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우길탕(牛桔湯)《醫門補要》영아제(嬰兒劑) - 원지산(遠志散)《御葯院方》
卷八
우길탕(牛桔湯)《醫門補要》영아제(嬰兒劑)
조성 ≒ 우방자(牛蒡子), 길경(桔梗), 시호(柴胡), 갈근(葛根), 박하(薄荷), 감초(甘草), 상패
(象貝), 지각(枳殼).- 팔미조성(八味組成).
주치 : 비위울열(脾胃鬱熱)성 아구창(鵝口瘡).- 구설백부(口舌白腐) 첩여설편(疊如雪片)
면적순홍(面赤唇紅) 신열번조(身熱煩躁) 구중건갈(口中乾渴) 대변건결(大便乾結)
소변단황(小便短黃) 설홍(舌紅) 맥활삭(脈滑數).
우방자탕(牛蒡子湯)《霉癘新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牛蒡子(우방자)6, 玄參(현삼), 犀角(서각), 升麻(승마), 黃芩(황금), 木通(목통), 桔
梗(길경), 甘草(감초) 各3, 土茯苓(토복령)12. 水 700毫升, 煎取 300毫升, 分二次
溫服.
효용 : 淸熱解毒(청열해독), 化痰利咽(화담이인)
주치 : 梅瘡毒攻(매창독공) 咽喉(인후), 腐爛疼痛(부란동통) 飮食不下(음식불하).
우방해기탕(牛蒡解肌湯)《瘍科心得集》옹양제(癰瘍劑)
조성 ≒ 우방자(牛蒡子), 박하(薄荷), 형개(荊芥), 연교(連翹), 산치자(山梔子), 모단피(牡
丹皮), 석곡(石斛), 현삼(玄參), 하고초(夏枯草).
주치 : 풍열소치(風熱所致)의 두항부(頭項部) 창양(瘡瘍).- 두면부창양(頭面部瘡瘍) 홍종
열통(紅腫熱痛) 맥부삭(脈浮數).
우세방(疣洗方)《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馬齒莧(마치현), 蜂房(봉방), 白芷(백지), 蛇床子(사상자), 細辛(세신), 陣皮(진피),
蒼朮(창출), 苦參(고삼).
우슬목과탕(牛膝木瓜湯(우슬목과탕)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牛膝(우슬), 木瓜(목과) 各一錢(각일전), 白芍葯(백작약), 杜仲(두중), 枸杞子 (구
기자), 黃松節(황송절), 菟絲子(토사자), 天麻(천마) 各七分半(각칠분반), 甘草(감
초) 五分(오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薑(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
枚(이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歲金(세금)이 太過(태과)하고 燥氣(조기)가 流行(류행)하고, 肝木(간목)이 邪 (사)
를 받아서 사람들의 疾病(질병)은 脇(협)과 小腹(소복)이 疼痛(동통)하고, 귀가 먹
고, 눈이 붉으며, 胸脇(흉협)이 疼痛(동통)하여 小腹(소복)과 尻陰(고음, 꽁무니)을
당기어 股(고), 膝(슬), 髀(비, 넓적다리 대퇴골), 腨(천, 장딴지), 胻(행, 정강이), 足
(족)이 다 疼痛(동통) 하니.
우슬탕(牛膝湯)《聖濟悤錄》卷九十五 又名 : 三味牛膝湯《景岳全書》卷五十七
조성 ≒ 生牛膝根(생우슬근, 幷葉)60, 黃芩(황금)15, 炒當歸(초당귀)30.
上爲末. 每服 15 克, 水 300 毫升, 煎至 210 毫升, 去滓溫服, 1日 3次.
효용 : 활혈통규(活血通竅)
주치 : 남자(男子) 경중통(莖中痛).
우슬탕(牛膝湯)《婦人大全良方》
조성 ≒ 牛膝(우슬), 瞿麥(구맥), 當歸(당귀), 通草(통초), 滑石(활석), 葵子(규자).
우잉환(芋艿丸)《經驗方》
조성 ≒ 향경우잉(香梗芋艿 揀大者) 불구다소(不拘多少). 장우잉절편(將芋艿切片) 쇄건
(晒乾), 연세말(硏細末) 용진해철(用陳海蜇 표담(漂淡)) 대발제(大荸薺) 전탕범환
(煎湯泛丸) - 매차(每次) 9g, 진해철(陳海蜇) 발제(荸薺) 煎湯送下.
효용 : 소담(消痰) 연견(軟堅) 화독(化毒) 생기(生肌)
주치 : 라력(瘰癧).
우피선고약(牛皮癬膏葯)《中醫外科學》옹양제(癰瘍劑)
조성 ≒ 약분(葯粉) 화(和) 고약(膏葯) 양부분조성(兩部分組成)
葯粉 : 유황(硫黃), 웅황(雄黃), 고반(枯礬), 명반(明礬), 양장(洋樟) 각60, 홍반(紅
斑, 紅砒)30.- 공연극세말(共硏極細末)용시(用時) 장약균균섬우(將 葯均勻
摻于) 고약지상(膏葯之上).
膏葯 : 번목별(番木鱉), 창출(蒼朮), 당귀(當歸), 생지(生地), 파두(巴豆), 고삼(苦
蔘), 백지(白芷), 감초(甘草), 형개(荊芥), 방풍(防風), 전갈(全蝎), 반모(斑
蝥), 선의(蟬衣), 학슬(鶴蝨), 사상자(蛇床子), 와송(瓦松), 토근피(土槿皮),
화초(花椒), 회향(茴香), 금문(錦紋, 大黃), 빈낭(檳榔) 각60, 오공(蜈蚣)십이
조(十二條), 홍반(紅礬, 紅砒)30.
- 이상각약(以上各葯) 용(用) 마유(麻油)5000 호승(毫升), 춘침(春浸) 오천(五天),
하침(夏浸) 삼천(三天), 추침(秋浸) 칠천(七天), 동침(冬浸) 십천(十天), 오전(熬
煎) 거사(去渣), 적수성주(滴水成珠) 재장숙유(再將熟油) 매(每) 500 호승(毫升)
가(加) 초투광단(炒透廣丹)240(冬天改爲 180~210克) 수고(收膏). 용시(用時)
장고탄우포상(將膏攤于布上), 수환처대소부첩(隨患處大小敷貼) 첩칠천위일차
(貼七天爲一次) 삼차위일료정(三次爲一療程). 재제일차부첩시(在第一次敷貼
時) 장약분(將葯粉) 균균섬고약지상(均勻摻膏葯之上) 홍열첩우환처(烘熱貼于
患處), 제이삼차(第二三次) 불살약분(不撒葯粉). 재제일차부첩후(在第一次敷貼
后) 피부회고기작양(皮膚會高起作痒), 제이차부첩(第二次敷貼) 칙양교경(則痒
較輕), 제삼차부첩(第三次敷貼) 칙불양(則不痒) 피부평복(皮膚平復).
효용 : 살충(殺虫) 지양(止痒) 윤부(潤膚)
주치 : 우피선(牛皮癬) 백비(白疕).-
우피선(牛皮癬) : 병정장(病程長), 국부건조(局部乾燥) 비후(肥厚) 탈설(脫屑) 상
여우령지피(狀如牛領之皮) 설태박(舌苔薄) 맥유세(脈濡細).
백비(白疕) : 피손(皮損) 홍반지상(紅斑之上) 반복출현(反復出現) 다층은백색(多
層銀白色) 건조린설(乾燥鱗屑).
우황승기탕(牛黃承氣湯)《溫病條辨》개규제(開竅劑)
조성 ≒ 우황(牛黃), 울금(鬱芩), 서각(犀角), 황련(黃連), 황금(黃芩), 산치자(山梔子), 주사
(朱砂), 웅황(雄黃) 각30, 매편(梅片), 사향(麝香) 각7.5, 진주(珍珠)15, 금박의(金
箔衣), 생대황(生大黃)3.
안궁우황환(安宮牛黃丸) 가(加) 생대황(生大黃).
- 생대황을 갈어서 3g을 반으로 나누어 안궁우환환을 먹기 전후(前后)로 복용
효용 : 청열개규(淸熱開竅), 활담해독(滑痰解毒).
주치 : 온열병(溫熱病).- 열사(熱邪)가 심포(心包)로 내함(風溫熱入心胞)한, 양명부실증
(陽明腑實證).- 몸에 열이 있고, 정신이 아찔하며 어지럽고(身熱
神昏), 혀가 영활히 움직이지 않고(舌蹇), 사지가 쓸어져 힘을 가누지 못하고(肢
厥), 배를 만지면 뜬뜬한 것이 짚이며 아프고(腹部按之硬痛), 대변감이 없고(无大
便), 혀가 빨간색 이고(舌絳), 설태는 마르고 누런색 이며(苔黃燥) 맥은 한 번호흡
하는 사이에 5번 이상 뛰며 힘주어 눌러야 집이기는 하지만 3 부맥이 모두 유력
한 삭이침실맥(數而沉實脈) 등 증을 다스린다.
우황청심환(牛黃淸心丸)《痘疹世醫心法》개규제(開竅劑)
조성 ≒ 우황(牛黃), 주사(朱砂), 황련(黃連), 황금(黃芩), 치자(梔子), 울금(鬱芩).
효용 : 청열개규(淸熱開竅), 활담해독(滑痰解毒).
주치 : 온열병(溫熱病) 열사(熱邪)가 심포(心包)로 내함(內陷)하고, 담열(痰熱)이 심규(心
竅)를 몽폐(蒙蔽)함으로써 고열번조(高熱煩躁) 신혼섬어(神昏譫語), 그리고 중풍
혼미(中風昏迷)와 소아경궐(小兒驚厥)에서 사열(邪熱)이 내폐(內閉)된 자(者)를
주치(主治)한다.
우황청심환(牛黃淸心丸)《和劑局方》
조성 ≒ 牛黃(우황), 羚羊角(영양각), 水牛角(수우각), 麝香(사향), 冰片(빙편), 朱砂(주사),
雄黃(웅황), 大豆卷(대두권), 當歸(당귀), 白芍(백작), 防風(방풍), 柴胡(시호), 桔梗
(길경), 白薇(백미), 人參(인삼), 白朮(백출), 肉桂(육계), 大棗(대조).
우황청심환(牛黃淸心丸)《壽世保元》太陰人方-(唐宋明時期)
조성 ≒ 山葯(산약)35, 炒甘草(초감초)25, 人參(인삼), 蒲黃(포황), 神曲(신곡, 炒) 各125,
犀角(서각), 大豆黃卷(대두황권, 炒), 肉桂(육계), 阿膠(아교, 炒) 各8.5, 白芍(백
작), 麥門冬(맥문동), 黃芩(황금), 當歸(당귀), 白朮(백출), 防風(방풍), 朱砂(주사,
水飛) 各7.5, 柴胡(시호), 桔梗(길경), 杏仁(행인), 白茯苓(백복령), 川芎(천궁) 各
6.5, 牛黃(우황)6, 羚羊角(영양각), 龍腦(용뇌), 麝香(사향) 各5, 雄黃(웅황)4, 白蘞
(백렴), 乾姜(건강) 各3.5, 金箔(금박)140조각.
☞ 《壽世保元》에서는
백출(白朮), 인삼(人參), 감초(甘草), 신곡(神曲), 육계(肉桂), 아교(阿膠), 백작(白
芍), 당귀(當歸), 천궁(川芎), 건강(乾姜), 시호(柴胡), 백복령(白茯苓), 웅황(雄黃),
주사(朱砂) 청밀(淸蜜) 等 葯種을 빼야 한다고 하였다.
효용 : 肺氣(폐기)를 튼튼하게 하고, 肺(폐)의 眞氣(진기)를 깨우치며, 가래를 삭이고, 淸
熱解毒(청열해독)한다.
주치 : 졸중풍으로 인한 人事不省(인사불성) 痰涎壅塞(담연옹색), 神志昏迷(신지혼미),
言語蹇澁(언어건삽), 口眼喎斜(구안괘사), 手足不遂(수족불수) 等 症狀.
우황탈명산(牛黃奪命散)《證治准繩》영아제(嬰兒劑)
조성 ≒ 대황(大黃), 빈낭(檳榔), 흑견우(黑牽牛), 백견우(白牽牛).
주치 : 소아폭천(小兒暴喘, 馬脾風).- 폐창천급(肺脹喘急) 흉격기급(胸膈起急) 양협선동
(兩脇扇動) 함하작갱(陷下作坑) 양비규장(兩鼻竅張) 민난수갈(悶亂嗽渴) 성아불
명(聲啊不鳴) 담조용색(痰稠涌塞).
우황탈명산(牛黃奪命散)《幼幼集成》
조성 ≒ 白牽牛(백견우), 黑牽牛(흑견우), 大黃(대황), 檳榔(빈낭).
우황포용환(牛黃抱龍丸)《明醫雜著》영아제(嬰兒劑)
조성 ≒ 포용환(抱龍丸, 사향(麝香), 웅황(雄黃), 진사(辰砂), 천죽황(天竹黃), 담남성(膽南
星)) 加 우황(牛黃).
주치 : 소아급경(小兒急驚) 담열내옹(痰熱內壅).- 신열혼수(身熱昏睡) 담성기촉(痰盛氣
促) 경궐추축(驚厥抽 ) 태황구니(苔黃垢膩) 맥현삭(脈弦數).
우황해독환(牛黃解毒丸)《證治准繩》이비제(耳鼻劑)
조성 ≒ 우황(牛黃), 감초(甘草), 금은화(金銀花), 초하차(草河車).
주치 : 간담습열(肝膽濕熱) 상증지이절(上蒸之耳癤) 이창(耳瘡).- 이부동통(耳部疼痛) 통
인시뇌(痛引腮腦) 이도국부홍종(耳道局部紅腫) 홍종처가견(紅腫處可見) 황색농
점(黃色膿点), 파후(破后) 유농혈유출(有膿血流出) 신열오한(身熱惡寒) 구고인건
(口苦咽乾) 소변단황(小便短黃) 대변비결(大便秘結) 설홍(舌紅) 태황니(苔黃膩)
맥현삭(脈弦數).
웅담고(熊膽膏)《證治准繩》
조성 ≒ 熊膽(웅담), 膩粉(니분), 雄黃(웅황), 麝香(사향), 檳榔(빈낭).
웅사산(雄麝散)《中醫外科學簡編》
조성 ≒ 雄黃(웅황), 麝香(사향).
웅황고(雄黃膏)《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雄黃(웅황), 硫黃(유황), 氧化鋅(양화자), 凡士林(범사림).
웅황연고(雄黃軟膏)《經驗方》
조성 ≒ 雄黃(웅황)10, 氧化鋅(양화자)10, 羊毛脂(양모지)30, 凡士林(범사림) 加至100.
外涂(외도)
치법 : 殺虫(살충), 止痒(지양).
부치 : 手足癬(수족선), 白疕(백비) 및 慢性皮膚病(만성피부병).
웅황해독산(雄黃解毒散)《證治准繩》
조성 ≒ 雄黃(웅황), 寒水石(한수석), 生白礬(생백반).
웅황해독산세제(雄黃解毒散洗劑)《中醫外科學》
조성 ≒ 雄黃(웅황), 寒水石(한수석), 生白礬(생백반), 爐甘石(로감석), 滑石(활석), 甘油
(감유), 水(수).
웅황해독환(雄黃解毒丸)(解毒雄黃丸)《三因方》
조성 ≒ 웅황(雄黃), 울금(鬱芩), 파두상(巴豆霜).
주치 : 급후풍(急喉風).- 발병급속(發病急速) 인후홍종동통(咽喉紅腫疼痛) 호흡곤난(呼
吸困難) 담연옹성(痰涎壅盛) 어언난출(語言難出) 탕수난하(湯水難下) 심칙(甚則)
사지궐냉(四肢厥冷) 신혼(神昏) 맥침미욕절(脈沈微欲絶)
웅황훈방(雄黃熏方)《金匱要略》옹양제(癰瘍劑)
조성 ≒ 웅황(雄黃).- 위말소(爲末燒) 훈환처(熏患處).
주치 : 호혹병(狐惑病), 항문식란자(肛門蝕爛者).
원지고(遠志膏)《外科十法》
조성 ≒ 원지육(遠志肉).
원지산(遠志散)《御葯院方》卷八
조성 ≒ 遠志肉(원지육), 五味子(오미자, 焙), 蛇床子(사상자) 各等分.
上爲細末. 每用 15 克, 水 600 毫升, 加 葱白 1 根, 同煎 35 沸, 去滓, 乘熱淋洗.
효용 : 장양이습(壯陽利濕)
주치 : 음경동통(陰莖疼痛), 음낭종축(陰囊腫縮), 소변불이(小便不利).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