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여동환(黎洞丸)《醫宗金鑑》골상제(骨傷劑) - 연조탕(燃照湯)《霍亂論》
거습제(祛濕劑)
여동환(黎洞丸)《醫宗金鑑》골상제(骨傷劑)
조성 ≒ 우황(牛黃), 사향(麝香), 빙편(冰片), 대황(大黃), 등황(藤黃, 격탕자(隔湯煮) 십수
차(十數次) 거부말(去浮沫) 용산양혈반쇄(用山羊血拌晒), 무(无) 산양혈(山羊血),
양혈대용(羊血代用)) 웅정(雄精, 雄黃) 해아차(孩兒茶), 혈갈(血竭), 취아위(臭阿
魏), 천죽황(天竹黃), 삼칠(三七), 유향(乳香), 몰약(沒葯).- 십이미약(十二味葯)
외용(外用) 랍피고봉(蠟皮固封) 개수(開水) 혹(或) 주송복(酒送服),
외용(外用) 차로마도(茶鹵磨涂)
주치 : 질타손상(跌打損傷) 어조기체(瘀阻氣滯) 극열동통(劇烈疼痛) 혹(或) 어혈공심(瘀
血攻心) 불성인사(不省人事) 급무명종독(及无名腫毒).
여로고(黎蘆膏)《薜立齋醫案》
조성 ≒ 黎蘆(여로), 生猪脂(생저지).
여보단(女寶丹)《醫宗說約》
조성 ≒ 當歸(당귀, 酒洗), 生地(생지, 酒蒸), 白朮(백출, 土炒), 香附(향부, 四制) 各180, 白
芍(백작, 酒炒), 川芎(천궁, 酒洗), 阿膠(아교, 酒浸, 浴蜜內) 各90, 黃芩(황금, 酒
炒)120, 陣皮(진피, 炒), 砂仁(사인, 炒) 各60.
上爲末, 另用 益母草 1250 克熬膏, 和煉蜜及 阿膠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15 克,
空腹時 用白開水送下. 安胎 用白蜜爲丸, 不用 益母膏.
효용 : 조경종자(調經種子), 안태보잉(安胎保孕).
주치 : 여자(女子) 불잉급(不孕及) 습관성유산(習慣性遺産).
加减 - ① 월경후기(月經后期) 자 : 去 황금(黃芩), 加 강탄(姜炭)30, 애엽(艾葉)60.
② 비반자(肥胖者) : 加 제반하(制半夏)90, 백복령(白茯苓)120.
③ 백대(有白帶者_ : 再加 백미(白薇)120.
④ 시허심자(氣虛甚者) : 加 인삼(人參)90, 복령(茯苓), 산약(山葯) 各120.
⑤ 요통(腰痛) : 加 산약(山葯), 두중(杜仲) 各90.
【臨證擧例】 婦人 40 歲, 十余年 不受胎, 月經前后 不准而无子 脈微細兼數. 予制 女寶丹,
服至百日 而孕, 后産一男.
여빙산(如冰散)《證治准繩》
조성 ≒ 朴硝(박초), 寒水石(한수석), 蛤粉(합분), 白芷(백지), 片腦(편뇌).
여성금도산(如聖金刀散)《醫宗金鑑》《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백반(白礬), 고반(枯礬) 各45, 송향(松香)210.- 삼미조성(三味組成) 연극세말(硏
極細末) 용시(用時) 섬우환처(摻于患處) 사포찰긴(紗布扎緊).
효용 : 收斂(수렴) 收澁(수삽) 止血(지혈)
주치 : 금창(金瘡) 출혈불지(出血不止).
여성병자(如聖餠子)《丹心․東醫寶鑑》
조성 ≒ 南星(남성), 乾薑(건강), 川芎(천궁), 川烏(천오), 甘草(감초) 各一兩, 防風(방풍),
製半夏(제반하), 天麻(천마), 細辛(세신) 各五錢.
作末(작말)하여 薑汁麵糊(강즙면호)에 반죽하여 芡實大(검실대)로 餠子(병자)를
만들어서 每五餠(매오병)을 씹어 茶淸(다청), 溫酒(온주)에 任意(임의) 送下(송하)
한다
주치 : 風寒(풍한)이 陽經(양경)에 伏留(복류)한 것과 氣厥(기궐), 痰厥(담궐)의 一切頭痛
(일절두통)을 다스린다.
여성산(如聖散)《證治准繩》경산제(經産劑)
조성 ≒ 오매탄(烏梅炭), 종려탄(棕櫚炭), 건강탄(乾姜炭).- 삼미조성(三味組成)
주치 : 허한붕루(虛寒崩漏).- 혈다색담(血多色淡) 외한지냉(畏寒肢冷) 맥침지무력(脈沈
遲无力). 변증의거(辨證依据).
여씨청심양격산(余氏淸心凉膈散)《溫熱經緯》인후제(咽喉劑)
조성 ≒ 양격산(凉膈散, 대황(大黃), 박초(朴硝), 감초(甘草), 치자(梔子), 박하엽(薄荷葉),
황금(黃芩), 황연(黃連), 죽엽(竹葉)) 감(减) 박초(朴硝), 대황(大黃), 가(加) 길경(桔
梗), 생석고(生石膏),-. 팔미약조성(八味葯組成)
주치 : 란후사(爛喉痧) 독옹기분(毒壅氣分).- 장열(壯熱) 구갈(口渴) 번조(煩躁) 인후홍종
(咽喉紅腫) 부란(腐爛), 기부단사(肌膚丹痧) 현로(顯露), 설홍적유주(舌紅赤有珠)
태황조(苔黃燥) 맥홍삭(脈洪數).
여의금황산(如意金黃散)《外科正宗》《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조성 ≒ 천화분(天花粉)십근(十斤), 황백(黃柏), 대황(大黃), 강황(姜黃), 백지(白芷) 각오
근(各五斤), 후박(厚朴), 진피(陣皮), 창출(蒼朮), 천남성(天南星), 감초(甘草) 각이
근(各二斤).
《外科方外奇方》
무대황(无大黃), 가(加) 석창포(石菖蒲), 울금(鬱芩), 생반하(生半夏) 각이량(各二
兩).- 공연극세분(共硏極細粉), 자기수저(瓷器收貯) 물령설기(勿令泄氣). 외용(外
用) 건섬(乾摻) 혹 부첩(敷貼) 환처사주(患處四周), 역가용(亦可用) 총(葱), 주(酒),
유(油), 밀(蜜), 국화(菊花), 은화로 (銀花露), 사과엽(絲瓜葉), 도즙조부(搗汁調敷),
혹용(或用) 범사림(凡士林) 여의금황산(如意金黃散) 1 : 4 조균(調勻) 성고도부
(成膏涂敷).
주치 : 옹저정독(癰疽疔毒) 일절창양증(一切瘡瘍證).- 홍종열통(紅腫熱痛) 맥삭이유력
(脈數而有力) 창양미궤(瘡瘍微潰).
연견청간음(軟堅淸肝飮)《經驗方》
조성 ≒ 生牡蠣(생모려), 代赭石(대자석), 夏枯草(하고초) 各30, 柴胡(시호), 黃芩(황금),
連翹(연교) 各6, 生薏仁(생의인), 板藍根(판람근), 大靑葉(대청엽) 各10.
연교패독산(連翹敗毒散)《傷寒全生集》이비제(耳鼻劑)
조성 ≒ 연교(連翹), 승마(升麻), 시호(柴胡), 황금(黃芩), 백작(白芍), 홍화(紅花), 강활(羌
活), 방풍(防風), 치자(梔子), 당귀(當歸), 길경(桔梗), 원삼(元參), 우방(牛蒡), 박하
(薄荷), 천궁(川芎).
주치 : 인외감(因外感) 한출불철(汗出不徹) 여사열독(余邪熱毒) 미능투설(未能透泄), 울
울결우소양(鬱結于少陽) 양명지락(陽明之絡) 기혈응체(氣血凝滯) 이성적(而成
的) 발이증(發頤證).- 발열오한(發熱惡寒) 이하종여결핵(耳下腫如結核) 미유열통
(微有熱痛).
연교패독산(連翹敗毒散)《醫方集解》
조성 ≒ 連翹(연교), 黑荊芥(흑형개), 炒防風(초방풍), 銀花(은화), 生甘草(생감초), 前胡
(전호), 柴胡(시호), 川芎(천궁), 枳殼(지각), 桔梗(길경), 茯苓(복령), 薄荷(박하),
生姜(생강), 羌活(강활), 獨活(독활).
연교해독음(連翹解毒飮)《中醫證候鑒別診斷學》
조성 ≒ 형개(荊芥), 은화(銀花), 연교(連翹), 적작(赤芍), 어성초(魚腥草), 지각(枳殼), 토복
령(土茯苓), 감초(甘草).
연교홍장해독탕(連翹紅醬解毒湯)《上海中醫學院方》
조성 ≒ 은화(銀花), 연교(連翹), 홍등(紅藤), 패장초(敗醬草), 의이인(薏苡仁), 모단피(牡
丹皮), 산치자(山梔子), 적작(赤芍), 도인(桃仁), 연호색(延胡索), 천련자(川楝子),
유향(乳香), 몰약(沒葯).
연령육자방(延齡育子方)《墨寶齋集驗方》卷上
조성 ≒ 膃肭臍(올눌제, 用桑白皮(상백피), 楮實子(저실자), 山楂(산사), 麥芽(맥아), 神曲
(신곡), 補骨脂(보골지) 各30, 黑芝麻(흑지마), 黑豆(흑두) 各50, 加酒, 水 各一半
煎 ; 另外 用酒洗 膃肭臍 入前酒水內 浸以軟爲度, 用竹刀切碎, 去膜, 用瓦一塊, 荷
葉襯瓦上, 上用瓦一塊盖之, 慢火烘乾, 碾細爲末, 備用) 巨勝子(거승자, 酒洗凈,
分爲 4 分 : 芝麻 蘿卜子 糯米 白芥子 各炒一分)150, 枸杞子(구기자)120, 生地黃
(생지황, 肥大沉水者, 酒洗凈) 熟地黃(숙지황, 肥大沉水者, 酒洗凈) 麥門冬(맥문
동, 去心) 各150, 白朮(백출, 分 4 分, 土炒 1 分, 麩炒 1 分, 神曲炒 1 分, 枳殼炒 1
分)150, 白茯苓(백복령, 乳浸 晒乾)150, 菟絲子(토사자, 酒洗凈, 浸一晝夜, 蒸, 搗
餠 晒乾)120, 人參(인삼) 柏子仁(백자인, 炒, 去殼) 各150, 山葯(산약, 姜汁浸, 炒
乾)120, 山茱肉(산수육) 肉蓗蓉(육종용, 酒浸 晒乾) 各150, 遠志(원지, 甘草燈心
湯泡, 去心)60, 何首烏(하수오, 分 4 分, 黑豆汁浸一分, 鹽水浸一分, 米泔水浸一
分, 醋浸一分)240, 鹿角霜(녹각상)150, 巴戟肉(파극육, 酒洗)120, 石菖蒲(석창포,
微炒) 當歸(당귀, 酒洗, 去梢) 五味子(오미자) 各 60, 川牛膝(천우슬, 酒洗 晒
乾)120, 炒沙苑蒺藜(초사원질려)150, 川黃連(천황연, 去須, 分 4 分, 吳茱萸湯浸
一分, 木香湯泡一分, 姜汁泡一分, 酒浸一分, 晒乾)90, 酸棗仁(산조인, 去殼 皮
炒)60.
上葯各爲末.
春季 : 加 강즙(姜汁), 죽력(竹瀝);
夏季 : 加 향유(香薷), 목과(木瓜), 의인(薏仁);
秋季 : 加 강차(姜茶), 수유(茱萸), 목향(木香);
冬季 : 加 자소(紫蘇), 박하(薄荷), 창출(蒼朮), 후박전즙(厚朴煎汁),
用蜜煉爲丸. 每服 90 丸, 滾開水送下
효용 : 塡精助陽(전정조양), 引火歸元(인화귀원).
주치 : 男子(남자) 腎氣虛弱(신기허약) 逢陰而痿(봉음이위) 未媾先遺(미구선유)의 早泄
(조설).
연령육자환(延齡育子丸)《醫便》
조성 ≒ 天門冬(천문동), 麥門冬(맥문동), 生地黃(생지황), 熟地黃(숙지황, 肥大沉水者) 人
蔘(인삼), 枸杞子(구기자), 菟絲子(토사자, 洗凈 酒蒸搗餠 晒乾), 巴戟肉(파극육),
川牛膝(천우슬, 酒洗), 白朮(백출, 陣土炒), 白茯苓(백복령, 去皮, 牛乳浸, 晒), 白茯
神(백복신, 去皮, 木, 人乳浸, 晒), 鹿角膠(녹각교), 柏子仁(백자인, 炒, 去殼), 山葯
(산약, 姜汁炒), 山茱肉(산수육), 肉蓗蓉(육종용), 蓮蕊(연예, 開者不用), 沙苑蒺藜
(사원질려, 炒) 各150, 炒棗仁(초조인), 北五味子(북오미자), 石斛(석곡), 遠志(원
지, 甘草燈心湯泡, 去心) 各60.
上爲末, 將鹿膠 以酒化開 和煉蜜爲丸 如梧桐子大. 每服男子 90 丸, 婦人 80丸,
空腹時 滾白湯 送下.
【宜忌】忌煎 炙 葱 蒜 蘿卜. 此方 宜南方人服.
효용 : 滋陰壯陽(자음장양)
주치 : 소년작상(少年 斫喪) 중년무자(中年无子) 부인혈허(婦人血虛) 붕능잉육(不能孕
育).
【備考】本方二十四味 合二十四節氣; 一百單八兩(3240克) 合一年氣候之成數 爲生生不
息之妙.
연령종자선방(年齡種子仙方)《濟陽綱目》
조성 ≒ 當歸身(당귀신, 酒浸), 川牛膝(천우슬, 酒浸), 生地黃(생지황, 酒浸), 熟地黃(숙지
황, 酒浸), 麥門冬(맥문동, 去心, 米泔水浸), 天門冬(천문동, 去心, 米泔水浸), 山茱
肉(산수육) 各120, 知母(지모, 鹽, 酒各浸60)120, 黃柏(황백, 蜜水, 鹽, 酒各浸
90)270, 遼五味子(료오미자), 川芎(천궁), 山葯(산약), 龜版(구판, 酥炙), 白芍葯(백
작약, 酒浸) 各60, 人蔘(인삼)18.
- 上葯如法制, 晒乾 爲極細末 用白蜜 1500, 將竹簡 二節鑿(이절착) 一竅孔, 入蜜
在內 再加淸水 50 毫升, 和勻, 綿紙封固 7 層, 堅立鍋內 隔水柴火煮 1晝夜, 和
葯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100 丸, 淸晨 鹽湯, 晩酒, 送下.
【宜忌】以服葯之日爲始 忌房事 1 个月, 男婦皆然 愈久愈妙.
효용 : 연령종자(年齡種子)
주치 : 男子不育(남자불육), 婦女不孕(부녀불잉).
연리탕(連理湯)《症因脈治》 ☞ 리중환(理中丸)《傷寒論》온리제(溫里劑)
조성 ≒ 理中丸(인삼(人蔘), 백출(白朮), 건강(乾姜), 감초(甘草)) 가(加) 황련(黃連).
주치 : 비위허한(脾胃虛寒) 구토산수(嘔吐酸水) 자(者).
연리탕(連理湯)《傷寒緖論》《張氏醫通》 ☞ 리중환(理中丸)《傷寒論》온리제(溫里劑)
조성 ≒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건강(乾姜), 황련(黃連).
연매안회탕(連梅安蛔湯)《通俗傷寒論》구충제(驅虫劑)
조성 ≒ 뢰환(蕾芄), 빈낭(檳榔), 호황연(胡黃連), 천황백(川黃柏), 오매(烏梅), 촉초(蜀椒).
주치 : 간위열성(肝胃熱盛), 이유회충자(而有蛔虫者).- 면적심번(面赤心煩), 식칙토회(食
則吐蛔) 복통(腹痛) 구조설적(口燥舌赤) 맥삭(脈數).
연매탕(連梅湯)《溫病條辨》청열제(淸熱劑)
조성 ≒ 황련(黃連), 오매(烏梅), 맥문동(麥門冬), 생지황(生地黃), 아교(阿膠).
효용 : 수자신수(須滋腎水), 청심화(淸心火).
주치 : 1) 서상심신(暑傷心腎).- 심장(心臟)의 열사(熱邪)로 마음이 번거롭고 초조하며(心
熱煩躁), 소갈불이(消渴不已), 설강(舌絳) 태황조(苔黃燥).
2) 서온(暑溫)
⑴ 陰虛火旺證(음허화왕증)
⑵ 暑溫熱耗眞陰證(서온열모진음증)
심열번조(心熱煩躁)하며, 소갈불이(消渴不已)하고, 설홍강(舌紅絳)하며, 태
황조자(苔黃燥者)는, 심신불교를 위주로 하는(爲水火不濟) 병리기제(病理機
制)이다.
⑶ 暑溫邪留陰分證(서온사류음분증)
항상(常見) 심열이 번조(心熱煩躁)하며, 소갈이 그치지 않고(消渴不已), 혀
는 진홍색이며(舌紅絳), 태는 누렇고 건조한(苔黃燥) 등 서열에 오래 이끌림
으로(暑熱久羈) 말미암아 여사에 음을 상한 것이(余邪傷陰), 심신에 파급되
어(波及心腎) 심화와 신수가 서로 상교하지 못함을(水火不濟而成) 본다.
⑷ 暑傷心腎證(서상심신증)
① 서온(暑溫)이 출현(出現)하는 서상심신증(暑傷心腎證)의 주요 임상표현
(臨床表現)은 심열번조(心熱煩躁)를 위주로 신지가 불영(神志不寧)한 등
심화항치(心火亢熾)의 특징이 있다. - 加 連翹(연교), 竹葉(죽엽) 之類(지
류)
② 복서병(伏暑病)이 출현하는 서상심신증(暑傷心腎證)은 소갈불이(消渴不
已). 설질강(舌質絳) 태황조(太黃燥) 등 신음휴허(腎陰虧虛)의 특징을 위
주로 한다.
- 加 龜板(구판), 玄參(현삼) 之類(지류).
연박음(連朴飮, 王氏連朴飮)《霍亂論》거습제(祛濕劑)
조성 ≒ 후박(厚朴), 황련(黃連), 석창포(石菖蒲), 반하(半夏), 두시(豆豉), 산치자(山梔子),
로근(蘆根).
효용 : 청열이습(淸熱利濕), 겸이(兼以)방향화탁(芳香化濁).신개고강(辛開苦降),설습투
열(泄濕透熱)
주치 : 1) 습열내온(濕熱內蘊)의 곽란(霍亂).- 구토설사(嘔吐泄瀉) 흉완비민(胸脘痞悶) 소
변단적(小便短赤) 설태황니(舌苔黃膩).
2) 대장습열증(大腸濕熱證) - 무더운 여름에 찌는 뜻한 사열(邪熱)인 , 습열(濕熱)
이대장(大腸)에 응결(凝結)되어, 묽은 변이 잘 배설
되지 않고(大便稀而不暢), 항문을 불로 지지는 듯이 뜨거운(肛門灼熱) 등 하초
에 증상(下焦症狀)이 있는 것 이외에 왕왕 머리가 터질듯이 팽창하고 아무 생
각을 할 수 없이 희미해지고(頭昏腦 脹), 가슴 및 위완부가 그득한 것이 답답하
며(胸脘滿悶), 메스꺼워 토하려 하는(惡心欲吐) 등 습열이 찌는 듯이 위로 오르
는(濕熱上蒸) 증상을 겸하게 되는 것을본다.
3) 습조증(濕阻證, 濕阻中焦, 脾虛濕困, 濕困脾陽) - 비위습열증(脾胃濕熱證)
4) 습온병(濕溫病) : 습알열복증(濕遏熱伏證)은 습(濕)과 열(熱)이 합사(合邪)한 류
형의 계통으로 습곤열외(濕困熱外)하는 즉 습(濕)이 있는 곳
에 열(熱)이 있는 증후이다. 습사(濕邪)가 청양(淸陽)에 뒤집어씌우고 저지(沮
止)하므로 두통(頭痛), 신중(身重)하게 되고, 외습(外濕)을 끌어들여(引動) 내습
(內濕)이 되고 비(脾)가 운화기능(運化機能)을 잃으므로 팔다리와 몸이 무겁고
아파서 활동하기 어려우며, 구불갈(口不渴)하다. 중초(中焦)가 승강기능(升降
機能)을 잃으므로 배가 부르며 위의 수납기능이 정체되어 소화불량 식욕감퇴
(腹脹納呆)를 보게 된다. 습(濕)이 열(熱) 읗 감싸고 저지(沮止)하지만 발열(發
熱)은 심하지 않고, 설태는 희며 혓바닥은 진홍색(舌苔白而底絳)이고 맥은 뜬
맥이 가늘며 연하고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 이다(脈濡
數).
연백익음환(連柏益陰丸)《蘭室秘藏》
조성 ≒ 황련(黃連), 황백(黃柏), 강활(羌活), 독활(獨活), 방풍(防風), 당귀신(當歸身), 오미
자(五味子), 황금(黃芩), 초결명(草決明), 지모(知母), 석결명(石決明), 감초(甘草).
연수획사주(延壽獲嗣酒)《惠直堂經驗方》보양제(補陽劑)
조성 ≒ 生地(생지, 酒浸一宿, 切片, 用益智仁60 同蒸 1小時, 去益智仁)360, 覆盆子(복분
자, 酒浸一宿, 炒), 炒山葯(초산약), 炒芡實(초검실), 茯神(복신, 去木), 柏子仁(백
자인, 去油), 沙苑子(사원자, 酒浸), 山茱萸(산수유,酒浸), 肉蓗蓉(육종용), 麥冬(맥
동,去心), 牛膝(우슬)各120, 鹿茸(녹용)1 對(酥炙). 燒酒(소주) 25 千克, 无灰酒(무
회주) 10 千克, 白酒(백주) 5 千克, 龍眼肉(용안육) 250克, 核桃仁(핵도인) 250克,
同入缸內(동입항내) 隔水煮(격수자) 7 小時, 埋土內(매토내) 7 日, 取出, 물령설기
(勿令泄氣). 每晩男女各(매만남여각) 음사오배(飮四五杯) 물령취(勿令醉). 지백
일후(至百日后) 건왕무비(健旺无比). § 宜 忌(의기) 방사월여(房事月余).
효용 : 보진음(補眞陰) 첨정익수(添精益髓) 오수명목(烏須明目) 총명연연(聰明延年)
주치 : 소성약(素性弱) 불내한노역(不耐寒勞役) 혹사려태과(或思慮太過) 손모기혈(損耗
氣血) 정원허냉(精元虛冷) 성욕감퇴(性欲减退) 구이불잉(久而不孕) 급잉이다녀
(及孕而多女), 혹빈수혹빈타태(或頻隨或頻墮胎).
연조탕(燃照湯)《霍亂論》거습제(祛濕劑)
조성 ≒ 활석(滑石), 두시(豆豉), 산치자(山梔子), 황금(黃芩), 후박(厚朴), 반하(半夏), 백구
(白豆寇), 패란(佩蘭).
주치 : 열곽란(熱癨亂).- 토사취작(吐瀉驟作) 구갈(口渴) 수황적(溲黃赤) 복중교통(腹中
絞痛) 태황니(苔黃膩) 맥유삭(脈濡數).
Comments