 年
조성 ≒ 川連(천연), 黃柏(황백), 秦皮(진피), 甘草(감초). 加水 300ml 煮 30 分后過濾, 濃
縮到 150ml, 再加緩冲溶液 以消除刺激性.
주치 : 黃液上冲(황액상충).
입효음(立效飮)《丹台玉案》
조성 ≒ 川芎(천궁), 當歸(당귀), 玄胡索(현호색), 丹皮(단피), 姜黃(강황), 大茴香(대회향),
紅花(홍화) 各4.5, 桂心(계심), 秦艽(진구), 赤芍(적작) 各2.4.- 用煮酒 150 毫升煎
服
효용 : 행울산혈(行鬱散血), 산풍소종(散風消腫).
주치 : 부인(婦人) 방사소상(房事所傷) 음호내(陰戶內) 창통난인(脹痛難忍).
ㅈ
자감초탕(炙甘草湯)《傷寒論》보익제(補益劑)
조성 ≒ 자감초(炙甘草), 대조(大棗), 아교(阿膠), 생강(生姜), 인삼(人蔘), 맥문동(麥門冬),
생지황(生地黃), 계지(桂枝), 화마인(火麻仁).
효능 : 보혈양심(補血養心), 익기안신(益氣安神).
주치 : 흉비(胸痹) - 심기음양허증(心氣陰兩虛證).
자감초탕(炙甘草湯)《綱目(강목)》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炙甘草(자감초) 二錢(이전), 酒炒生乾地黃(주초생건지황), 桂枝(계지), 麻仁(마
인), 麥門冬(맥문동) 各一錢半(각일전반), 人蔘(인삼), 阿膠珠(아교주) 各一錢(각
일전), 生薑(생강) 五片(오편), 大棗(대조) 三枚(삼매), 水(수) 二分(이분), 酒(주) 一
分(일분)을 넣고 함께 달여 반쯤 되거든 去滓(거재)하고, 阿膠(아교)를 넣고 다시
한 번 끓여서 一日三回(일일삼회) 溫服(온복)한다.
일명 復脈湯(복맥탕)이니 脈(맥)이 結代(결대)한 症(증)은 血氣(혈기)가 虛弱(허
약)하여 서로 連續(연속)되지 않고 心(심)이 動悸(동계)하는 症(증)은 直氣(직기)
가 虛(허)한 症(증)이다. 成無己(성무기)가 말하되「補(보)하는 것은 弱(약)한 것을
逐去(축거)하니 人蔘(인삼), 大棗(대조)의 甘(감)으로써 부족한 氣(기)를 돕고, 桂
枝(계지), 生姜(생강)의 辛(신)으로써 正氣(정기)를 더하며 五臟(오장)이 痿弱(위
약)하고 營衛(영위)가 枯流(고류)한 것은 濕劑(습제)로써 潤(윤)하게 하는 고로 麻
仁(마인), 阿膠(아교), 麥門冬(맥문동), 地黃(지황)의 甘(감)으로써 經(경)과 血(혈)
을 補(보)하면 脈(맥)을 회복하고 心(심)을 통한다.」(東垣(동원))
주치 : 傷寒(상한)의 脈(맥)이 結, 代(결,대)하고 心(심)이 動悸(동계)하는 症(증)을 다스리
니 代脈(대맥)이 나타나면 복용해야 한다.
자귀유(紫歸油)《外科證治全書》
조성 ≒ 紫草(자초), 當歸(당귀).
자금단(紫金丹)《普濟本事方》거담제(祛痰劑)
조성 ≒ 비석(砒石, 硏飛如粉)一錢半, 두시(豆豉)一兩半,(수략윤소시(水略潤少時) 이지읍
건(以紙浥乾) 연성고(硏成膏) 양미조성(兩味組成), 매복(每服) 불초과(不超過)
100호극(毫克), 임와냉차송복(臨臥冷茶送服).
기음주(忌飮酒), 服葯期間 應密切觀察 有无反應, 5~7 日 一療程 如需續服 數日
后 再服用. 本方 有劇毒, 服用時 宜小劑量 開始 逐漸增加 葯劑量, 但不宜 長期服
用.
주치 : 한효(寒哮).- 효천(哮喘) 형한지냉(形寒肢冷) 흉민여색(胸悶如塞) 발병시(發病時)
유욕(有欲) 질식지상(窒息之狀) 면색(面色) 회체청암(晦滯靑暗) 병정
천연일구(病程遷延日久) 백약불효(百葯不效).
자금산(紫金散)《葉氏女科證治秘方》卷一
조성 ≒ 姜制厚朴(강제후박), 蒼朮(창출), 川芎(천궁), 茯苓(복령), 當歸(당귀), 制半夏(제
반하), 白芍(백작), 羌活(강활), 獨活(독활), 牛膝(우슬) 各2, 陣皮(진피), 桔梗(길
경), 枳殼(지각), 白芷(백지) 各1.5, 麻黃(마황)1, 甘草(감초)1.5, 桂枝(계지)1.5, 生
姜(생강)3, 葱白(총백)3根.- 水煎, 空腹時熱服
효용 : 行氣化痰(행기화담), 祛風散寒(거풍산한), 通經止痛(통경지통).
주치 : 婦人(부인) 經脈動時(경맥동시) 遍身疼痛(편신동통) 手足痲痺(수족마비) 寒熱頭
痛(한열두통) 頭目昏迷(두목혼미).
【加减】 ① 咳嗽(해수) : 加 杏仁(행인), 五味子(오미자).
② 泄瀉(설사) : 加 肉豆寇(육두구), 罌粟殼(앵속각).
자금정(紫金錠) ⇒ 옥추단(玉樞丹)《百一選方》
자림탕(子淋湯)《沈氏女科輯要箋正》경산제(經産劑)
조성 ≒ 생지(生地), 목통(木通), 감초(甘草), 아교(阿膠), 황금(黃芩), 치자(梔子).
주치 : 자림(子淋).- 소변빈삭(小便頻數), 량소삽통(量少澁痛) 권홍조열(觀紅潮熱) 설홍
(舌紅) 태박황이건(苔薄黃而乾) 맥세삽(脈細澁).
자보양영환(滋補養榮丸)《集略(집약)》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遠志(원지), 白芍葯(백작약), 黃芪(황기), 白朮(백출) 各一兩半(각일량반), 熟地黃
(숙지황), 人蔘(인삼), 五味子(오미자), 川芎(천궁), 當歸(당귀), 山葯(산약) 各一兩
(각일량), 陳皮(진피) 八錢(팔전), 白茯苓(백복령) 七錢(칠전), 生乾地黃(생건지황)
五錢(오전), 山茱萸(산수유) 四錢(사전)을 作末(작말)하고 梧子大(오자대) 크기로
蜜丸(밀환)을 지어 淸米飮(청미음)으로 70~90환을 呑下(탄하, 삼키다)한다.
주치 : 虛勞(허로)에 氣血(기혈)이 다 부족하고 精神(정신)이 短少(단소)하며, 脾(비), 胃
(위)가 허약한데 온전히 肝血(간혈)을 다스린다.
자삼탕(紫參湯)《金匱要略》화해제(和解劑)
조성 ≒ 자삼(紫參), 감초(甘草).
주치 : 하리폐옹(下利肺癰).- 하리(下利), 흉부(胸部) 민통불서(悶痛不舒).
자상환(紫霜丸)《和劑局方》영아제(嬰兒劑)
조성 ≒ 파두(巴豆, 壓去油), 행인(杏仁), 대자석(代赭石), 적석지(赤石脂).
- 사미조성(四味組成)
주치 : 숙식적체(宿食積滯).- 흉복미만(胸腹微滿) 구토오심(嘔吐惡心) 대변불조(大便不
調) 유식감소(乳食减少) 상한장열(傷寒壯熱) 대변불하(大便
不下) 내협냉실(內挾冷實) 혹(或) 한출열불제(汗出熱不除) 식간(食癎).
자상환(紫霜丸)《蘇沈良方》
조성 ≒ 紫金砂(자금사), 蘆薈(로회), 川貝母(천패모).
자색궤양고(紫色潰瘍膏)《趙炳南臨床經驗集》
조성 ≒ 紅粉(홍분), 琥珀(호박), 血竭(혈갈), 乳香(유향), 靑黛(청대), 黃連(황연), 蜂蠟(봉
랍), 香油(향유), 珍珠(진주).
자색소종고(紫色消腫膏)《趙炳南臨床經驗集》
조성 ≒ 紫草(자초), 升麻(승마), 貫仲(관중), 赤芍(적작), 紫荊皮(자형피), 當歸(당귀), 防風
(방풍), 白芷(백지), 草紅花(초홍화), 羌活(강활), 芥穗(개수), 兒茶(아차), 神曲(신
곡).
자생건비환(資生健脾丸)《繆仲淳方》
조성 ≒ 白朮(백출), 苡仁(이인), 人參(인삼), 桔梗(길경), 山楂(산사), 神曲(신곡), 山葯(산
약), 麥芽(맥아), 枳實(지실), 茯苓(복령), 黃連(황연), 豆蔲仁(두구인), 澤瀉(택사),
枳殼(지각), 藿香(곽향), 炙甘草(자감초), 蓮肉(연육), 扁豆(편두).
자생환(資生丸) 자생건비환(資生健脾丸)《先醒齋醫學廣筆記》보익제(補益劑)
조성 ≒ 백편두(白萹豆),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산약(山葯), 연육
(蓮子肉), 길경(桔梗), 의미(薏米), 사인(砂仁), 검실(芡實), 맥아(麥芽), 산사(山楂),
곽향(藿香), 귤홍(橘紅), 백두구(白豆寇), 황련(黃連), 택사(澤瀉).
주치 : 흉부와 위완부 가득하고 답답하며(胸脘飽悶), 묽은 변을 하루에 2~3차 보고(大
便溏泄), 소변황적(小便黃赤), 몸이 점차 마르고 힘이 없으며(消瘦乏力), 태미황
(苔微黃) 등 증을 다스린다.
자석문동환(磁石門冬丸)《備急千金要方》보양제(補陽劑)
조성 ≒ 紫石英(자석영), 天門冬(천문동)各90, 當歸(당귀), 川芎(천궁), 凌霄花(능소화),
卷柏(권백), 桂心(계심), 烏頭(오두), 乾地(건지), 牡蠣(모려), 禹余粮(우여량), 石斛
(석곡), 辛荑(신이)各60, 人蔘(인삼), 桑寄生(상기생), 川斷(천단), 細辛(세신), 厚朴
(후박), 乾姜(건강), 吳茱萸(오수유), 牡丹皮(모단피), 牛膝(우슬), 各225, 柏子仁
(백자인)30, 山葯(산약), 烏賊骨(오적골), 甘草(감초) 各45.
爲細末 煉蜜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10丸, 酒送下 1日 3次, 漸增至服 30丸,以腹中
有熱感爲度.
효용 : 暖宮散寒(난궁산한), 補氣養血(보기양혈).
주치 : 婦人(부인) 胞宮虛寒(포궁허한), 性欲不振(성욕부진).
자석영조양방(紫石英助陽方)《中國傳統性醫學》보양제(補陽劑)
조성 ≒ 紫石英(자석영)30, 淫羊藿(음양곽)15, 川斷(천단)15, 川椒(천초)1.5, 巴戟天(파극
천), 胡蘆巴(호로파), 菟絲子(토사자) 各10, 肉桂(육계)6, 桑螵蛸(상표소)12, 九香
虫(구향충)6. - 水煎服(수전복)
효용 : 溫補脾腎(온보비신)
주치 : 性欲低下(성욕저하) 其他一切如常(기타일정상여) 无明顯異常者(무명현이상자).
자석환(磁石丸)《三因極一病證方論》卷八
조성 ≒ 磁石(자석, 火煅 醋淬), 煅龍齒(단용치), 肉蓗蓉(육종용, 酒浸), 茯苓(복령) 各60,
人參(인삼), 麥門冬(맥문동, 去心), 遠志肉(원지육), 川斷(천단), 赤石脂(적석지, 火
煅醋淬), 鹿茸(녹용, 酥炙) 各45, 乾地黃(건지황)90, 炒韭子(초구자), 柏子仁(백자
인), 丹參(단삼) 各37.5.
- 上爲末, 煉蜜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30~50 丸, 空腹時用溫酒送下 효용 : 補腎
益心(보신익심), 陰陽俱補(음양구보).
주치 : 男子(남자) 精氣虛極(정기허극), 尫羸(왕리) 驚悸(경계) 夢中遺泄(몽중유설) 尿后
余瀝(뇨후여력) 小便白濁(소변백탁); 甚則 莖弱核微(경약핵미) 小腹里
急(소복리급).
자설(紫雪)《外台秘要》개규제(開竅劑)
조성 ≒ 주사(朱砂), 황금(黃芩), 서각(犀角), 영양각(羚羊角), 승마(升麻), 당문자(當門子),
석고(石膏), 한수석(寒水石), 자석(磁石), 활석(滑石), 박초(朴硝), 초석(硝石), 현삼
(玄參), 청목향(靑木香), 감초(甘草), 정향(丁香), 침향(沉香).
효용 : 청열개규(淸熱開竅), 진경안신(鎭痙安神).
주치 : 온열병(溫熱病)의 열사(熱邪)가 심포(心包)에 내함(內陷)되어.- 고열번조(高熱煩
躁), 신혼섬어(神昏譫語), 추축경궐(抽 痙厥), 구갈순초(口渴唇焦), 뇨적변비(尿赤
便秘) 혹 소아열성경궐(小兒熱盛驚厥) 등
자설단(紫雪丹)《和劑局方》개규제(開竅劑)
조성 ≒ 석고(石膏), 한수석(寒水石), 자석(磁石), 활석(滑石), 서각(犀角), 영양각(羚羊角),
청목향(靑木香), 침향(沉香), 현삼(玄參), 승마(升麻), 감초(甘草), 정향(丁香), 박초
(朴硝), 사향(麝香), 주사(朱砂), 초석(硝石), 적금(赤金).
每次 0.9~1.5g, 每天 3 次, 病重者 每次 可增至 3g, 溫開水送下.
효용 : 청열개규(淸熱開竅), 진경안신(鎭痙安神).
주치 : 1) 온열병(溫熱病) 열사(熱邪)가 심포(心包)로 함입되어 고열이 나고 불안해 하며
손발을 휘두르고(高熱煩躁), 정신이 똑똑치 않고 헛소기치며(神昏譫語), 기혈
이 혼란한 탓으로 갑자기 졸도하여 인사불성이 되고(痙厥), 목이 마르고 입술
이 타며(口渴唇焦), 소변이 붉고 대변이 막히는(尿赤便閉) 등 증과 소아의 열성
경궐(熱盛驚厥) 등.
2) 풍열(風熱) - 逆傳心包證(역전심포증, 熱陷心包證) 葉天士說 -
“溫邪上受 首先犯肺 逆傳心包”
3) 내외(內外) 번열불해(煩熱不解), 발반(發斑) 발황(發黃) 장독(瘴毒) 역독(疫毒)
及 소아경풍(小兒驚風) 창양내함(瘡瘍內陷) 정독주황(疔毒走黃) 신식혼미(神
識昏迷) 等證.
자설단(紫雪丹)《溫病條辨》
조성 ≒ 石膏(석고), 寒水石(한수석), 磁石(자석), 滑石(활석), 水牛角(수우각), 羚羊角(영
양각), 沉香(침향), 玄參(현삼), 靑木香(청목향), 升麻(승마), 丁香(정향), 硝石(초
석), 麝香(사향), 朱砂(주사), 炙甘草(자감초), 朴硝(박초).
자설산(紫雪散)《上海中葯一庵》
조성 ≒ 羚羊角(영양각), 水牛角(수우각), 麝香(사향), 朱砂(주사), 公丁香(공정향), 沉香
(침향), 玄參(현삼), 升麻(승마).
- 每次 1.5~3g, 每天 2~3 次, 溫開水送下.
§ 임신부 복용금기(孕婦忌服), 小兒遵醫囑服用.
효용 : 淸熱鎭驚(청열진경)
주치 : 瘟熱不解(온열불해) 重感傷寒(중감상한) 咽痛口渴(인통구갈), 小兒(소아) 急熱驚
風(급열경풍) 瘡瘍內陷(창양내함) 疔瘡走黃(정창주황) 神識昏迷(신식혼미) 等證.
자소음(紫蘇飮)《普濟本事方》경산제(經産劑)
조성 ≒ 자소(紫蘇), 천궁(川芎), 당귀(當歸), 백작(白芍), 인삼(人蔘), 감초(甘草), 귤홍(橘
紅), 대복피(大腹皮).- 팔미조성(八味組成)
주치 : 자현(子懸).- 흉협창만(胸脇脹滿) 동통(疼痛), 호흡박촉(呼吸迫促), 번조불안(煩躁
不安), 맥현(脈弦).
자소음(紫蘇飮)《濟生方》
조성 ≒ 紫蘇(자소), 當歸(당귀), 川芎(천궁), 芍葯(작약), 人參(인삼), 陣皮(진피), 大腹皮
(대복피), 甘草(감초), 姜(강).
コメン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