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의방 81 異功散 - 二聖救苦丸

Aktualisiert: 16. Juli 2021



醫方集成

이공산(異功散)《小兒葯證直訣》

☞ 사군자탕(四君子湯)

《和劑局方》보익제(補益劑) - 이성구고환(二聖救苦丸) 《東醫壽世保元》

太陰人方-(唐宋明時期)



이공산(異功散)《小兒葯證直訣》☞ 사군자탕(四君子湯)《和劑局方》보익제(補益劑)

조성 ≒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진피(陣皮). 每天 一劑, 水煎二服

효용 : 健脾益氣(건비익기), 行滯(행체).

주치 : 1) 비위기허(脾胃氣虛), 소화력부족(運化乏力).- 면색위백(面色萎白), 식욕감소(食

欲减少) 사지무력(四肢无力)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은 3 부맥(寸,關,尺)이 모두

무력하고 연하다(脈虛軟无力).

2) 조잡(嘈雜) - 위기허증(胃氣虛證).

이금탕(二金湯)《溫病條辨》

조성 ≒ 계내금(鷄內金), 해금사(海金沙), 후박(厚朴), 대복피(大腹皮), 저령(猪苓), 통초

(通草).

이농좌자환(耳聾左慈丸)《小兒葯證直訣》

조성 ≒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모단피(牡丹皮), 택사(澤瀉), 복령

(茯苓), 오미자(五味子), 자석(磁石).

효용 : 보신리허(補腎理虛)

주치 : 이명(耳鳴), 이농(耳聾), 현운(眩暈) 등 - 신기허증(腎氣虛證)

이농좌자환(耳聾左慈丸)《中國醫學大辭典》보익제(補益劑)

조성 ≒ 오미자(五味子)6, 숙지황(熟地黃)24, 산수유(山茱萸)12, 산약(山葯)12, 복령(茯

苓), 택사(澤瀉), 모단피(牡丹皮) 각9, 자석(磁石), 창포(菖蒲).

주치 : 신허이명(腎虛耳鳴), 이농(耳聾), 목현(目眩) 자(者).

이동이모탕(二冬二母湯)《症因脈治》

조성 ≒ 맥문동(麥門冬), 천문동(天門冬), 패모(貝母), 지모(知母).

이동탕(二冬湯)《醫學心悟》치조제(治燥劑)

조성 ≒ 천문동(天門冬), 맥문동(麥門冬), 천화분(天花粉), 황금(黃芩), 지모(知母), 인삼

(人蔘), 감초(甘草), 하엽(荷葉).

효용 : 생진지갈(生津止渴), 윤폐(潤肺).

주치 : 소갈(消渴).-

1) 조사범폐증(燥邪犯肺證).

2) 폐신음허증(肺腎陰虛證) 合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小兒葯證直訣》

상소(上消).- 번갈다음(煩渴多飮), 구설건조(口舌乾燥), 소변빈삭(小便頻數), 맥

홍무력(脈洪无力).

이두산(二豆散)《醫宗金鑑》

조성 ≒ 赤小豆(적소두), 豆豉(두시), 天南星(천남성), 白蘞(백렴).

이령단(二靈丹)《瘍醫大全》

조성 ≒ 兒茶(아차), 冰片(빙편).

이령청이음(二苓淸利飮)《雜病源流犀燭》

조성 ≒ 生地(생지), 茯苓(복령), 麥冬(맥동), 牡蠣(모려), 澤瀉(택사), 甘草(감초), 猪苓(저

령), 黃柏(황백), 黃芩(황금), 車前子(차전자). 各等分.- 水煎服

효용 : 양음청열(養陰淸熱), 이수통림(利水通淋).

주치 : 남자(男子) 경중대통(莖中大痛), 뇨적구갈(尿赤口渴), 맥활삭(脈滑數).

이령화독탕(二苓化毒湯)《辨證彔》옹양제(癰瘍劑)

조성 ≒ 白茯苓(백복령), 當歸(당귀) 各30, 土茯苓(토복령), 金銀花(금은화)60, 紫草(자

초)9, 生甘草(생감초)6. - 水酒各半 煎服.

효용 : 補血瀉毒(보혈사독)

주치 : 楊梅瘡(양매창) - 遍体皆爛(편체개란), 疼痛非常(동통비상).

이류유정환(異類有情丸)《入門(입문)》-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鹿角霜(녹각상), 酥炙龜板(소자구판) 各三兩六錢(각삼량육전), 酒洗酥炙鹿茸(주

세소자녹용), 酒煮酥炙虎脛骨(주자소자호경골) 各二兩四錢(각이량사전)을 作末

(작말)하여 雄猪脊髓(웅저척수, 수개의 척추골수) 九條(구조)에 煉蜜(련밀)을 넣

고 찧어서 梧子大(오자대)로 和丸(화환)하여 空心(공심)에 鹽湯(염탕)으로

70~80환을 呑下(삼킨다)한다.

☆☆☆ 대개 사슴은 陽(양)이요, 거북과 범은 陰(음)인데 血(혈), 氣(기)가 情(정)이 있으

므로 각각 그의 類(류)를 따르는 法(법)이 金石(금석)과 草木(초목)의 類(류)와 같

지 않은 法(법)이다. 만약 厚味(후미)로 善飯(선반)하는 사람이라면 猪膽汁(저담

즙) 1~2 合(합)을 加(가)하여 먹으니 火(화)를 下降(하강)시키는 뜻을가진 方(방)

이요, 中年(중년)에 老衰(노쇠)를 깨닫는 者(자)에게는 더욱 常服(상복)해야 할

藥餌(약이)이다.

주치 : 虛勞(허로)를 다스리고, 氣血(기혈)이 兩虛(양허)한 症(증)을 補(보)한다.

이묘산(二妙散) (丸)《丹溪心法》거습제(祛濕劑)

조성 ≒ 蒼朮(창출, 米泔水浸)180, 黃柏(황백, 酒炒)180.

硏爲細末, 水煮面糊爲丸 如梧桐子大. 每天 9 克, 淡塩湯 送下.

효용 : 청열화습(淸熱化濕)

주치 : 습열내성(濕熱內盛) 습열하주(濕熱下注).- 濕瘡(습창) 臁瘡(렴창) 등, 肌膚焮紅(기

부흔홍) 作痒出水(작양출수), 하지위연무력(下肢痿軟无力), 소변단황(小便短黃),

설태황니(舌苔黃膩).

이미발독산(二味拔毒散)《醫宗金鑑》

조성 ≒ 明雄黃(명웅황), 白礬(백반).

이미삼소음(二味參蘇飮)《傷寒保命集》

조성 ≒ 인삼(人蔘), 소목(蘇木).

이미삼소음(二味參蘇飮)《正體類要》골상제(骨傷劑)

조성 ≒ 인삼(人蔘), 소목(蘇木).- 양미조성(兩味組成)

주치 : 손상후(損傷后) 혈허천촉(血虛喘促).- 면색창백(面色蒼白) 기식단촉(氣息短促) 순

구자감(唇口紫紺) 호흡곤란(呼吸困難) 설담(舌淡) 맥세약(脈細弱).

이미흑석단(二味黑錫丹)《醫門法律》

조성 ≒ 黑錫(흑석), 硫黃(유황).

이반산(二礬散)《外科大成》

조성 ≒ 白礬(백반), 皂礬(조반), 兒茶(아차), 側柏葉(측백엽).

이반탕(二礬湯)《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백반(白礬), 조반(皂礬), 해아차(孩兒茶), 측백엽(側柏葉),- 사미조성(四味組成).

水煎, 浸泡.

효용 : 살충지양(殺虫止痒)

주치 : 아장풍(鵝掌風), 피부고후(皮膚枯厚) 파열동통(破裂疼痛).

이백산(二白散)《外科大成》옹양제(癰瘍劑)

조성 ≒ 생천남성(生天南星), 패모(貝母).

- 위말(爲末) 계자청(鷄子淸), 화미초(和米醋) 조부환처(調敷患處).

효용 : 化痰散結(화담산결)

주치 : 육류(肉瘤) 담핵(痰核).- 종괴연여면(腫塊軟如綿) 종여만(腫如饅) 여육융기(如肉

隆起) 피색여상(皮色如常) 무동통(无疼痛).

이보단(二寶丹)《中醫外科學》

조성 ≒ 煅石膏(단석고), 升丹(승단).

이생탕(二生湯)《辨證彔》옹양제(癰瘍劑)

조성 ≒ 생황기(生黃耆)90, 토복령(土茯苓)90, 생감초(生甘草)9. - 수전복(水煎服)

효용 : 補虛(보허) 瀉毒(사독)

주치 : 楊梅瘡(양매창) - 대허이중독심(大虛而中毒深) 편신독창(遍身毒瘡) 황수범람(黃

水泛濫) 취부불감(臭腐不堪).

이선산(二仙散)《中醫方劑臨床手冊》경산제(經産劑)

조성 ≒ 선모(仙茅), 음양곽(淫羊藿), 지모(知母), 황백(黃柏), 파극천(巴戟天), 당귀(當歸).

주치 : 갱년기종합증(更年期綜合證).- 고혈압(高血壓) 폐경(閉經) 등속(等屬) 신음신양부

족(腎陰腎陽不足) 이허화상염(而虛火上炎).- 현운

(眩暈) 요슬산연(腰膝酸軟) 외한지냉(畏寒肢冷) 조열도한(潮熱盜汗) 번조불안(煩

躁不安) 오심번열(五心煩熱).

이선탕(二仙湯)《經驗方》

조성 ≒ 仙茅(선모), 淫羊藿(음양곽), 當歸(당귀), 巴戟(파극), 知母(지모), 黃柏(황백).

- 水煎服

효용 : 調攝冲任(조섭충임)

주치 : 癮疹(은진) 屬(속) 冲任不調(충임불조).

이선탕(二仙湯)《婦産科學》

조성 ≒ 仙茅(선모), 仙靈脾(선령비), 當歸(당귀), 巴戟天(파극천) 各9, 黃柏(황백), 知母(지

모) 各4.5.- 水煎, 分二次服.

효용 : 온신양(溫腎陽), 보신음(補腎陰), 사신화(瀉腎火), 조리충임(調理冲任).

주치 : 부녀(婦女) 갱년기종합징(更年期綜合徵), 증속(證屬) 신음신양양허자(腎陰腎陽兩

虛者), 역가용우(亦可用于) 남성신양부

족(男性腎陽不足) 허화상부(虛火上浮)의 양위(陽萎), 조설(早泄).

【加减】可隨證 : 加 익모초(益母草), 두중(杜仲), 상기생(桑寄生) 各 9 克.

- 보신조양(補腎助陽).

或加 구기자(枸杞子)9, 백국화(白菊花)6.- 평허양(平虛陽).

【臨證擧例】1) 調整 內分泌功能《遼寧中醫》1986 ; 4 : 31

現代葯理證實 本方 能作用于 下丘腦-垂体-性腺軸, 幷調整核軸的 功能,

使其不致紊亂, 進耳調整 全身的 內分泌功能. 仙靈脾 仙茅 更具有 雄激素

樣作用.

2) 降壓《中醫臨床方劑手冊》實驗證明 二仙湯 對 高血壓 有明顯 降壓作用.

이성구고환(二聖救苦丸) 《東醫壽世保元》太陰人方-(唐宋明時期)

조성 ≒ 大黃(대황)200, 猪牙皂角(저아조각)100. 이상의 약을 가루내어 풀로 녹두알 만

큼하게 환을 지어, 한번에 50~70 알씩 내복한다. 한번 내복하면 땀이 나면서 병

이 낫는다.

효용 : 肺를 통하게 하고, 熱毒을 除祛한다.

주치 : 流行性瘟疫(유행성온역)

17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