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의방 80 銀腦四紅膏 - 二甲復脈湯

Aktualisiert: 16. Juli 2021



醫方集成

은뇌사홍고(銀腦四紅膏)《山東方》 - 이갑복맥탕(二甲復脈湯)《溫病條辨》



은뇌사홍고(銀腦四紅膏)《山東方》

조성 ≒ 水銀(수은), 樟腦(장뇌), 大楓子仁(대풍자인), 篦麻仁(비마인), 麻子仁(마자인), 梅

仔虫(매자충).

은분산(銀粉散)《胡公弼》

조성 ≒ 黑錫(흑석), 水銀(수은), 淀粉(정분), 朱砂(주사), 輕粉(경분), 冰片(빙편).

은수산(銀銹散)《外科眞詮》

조성 ≒ 水銀(수은), 輕粉(경분), 潮腦(조뇌), 鏡銹(경수), 貝母(패모), 冰片(빙편), 兒茶(아

차), 黃柏(황백).

은행무우산(銀杏无憂散)《醫宗金鑑》

조성 ≒ 水銀(수은), 輕粉(경분), 杏仁(행인), 蘆薈(로회), 雄黃(웅황), 狼毒(낭독), 麝香(사

향).

은행산(銀杏散)《外科正宗》

조성 ≒ 水銀(수은), 杏仁(행인), 輕粉(경분), 雄黃(웅황).

은화감초탕(銀花甘草湯)《外科十法》

조성 ≒ 銀花(은화), 甘草(감초).

은화방(銀花方)《中華口腔科雜志》

조성 ≒ 銀花(은화), 夏枯草(하고초), 甘草(감초).

은화복명탕(銀花復明湯)《中醫眼科臨床實踐》

조성 ≒ 은화(銀花), 대황(大黃), 망초(芒硝), 지각(枳殼), 포공영(蒲公英), 황금(黃芩), 황연

(黃連), 용안육(龍眼肉), 생지황(生地黃), 지모(知母), 천화분(天花粉), 목통(木通),

상백피(桑白皮), 만형자(蔓荊子), 감초(甘草).

은화즙채음(銀花蕺菜飮)《中醫婦科治療學》

조성 ≒ 炒荊芥(초형개), 銀花(은화), 土茯苓(토복령), 甘草(감초), 蕺菜(즙채, 魚腥草).

은화해독탕(銀花解毒湯)《瘍科心得集》옹양제(癰瘍劑)

조성 ≒ 은화(銀花), 천연(川連), 지정(地丁), 하고초(夏枯草), 단피(丹皮), 적복령(赤茯苓),

청연교(靑連 翹), 서각(犀角).

주치 : 정창(疔瘡) 발배(發背).- 환부(患部) 홍종열통(紅腫熱痛) 설홍(舌紅) 맥삭(脈數).

은화해독탕(銀花解毒湯)《龐氏經驗方》치목제(治目劑)

조성 ≒ 금은화(金銀花), 대황(大黃), 지각(枳殼), 포공영(蒲公英), 용담초(龍膽草), 상백피

(桑白皮), 천화분(天花粉), 황금(黃芩), 만형자(蔓荊子).

주치 : 간담열독(肝膽熱毒)의 혼정장(混睛障).- 흑정혼탁(黑睛混濁), 적맥관포(赤脈貫

布), 포륜암적(抱輪暗赤), 자통유루(刺痛流泪), 대변건조(大便乾燥), 소변단적(小

便短赤), 구고인건(口苦咽乾), 태황(苔黃), 맥삭(脈數).

은황주사액(銀黃注射液)《醫院制劑》치목제(治目劑)

조성 ≒ 金銀花提取物(금은화제취물)12.5, 黃芩提取物(황금제취물)20, 苯甲醇(분갑

순)10ml, 注射用水(주사용수) 適量(적량), 共制成(공제성) 1000ml.

制法 : 取金銀花提取物與 黃芩提取物, 分別加注射用水與 8% 氫氧化鈉溶液 適量

溶解后 合幷兩液 加注射用水使成 980ml, 用 8% 氫氧化鈉溶液調 pH 至

7.2, 加活性炭適量 置水浴上加熱 1h, 放冷加入 苯甲醇與注射用水 使成 1000ml

過濾至澄淸, 灌封, 100度 滅菌 30 min 卽得

주치 : 聚星障(취성장), 凝脂翳(응지예), 花翳白陷(화예백함).

음관방(陰寬方)《中國傳統性醫學》훈세방(熏洗方)

조성 ≒ 皂莢子(조협자, 去黑皮), 白及(백급), 五倍子(오배자), 蛇床子(사상자), 石榴皮(석

류피), 甘松(감송), 山奈(산내), 龍骨(용골), 各等分.- 水煎, 熏洗陰部. 1 日數次.

효용 : 고삽수렴(固澁收斂).

주치 : 婦女(부녀) 陰道松弛(음도송이).

【加减】음중유냉감(陰中有冷感) : 加 硫黃(유황)

음냉방(陰冷方)《婦人良方》

조성 ≒ 오가피(五加皮), 건강(乾姜), 단삼(丹參), 사상자(蛇床子), 숙지황(熟地黃), 두중

(杜仲), 종유석(鍾乳石), 천문동(天門冬), 지골피(地骨皮), 주(酒).

음독내소산(陰毒內消散)《葯蘞啓秘》옹양제(癰瘍劑)

조성 ≒ 천오(川烏)9, 육계(肉桂)3, 유향(乳香) 몰약(沒葯) 各6, 정향(丁香)6, 호초(胡椒)3,

아위(阿魏) 갑편(甲片) 各9, 량강(良姜) 아조(牙皂) 各6, 경분(輕粉)9, 사향(麝香)3,

요황(腰黃)9, 장뇌(樟腦)12. 십사미조성(十四味組成)

효용 : 溫經散寒(온경산한), 消堅化痰(소견화담).

주치 : 일절(一切) 음증종양(陰證腫瘍).

음분생양탕(陰分生陽湯)《入門(입문)》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當歸(당귀) 一錢二分(일전이분), 陳皮(진피) 一錢(일전), 白朮(백출) 九分(구분) 白

芍(백작) 八分(팔분), 蒼朮(창출) 七分(칠분), 甘草(감초) 五分(오분)을 剉作一貼

(좌작일첩)하고 生薑(생강) 三片(삼편)을 넣어 水煎服(수전복)한다.

겨울에는 肉荳蔲(육두구), 破故紙(파고지)를 가하는 것이 좋다. 대개 三焦(삼초)

한 것은 下焦(하초)의 元氣(원기)가 生發(생발)하는 根帶(근대)가 된다.

주치 : 虛勞(허로)를 다스린다.

음선약수일호(陰癬葯水一号)《中醫外科學》

조성 ≒ 白及(백급), 檳榔(빈낭), 川槿皮(천근피), 大風子肉(대풍자육), 百部(백부), 斑蝥

(반모), 白酒(백주).

음선유(陰癬油)《中醫外科學》

조성 ≒ 松毛(송모, 炒黑), 樟腦(장뇌), 植物油(식물유).

음양외세방(陰痒外洗方)《張贊臣臨床經驗選編》

조성 ≒ 威靈仙(위령선), 蛇床子(사상자), 當歸尾(당귀미), 砂仁殼(사인각), 苦蔘(고삼), 土

大黃(토대황), 胡葱頭(호총두).

응신음자(凝神飮子)《得効(득효)》-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人蔘(인삼), 當歸(당귀), 白芍葯(백작약), 白茯神(백복신), 白茯苓(백복령), 黃芪

(황기), 白朮(백출), 半夏曲(반하곡), 五味子(오미자), 熟地黃(숙지황), 蓮肉(연육),

麥門冬(맥문동), 桔梗(길경), 甘草(감초) 各七分(각칠분)을 作末(작말), 烏梅(오매)

一枚(일매), 紅棗(홍조) 二枚(이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虛勞(허로)의 寒熱自汗(한열자한), 咯血(각혈)과 심히 여윈 症(증)을 다스린다.

응통환(應痛丸)《三因極一病證方論》권십사(卷十四)

조성 ≒ 阿魏(아위, 醋和 用蕎麥面 作餠, 裹阿魏 慢火煨熟)60, 大檳榔(대빈낭)2个(刮成瓮

子滿盛乳香, 慢火煨熟; 將刮下葯末 用蕎麥面 拌作餠子) 硇砂末(뇨사말)3, 赤芍末

(적작말)30. - 上爲末, 面糊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10~20 丸, 食前用溫酒 鹽湯

任下.

효용 : 화담산결(化痰散結)

주치 : 패정(敗精) 오물불거(惡物不去), 결재음낭(結在陰囊), 동통불가인(疼痛不可忍).

의남화육단(宜男化育丹)《辨證彔》

조성 ≒ 人蔘(인삼), 山葯(산약) 各15, 半夏(반하)9, 白朮(백출), 芡實(검실), 熟地(숙지)各

15, 茯苓(복령)30, 薏苡仁(의이인)15, 白芥子(백개자)9, 肉桂(육계)6, 訶子(가

자)1.5, 薏苡仁(의이인)3, 肉豆寇(육두구)1枚. - 水煎服

효용 : 건비익기(健脾益氣), 이수화담(利水化痰).

주치 : 男子(남자) 身体肥大(신체비대), 多痰涎(다담연), 정중대습(精中帶濕), 유입자궁이

잉출(流入子宮 而仍出) 불능생자(不能生子).

의이부자산(薏苡附子散)《金匱要略》온리제(溫裏劑)

조성 ≒ 의이인(薏苡仁), 부자(附子).

주치 : 흉비위증(胸痹危證).- 가슴에 극열한 통증이 있고(胸痛劇烈), 혹 잡아매어 오그라

드는 듣이 아프고痛而拘攣), 심장(心臟)의 통증이 등에 이르고(心痛徹背), 기침으

로 가래를 뱉고(喘息咳唾), 설담태백활(舌淡苔白滑) 맥침복(脈沉伏).

의이부자패장산(薏苡附子敗醬散)《金匱要略》옹양제(癰瘍劑)

조성 ≒ 의이인(薏苡仁), 부자(附子), 패장(敗醬).- 삼미조성(三味組成)

주치 : 장옹농이성(腸癰膿已成).- 소복동통(少腹疼痛) 복피급(腹皮急) 안지연(按之軟) 기

부갑착(肌膚甲錯) 맥삭이무력(脈數而无力).

의이인탕(薏苡仁湯)《類證治裁》치풍제(治風劑)

조성 ≒ 의이인(薏苡仁), 천궁(川芎), 당귀(當歸), 마황(麻黃), 계지(桂枝), 강활(羌活), 독활

(獨活), 방풍(防風), 천오(川烏), 창출(蒼朮), 감초(甘草), 생강(生姜).

주치 : 착비(着痺).- 지체관절(肢體關節) 동통중착(疼痛重着), 통유정처(痛有定處), 수족

침중(手足沉重), 기부불인(肌膚不仁), 설태백니(舌苔白膩), 맥유완(脈

濡緩).

의이인탕(薏苡仁湯)《證治准繩》옹양제(癰瘍劑)

조성 ≒ 의이인(薏苡仁), 모단피(牡丹皮), 도인(桃仁), 괄루인(栝樓仁).

- 사미조성(四味組成)

주치 : 장옹(腸癰).- 복중동통(腹中疼痛) 소변자조(小便自調) 혹(或) 선굴우족(善屈右足)

견인칙통극(牽引則痛劇) 시유발열(時有發熱), 신한오한(身汗惡寒).

역치(亦治).- 습체혈어(濕滯血瘀), 창만불식(脹滿不食), 소변불리(小便不利) 복중

동통(腹中疼痛).

의이죽엽산(薏苡竹葉散)《溫病條辨》

조성 ≒ 의이인(薏苡仁), 죽엽(竹葉), 활석(滑石), 백두구(白豆寇), 연교(連翹), 복령(茯苓),

통초(通草).

효용 : 청열제습(淸熱除濕), 해기투사(解肌透邪). 맵고 서늘한 약으로 담을 삼출시키고

기표를 해제시키는(辛凉淡滲解肌) 방법으로 치료한다.

주치 : 습열병(濕熱病)

① 만일 습열(濕熱)이 비교적 중(重)한 감이 있고, 그 사기(邪氣)가 안으로 장부(臟

腑) 막고, 밖으로는 기표경락(肌表經絡)을 막으면, 신열(身熱)의 증상을 보이고,

열(熱)이 물러나지 않고 땀을 많이 흘리며, 신통(身痛), 자리(自利), 흉복백진(胸

腹白疹), 소변 량이 적고 색이 붉다(小溲短赤),

이런 경우에는 장부를 막고 있는 습열은 삼출되어 맑아져야하고 (內鬱之濕熱

宜滲宜淸), 경락을 막고 있는 습열은 흩어져서 풀려야(外鬱之濕熱宜散宜解) 한

다.

② 백배(白㾦) : 습사(濕邪)가 기분(氣分)을 막으므로 울발(鬱勃)한 백배(白㾦)는 습

열(濕熱)이 아직 기분을 떠나지 않아 해제되지 않으므로 기표(肌

表)를 울증(鬱蒸)하고 있는 병기(病機)를 위주로 하는 것으로 주로 기부표면(肌

膚表面)에 수포(水泡)를 생출(生出)시키는 것으로 경항(頸項)과 흉복(胸腹)에

주로 나타나고(起自) 점차 사지로 퍼지는데(漸及四肢), 처음에는 적었던 수포

(水泡)가 후에는 조밀해지고 형상이 수정(水晶)과 같은데 터지면 담황색(淡黃

色)의 장액(漿液)이 흘러나오고, 신열(身熱)과 가슴이 결리는(痞胸) 등증상을

겸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기분(氣分)의 습열(濕熱)이 기표(肌表)를 증(蒸)하

는 것을 투설(透泄)시키지 못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의인적두탕(薏仁赤豆湯)《經驗方》

조성 ≒ 生薏仁(생의인), 赤小豆(적소두) 各15, 茯苓皮(복령피), 銀花(은화), 地膚子(지부

자), 生地(생지) 各12, 車前子(차전자), 車前草(차전초), 赤芍(적작), 馬齒莧(마치

현) 各9, 甘草(감초)6.

이가감정기산(二加減正氣散)《溫病條辨》

조성 ≒ 곽향경(藿香梗), 진피(陣皮), 후박(厚朴), 복령피(茯苓皮), 대방기(大防己), 대두황

권(大豆黃卷), 의이인(薏苡仁), 통초(通草).

효용 : 고신담삼(苦辛淡滲)으로 화습리기(化濕理氣), 선통경락(宣通經絡).

주치 : 1) 습열병(濕熱病) - 만일 습이 경락을 막아(濕鬱經絡), 신동(身疼)과 설백(舌白)을

나타내고, 완민변당(脘悶便溏)하며 맥상(脈象)이 모호(模糊)

한 것은 습이 삼초의 경락을 막은(濕鬱經絡三焦) 것인데 이는 특히 습(濕)이 중

초(中焦)의 경락에 더욱 성(盛)한 것이다.

2) 당변(溏便) - 습열미만삼초증(濕熱彌漫三焦證) 삼초(三焦)가 습(濕)에 막혀 위완

부가 답답하고 변이 묽으며(脘悶便溏), 신중(身重)하고, 태백(苔白),

맥유활(脈濡滑) 혹은 모호(模糊)한 증을 위주로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은 습열(濕

熱)이 안으로는 중초(中焦)를 막고, 밖으로는 경락(經絡)에 퍼진 때문에 몸이 무

겁고 또 아프며(身重且痛), 맥상이 모호한 것은 습에 의하여 경락이 저리고(濕

痹經絡), 경기가 불통(經氣不通)하는 표현이다.

이갑복맥탕(二甲復脈湯)《溫病條辨》

조성 ≒ 감초(甘草), 건지황(乾地黃), 백작(白芍), 맥문동(麥門冬), 아교(阿膠), 화마인 (火

麻仁), 모려(牡蠣), 별갑(鱉甲).

효용 : 자음잠양(滋陰潛陽)

주치 : 만약 수족을 꿈틀거리고(手足蠕動), 혀가 진홍색에 태가 적은(舌絳苔少) 등의 증

상은 간(肝)과 신(腎)의 음(陰)이 모두 소모되면서 신수(腎水)가 간목(肝木) 을 함

양(涵養)하지 못하여(水不涵木), 허풍이 내동하기(虛風內動) 때문이다.

13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兒茶(아차, 硏末), 制乳香(제유향), 制沒葯(제몰약), 冰片(빙편) 各1.5, 人中白(인중백, 煅 爲末)3. - 極細末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乳香(유향), 沒葯(몰약), 松香(송향), 𥓲砂(뇌사), 冰片(빙편), 麝香(사향). 흑퇴소(黑退消)《外科學》《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枳殼), 적작(赤芍), 감초(甘草), 길경(桔梗). 주치 : 기체혈어(氣滯血瘀) 담응지만후음(痰凝之慢喉瘖). 성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