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배자고(五倍子膏)《朱仁康臨床經驗集》- 오약탕(烏葯湯)《蘭室秘藏》
경산제(經産劑)
오배자고(五倍子膏)《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五倍子(오배자), 乾荔枝草(건려지초), 輕粉(경분), 冰片(빙편).
오배자산(烏倍子散)《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오배자(五倍子)3, 차전자(車前子)3, 경분(輕粉)0.9, 빙편(冰片)0.15.
- 사미조성(四味組成)
주치 : 치창(痔瘡), 탈항(脫肛). - 치창발작(痔瘡發作) 견경동통(堅硬疼痛) 난인(難忍), 혹
(或) 항문범출(肛門泛出) 종경불수(腫硬不收).
오배자산(烏倍子散)《醫宗金鑑》
조성 ≒ 五倍子(오배자) 大1 个, 鑿 1 孔, 用陰乾 車前草揉碎, 塡入 五倍子肉, 用紙塞孔,
濕紙包, 煨片時 取出待冷去紙, 硏爲細末. 每葯末3g, 加 輕粉0.9, 冰片0.15.
- 共硏極細. - 乾搽痔上.
효용 : 수렴수삽(收斂收澁) 주치 : 內痔(내치) 견경동통(堅硬疼痛) 難忍者(난인자).
오배자사심탕(五倍子瀉心湯)《驗方》
조성 ≒ 大黃(대황), 黃芩(황금), 黃連(황연), 薄荷(박하), 五倍子(오배자).
오배자탕(烏倍子湯)《瘍科選粹》옹양제(癰瘍劑)
조성 ≒ 오배자(五倍子), 박초(朴硝), 상기생(桑寄生), 형개(荊芥), 연방(蓮房) 各30. 오미조성(五味組成) 전탕훈세(煎湯熏洗) 환처(患處)
효용 : 소종지통(消腫止痛), 수렴지혈(收斂止血).
주치 : 치창(痔瘡), 탈항(脫肛).- 출혈(出血) 탈출(脫出) 종창(腫脹) 양통(痒痛).
오보산(五寶散)《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종유석(鍾乳石), 진주(珍珠), 빙편(冰片), 진사(辰砂).
- 연극세말(硏極細末) 조균(調勻) 가비라면화균(加飛羅面和勻) 자관밀수(瓷罐密收) 용시(用時) 토복령탕(土茯苓湯) 조하(調下).
주치 : 영아습창(嬰兒濕瘡).- 홍반(紅斑) 수포(水疱) 미란(糜爛) 류자(流滋).
☆☆☆ 본방원치(本方原治) 양매(楊梅) 감창(疳瘡) 결독(結毒).
오보산(五寶散)《外科醫鏡》옹양제(癰瘍劑)
조성 ≒ 감람핵(橄欖核)(煅)6, 한수석(寒水石)6, 빙편(冰片)0.3, 우황(牛黃)0.3, 진주(珍
珠)0.9.(无 則用 煅石決明 代之)
효용 : 청열화담(淸熱化痰), 해독렴창(解毒斂瘡).
주치 : 음경감식(陰莖疳蝕).
오보산(五寶散)《醫宗金鑑》
조성 ≒ 鍾乳石(종유석, 如乳頭下垂, 敲之易碎 似蜻蜒翅者方眞)12, 朱砂(주사)3, 珍珠(진
주, 豆腐內煮, 半炷香時 取出)6, 冰片(빙편)3, 琥珀(호박)6.
各硏極細 和勻, 用葯 6g, 另加飛羅面 24g, 再硏和勻 瓷罐密收.
用法 : 每用 土茯苓150, 水 3 碗, 煎至 2 碗, 濾去渣 分作 3 次, 每次 加 五寶散
0.3g 和勻, 每天 3 次; 兒童半减 ; 嬰兒服 1/3. 如 鼻腐爛, 每天于土茯苓內
加 細辛 9g, 煎服,以引葯上行. 忌食 : 해성(海腥), 우(牛), 양(羊), 계육(鷄肉),
주(酒), 전초(煎炒) 等.
효용 : 청열해독(淸熱解毒)
주치 : 양매(楊梅), 감창(疳瘡), 결독급(結毒及), 영아습진(嬰兒濕疹).
오보원(五補元)《入門(입문)》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地骨皮(지골피), 白茯苓(백복령), 牛膝(우슬), 熟地黃(숙지황), 人蔘(인삼) 各一兩
(각일량)을 作末(작말)하고 梧子大(오자대) 트기로 蜜丸(밀환)을 지어서 溫酒(온
주) 혹은 鹽湯(염탕)으로 50~70환을 呑下(탄하) 한다.
주치 : 諸虛(제허)와 百損(백손)을 補(보)하는데 쓴다.
오부마신계강탕(烏附麻辛桂姜湯)《成都中醫學院戴云波方)方》치풍제(治風劑)
조성 ≒ 천오두(川烏頭), 포부자(炮附子), 마황(麻黃), 세신(細辛), 계지(桂枝), 건강(乾姜),
감초(甘草), 봉밀(蜂蜜).
주치 : 통비(痛痺).- 지체관절(肢體關節) 동통극열(疼痛劇烈), 통유정처(痛有定處), 득열
통감(得熱痛減), 우한통증(遇寒痛增), 관절굴신불리(關節屈伸不利),
환처피부(患處皮膚) 한냉(寒冷), 설담태백(舌淡苔白), 맥현긴(脈弦緊).
오사구풍탕(烏蛇驅風湯)《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烏蛇(오사), 荊芥(형개), 黃芩(황금), 防風(방풍), 白芷(백지), 羌活(강활), 黃連(황
연), 連翹(연교), 生甘草(생감초), 銀花(은화), 蟬蛻(선태).
오색령약(五色靈葯)《醫宗金鑑》
조성 ≒ 食鹽(식염), 鉛(연), 白礬(백반), 綠礬(녹반), 水銀(수은), 硝石(초석).
오석고(五石膏)《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靑黛(청대), 黃柏(황백), 枯礬(고반), 蛤粉(합분), 煅石膏(단석고), 滑石(활석), 凡士
林(범사림), 芝麻油(지마유).
오수목과탕(吳茱木瓜湯)《時方講義》거습제(祛濕劑)
조성 ≒ 오수유(吳茱萸), 목과(木瓜), 빈낭(檳榔), 생강(生姜).
주치 : 각기충심(脚氣冲心).- 자각(自覺) 심계근급(心悸筋急), 기상충(氣上冲) 민난불식
인(悶亂不識人) 맥욕절(脈欲絶).
오수유탕(吳茱萸湯)《傷寒論》온리제(溫里劑)
조성 ≒ 오수유(吳茱萸), 인삼(人蔘), 생강(生姜), 대조(大棗).
주치 : 1) 위한욕구(胃寒欲嘔).- 시큼한 물이 올라와 다시 삼키게 되고, 배가 고픈 것인지
아픈 것인지 위가 허전한 듯 하기도하고 쓰린 듯 하기도
하며(呑酸嘈囃), 정수리부위가 아픈 두통((厥陰頭痛)이 있고, 마른 구역질과 침
을 흘리며(乾嘔吐涎沫), 소음증(少陰證) 구토와 설사(少陰吐利), 손과 발가락으
로부터 차가우며(手足厥冷), 죽고 싶을 정도로 마음이 번거롭고 초초한(煩躁欲
死) 등 증상을 다스린다.
2) 녹풍내장(綠風內障).
오수유탕(吳茱萸湯)《證治准繩》경산제(經産劑)
조성 ≒ 오수유(吳茱萸), 방풍(防風), 목향(木香), 세신(細辛), 맥동(麥冬), 운령(云苓), 반하
(半夏), 육계(肉桂), 건강(乾姜), 고본(藁本), 당귀(當歸), 감초(甘草), 단피(丹皮).-
십삼미조성(十三味組成)
주치 : 풍냉소치(風冷所致) 통경(痛經).- 오한(惡寒) 소복냉통(小腹冷痛) 경색자암(經色
紫 暗) 맥부긴(脈浮緊).
오수유탕(吳茱萸湯)《竄視瑤函》치목제(治目劑)
조성 ≒ 오수유(吳茱萸), 인삼(人蔘), 생강(生姜), 향백지(香白芷), 이진탕(二陣湯, 진피(陣
皮), 반하(半夏), 복령(茯苓), 자감초(炙甘草)) 대천궁(大川芎).
- 구미조성(九味組成)
주치 : 간위허한(肝胃虛寒) 음사상범(飮邪上犯)지 녹풍내장(綠風內障).- 두통상급전정
(頭 痛上及巓頂) 안구창통(眼球脹痛) 동신산대(瞳神散大) 시물혼몽(視物昏朦) 건
구토연(乾嘔吐涎) 식소신피(食少神疲) 사지불온(四肢不溫) 설담태백(舌淡苔白)
맥현(脈弦) 변증의거(辨證依据) 간위허한(肝胃虛寒)으로 음사가 상범하여(飮邪上
犯), 두통이 위로 정수에 미치고(頭痛上及巓頂), 눈알이 붓고 아프며(眼球脹痛),
눈동자가 산대 하고(瞳神散大) 시물이 혼몽하며(視物昏朦), 헛구역질에 침을 토
하고(乾嘔吐涎), 정신이 피로하며 음식을 적게 먹고(食少神疲), 팔다리가 따뜻 하
지 않으며(四肢不溫), 혀는 담담하고 태는 희며(舌淡苔白), 맥은 긴 것이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 하다(脈弦).
오수유환(吳茱萸丸)《聖濟悤錄》
조성 ≒ 오수유(吳茱萸), 육계(肉桂), 빈낭(檳榔), 진피(陣皮), 생강(生姜).
효능 : 온중산한(溫中散寒)
주치 : 흉비(胸痹) 중에 심양허증(心陽虛證).
오신탕(五神湯)《外科眞詮》
조성≒ 금은화(金銀花), 자화지정(紫花地丁), 우슬(牛膝), 복령(茯苓), 차전자(車前子).
오신탕(五神湯)《洞天奧旨》옹양제(癰瘍劑)
조성 ≒ 지정(地丁), 차전자(車前子), 은화(銀花), 운복령(云茯苓), 우슬(牛膝).
주치 : 1) 옹저(癰疽) 단독(丹毒).- 홍종열통(紅腫熱痛) 소변단삽(小便短澁) 궤후(潰后) 농
수임리(膿水淋漓), 구불유합(久不愈合).
2) 하지에 발생하며(發于下肢), 발열 등 전신 증상은 없으나(除發熱等症狀外), 국
부 즉 하지가 발갛게 붇고(局部以紅赤腫脹) 아프며 뜨거운 열을 위주로 하며
(炒熱疼痛爲主) 역시 수포, 자반이 발생할 수 있고(亦可發生 水疱紫斑) 심화하
면 독이 뭉쳐 곪거나(甚至結毒化膿) 혹은 피부가 괴사된다或皮膚壞死), 설태는
누렇고 미끈거리며(苔黃膩), 맥은 파도와 같이 큰데 오는 맥이 가는 맥보다 크
고 빠르다(脈洪數). 반복해서 발작하며 각풍(脚膝風)을 형성할 수 있다(反復發
作可形成大脚風)(象皮腿) 合 萆薢滲濕湯(비해삼습탕) 加减.
오씨삼갑산(吳氏三甲散)《瘟疫論》
조성 ≒ 별갑(鱉甲), 구판(龜板), 모려(牡蠣), 천산갑(穿山甲), 선의(蟬衣), 강잠(姜蚕), 자충
(蟅虫), 당귀(當歸), 백작(白芍), 감초(甘草).
효용 : 익음양혈(益陰養血), 파체통어(破滯通瘀), 청투여사(淸透余邪).
주치 : 溫病后期(온병후기)에 출현하는 어열상박증(瘀熱相搏證)
臨床 : 묵묵히 아무 말을 하지 않으며(黙黙不語), 신지가 혼미하고(神志昏迷), 혹
은 팔다리가 저리고 마비되는데(肢体痿痹), 대체로 사열의 여사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남아서(多由邪熱余邪未盡) 영기와 상박함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與營氣相搏), 심은 피알을 주관하는데(心主被遏), 기가 둔해서 혈이 막히고(氣鈍
血滯), 락맥(細血管)이 어혈로 엉긴 때문이다(絡脈凝瘀所致)
오약산(烏葯散)《婦人良方》경산제(經産劑)
조성 ≒ 오약(烏葯), 계지(桂枝), 도인(桃仁), 아출(莪朮), 당귀(當歸), 청피(靑皮), 목향(木
香).
주치 : 증적(症積).- 부인(婦人) 혈기공심동통(血氣攻心疼痛) 설유어반(舌有瘀斑) 맥삽
(脈良姜), 위변증의거(爲辨證依据)
오약산(烏葯散)《小兒葯證直訣》영아제(嬰兒劑)
조성 ≒ 오약(烏葯), 고량강(高良姜), 백작약(白芍葯), 향부(香附).- 사미조성(四味組成)
주치 : 비장허한(脾臟虛寒)의 야제(夜啼).- 제곡시(啼哭時) 성음저약(聲音低弱), 수희권
곡(睡喜蜷曲) 복희마안(腹喜摩按) 사지흠온(四肢欠溫) 연유무력(吮乳无力) 대변
당박(大便溏薄) 소변청장(小便淸長) 면색청백(面色靑白) 순설담홍(唇舌淡紅) 설
담태백 (舌淡苔白).
오약산(烏葯散)《聖濟悤錄》卷九十四
조성 ≒ 烏葯(오약), 木香(목향), 炒小茴香(초소회향), 靑皮(청피), 炒高良姜(초고량강) 各
15, 檳榔(빈낭)2枚, 川楝子(천련자)10枚, 巴豆(파두)10枚(微炒 敲破 用麥麩 100
克 同楝實炒 至麩黑色揀去巴豆及麩 不用). 上爲散. 每服 3 克, 空腹及 晩食前 溫
酒調下; 痛甚者 炒生姜 熱酒調下.
효용 : 온간행기(溫肝行氣)
주치 : 고환동통(睾丸疼痛), 견인소복(牽引小腹).
오약순기탕(烏葯順氣湯)《和劑局方》리기제(理氣劑)
조성 ≒ 오약(烏葯), 마황(麻黃), 길경(桔梗), 천궁(川芎), 지각(枳殼), 감초(甘草), 강잠(姜
蚕), 백지(白芷), 포강(炮姜), 귤홍(橘紅), 총백(葱白).
주치 : 대노상간(大怒傷肝) 간기상역(肝氣上逆).- 돌연혼도(突然昏倒) 아관긴급(牙關緊
急) 사지궐냉(四肢厥冷) 맥침복(脈沉伏).
오약순기탕(烏葯順氣湯)
조성 ≒ 烏葯(오약), 麻黃(마황), 陳皮(진피) 各6, 川芎(천궁), 白芷(백지), 白殭蠶 (백강잠),
枳殼(지각), 桔梗(길경) 各4, 乾姜(건강)2, 甘草(감초)1.2.
위의 약들을 썰어서 1 첩으로 하여 生姜(생강) 3片, 大棗(대조) 2枚와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주치 : 모든 風病(풍병)일 때에는 먼저 烏葯順氣散(오약순기산)으로 氣(기)를잘 돌게 한
다음 風(풍)을 치료하는 약을 복용해야 한다. 그리고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과
歷節風(역절풍)도 치료한다.
오약탕(烏葯湯)《蘭室秘藏》경산제(經産劑)
조성 ≒ 오약(烏葯), 당귀(當歸), 감초(甘草), 목향(木香), 향부(香附).- 오미조성(五味組成)
주치 : 기체적(氣滯的) 경기연후(經期延后).- 량소(量少) 색암홍(色暗紅) 혹유(或有) 소어
괴(小瘀塊) 소복작통(小腹作痛) 혹(或) 흉복(胸腹) 양협(兩脇) 유방창통(乳房脹痛)
맥현(脈弦)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