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익기총명탕(益氣聰明湯)《東垣試效方》
《脾胃論》보익제(補益劑) - 익황산(益黃散)《小兒葯證直訣》
영아제(嬰兒劑)
익기총명탕(益氣聰明湯)《東垣試效方》《脾胃論》보익제(補益劑)
조성 ≒ 인삼(人蔘), 황기(黃芪), 감초(甘草), 승마(升麻), 갈근(葛根), 만형자(蔓荊子), 백작
(白芍), 황백(黃柏).
주치 : 1) 중기부족(脾胃氣虛) 청양불승(淸陽不升, 運化不利).- 눈에는 내장이 발생하고
(目生內障), 시력은 어둡고 시선을 따라 검은 점이 날며(視物昏花), 귀에서는 소
리가 나는데 벌레소리, 혹은 바람, 혹은 물소리 같은 귀 울림이 들리며 점차 귀
가 어두워지는(耳鳴耳聾)등 증상을 다스린다.
2) 耳鳴(이명) - 淸陽不升證(청양불승증).
익기통관탕(益氣通關湯)《山東中醫雜志》1984 ; 4 : 13
조성 ≒ 黃耆(황기)30~60, 黨參(당삼)15~20, 白朮(백출)10, 茯苓(복령)12, 柴胡(시호)6,
升麻(승마)3~6, 冬葵子(동규자)20, 石花(석화, 地衣)10, 甘草(감초)3.
水煎服 每日一劑
효용 : 익기통관(益氣通關).
주치 : 전열선비대(前列腺肥大) 병발 뇨저류(幷發尿瀦留).
【臨證擧例】 用本方 隨症 加减治療 前列腺肥大 幷發尿瀦留 30 例, 年齡 59~81 歲, 平均
70.4 歲.
結果 : 治愈 29 例, 无效 1 例, 治療率 96.7%. 一般服葯 5~10 劑.
익다산(益多散)《醫心方》卷二十八 引《洞玄子》
조성 ≒ 生地黃(생지황, 九蒸九晒, 硏粉)200, 肉桂(육계)25, 甘草(감초)100, 白朮(백
출)25, 乾漆(건칠)30.- 上爲散. 每服 3 克, 酒調下, 1 日 3 次.
효용 : 平補陰陽(평보음양), 膚助益腎(부조익신).
주치 : 男子(남자) 陽氣不足(양기부족) 陰莖短小(음경단소).
【備考】 据原書介紹 “益多”者, 爲古代一位家奴的名字. 該奴年七十五, 老態龍鍾, 屈背白
發 主婦憐之 賜以益壽葯方. 老奴服葯后 白發變黑 形体强健如三十歲男子 同時
與家主婦及婢女等 三人私通, 甚至懷孕生子. 后主婦耻與奴仆倫情 殺死該奴, 折
其脛 見其中 黃髓飽滿, 故知此方甚驗 是以名之 “益多散”.
익모육린환(益母毓麟丸)《飼鶴亭集方》
조성 ≒ 當歸(당귀), 熟地(숙지) 各120, 黨參(당삼), 鹿角霜(녹각상), 白朮(백출), 茯苓(복
령), 川斷(천단), 杜仲(두중), 香附(향부), 白芍(백작), 菟絲子(토사자) 各60, 川芎
(천궁), 川椒(천초), 甘草(감초) 各30.
上爲末, 加 煉蜜600, 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6 克, 米湯送下.
효용 : 기혈쌍보(氣血双補) 겸보신강요(兼補腎强腰).
주치 : 부인(婦人) 혈기구허(血氣俱虛) 경수불조(經水不調) 복통요산(腹痛腰酸) 음식불
감(飮食不甘), 수약불잉(瘦弱不孕) 및 적백대하(赤白帶下).
익모팔진탕(益母八珍湯)《不知醫必要》
조성 ≒ 黨參(당삼, 米炒)6, 白朮(백출, 淨), 當歸(당귀) 各6, 白茯苓(백복령), 白芍(백작, 酒
炒) 各4.5, 熟地(숙지)9, 川芎(천궁)3, 益母草(익모초)4.5, 炙甘草(자감초)3, 生姜
(생강)3片, 大棗(대조)2枚. - 水煎服(수전복)
효용 : 益氣養血(익기양혈), 活血調經(활혈조경).
주치 : 氣血兩虛(기혈양허) - 經來(경래) 或前或后(혹전혹후) 不調者(불조자).
익백산(溺白散)《醫宗金鑑》
조성 ≒ 煅溺白(단익백), 白霜梅(백상매), 枯白礬(고백반).
익비산(益脾散)《證治准繩》
조성 ≒ 人參(인삼), 茯苓(복령), 草果(초과), 木香(목향), 甘草(감초), 陣皮(진피), 厚朴(후
박), 紫蘇子(자소자), 姜棗(강조).
익비진경산(益脾鎭驚散)《醫宗金鑑》
조성 ≒ 人參(인삼), 白朮(백출), 茯苓(복령), 朱砂(주사), 鉤藤(구등), 炙甘草(자감초), 燈芯
(등심).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新方(신방)》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菟絲子(토사자)를 술애 담가서 焙(배)하여 찧어서 作末(작말)한 것 三兩(삼량) 熟
地黃(숙지황)을 술에 쪄서 째에 거르고 生乾地黃(생건지황)을 술에 담가서 焙(배,
불에 쪼이고)하여 磁石(자석, 자기나 돌 위)에 火煅(화단, 불로 달구어)하고 醋淬
(초쉬, 초물에 단근질)하기를 九次(구차)로 하고 細硏(세연, 곱게 갈아), 水飛(수
비, 흐르는 물에 뛰어 거르며)하며, 何首烏(하수오)를 뜨물에 담가서 하루 밤을
재우고 썰어 片(편)을 만들어 黑豆汁(흑두즙)에 반죽하여 쪄서 曬乾(쇄건, 볕에
쪼여 말리다)하고, 肉蓗蓉(육종용)을 술에 담가서 鱗(린, 비늘)과 甲(갑, 껍질)을
버리고 쪄서 肉(육)을 취한 것 各二兩(각이량), 天門冬(천문동), 麥門冬(맥문동),
微炒山葯(미초산약), 酒洗當歸(주세당귀), 水飛白茯苓(수비백복령), 酒蒸澤瀉(주
증택사), 牡丹皮(모단피) 各一兩半(각일량반), 人蔘(인삼), 芡仁(검인), 酒洗焙山
茱萸(주세배산수유), 酒洗焙五味子(주세배오미자), 炒蛇床子(초사상자), 去皮杜
仲(거피두중)하고 썰어서 薑汁(강즙)에 炒(초) 하여 絲(사)는 버리고, 巴戟(파극)
을 鹽水(염수)로 달여 骨(골)을 버리고, 鹿茸(녹용)을 그을려 털을 버리고, 炒韭子
(초구자), 水飛赤石脂(수비적석지), 益智(익지)를 去皮(거피)하고 鹽水(염수)에 달
여 한번 끓이고, 蓮花蕊(연화예), 炒破故紙(초파고지), 柏子仁(백자인)은 去皮(거
피)하고, 靑鹽(청염), 天雄(천웅)을 童尿(동뇨)에 3일간 浸(침)하고, 炮(포, 통째로
구어), 皮(피)와 臍(제)는 버리고 陽起石(양기석), 火煅(화단) 各一兩(각일량), 膃肭
臍(올눌제)를 황색이 되도록 酥炙(소자, 煉乳(연유)를 발라 굽다)한 것 一部(일부,
없으면 黃狗陰莖(황구음경) 3~5개를 활색이 나도록 酥炙(소자)하여 대용한다)
를 全部(전부) 鐵(철)을 범하지 말고 細末(세말)하여 糯米粉(나미분)에 淸酒(청주)
를 부어 끓여서 풀을 쑤고 반죽하여 千杵(천저, 절굿굉이)로 찧어서 梧子大(오자
대)로 作丸(작환)을 해서 매본 2~3錢(전)을 空心(공심)에 溫酒(온주) 혹은 鹽湯
(염탕) 또는 米飮(미음)으로 呑下(탄하, 삼키다) 한다. 여름에는 天雄(천웅)을 버
리고 黃柏(황백)을 대용하며, 파, 마늘, 무, 醋(초), 酒(주)를 忌(기)하고, 女色(여색)
도 節制(절제)하여야 한다.
主治 : 精(정)을 메우고 血(혈)을 補(보)하며, 氣(기)를 더하고 神(신)을 기르며 늙음을 돌
이켜서 젊어지고 延年益壽(연년익수)하는 방인데 중년이후에 常服(상복)하면 가
장 좋다.
익신사화탕(益腎瀉火湯)《臨證偶拾》
조성 ≒ 生地(생지), 龜版(구판) 各12, 黃柏(황백), 知母(지모), 梔子(치자), 懷牛膝(회우슬)
各9, 木通(목통), 龍膽草(용담초) 各4.5. - 水煎服
효용 : 익신사화(益腎瀉火) 자보신음(滋補腎陰).
주치 : 신기부족(腎氣不足) 상화과왕(相火過旺) 음경이상발기(陰莖異常勃起) 지구불쇠
(持久不衰) 성교시불사정(性交時不射精) 사후역지속불도(事后亦持續不倒); 단피
로과도시(但疲勞過度時) 반이유정(反而遺精). 설태백니(舌苔白膩) 맥침세(脈沉
細).
加减 - 服后 症有好轉 : 可去 치자(梔子), 목통(木通), 용담초(龍膽草),
加 생별갑(生鱉甲)12, 자산갑(炙山甲), 지별충(地鱉虫) 各6.
익신종자탕(益腎種子湯)《北京中醫》1990. 5 : 47
조성 ≒ 大熟地(대숙지)15, 枸杞子(구기자)10, 覆盆子(복분자)10, 菟絲子(토사자)12, 山
茱肉(산수육)10, 巴戟天(파극천)10, 肉蓗蓉(육종용)10, 韭子(구자)10, 紫河車(자
하차)6, 生黃耆(생황기)15, 全當歸(전당귀)10. 每日 1 劑, 30
日爲 1 療程. 待精液檢査 正常后 開腹 人參鹿茸丸 或 五子衍宗丸 以鞏固療效, 使
其懷孕
효용 : 익신종자(益腎種子).
주치 : 남자불육증(男子不育症).
【臨證擧例】 男性不育症 185 例, 其中 精子異常者 61 例, 精液不液化者 8 例,不射精 3例.
療效 : 女方懷孕 72 例, 姙娠率爲 38.92 %; 有效 92 例, 有效率爲 49.73 %,
總有效律爲 88.65 %, 无效 21 例, 无效率爲 11.35 %.
익신통락탕(益腎通絡湯)《江西中醫學》1990 ; 3 : 21
조성 ≒ 紅花(홍화), 益母草(익모초), 王不留行(왕불유행), 巴戟天(파극천), 仙靈脾(선령
비), 仙茅(선모) 各10, 熟地(숙지)30, 桂枝(계지), 甘草(감초), 蜈蚣(오공) 各10, 山
葯(산약)30.
每 2 日 1 劑, 水煎服, 2 个月爲 1 療程.
효용 : 익신통락(益腎通絡).
주치 : 남성(男性) 불육증(不育症).
【臨證擧例】 隨證加減 治療 精子, 精液異常造成的 男性不育(排除无精症) 300 例. 結果:
痊愈 100 例, 顯效 92 例, 好轉 38 例, 无效 10 例. 總有效律 96.67%.
익양단(益陽丹)《普濟方》卷三十三 인(引)《孟氏誅誅方》
조성 ≒ 丁香(정향), 木通(목통) 各6, 木香(목향)9, 遠志(원지), 煅龍骨(단용골) 各30, 石蓮
肉(석연육), 麥門冬(맥문동, 去心), 茯苓(복령), 半夏(반하, 搗成粗粒, 用猪苓同炒
爲黃色, 去猪苓), 茴香(회향, 用斑蝥 14 只去翅, 足, 同炒至黃色, 去斑蝥) 各15.
上爲末, 酒煮山葯糊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40 丸, 空腹時用塩酒 或塩湯送下.
효용 : 補陽澁精(보양삽정), 交通心腎(교통심신).
주치 : 男子(남자) 心腎不交(심신불교) 陽氣痿弱(양기위약) 才交卽泄(재교즉설) 夢遺(몽
유) 白濁(백탁).
익영내탁산(益營內托散)《不居集》화해제(和解劑)
조성 ≒ 인삼(人蔘), 당귀(當歸), 감초(甘草), 숙지(熟地), 속단(續斷), 진교(秦艽), 시호(柴
胡), 갈근(葛根).
주치 : 허로증(虛勞證).- 내상(內傷)이 중(重)하고, 외상(外傷)이 경(輕)한 증후(證候).
익원고진탕(益元固眞湯)《萬病回春》卷四
조성 ≒ 人蔘(인삼), 白茯苓(백복령), 蓮蕊(연예), 巴戟(파극), 升麻(승마), 益智仁(익지인),
黃柏(황백, 酒炒) 各6, 山葯(산약), 澤瀉(택사) 各4.5, 甘草梢(감초초)6.
水煎, 空腹時服
효용 : 익기고정(益氣固精), 사화이수(瀉火利水).
주치 : 종욕강유불설(縱欲强留不泄) 음정삼하(淫精滲下) 이작통임자(而作痛 淋者).
익원산(益元散)《傷寒直格》《傷寒標本》거서제(祛暑劑)
조성 ≒ 육일산(六一散)(활석(滑石), 감초(甘草)) 가(加) 주사(朱砂).
주치 : 마음이 불안한(心神不安) 증상을 다스린다.
익원탕(益元湯)《傷寒六書》온리제(溫裏劑)
조성 ≒ 生脈散(인삼(人蔘), 맥동(麥冬), 오미자(五味子)) 가(加) 황련(黃連), 四逆湯(부자
(附子), 건강(乾姜), 감초(甘草)) 가(加) 생강(生姜), 총백(葱白), 애엽(艾葉), 지모(知
母).
주치 : 진한가열(眞寒假熱).- 얼굴이 붉고 몸에 열이 나며(面赤身熱), 마음이 번거롭고 초
조 불안하며(煩躁不安), 물을 마시면 넘어가지 않고(飮水不
下), 옷을 많이 입거나 이불을 많이 덮기를 좋아하는(欲盖衣被) 증상을 다스린다.
☞ 眞寒假熱 : 음증(陰證)이 양(陽)의 일종 증상(證狀)과 비슷한 것이다. 병(病)이 원
래 한증(寒證)에 속하지만 한(寒)이 정점에 이르러 몸에 열(熱)이나고
얼굴이 벌개지며 구갈(口渴)이 나고 손발을 망탕 놀리면서 불안해 하며 맥(脈)이
홍(洪)하고 대한(大汗) 등 가열(假熱) 현상이 나타난다.
가열(假熱)의 변증요점(辨證要點)은 환자(患者)의 몸이 비록 뜨겁지만 옷을 많이
입거나 이불을 많이 덮기를 좋아하고, 구갈(口渴)이 나지만 물을 얼마 마시지 않
고, 손발을 망탕 놀리지만 정신이 안정적이고, 설태(舌苔)가 검스레 하지만 윤활
하며 맥(脈)이 홍(洪)하고 대(大)하지만 짚으면 무력(无力)한 것이다. 실질상에서
이런 증상들은 모두 허양(虛陽)이 밖으로 나타나는 일종의 가상(假象)이다. 이는
음성격양(陰盛格陽)적 표현이다.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東垣(이동원)》
조성 ≒ 白朮(백출) 一錢半(일전반), 黃芪(황기) 一錢(일전), 人蔘(인삼), 炒神曲(초신곡)
各七分半(각칠분반), 當歸身(당귀신), 陳皮(진피), 炙甘草(자감초) 各五分(각오
분), 升麻(승마), 柴胡(시호) 各三分(각삼분), 生黃芩(생황금) 二分(이분)을 剉作一
貼(좌작일첩)하여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內傷(내상)의 諸症(제증)을 다스린다. 대개 血(혈)이 脫(탈)하면 氣(기)를 補益(보
익)하는 것은 古聖人(고성인)의 법이니 먼저 胃氣(위기)를 다스려서 生發(생발)의
氣(기)를 돕는데 이 약이 주치한다. - 東醫寶鑑(동의보감).
익위탕(益胃湯)《溫病條辨》치조제(治燥劑)
조성 ≒ 사삼(沙蔘), 맥동(麥冬), 생지(生地), 옥죽(玉竹), 빙당(氷糖).- 수전복(水煎服)
효용 : 양위익음(養胃益陰)
주치 : 1) 열병한하(熱病汗下), 상급위음(傷及胃陰). - 구건인조(口乾咽燥), 설태건조(舌
苔乾燥).
2) 瘡瘍(창양), 皮膚病(피부병) 屬 胃陰不足(위음부족) 者.
3) 온열병후기(溫熱病后期) 혹은 회복기(恢復期) - 위음허증(胃陰虛證).
익음전(益陰煎)《醫宗金鑑》
조성 ≒ 生地(생지), 知母(지모), 黃柏(황백), 生龜板(생구판), 砂仁(사인), 炙甘草(자감초).
익정보신탕(益精補腎湯)《古今名方》
조성 ≒ 桑螵蛸(상표소), 何首烏(하수오), 蒼朮(창출) 各15, 覆盆子(복분자)30, 菟絲子(토
사자), 補骨脂(보골지) 各9.
효용 : 補腎暖脾(보신난비), 塡髓益精(전수익정)
주치 : 정자희소(精子稀少) 정자활동도차(精子活動度差) 而致之 불육증(不育症)
加减 - 약생식계통(若生殖系統) 유염증(有炎症), 정액내유농구자(精液內有膿球
者) : 加 황백(黃柏) 15.
【宜忌】복약기간(服葯期間) 응정기검사(應定期檢査) 정액(精液).
익황산(益黃散)《小兒葯證直訣》영아제(嬰兒劑)
조성 ≒ 자감초(炙甘草), 고가자(烤訶子), 정향(丁香), 청피(靑皮), 진피(陣皮).
주치 : 소아비토허한(小兒脾土虛寒).- 제복팽대(臍腹膨大) 신형수삭(身形瘦削) 구토설사
(嘔吐泄瀉).
Opmerkin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