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의방 69 延胡索湯 - 烏頭湯

Aktualisiert: 28. Aug. 2019



醫方集成

연호색탕(延胡索湯)

《濟生方》경산제(經産劑) - 오두탕(烏頭湯)《證治准繩》



연호색탕(延胡索湯)《濟生方》경산제(經産劑)

조성 ≒ 연호색(延胡索), 당귀(當歸), 적작(赤芍), 육계(肉桂), 포황(蒲黃), 강황(姜黃), 감

초(甘草), 목향(木香), 유향(乳香), 몰약(沒葯).

주치 : 기혈응체적(氣血凝滯的) 동통(疼痛).- 심복작통(心腹作痛) 상하공자(上下攻刺)

연급요배(連及腰背) 경후불조(經候不調).

연훈산(烟熏散)《中醫外科臨床手冊》옹양제(癰瘍劑

조성 ≒ 대풍자(大楓子)150, 학슬(鶴蝨)60, 백선피(白鮮皮)15, 방풍(防風), 황백(黃柏), 고

삼(苦蔘) 각45, 송향(松香)60, 창출(蒼朮)45, 오배자(五倍子)75.

- 공위조말(共爲粗末), 취초지양장(取草紙兩張) 상치약물(上置葯物)6극(克), 권

성지조(卷成紙條) 점화장연훈(点火將烟熏) 우환처(于患處), 매차(每次)10~15

분종(分鍾), 매일(每日) 이차(二次).

효용 : 살충지양(殺虫止痒)

주치 : 아장풍(鵝掌風) 우피선(牛皮癬) 만성습진(慢性濕疹).

열부산(悅膚散)《經驗方》

조성 ≒ 冬瓜仁(동과인), 山葯(산약), 綠豆紛(녹두분) 各30, 茯苓(복령)12, 白僵蚕(백강

잠)10,川芎(천궁)5.- 共硏極細末, 甁貯備用.- 油性皮膚 采用黃瓜汁 或絲瓜汁, 調

成糊狀; 乾性皮膚采用鮮牛奶(牛乳) 或鮮豆漿(豆汁) 調成糊狀, 臨睡前涂于面部,

保留 60 分 鍾后, 再用溫水洗去, 2 日 1 次.

효용 : 散風退斑(산풍퇴반), 嫩膚悅色(눈부열색).

주치 : 黃褐斑(황갈반) 雀斑(작반) 等.

열홍료법(熱烘療法)《經驗方》

효용 : 윤조지양(潤燥止痒)

주치 : 아장풍(鵝掌風) 군열창(皸裂瘡) 만성습진(慢性濕疹) 우피선(牛皮癬) 等, 피부건조

(皮膚乾燥) 소양지증(瘙痒之症).

염두발방(染頭發方)《經驗秘方》

조성 ≒ 白僵蚕(백강잠), 零陵香(영능향), 百葯煎(백약전), 白及(백급), 靑黛(청대), 白芷

(백지), 滑石(활석), 甘松(감송).

염발선방(染發仙方)《普濟方》

조성 ≒ 胡核桃(호핵도), 靑皮(청피).

염탕탐토방(鹽湯探吐方)《千金要方》용토제(湧吐劑)

조성 ≒ 식염(食鹽).

주치 : 숙식(宿食) 혹 건곽란(乾霍亂).- 숙식불소(宿食不消) 혹 건곽란(乾霍亂), 욕토불득

토(欲吐不得土), 욕사불득사(欲瀉不得瀉), 심흉번만(心胸煩滿), 맥침복(脈沉伏).

엽씨양위탕(葉氏養胃湯)《臨證指南》

조성 ≒ 麥冬(맥동), 玉竹(옥죽), 沙蔘(사삼), 扁豆(편두), 桑葉(상엽), 生甘草(생감초).

영각구등탕(羚角鉤藤湯)《通俗傷寒論》치풍제(治風劑)

조성 ≒ 영양각(羚羊角), 쌍구등(雙鉤藤), 생지황(生地黃), 백작(白芍), 감초(甘草), 천패모

(川貝母), 복신(茯神), 상엽(桑葉), 국화(菊花), 죽여(竹茹).

주치 : 열극(熱極) 소치적(所致的) 간풍(肝風).- 장열신혼(壯熱神昏) 번민(煩悶) 조요(躁

擾) 축익경궐(搦痙厥), 설질건강(舌質乾絳), 맥현삭(脈弦數).

영신단(寧神丹)《仙拈集》

조성 ≒ 蓮須(연수), 石蓮肉(석연육) 各500, 芡實(검실)360, 麥冬(맥동)120.

公猪肚(공저두) 1个, 蓮肉(연육)500, 放砂鍋內煮爛 去肚 將蓮肉 晒乾, 與上葯 同

爲 細末 煉蜜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100丸 空腹時 用蓮須湯 送下.

효용 : 청심영신(淸心寧神)

주치 : 부인(婦人) 성욕편항(性欲偏亢), 신사불영(神思不寧).

영양각산(羚羊角散)《世醫得效方》

조성 ≒ 영양각(羚羊角), 가국(家菊), 방풍(防風), 천궁(川芎), 강활(羌活), 차전자(車前子),

천오(川烏), 반하(半夏), 박하엽(薄荷葉), 세신(細辛).

영양각음자(羚羊角飮子)《秘傳眼科龍木論》

조성 ≒ 영양각(羚羊角), 방풍(防風), 오미자(五味子), 망초(芒硝), 대황(大黃), 지모(知母),

세신(細辛).

영양각음자(羚羊角飮子)《審視瑤函》치목제(治目劑)

조성 ≒ 영양각(羚羊角), 서각(犀角), 방풍(防風), 길경(桔梗), 황금(黃芩), 감초(甘草),지모

(知母), 현삼(玄參), 충위자(茺尉子), 초결명(草決明), 차전자(車前子), 천금문(川

錦紋).

주치 : 열독치성(熱毒熾盛)지 황액상충(黃液上冲).- 황액상충(黃液上冲) 포륜홍적(抱輪

紅赤) 동신긴소(瞳神緊小) 수명유루(羞明流泪) 두목극통(頭目劇痛) 구갈희음(口

渴喜飮) 대변비결(大便秘結) 설홍태황(舌紅苔黃) 맥삭(脈數).

영양각탕(羚羊角湯)《醫醇剩義》치풍제(治風劑)

조성 ≒ 영양각(羚羊角), 구판(龜板), 생지황(生地黃), 모단피(牡丹皮), 백작(白芍), 시호

(柴胡), 박하(薄荷), 선의(蟬衣), 국화(菊花), 하고초(夏枯草), 석결명(石決明), 대조

(大棗).

주치 : 간양상항(肝陽上亢)의 두통(頭痛).- 두통현운(頭痛眩暈), 심번이노(心煩易怒), 구

고설홍(口苦舌紅), 맥현삭유력(脈弦數有力).

영양구등음(羚羊鉤藤飮)《通俗傷寒論》

조성 ≒ 羚羊角(영양각), 鉤藤(구등), 桑葉(상엽), 川貝(천패), 生地(생지), 菊花(국화), 茯神

(복신), 白芍(백작), 甘草(감초), 竹茹(죽여).

효용 : 평간식풍(平肝熄風).

주치 : 두운(頭暈), 두통(頭痛) - 간풍내동증(肝風內動證)

영양구등탕(羚羊鉤藤湯)《通俗傷寒論》치목제(治目劑)

조성 ≒ 영양각(羚羊角), 상엽(桑葉), 천패모(川貝母), 생지황(生地黃), 구등(鉤藤), 국화

(菊花), 복신목(伏神木), 작약(芍葯), 감초(甘草), 죽여(竹茹).

주치 : 1) 녹풍내장(綠風內障)

2) 만약 습열병환(濕熱病患)이 오래 되면(多日) 홍진이 몸에 퍼지는(身布紅疹) 것

을 보게 되고, 잠고대처럼 헛소리를 치며(夢語如譫), 설질은 붉고 진액이 없어

거칠고(舌質紅糙无津), 맥상이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듯하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인(脈象弦數) 사람은 습온(濕溫)이 화조(化燥)하

고, 사기가 영기에 숨어들어(邪竄入營), 점점 진액이 말라 들어가는기세이다.

减 : 백작(白芍), 구등(鉤藤).

加 : 석곡(石斛), 백미(白薇), 단피(丹皮) 등

3) 만약 조사(燥邪)에 음(陰)을 상(傷)했었는데, 아직 사열(邪熱)이 깨끗이 물러나

지 않고(邪熱未淨)있고, 깊숙이 심포에 숨어들어(里竄心胞), 이윽고 경련을 일

으키게 되고(旣見發痙), 정신이 어두우며(神昏), 또 장열이 나고 갈증(又見壯熱

口渴)이 나며, 혀가 누렇거나 혹은 붉게 그을린 사람(舌黃或焦紅者)은 안으로

심포를 사르기(內灼心胞) 때문에, 영혈의 손실을 입게 되고(營血被耗), 진액도

역시 상하다(津液亦傷), 배복(配服) 지보단(至寶丹) .

영혈탕(寧血湯)《經驗方》

조성 ≒ 仙鶴草(선학초), 旱蓮草(한련초), 生地黃(생지황), 梔子炭(치자탄), 白芍(백작), 白

(백급), 白蘞(백렴), 側柏葉(측백엽), 阿膠(아교), 白茅根(백모근).

효용 : 滋陰凉血(자음량혈),

주치 : 云霧移睛(운무이정)

오가주(五加酒)《備急千金要方》보양제(補陽劑)

조성 ≒ 五加皮(오가피), 枸杞子(구기자)各60, 乾地黃(건지황), 丹參(단삼) 各30, 杜仲(두

중)250, 乾姜(건강)45, 天門冬(천문동)60, 蛇床子(사상자)36, 鍾乳石(종유석)125.

方中 : 枸杞子《太平聖惠方》卷七十三作 “地骨皮”

上爲粗末, 用絹袋盛 加酒 5000毫升, 漬三宿. 每服 30~50 毫升, 1 日 2 次.

효용 : 조양안궁(助陽暖宮)

주치 : 산후벽수(産后廦瘦) 옥문냉(玉門冷).

오공산(蜈蚣散)

조성 ≒ 蜈蚣(오공), 全蝎(전갈) 各等分.

주치 : 기비(肌痹) 피기염(皮肌炎).

오공유(蜈蚣油)《外科證治全生集》

조성 ≒ 活蜈蚣(활오공), 菜油(채유).

오근탕(五根湯)《外科啓玄》옹양제(癰瘍劑)

조성 ≒ 총근(葱根), 구근(韮根), 지골피(地骨皮), 토복령(土茯苓) 各30.

효용 : 전수(煎水) 선훈후세(先薰后洗)

주치 : 양매(楊梅) 감창(疳瘡) 생우하반신(生于下半身).

오금산(烏金散)《女科万金方》

조성 ≒ 厚朴(후박), 羌活(강활), 獨活(독활) 各6, 陣皮(진피), 白芷(백지), 白茯苓(백복령)

各4.5, 桔梗(길경), 蒼朮(창출) 各3, 當歸(당귀), 枳殼(지각), 半夏(반하) 各4.5, 白

芍(백작), 官桂(관계), 麻黃(마황) 各3.6, 牛膝(우슬) 2.7, 甘草(감초)2.4.

上爲散 分作 3 貼. 每貼用 生姜 3 片, 總 3 根, 水煎, 空腹時熱服

효용 : 散寒利濕(산한이습), 通經止痛(통경지통).

주치 : 婦女(부녀), 行經之初(행경지초), 渾身疼痛(혼신동통), 手足痲痺(수족마비), 或生

寒熱 (혹생한열), 頭痛目眩(두통목현).

【加减】咳嗽(해수) : 加 杏仁(행인).

오금산(烏金散)《外科精義》

조성 ≒ 黃米粉(황미분), 葱白(총백).

오두계지탕,(烏頭桂枝湯)《金匱要略》온리제(溫里劑)

조성 ≒ 오두(烏頭), 봉밀(蜂蜜), 계지탕(계지(桂枝), 작약(芍葯),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주치 : 한산복통(寒疝腹痛) 겸유표증자(兼有表證者).- 복중통(腹中痛) 신체동통(身體疼

痛), 차가워지며(逆冷), 손발이 무딘(手足不仁) 증상을 다스린다.

오두적석지환(烏頭赤石脂丸)《金匱要略》온리제(溫里劑)

조성 ≒ 오두(烏頭), 촉초(蜀椒), 건강(乾姜), 부자(附子), 적석지(赤石脂).

주치 : 음한궐역(陰寒厥逆)의 심통(心痛),- 심장의 통증이 등(背)에 미치고, 등의 통증이

심장에 미치며(心痛牽及背, 背痛牽及心), 수족 말단으로부터 차갑고(四肢厥冷),

맥침현(脈沉弦).

오두전(烏頭煎)《金匱要略》온리제(溫里劑)

조성 ≒ 오두(烏頭), 봉밀(蜂蜜). 주치 : 한산복통(寒疝腹痛).- 배꼽주위가 이프며(繞臍疼

痛), 땀이 나고(汗出), 팔다리가 차며(肢冷), 맥침긴(脈沉緊).

오두탕(烏頭湯)《金匱要略》치풍제(治風劑)

조성 ≒ 천오(川烏, 烏頭), 마황(麻黃), 작약(芍葯), 황기(黃芪), 감초(甘草), 밀(蜜).

烏頭를 먼저 밀(蜜)로 달인뒤에 오두를 버리고 그 물에 남어지 약을 모두 달인다

주치 : 역절(歷節).- 관절동통(關節疼痛) 불가인(不可忍), 난이굴신(難以屈伸), 심칙(甚則)

단기한출(短氣汗出).

오두탕(烏頭湯)《證治准繩》

조성 ≒ 烏頭(오두), 細辛(세신), 川椒(천초), 甘草(감초), 秦艽(진구), 炮附子(포부자), 肉桂

(육계), 白芍(백작), 乾姜(건강), 茯苓(복령), 防風(방풍), 當歸(당귀), 羌活(강활).

27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兒茶(아차, 硏末), 制乳香(제유향), 制沒葯(제몰약), 冰片(빙편) 各1.5, 人中白(인중백, 煅 爲末)3. - 極細末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乳香(유향), 沒葯(몰약), 松香(송향), 𥓲砂(뇌사), 冰片(빙편), 麝香(사향). 흑퇴소(黑退消)《外科學》《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枳殼), 적작(赤芍), 감초(甘草), 길경(桔梗). 주치 : 기체혈어(氣滯血瘀) 담응지만후음(痰凝之慢喉瘖). 성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